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796Y1 -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796Y1
KR200465796Y1 KR2020120007979U KR20120007979U KR200465796Y1 KR 200465796 Y1 KR200465796 Y1 KR 200465796Y1 KR 2020120007979 U KR2020120007979 U KR 2020120007979U KR 20120007979 U KR20120007979 U KR 20120007979U KR 200465796 Y1 KR200465796 Y1 KR 200465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inlet guide
condensate discharge
air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노성만
원용철
임훈규
신덕수
Original Assignee
(주) 늘푸른동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늘푸른동방 filed Critical (주) 늘푸른동방
Priority to KR2020120007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7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가이드와,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에 이웃하게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부 응축수 배출홀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파이프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는 하판부재;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로의 공기 흐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에 결합되는 추진체; 및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추진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부 응축수 배출홀을 구비하는 상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Exhausting device for condenced water of air trap type}
본 고안은,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비 내의 공기는 유출시키지 않으면서 덕트 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덕트, 파이프, 스크러버와 같은 관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때는, 주위와의 온도차에 의해 관 내부에 응축수가 발생한다. 응축수가 관 내부에 쌓이면 관 내부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고 유체의 이상 운전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관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응축수 배출장치가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응축수 집수부(2)의 하부에 밸브(3)가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3)의 하부에는 U자형 트랩(901)이 연결되어 있으며, U자형 트랩 후단으로 U자형 트랩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902)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응축수 발생장치는 U자형 트랩에서 응축수(W)의 증발량이 응축량보다 큰 경우, U자형 트랩 내부의 응축수가 급격하게 증발하여 사라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 불필요한 외부 공기가 U자형 트랩을 통해 덕트 내부로 유입되어 팬의 부하를 증가시키고 덕트의 송풍량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반도체 생산 설비 내의 청정 공기 또는 적정 온도로 맞추어 놓은 공기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반도체 생산 설비 내에서 사용되는 공기는 청정 상태, 적정 온도 및 습도로 맞추기 위해 많은 비용과 노력이 투입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처럼 이러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산업상 상당한 손해를 발생시키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9021호
본 고안의 목적은, 설비 내의 공기는 유출시키지 않으면서 덕트 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가이드와,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에 이웃하게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부 응축수 배출홀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파이프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는 하판부재;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로의 공기 흐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에 결합되는 추진체; 및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추진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부 응축수 배출홀을 구비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는 상기 하판부재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응축수 배출홀은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를 기준으로 하여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판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응축수의 흐름에 기초하여 동작되면서 상기 하부 응축수 배출홀들을 개별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수의 홀 개폐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추진체는,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추진 파이프; 및 상기 추진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응축수 배출홀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추진 날개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와 상기 추진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재는 둘레면에서 상기 상부 응축수 배출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메인 파이프 사이에는 개스킷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이프의 양단부에는 도넛 형상의 제1 및 제2 플랜지가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파이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설비 내의 공기는 유출시키지 않으면서도 덕트 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응축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은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 및 도 6는 각각 도 2의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들,
도 7은 도 3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은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 및 도 6는 각각 도 1의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는 반도체 생산 설비 내의 배기 라인에 장착되어 설비 내의 공기는 유출시키지 않으면서 덕트 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메인 파이프(110), 하판부재(120), 추진체(140), 그리고 상판부재(150)를 포함한다.
메인 파이프(110)는 다양한 산업 설비, 특히 반도체 생산 설비 내의 배기 라인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응축수의 배출 라인을 형성한다.
메인 파이프(110)의 양단부에는 도넛 형상의 제1 및 제2 플랜지(111,112)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플랜지(111,112)에는 다수의 통공(111a,112a)이 형성되어 다른 구조물과의 결합 장소를 이룬다.
참고로, 도 1에 보면 메인 파이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및 제4 플랜지(115a,115b)를 구비하는 보조 파이프(115)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조 파이프(115)는 선택적인 것이므로 보조 파이프(115) 없이 메인 파이프(110)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도 1처럼 보조 파이프(115)를 연결시켜 사용하면 메인 파이프(110) 내의 부품들이 고장나거나 이물질이 끼어 작동에 문제가 있는 경우, 분리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하판부재(120)는 메인 파이프(110)의 하부 개구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판부재(120)는 메인 파이프(1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가이드(130)와, 공기 유입가이드(130)에 이웃하게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부 응축수 배출홀(121)을 포함한다.
