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412Y1 - 차량적재함 - Google Patents

차량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412Y1
KR200384412Y1 KR20-2005-0005656U KR20050005656U KR200384412Y1 KR 200384412 Y1 KR200384412 Y1 KR 200384412Y1 KR 20050005656 U KR20050005656 U KR 20050005656U KR 200384412 Y1 KR200384412 Y1 KR 200384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vent
outsid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기
오권영
최광재
이성현
이인복
오형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5-0005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4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5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적재함을 덮는 덮개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창의 하측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부와 측면으로는 내부가 보이지 않으면서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벽체판넬이 차량의 측면공간에 횡방향으로 수직하게 다수 설치된 수평바의 외측면에 형성된 차량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가축과 같은 적재함 내부의 수용물이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며, 햇살과 비는 차단시키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바깥으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악취탈취용 여재로 여과시켜 강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적재함{shipping cage for transportation vehicle}
본 고안은 가축과 같은 수용물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며, 햇살과 비는 차단시키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바깥으로 배기되도록 하며, 또한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악취탈취용 여재로 여과시켜 강제 배기되도록 하는 차량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적재함은 차량에 탑재되어 가축을 포함한 일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천막지붕에 칸막이만을 설치한 것과, 박스차로 하여 환기를 위해 천창이나 측창을 만들고 바람을 불어주는 팬을 설치한 것과, 탑차에 냉방기를 설치하고 탑차 아랫부분에서 팬으로 배기하는 것, 그리고 팬으로 적재함 하단에 바람을 불어 넣어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것들이 있다.
그러나, 천막지붕에 칸막이만 설치한 것은 돼지가 외부에서 보일 뿐만 아니라,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등 문제점이 많고, 냉방탑차의 경우는 돼지 등 가축을 적재시킨 경우 돼지의 호흡과 분료 등에서 나오는 암모니아 가스와 수증기 등이 많이 발생하여 이를 배출하기 위하여 내부공기를 외부로 많이 배출시켜야 하므로, 냉방 효과가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대형의 냉방기를 돌려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박스차의 경우는 개공율이 낮아 정차시에 자연통풍으로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강제 환기를 한다해도 오염된 악취가 주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발생시켜 왔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가축과 같은 수용물이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고, 햇살과 비는 차단시키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바깥으로 배기되도록 하며, 또한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악취탈취용 여재로 여과시켜 악취가 나지 않게 강제 배기시키도록 하는 차량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차량적재함은 가축과 같은 적재물이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면서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바깥으로 배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차량 적재함 덮개프레임의 측면에는 공기유입창을 설치하되 상부와 측면으로는 내부가 보이지 않으면서 빗물의 유입을 차단되도록 하고 하측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벽체판넬을 다수의 수평바 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벽체판넬은 수평바들에 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들의 바깥쪽으로는 이단 하향 연장 절곡된, 예컨대 상단부는 경사지게 측면부는 수직하게 하향 절곡된 차단부를 가지며, 상/하 차단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프레임의 천장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통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통기구 중 좌측 통기구에는 송풍기와 악취탈취용 여재가 삽입된 여재장치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탈재용 여재는 톱밥, 팽연왕겨, 파쇄볏집을 사용할 수 있고, 악취탈취용 여재를 가축전염병 소독약으로 적셔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여재장치는 상/하부가 관통 연결되어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압착설치된 이단의 섬유망과 그 섬유망 사이에는 여재가 포함되게 하여 상기 통기구와 연결되도록 덮개프레임의 천장에 체결되는 여재함; 및 상기 통기구와 연결되도록 상면부가 천장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여재함으로 전달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통기구 중 우측 통기구에는 개폐 조절이 가능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댐퍼는 덮개프레임의 천장 하단부에 고정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체결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발생시킨 파이롯트 압력으로 좌/우로 이동되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에 연결되고 상기 지렛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적으로 움직이는 연결쇠와 상기 통기구를 감싸도록 천장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기통과 상기 연결쇠와 연결되어 통기구의 개페를 지렛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조절하는 개폐판을 