KR200406736Y1 - 장식용 호롱 - Google Patents

장식용 호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736Y1
KR200406736Y1 KR2020050032126U KR20050032126U KR200406736Y1 KR 200406736 Y1 KR200406736 Y1 KR 200406736Y1 KR 2020050032126 U KR2020050032126 U KR 2020050032126U KR 20050032126 U KR20050032126 U KR 20050032126U KR 200406736 Y1 KR200406736 Y1 KR 200406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transparent container
paraffin solution
wi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철
Original Assignee
송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철 filed Critical 송용철
Priority to KR2020050032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7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21V35/006Drop catchers; Shad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호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통적 의미의 호롱에 현대적인 기능성과 장식성을 부여하여 실생활에서의 활용은 물론이고 각종 실내장식용이나 집회 및 종교행사에 간편하면서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라핀 용액이 충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투명용기와; 상기 수용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가이드 관체와; 상기 가이드 관체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투명용기의 내면부 중앙 하단에 고정된 채 그 하단부 외주연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된 연결지지관과; 상기 가이드 관체에 삽입되어 유입홈을 통해 충입된 파라핀 용액위에 떠 있도록 한 부력체; 및 상기 가이드 관체의 파라핀 용액을 공급받아 불이 붙여질 수 있도록 연장된 면심지를 갖는 심지가 부력체의 상단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호롱, 파라핀 용액, 부력체, 심지, 전사지

