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580B1 -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580B1
KR101091580B1 KR1020090073346A KR20090073346A KR101091580B1 KR 101091580 B1 KR101091580 B1 KR 101091580B1 KR 1020090073346 A KR1020090073346 A KR 1020090073346A KR 20090073346 A KR20090073346 A KR 20090073346A KR 101091580 B1 KR101091580 B1 KR 10109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air conditioner
elevating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903A (ko
Inventor
정영수
이준범
Original Assignee
(주)문명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명에이스 filed Critical (주)문명에이스
Priority to KR102009007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5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시 온도차이(결로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원활히 배수되게 함과 동시에, 송풍압력에 의한 부압발생시 응축수의 역류는 물론 하수의 악취와 같은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동관체 상하단부에 배수관이 형성된 상부덮개와, 배출관이 형성된 하부덮개를 일체형으로 조립구성하되, 상기 작동관체 내면 중앙에는 승강안내관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안내관에, 흡착개폐판이 형성된 승강밸브의 승강봉이 끼워져 구성되게 하여 응축수 배수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응축수 배수장치를 공기조화기의 바닥 일측에 연결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서,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시 송풍압력에 의하여 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부압에 의하여 작동관체 내부에 끼워진 승강밸브가 상승하면서 하단에 구성된 흡착개폐판이 작동관체의 본체 하단 경사면과 밀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차단케 하고, 동시에 공기조화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상부덮개의 배수관을 통하여 작동관체 내부로 유입되어 승강밸브의 흡착개폐판 상부에 집수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간헐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CONDENSATION WATER DRAIN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WITH BACK-FLOW PREVENTING MEAN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시 온도차이(결로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원활히 배수되게 함과 동시에, 송풍압력에 의한 부압발생시 응축수의 역류는 물론 하수의 악취와 같은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가동 되는동안 실내기 주변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다량의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응축수는 실내기 하부에 집수되고, 상기 응축수는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 즉 하수구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가동시에는 송풍압력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부압에 의해 하수구의 냄새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심할 경우 하수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역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개특허 제2005-33064호 "공기조화기의 배수트랩구조"가 제공된바 있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바닥 일측에 배수트랩을 설치하되, 상기 배수트랩의 구조로서, 하우징(1) 바닥 일측에 하향절곡구성된 배수관(2)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관(2) 하단에 "ㄷ"형으로 절곡구성된 저수관(3)을 연결하고, 상기 저수관(3) 단부에 다시 "ㄷ"형의 범람관(4)을 설치한 다음 방출관(5)과 연결되게 한 구조로서, 각 연결부를 체결너트(6)로 연결구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구조의 배수 트랩구조는 여러개의 관체로 연결구성됨으로 인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실내의 습도상태가 건조하거나 냉건조할 경우 응축수의 발생이 제한적이어서, 저수관(3)에 응축수가 채워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하수구의 악취와 같은 외기가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397304호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역류방지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 하우징 내부에 생성된 응축수가 배수되는 배수관(110)과, 일단이 배수관(110)과 연결되고 길이연장이 가능한 연결파이프(120)와, 일단이 연결파이프(120)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관(130)과, 이 연결관(130)을 통하여 유입된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저류시키고, 저류된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차단부재(143)를 포함하며, 일측 하부에 상기 연결관(130)을 통하여 응축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14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3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측 상부에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42)가 