갖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환기통의 상면에는 지붕판넬을 형성하되, 상기 지붕판넬은 환기통의 상면과 이격되게 형성하여 공기가 측면 방향으로 배기되도록 하여 위로부터 내리는 빗물 등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차량적재함(100-1 내지 100-4)은 덮개프레임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창(미도시)을 설치하되, 상부와 측면에는 내부가 보이지 않으면서 빗물이나 햇살은 차단시키고 그 하측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벽체판넬(110)이 차량의 측면공간에 설치된 수평바들(미도시)의 외측면에 구비된 구조로서, 가축을 적재하는 가축수송차량의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여러개가 탑재되게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차량적재함은 덮개프레임의 일영역을 절개하여 한 쌍의 통기구를 형성하고, 그 한 쌍의 통기구 중 좌측 통기구에는 내부 공기의 악취를 여재시켜 외부로 강제 배기되도록 하는 여재장치(130)가 구비되며 우측 통기구에는 강제 배기하지 않을 경우에 내부의 공기를 자연배기되도록 개폐 조절이 가능한 댐퍼(120)가 구비된다.
도 2a에 도시된 덮개프레임(160)은 차량의 적재함을 덮도록 상부 프레임의 양측면 끝단부 각각에서 하향 연장된 다수의 지지바가 연장 대응되는 차량의 베이스프레임 모서리부에 결착고정된 구조를 가지며, 그 덮개프레임(160)의 측면 공간에는 수평바(140)를 이격거리를 두고 수직으로 다수개 착설 형성되는 공기유입창(150)이 형성되며, 덮개프레임(160)의 천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되어 그 통기구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창(150)의 하측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부와 측면으로는 내부가 보이지 않으면서 빗물이나 햇살을 차단시키도록 벽체판넬(110)이 상기 다수의 수평바(140)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댐퍼(120)는 강제 환기하지 않을 때 돼지와 같은 가축의 체열에 의하여 상승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배기되도록 하고, 덮개프레임의 천장 하단부에는 고정된 솔레노이드 밸브(121)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1)에 체결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21)에서 발생하는 파이롯트 압력으로 좌/우로 이동되는 지렛대(122)와 상기 지렛대(122)에 연결되고 상기 지렛대(1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적으로 움직이는 연결쇠(123)와 상기 통기구를 감싸도록 천장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기통과 상기 연결쇠(123)와 연결되어 통기구의 걔페를 지렛대(1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조절하는 개폐판을 갖는 개폐부(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페판은 중심에 회동가능한 고정핀에 결합되되 그 고정핀은 환기통 벽면(125)에 연결된 소정의 연결바를 통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차량적재함은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창의 하측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부와 측면으로는 내부가 보이지 않으면서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벽체판넬(110)이 수평바들(140) 각각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특히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악취탈취용 여재를 통과시켜 외부로 강제 배기되도록 하는 여재장치(130)와 송풍팬이 설치되며, 여재장치에(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악취탈재용 여재로는 톱밥, 팽연왕겨, 파쇄볏집을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악취탈취용 여재를 가축전염병 소독약으로 적셔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b에 도시된 여재장치는 상/하부가 관통 연결되게 하여 그 내부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압착설치된 이단의 섬유망(131)과 그 사이에 수용된 여재(132)가 포함되어 상기 통기구와 연결되도록 덮개프레임의 천장에 체결되는 여재함(X)과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게 상면부가 천장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여재함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그 하부에 송풍기(Y)가 설치된다.
도 4a에 도시된 벽체판넬과 수평바는 차량의 베이스프레임에 인접한 적재함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적재함 하부로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많이 유입되도록 수평바에 하나마다 벽체판넬이 결합된다.
도 4b에 도시된 벽체판넬(110)과 수평바(140)는 적재함 상단부쪽에 설치된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많이 유입되지 않아도 됨으로 벽체판넬을 상기의 하부쪽보다 띄엄띄엄 설치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하부 벽체판넬(도 4a)의 크기보다는 좀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벽체판넬(110)은 수평바들에 체결된 결합부(111)와 각각의 결합부(111)들 바깥쪽으로는 이단 하향 연장 절곡된 차단부(112)를 가지며, 차단부와 하향 인접한 차단부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을 갖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적재함은 가축과 같은 수용물이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며, 햇살과 비는 차단시키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바깥으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악취탈취용 여재로 여과시켜 강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적재함이 탑재된 가축수송차량의 측면도,
도 1b는 도 1a의 가축수송차량을 P-P'으로 자른 평면도,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차량적재함을 A-A'으로 자른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댐퍼를 확대한 부분상세도,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차량적재함을 B-B'으로 자른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여재장치를 확대한 부분상세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판넬과 수평바의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사용가능한 벽체판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 100-2, 100-3, 100-4 : 차량적재함
110 : 벽체판넬 120 : 댐퍼
130 : 여재장치 140 : 수평바
150 : 공기유입창 160 : 덮개프레임