Description

장식용 호롱{kerosene lamp for deco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상태를 도시해 보인 종 방향 절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투명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 상태를 절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투명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투명용기 11 : 제2의 수용부
20 : 가이드 관체 30 : 연결 지지관
31 : 유입홈 40 : 부력체
50 : 심지 60 : 전사지
61 : 온도감응필름
본 고안은 장식용 호롱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통적 의미의 호롱에 현대적인 기능성과 장식성을 부여하여 실생활에 서의 활용은 물론이고 각종 실내장식용이나 집회 및 종교행사에 간편하면서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호롱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호롱이란 전등이 도입되기 이전에 기름이 담겨진 사기 그릇 등에 심지를 넣고 불을 붙인 후 유리관을 씌워놓아 서민들의 고단한 밤을 밝혀주는 정감어린 전통등구(燈具)로써, 최근 들어 호롱이 갖는 따뜻함과 은은한 그리움의 정서를 의미하기 위해 이미 사라진 호롱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각종 장식용품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전등의 사용이 부자연스러운 각종 전통물품 전시회나 종교행사 등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물론 호롱을 대체하여 양초를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양초의 단순함은 그 장식적인 풍미를 떨어뜨리며, 촛농의 발생으로 주변이 얼룩질 우려가 높고, 또한 1회용이라는 한계로 수시로 교체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제반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82178호로“장식용 호롱”을 제안한 바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 본 출원인의 선 등록고안을 개선한 후속 출원의 성격을 유지한다.
즉 상기 선 등록고안은 전통적 기능의 호롱을 현대적인 의미로 재현한 것에 불과하여 그 구조가 획일적이고 작용상태 역시 단조로운 감이 있어 종교행사 등에 양초의 대체품으로는 유용할지 모르나 시각적인 호기심의 유발과 재미를 느껴가며 각종 실내장식용품으로 기능하기에는 다소 역부족인 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호롱은 기능적으로 단순한 등(燈) 기구로서의 역할에만 머물러 호롱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아이들의 관심을 끌면서도 교육적인 내용과 아름다움을 담 기에도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한 용기내에 위치된 가이드 관체를 통해 불이 밝혀진 심지가 부력체와 함께 파라핀 용액의 높낮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 되면서 타오를 수 있도록 하였고, 가이드 관체의 외주연에 부착된 채 내/외부의 온도변화에 감응하여 인쇄면이 수시로 변하는 전사지를 통하여 시각적인 만족감과 장식적인 효과의 극대감을 구현함에 본 고안이 안출된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투명용기의 일부를 요입지게 성형함으로써, 그 요입지게 함몰된 부분으로 별도의 장식용품을 위치시켜 호롱이 사용되는 장소와 성격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이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파라핀 용액이 충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투명용기와; 상기 수용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가이드 관체와; 상기 가이드 관체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투명용기의 내면부 중앙 하단에 고정된 채 그 하단부 외주연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된 연결지지관과; 상기 가이드 관체에 삽입되어 유입홈을 통해 충입된 파라핀 용액위에 떠 있도록 한 부력체; 및 상기 가이드 관체의 파라핀 용액을 공급받아 불이 붙여질 수 있도록 연장된 면심지를 갖는 심지가 부력체의 상단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 관체의 외주연에 온도변화에 감응하여 색상이나 문양의 인쇄면이 가변적으로 변하는 전사지가 더 부착됨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투명용기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요입지게 성형한 제2의 수용부를 형성한 후 그 요입지게 함몰된 부분에 별도의 장식용품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함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단면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식용 호롱을 구성하는 투명용기(10)는 내부가 명확하게 투영될 수 있는 유리재질로 구성되는데, 외력에 의한 파손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고, 그 외관 역시 미려한 형상이 유지되어야 함은 장식용이라는 본 고안의 주된 용도를 고려해 볼 때에 제조과정에서의 각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대게 투명용기(10)는 넓게 확대되어 마치 어항과도 같은 형태로 파라핀 용액(오일)이 충입되는 수용부와 함께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의 상단부가 꽃잎모양으로 넓게 펼쳐진 형태로 제공될 것이나, 이러한 형상의 예시는 하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할 것일 뿐 본 고안이 적용되는 투명용기(10)는 상기의 형상을 포함하면서도 범용적인 형상으로 일정길이의 원통형이나 혹은 통상의 어항 모양 등 그 어떠한 형태에도 무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하부가 안정적으로 확대된 투명용기(10)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것이지 만 장식적인 풍미를 위해서 혹은 견고하고도 안정감이 있는 입설감을 위해서는 투명용기(10)의 하단에 별도의 중량체로 구성된 아름다운 형상의 지지대를 마련할 수도 있으나 이는 오로지 사용자의 선택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이러한 투명용기(10)의 수용부 내 중간으로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관체(20)가 삽입되어 위치되는데, 상기 가이드 관체(20)는 후술되는 부력체(40)가 파라핀 용액에 의해 자유롭게 승/하강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선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투명용기(10)의 수용부 내에서 안정감있게 입설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연결지지관(30)을 가이드 관체(20)의 직 하단부에 마련하였는데, 이 연결지지관(30)은 상기 가이드 관체(20)의 하단이 긴밀하게 끼워져 삽입될 수 있게 그 내경의 크기가 산출된 채 일정 길이로 마련되어 있으며, 투명용기(10)의 수용부 내측 하단 중앙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배려되어 있는데 그 고정수단으로는 대게 실리콘 접착용제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관(30)의 하단부 외주연으로는 내면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유입홈(31)이 형성되어 있어 투명용기(10)의 수용부에 충입되는 파라핀 용액이 이 유입홈(31)을 통해 자연스럽게 가이드 관체(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관체(20)가 연결지지관(30)에 일체로 긴밀하게 끼워져 하나의 단일화된 형태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후 가이드 관체(20)에 파라핀 용액의 부력에 충분히 떠 있을 수 있는 경량의 부력체(40)가 내삽되어 파라핀 용액의 량에 따 라 승/하강의 작용을 하게 된다.
부력체(40)는 대게 속이 빈 도우넛 형태로 마련되며, 그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고안이 호롱이라는 특성상 가연성의 재질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심지(50)는 파라핀 용액에 담겨져 파라핀 용액을 흡수하면서 이를 상측방향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의 면심지를 구비하는데, 심지(50)의 상단은 불연성의 재질을 이용하여 부력체(40)의 상단에 위치되므로써, 상기 부력체(40)의 부력에 의존하여 일체로 떠 있도록 하며, 면심지는 부력체(40)의 하단을 통해 가이드 관체(20)의 내면으로 길게 연장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 관체(20)의 외주연에 별도의 온도감응필름(61)이 구비된 전사지(60)를 부착시킴으로 심지(50)에 붙은 불꽃에 의해 가이드 관체(20)의 온도가 변하면 이에 대응하여 색상이나 문양의 인쇄면이 점차적으로 변해 투명용기(10)를 통해 외부에 투영되므로 미려함과 신비감을 더해 줄 수도 있게 된다.
첨부된 도 3과 4는 각각 본 고안에 적용되는 투명용기의 다른 실시예도인바,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용기(10)의 측면부 일부를 선택적으로 요입지게 성형하여 제2의 수용부(11)를 형성하므로 마치 투명용기(10)속에 또 다른 투명용기가 들어 있는 듯한 형상을 구현한 후 그 요입지게 함몰된 제2의 수용부(11)에 별도의 장식용품 예컨대, 본 고안이 사용되는 장소에 적합한 소형의 조형물이나 혹은 꽂 등을 내삽하여 호롱불과 함께 외부에 투영될 수 있도록 함도 고려될 수 있다.
특히 기독교 행사에 사용될 경우에는 예수님의 형상을 내삽할 수 있고, 아이 들이 많은 장소에는 인어공주 등의 동화물을 내삽하거나 카페 등에서는 꽃이나 연인의 형상을 내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 5는 상기 도 3의 투명용기(10)가 제2의 수용부(11) 형성으로 인하여 일측부가 다소 돌출되어진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2의 수용부(11)를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배려한 또 다른 실시예로써, 연결지지관(30)과 가이드 관체(20)는 이러한 제2의 수용부(11) 상단에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설치될 있게 구성될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투명용기내의 파라핀 용액의 량에 따라 부력체와 함께 불이 붙여진 심지가 승/하강 되므로 파라핀 용액의 보충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력에 의해 불꽃이 유동되는 아름다움을 관찰할 수 있고, 온도변화에 따라 변하는 인쇄면으로 하여금 시각적인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되는 장소와 용도에 따라 또 다른 장식용품을 부가할 수 있다는 등의 제반 유용성을 갖는다.