형성된 메인바디(140) 및 일단이 배출구(142)와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수관(150)을 구비하 되, 각 연결부를 플랜지(160)로 각각 연결되게 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응축수 배수트랩구조 역시 여러개의 관체들을 플랜지로 연결구성함으로 인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실내의 습도상태가 건조하거나 냉건조할 경우 응축수의 발생이 제한적이어서 연결관(130) 내에 응축수가 채워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이러한 경우 역류방지기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배수관(110)과 배출구(142) 사이에 높이차이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수직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 설치공간이 부족할 경우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 일부를 파내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시 발생하는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과 함께,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송풍압력에 의한 부압발생시 응축수의 역류는 물론, 하수의 악취와 같은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되, 특히 응축수 배수장치를 간단히 함과 동시에, 배수장치 내에 악취차단을 위하여 응축수가 봉수되게 하는 절곡관 형태의 관체가 필요없게 함으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동관체 상하단부에 배수관이 형성된 상부덮개와 배출관이 형성된 하부덮개를 일체형으로 조립구성하되, 상기 작동관체 내면 중앙에는 승강안내관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안내관에 흡착개폐판이 형성된 승강밸브의 승강봉이 끼워져 구성하여 응축수 배수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응축수 배수장치를 공기조화기의 바닥 일측에 연결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서,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시 송풍압력에 의하여 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부압에 의하여 작동관체 내부에 끼워진 승강밸브가 상승하면서 하단에 구성된 흡착개폐판이 작동관체의 본체 하단 경사면과 밀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차단케 하고, 동시에 공기조화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상부덮개의 배수관을 통하여 작동관체 내부로 유입되어 승강밸브의 흡착개폐판 상부에 집수되고, 집수된 응축수의 량이 송풍기의 부압, 즉 외부공기의 흡입력보다 큰 하중이 승강밸브에 적용되면 승강밸브가 하강하면서 집수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고, 응축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부압에 의해 승강밸브가 상승하여 밀폐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케 하는 것이며, 공기조화기의 작동중 응축수의 발생이 없더라도 부압에 의해 승강밸브가 항상 상승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동관체 상하단부에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일체형으로 조립구성하되, 작동관체 내에 승강밸브를 설치하여 공기조화기 작동시 부압 및 응축수 집수량에 따라 승강밸브가 개폐되게 함으로서,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차단과 함께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공기조화기 작동시 실내가 건조하거나 냉건조하여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작동관체 내에 설치된 승강밸브가 부압에 의해 항상 상승하여 하단에 구성된 흡착개폐판이 작동관체의 본체 하단 경사면과 밀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응축수 배수장치를 공기조화기(90) 일측에 설치한 상태로서, 본 발명의 응축수 배수장치(10)는 연결관체(20) 상하단부에 상부덮개(60)와 하부덮개(80)가 일체형으로 조립구성되는 구조이고, 상기 작동관체(20) 내면 중앙에는 승강밸브(50)가 승강가능케 끼워진 것으로서 이들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동관체(20)의 구성은, 공간부(22)가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21) 상하단부에 상플랜지(23)와 하플랜지(24)를 구성하고, 본체(21) 내면 상단 중앙부에는 안내공(27)이 형성된 승강안내관(25)을 구성하고, 상기 승강안내관(25) 일측에는 개방부(26)를 형성하여 안내공(27)이 외부와 상통하게 하였다.
상기 승강안내관(25)은 본체(21)와 연결된 연결편(28)을 통하여 본체(21)의 내면 중앙부에 직립구성되게 하였으며 작동관체(20)의 본체(21) 내면 하단에는 경사면(29)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관체(20)의 본체(21) 내면 중앙에 구성된 승강안내관(25)의 안내공(27)에는 승강밸브(30)의 승강봉(33)이 끼워져 결합구성되게 하되, 승강밸브(30) 하단에는 테두리에 밀착부(32)가 형성된 흡착개폐판(31)이 형성되게 하고, 상단에는 안내공(27)의 내경보다 큰 걸림편(34)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밸브(30)의 승강봉(33) 양측에는 절삭부(36)가 구성되어 있어 절삭부(36)를 통하여 승강밸브(30)의 승강봉(33)이 승강안내관(25)의 개방부(26)를 통하여 안내공(27) 내에 억지끼움되게 하되, 승강봉(33)이 안내공(27)에 끼워진 상태 에서는 승강밸브(30)가 안내공(27)을 따라 승강안내되게 하였으며, 흡착개폐판(31) 테두리에 구성된 밀착부(32)는 작동관체(20)의 본체(21) 내저면에 구성된 경사면(29)과 접하게 하였다.
작동관체(20)의 본체(21) 상단에 구성된 상플랜지(23)에는 상부덮개(60)의 본체(61) 하단에 구성된 하부플랜지(62)가 위치되게 한 다음 체결피스(63)로 이들이 일체형으로 체결고정되게 하였고, 본체(61) 일측에는 나사부(65)가 형성된 배수관(64)이 구성되게 하였으며, 상기 배수관(64)을 통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응축수 배수장치(10)가 공기조화기(90)의 바닥(91) 일측에 연결구성되게 한다.