공기 유입가이드(130)는 덕트의 팬(미도시) 가동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를 한 곳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추진체(140)를 추진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공기 유입가이드(130)는 파이프(pipe) 형상의 구조물로서 하판부재(12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하부 응축수 배출홀(121)은 공기 유입가이드(130)를 기준으로 하여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하판부재(120)의 배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의 흐름에 기초하여 동작되면서 하부 응축수 배출홀(121)들을 개별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수의 홀 개폐부재(122)가 결합된다.
연질의 시트 형상을 갖는 홀 개폐부재(122)들은 응축수가 하부 응축수 배출홀(121)들로 지날 때, 그 자중에 의해 열리면서 하부 응축수 배출홀(121)들을 개방하고 응축수의 배출이 끝나거나 반대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형성될 때 즉 팬의 흡입력이 발생될 때 닫혀 하부 응축수 배출홀(121)들을 차폐한다. 이로써 공기 유입가이드(130)로만 공기가 집중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팬의 작동이 중지되면 다시 초기 위치로 돌아온다. 본 실시예의 홀 개폐부재(122)들은 모두 연질의 시트, 예컨대, 연질의 PVC 시트를 채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연질의 시트를 적용함으로써 개폐의 효율이 증강될 수 있게 된다.
추진체(140)는 공기 유입가이드(130)로의 공기 흐름에 기초하여 공기 유입가이드(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공기 유입가이드(130)에 결합된다.
이러한 추진체(140)는 공기 유입가이드(130)의 외부에 배치되는 추진 파이프(141)와, 추진 파이프(141)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판부재(150)에 형성되는 상부 응축수 배출홀(151)을 개폐하는 개폐판(142)과, 개폐판(142)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추진 날개(143)를 구비한다.
추진 날개(143)들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사상의 추진 날개(143)들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추진 효율이나 응축수 배출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추진체(140)가 제작되는 경우, 덕트의 팬(미도시) 가동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가 공기 유입가이드(130)로 집중될 때, 이러한 공기 흐름에 의해 도 6처럼 부상되면서 상판부재(150)에 형성되는 상부 응축수 배출홀(151)을 차폐하게 되며, 공기의 흐름이 정지거나 응축수의 배출 압력이 작용하면 도 5처럼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추진 날개(143)들이 수평 방향으로 방사상 배열되고 있지만 추진체(240)의 추진 날개(243)들도 7처럼 아래로 처진 형상,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추진 날개들이 없거나 넓은 개폐판(142)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추진 파이프(141)가 공기 유입가이드(130)의 외부에 배치되고 있지만 추진 파이프(141)가 공기 유입가이드(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기 유입가이드(130)와 추진 파이프(141)에는 다수의 홀(130a,140a)이 형성된다.
다수의 홀(130a,140a)은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거나 소방 상황을 고려하여 다량의 물이 배출되어야 하는 경우, 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갖춰질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홀(130a,140a)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판부재(150)는 메인 파이프(11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된다. 상판부재(150)의 중앙 영역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추진체(140)의 개폐판(14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부 응축수 배출홀(151)이 형성된다.
이때, 상판부재(150)는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면에서 상부 응축수 배출홀(151) 쪽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응축수 배출 효율이 좀 더 좋아질 수 있다.
상판부재(150)와 메인 파이프(110)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개스킷(16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팬의 동작에 의해 도 6처럼 공기 유입가이드(130)를 통해 공기가 집중적으로 유입되면, 그 위에 배치되는 추진체(140)를 가압시키게 되고 가압된 추진체(140)는 상승되어 상판부재(150)에 형성되는 상부 응축수 배출홀(151)을 차폐한다.