Claims (3)

  1. 파라핀 용액이 충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투명용기와; 상기 수용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가이드 관체와; 상기 가이드 관체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투명용기의 내면부 중앙 하단에 고정된 채 그 하단부 외주연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된 연결지지관과; 상기 가이드 관체에 삽입되어 유입홈을 통해 충입된 파라핀 용액위에 떠 있도록 한 부력체; 및 상기 가이드 관체의 파라핀 용액을 공급받아 불이 붙여질 수 있도록 연장된 면심지를 갖는 심지가 부력체의 상단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호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체의 외주연에 온도변화에 감응하여 색상이나 문양의 인쇄면이 가변적으로 변하는 전사지가 더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호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용기의 일부를 요입지게 성형한 제2의 수용부를 형성한 후 그 요입지게 함몰된 부분에 별도의 장식용품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호롱.
KR2020050032126U 2005-11-10 2005-11-10 장식용 호롱 KR200406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126U KR200406736Y1 (ko) 2005-11-10 2005-11-10 장식용 호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126U KR200406736Y1 (ko) 2005-11-10 2005-11-10 장식용 호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736Y1 true KR200406736Y1 (ko) 2006-01-24

Family

ID=4929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126U KR200406736Y1 (ko) 2005-11-10 2005-11-10 장식용 호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7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08B1 (ko) * 2012-12-31 2014-12-08 송용철 액체 파르핀용 약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08B1 (ko) * 2012-12-31 2014-12-08 송용철 액체 파르핀용 약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5633A (en) Floating combustion apparatus
KR200406736Y1 (ko) 장식용 호롱
GB2437520A (en) Edible candle support
US6439735B1 (en) Double-tube water pen
US3097514A (en) Artificial candle
KR200403470Y1 (ko) 장식용 양초
US1554524A (en) Illuminating device
KR200404568Y1 (ko) 장식용 수중촛대
US20060223016A1 (en) Candle finial
KR200290633Y1 (ko) 쌍심지초를 이용한 장식품
KR200407026Y1 (ko) 장식용 촛대
KR200270960Y1 (ko) 장식용 양초
JP7284898B2 (ja) ランプに使用される芯体ユニット及びこれを使用するランプ
KR20150003328U (ko) 다용도 수용 홀더
CN210219692U (zh) 茶烛支承架
KR200282178Y1 (ko) 장식용 호롱
US6270341B1 (en) Holder for spring-loaded candle sleeve
JP3225908U (ja) 香炉
KR200200373Y1 (ko)
JP2606225Y2 (ja) 水上浮揚式ローソク立て
KR200384693Y1 (ko) 양초
JPH0524089Y2 (ko)
AU739800B3 (en) Double-tube water pen
JP3050529U (ja) 蝋燭立て
KR200261031Y1 (ko) 파라핀 오일을 이용한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