작동관체(20)의 본체(21) 하단에 구성된 하플랜지(24)에는 하부덮개(80)의 본체(81) 상단에 구성된 상부플랜지(82)가 위치되게 한 다음 체결피스(83)로 이들이 일체형으로 체결고정되게 하였고, 본체(81) 일측에는 나사부(85)가 형성된 배출관(84)이 구성되게 하였으며, 상기 배출관(84)의 나사부(85)에 별도의 연결관(도시안됨)을 연결하여 배수로와 연결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95)는 응축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실내의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을 위한 공기조화기(90)의 작동시 발생하는 응축수(95)를 응축수 배수장치(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10)가 종래의 배수장치와 다른 점은, 송풍작동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한 응축수 역류방지 및 외부공기의 실내유입방지를 위한 별도의 절곡관의 구조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부압에 의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즉 공기조화기(90)를 작동시키면, 송풍압력에 의해 공기조화기(90) 내에는 외부압력보다 낮은 압력상태가 되고, 따라서 응축수 배수장치(10)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하부덮개(80)의 배출관(84)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외부공기가 배출관(84)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려는 부압이발생하게 되면, 작동관체(20)의 승강안내관(25)에 끼워진 승강밸브(30)는 흡입공기에 의해 상승하면서, 흡착개폐판(31)이 작동관체(20)의 본체(21) 하단에 접하게 된다.
이때 흡착개폐판(31) 테두리에 구성된 밀착부(32)가 본체(21) 내저면에 구성된 경사면(29)과 접하게 되면서 완전한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90)의 작동으로 발생한 응축수(95)는 바닥(91)에 집수되고, 바닥에 집수된 응축수는 상부덮개(60)의 배수관(64)을 통하여 작동관체(20)의 공간부(22)로 유입된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승강밸브(30)의 흡착개폐판(30) 상부에 집수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흡착개폐판(30) 상부에 응축수(95)가 수집되어 일정량이 되면, 즉 공기조화기(90) 내부에 발생하는 부압이 응축수(95)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할 정도의 량이 되면, 응축수(95)의 자중에 의해 승강밸브(30)가 하강하면서 작동 관체(20) 내에 채워졌던 응축수(95)가 아래로 흘러 내리면서 배출관(9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응축수(95)의 배출이 완료되면 승강밸브(30)는 다시 상승하여 흡착개폐판(31)이 작동관체(20)의 본체(21) 내저면에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작동의 반복으로 공기조화기(9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95)는 승강밸브(30)의 승강작동에 의해 간헐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고, 응축수 및 외부공기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는 종래와 같이 응축수를 채워 봉수되게 하는 절곡관의 구성없이 작동관체 내를 승강하는 승강밸브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응축수의 역류 및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로서 승강밸브가 상승한 상태도
도 4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로서 승강밸브가 하강한 상태도
도 5 : 본 발명의 분해상태 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에 구성된 승강안내관으로부터 승강밸브의 승강봉이 분리된 상태도
도 7 : 도 6의 상태에서 이들이 조립된 상태도
도 8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9 : 도 9의 부분확대도
도 10 : 종래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의 예시도
도 11 : 종래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의 또다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응축수 배수장치 (20)--작동관체
(21)--본체 (22)--공간부
(23)--상플랜지 (24)--하플랜지
(25)--승강안내관 (26)--개방부
(27)--안내공 (28)--연결편
(29)--경사면 (30)--승강밸브
(31)--흡착개폐판 (32)--밀착부
(33)--승강봉 (34)--걸림편
(36)--절삭부 (60)--상부덮개
(61)--본체 (62)--하부플랜지
(63)--체결피스 (64)--배수관
(65)--나사부 (80)--하부덮개
(81)--본체 (82)--상부플랜지
(83)--체결피스 (84)--배출관
(85)--나사부 (90)--공기조화기
(91)--바닥

Claims (4)

  1.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동관체(20)를 구성하는 본체(21) 내면 중앙에 안내공(27)이 형성된 승강안내관(25)을 구성하고, 상기 승강안내관(25)의 안내공(27) 내에 흡착개폐판(31)이 형성된 승강밸브(30)의 승강봉(33)을 끼워 안내공(27)을 따라 승강밸브(30)가 승강되게 구성하고, 상기 작동관체(20) 상하단부에는 배수관(64)이 형성된 상부덮개(60)와, 배출관(84)이 형성된 하부덮개(80)를 일체형으로 조립구성되게 하되, 상기 배수관(64)을 공기조화기(90)의 바닥 일측에 연결하여, 공기조화기(90) 작동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승강밸브(30)가 상승하여 승강밸브(30) 하단에 구성된 개폐흡착판(31)이 작동관체(20)의 본체(21) 내저면에 흡착되어 밀폐되게 함으로서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방지케 하고, 동시에 공기조화기(90)에서 발생된 응축수(95)는 승강밸브(30)에 의해 작동관체(20)의 공간부(22)에 저장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간헐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안내관(25)의 안내공(28) 일측에 개방부(26)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개방부(26)를 