하지만, 팬의 동작이 정지되고 배기 라인에 응축수가 차는 경우에는 추진체(140)가 도 5처럼 하강하여 원위치로 배치되기 때문에, 응축수는 상판부재(150)에 형성되는 상부 응축수 배출홀(151)을 통해 메인 파이프(110) 내로 유입된 후에, 하판부재(120)의 하부 응축수 배출홀(121)들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는 응축수의 압에 의해 홀 개폐부재(122)들이 자중에 의해 열리게 됨으로써 응축수는 하부 응축수 배출홀(121)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비 내의 공기는 유출시키지 않으면서도 덕트 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메인 파이프 115 : 서브 파이프
120 : 하판부재 121 : 하부 응축수 배출홀
122 : 홀 개폐부재 130 : 공기 유입가이드
140 : 추진체 141 : 추진 파이프
142 : 개폐판 143 : 추진 날개
150 : 상판부재 151 : 상부 응축수 배출홀
160 : 개스킷

Claims (6)

  1.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가이드와,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에 이웃하게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부 응축수 배출홀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파이프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는 하판부재;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로의 공기 흐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에 결합되는 추진체; 및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추진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부 응축수 배출홀을 구비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는 상기 하판부재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응축수 배출홀은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를 기준으로 하여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며,
    상기 하판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응축수의 흐름에 기초하여 동작되면서 상기 하부 응축수 배출홀들을 개별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수의 홀 개폐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추진체는,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추진 파이프; 및
    상기 추진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응축수 배출홀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추진 날개가 더 결합되며,
    상기 공기 유입가이드와 상기 추진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는 둘레면에서 상기 상부 응축수 배출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메인 파이프 사이에는 개스킷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이프의 양단부에는 도넛 형상의 제1 및 제2 플랜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메인 파이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KR2020120007979U 2012-09-07 2012-09-07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KR200465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79U KR200465796Y1 (ko) 2012-09-07 2012-09-07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79U KR200465796Y1 (ko) 2012-09-07 2012-09-07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796Y1 true KR200465796Y1 (ko) 2013-03-11

Family

ID=5135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979U KR200465796Y1 (ko) 2012-09-07 2012-09-07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7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692B1 (ko) * 2020-04-14 2021-08-10 이승현 유체 덕트용 응축수 배수 트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649A (ko) * 1990-01-23 1991-08-31 이종호 배수관내의 진공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공기 유입장치
JP2002524674A (ja) 1998-09-03 2002-08-06 キム,ジョン,サン 下水溝の逆流防止装置
KR20110015903A (ko) * 2009-08-10 2011-02-17 (주)문명에이스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20110007245U (ko) * 2010-01-14 2011-07-20 신창수 탈착 가능한 역류방지부를 갖는 드레인 호스의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649A (ko) * 1990-01-23 1991-08-31 이종호 배수관내의 진공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공기 유입장치
JP2002524674A (ja) 1998-09-03 2002-08-06 キム,ジョン,サン 下水溝の逆流防止装置
KR20110015903A (ko) * 2009-08-10 2011-02-17 (주)문명에이스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20110007245U (ko) * 2010-01-14 2011-07-20 신창수 탈착 가능한 역류방지부를 갖는 드레인 호스의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692B1 (ko) * 2020-04-14 2021-08-10 이승현 유체 덕트용 응축수 배수 트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8675A (zh) 包括进入亚环境空腔中的排气的燃气轮机外壳主动环境冷却
CN105298915B (zh) 用于燃气涡轮的压缩机组件
FI122330B (fi) Laitteisto paperikoneen tyhjöjärjestelmän vedenerotukseen sekä sitä hyödyntävä menetelmä
KR101944886B1 (ko)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KR200465796Y1 (ko) 에어트랩식 응축수 배출장치
RU2009144987A (ru) По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хода воздуха для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102984915B (zh) 散热装置
JP2015203565A5 (ko)
KR101604819B1 (ko) 환기구
KR20140040193A (ko) 다수의 원통을 갖는 제트 후드
KR101525386B1 (ko) 해양공사용 웰딩룸의 불꽃방지장치
CN204357504U (zh) 汽轮机隔板
KR20170040412A (ko) 차단기류를 이용한 고층건물의 연돌효과 저감 시스템
KR101945410B1 (ko) 기수분리기
KR101122769B1 (ko) 드레인 파이프가 없는 워터 세퍼레이트
CN103672380B (zh) 气阱式冷凝水排出装置
EP2615262A2 (en) Diffuser having Fluidic Actuation
KR200486854Y1 (ko) 자연 환기장치
KR102104415B1 (ko) 압축기
JP2015020086A (ja) 発電所の浮上油回収設備および浮上油回収方法
CN105363307A (zh) 一种新型旋风水幕除尘器
KR20120017610A (ko) 유량 증대가 가능한 팬의 설치 구조체
EP2824291A1 (en) Condenser
KR101833593B1 (ko) 복수펌프의 출구배기장치
CN104759048A (zh) 一种电梯井错位重力喷淋和送排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