Claims (8)

  1. 차량의 적재함을 덮는 덮개프레임의 측면에 수평바를 이격거리를 두고 수직하게 다수 착설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창을 가지며 상기 덮개프레임의 천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되어 그 통기구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는 차량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창의 하측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부와 측면으로는 내부가 보이지 않으면서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벽체판넬이 상기 다수의 수평바 측면에 구비된 차량적재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판넬은 수평바들에 체결된 결합부와 각각의 결합부들 바깥쪽으로는 이단 하향 연장 절곡된 차단부를 가지며, 차단부와 하향 인접한 차단부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의 천장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통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기구 중 좌측 통기구에는 공기를 여재시켜 외부로 강제 배기되도록 하는 여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장치는
    상/하부가 관통 연결되어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압착설치된 이단의 섬유망과 그 사이에 수용된 여재가 포함되어 상기 통기구와 연결되도록 덮개프레임의 천장에 체결되는 여재함; 및
    상기 통기구와 연결되도록 상면부가 천장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여재함으로 전달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기구 중 우측 통기구에는 개폐 조절이 가능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천장 하단부에 고정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체결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발생시킨 파이롯트 압력으로 좌/우로 이동되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에 연결되고 상기 지렛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적으로 움직이는 연결쇠;
    상기 통기구를 감싸도록 천장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기통과 상기 연결쇠와 연결되어 통기구의 개페를 지렛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조절하는 개폐판을 갖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통의 상면에 지붕판넬을 형성하되,
    상기 지붕판넬은 환기통의 상면과 이격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
KR20-2005-0005656U 2005-03-03 2005-03-03 차량적재함 KR200384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656U KR200384412Y1 (ko) 2005-03-03 2005-03-03 차량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656U KR200384412Y1 (ko) 2005-03-03 2005-03-03 차량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412Y1 true KR200384412Y1 (ko) 2005-05-16

Family

ID=4368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656U KR200384412Y1 (ko) 2005-03-03 2005-03-03 차량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4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53B1 (ko) * 2014-01-23 2015-04-10 김광수 가축 운송시 복지 및 폐사방지용 운송 컨테이너 송풍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53B1 (ko) * 2014-01-23 2015-04-10 김광수 가축 운송시 복지 및 폐사방지용 운송 컨테이너 송풍장치
WO2015111781A1 (ko) * 2014-01-23 2015-07-30 김광수 가축 운송시 복지 및 폐사방지용 운송 컨테이너 송풍장치
CN105934367A (zh) * 2014-01-23 2016-09-07 金光洙 家畜运输时福利及防止死亡用运输集装箱送风装置
EP3103679A4 (en) * 2014-01-23 2017-11-22 Kwang Soo Kim Transportation container blower for mortality prevention and welfare during livestock transportation
US10631517B2 (en) 2014-01-23 2020-04-28 Kwang Soo Kim Transportation container blower for mortality prevention and welfare during livestock transpor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8104C (en) Structural roof venting system for grain bin and associated method
US20050003755A1 (en) Vent apparatus with replaceable vent cover
US20170115009A1 (en) Food truck having a low profile exhaust system
US20110097990A1 (en) Dfp w1 wall hood
KR20080017479A (ko) 증발기 유닛용 응축물 배수 장치
KR200384412Y1 (ko) 차량적재함
KR101398037B1 (ko) 환기 시스템
CN208815638U (zh) 一种除臭通风系统
KR101865100B1 (ko) 에어커튼
KR10209490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20060234620A1 (en) Transport vehicle for transporting chickens and method for ventilating a compartment thereof
US20140250654A1 (en) Work machine with door-mountable fresh air filter
KR101150513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WO2010057180A1 (en) Vent for a grain bin
KR100937309B1 (ko) 증발기 유닛용 응축물 배수 팬
JP2007030723A (ja) ダンパーユニットおよび空調装置
KR20110071179A (ko) 에어컨 실외기의 빗물유입 방지구조
KR20060086828A (ko) 공기 조화 장치
KR200384769Y1 (ko) 통풍장치
KR102546545B1 (ko)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JPH0239135Y2 (ko)
CN220453852U (zh) 一种电梯用通风装置
CN219424440U (zh) 一种实验室净化工作台
KR20190052485A (ko) 공기청정 환기장치
KR20150111809A (ko) 콤바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