통하여 승강밸브(30)가 승강안내관(25)에 승강가능케 끼워져 결합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관체(20)의 본체(21) 내저면에 경사면(29)을 구성하고, 승강밸브(30)의 흡착개폐판(31) 테두리에 밀착부(32)를 구성함으로서, 승강밸브(30)의 상승시 흡착개폐판(31)의 밀착부(32)가 본체(21) 내저면에 구성된 경사면(29)에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강밸브(30)의 승강봉(33) 양측부에 절삭부(36)를 구성하고, 상기 절삭부(36)를 통하여 승강밸브(30)가 승강안내관(25)의 안내공(27)에 쉽게 끼워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KR1020090073346A 2009-08-10 2009-08-10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KR10109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346A KR101091580B1 (ko) 2009-08-10 2009-08-10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346A KR101091580B1 (ko) 2009-08-10 2009-08-10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03A KR20110015903A (ko) 2011-02-17
KR101091580B1 true KR101091580B1 (ko) 2011-12-13

Family

ID=4377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346A KR101091580B1 (ko) 2009-08-10 2009-08-10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798B1 (ko) * 2012-05-24 2013-05-20 (주)태광엔텍 종말처리장 악취방지설비의 응축수 자동 배수장치
KR200468967Y1 (ko) 2013-02-20 2013-09-11 (주) 늘푸른동방 반도체 공조시스템의 드레인 라인용 워터 트랩
KR101380761B1 (ko) 2012-02-02 2014-04-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레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96Y1 (ko) * 2012-09-07 2013-03-11 (주) 늘푸른동방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CN106352528B (zh) * 2016-10-08 2021-1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接水盘组件和空调
CN109931685B (zh) * 2017-12-29 2021-04-13 上海克俐托机械有限公司 一种空调正负压系统冷凝水自动排水器
KR102546992B1 (ko) 2018-08-09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KR102050340B1 (ko) * 2018-09-13 2019-12-02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배수트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88B1 (ko) 2005-11-14 2006-11-27 주식회사 금성하이텍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KR100663958B1 (ko) 2005-12-26 2007-01-02 이완영 자동 배수장치
KR100700152B1 (ko) 2004-04-29 2007-03-27 김전식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152B1 (ko) 2004-04-29 2007-03-27 김전식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0650188B1 (ko) 2005-11-14 2006-11-27 주식회사 금성하이텍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KR100663958B1 (ko) 2005-12-26 2007-01-02 이완영 자동 배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61B1 (ko) 2012-02-02 2014-04-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레인 장치
KR101260798B1 (ko) * 2012-05-24 2013-05-20 (주)태광엔텍 종말처리장 악취방지설비의 응축수 자동 배수장치
KR200468967Y1 (ko) 2013-02-20 2013-09-11 (주) 늘푸른동방 반도체 공조시스템의 드레인 라인용 워터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03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580B1 (ko)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CN210197503U (zh) 一种除湿机及其卫生间除湿系统
JP4813996B2 (ja) 空気調和機
KR20110031934A (ko)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200257146Y1 (ko) 이중차단 기능의 배수트랩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100033034A (ko) 욕실의 배수시스템
KR20100110933A (ko) 배수관의 악취 역류 차단용 트랩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KR100623921B1 (ko) 공기조화기용 배수트랩
CN114383365A (zh) 冰箱用换气除味装置及冰箱
CN2830529Y (zh) 防臭地漏
US7875172B2 (en) Back-water trap for a floor drain system
WO2010032896A1 (en)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JPS5842808Y2 (ja) ドレンハイスイトラツプ
KR200402012Y1 (ko) 공기조화기용 배수트랩
KR20050083418A (ko) 제습기의 누수 방지장치
CN219458339U (zh) 一种配电柜主动式内循环除湿防凝露装置
CN217000079U (zh) 一种防臭地漏
KR102035204B1 (ko) 공동건물의 입상 덕트용 드레인부재
TWI635232B (zh) Pressure balance valve
KR101241834B1 (ko)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KR900002678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자동 배수 개폐 장치
CN109138128B (zh) 地漏排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