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220Y1 - 미생물 처리 정화조 - Google Patents

미생물 처리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220Y1
KR200384220Y1 KR20-2005-0003767U KR20050003767U KR200384220Y1 KR 200384220 Y1 KR200384220 Y1 KR 200384220Y1 KR 20050003767 U KR20050003767 U KR 20050003767U KR 200384220 Y1 KR200384220 Y1 KR 200384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ewage
aeration
deca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규만
Original Assignee
전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규만 filed Critical 전규만
Priority to KR20-2005-0003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생물 처리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오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배출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으로 유입된 오수가 상기 저장통의 내부에서 부패와 폭기를 다단계로 거치면서 유동하여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오수의 부패를 위한 부패공간과 오수에 대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공간을 오수의 유동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구분수단 및 상기 구분수단에 의해 제공된 폭기공간으로 산소가 공급되어 상기 폭기공간으로 유입된 오수가 신속하게 분해되도록 상기 폭기공간에 제공된 산기관를 포함하는 특징을 지닌다.

Description

미생물 처리 정화조{SEWAGE DISPOSAL TANK FOR MICROORGANISM DISPOSAL}
본 고안은 미생물 처리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처리시설로 배수되는 폐수나 생활오수의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위해 부패조 및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조를 구비하여 폐수나 생활오수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생활오수나 오수의 악취를 제거하여 배출하는 미생물 처리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정화조의 구조와 기능은 원통형 탱크를 칸막이에 의해서 침전조와 폭기조로 나누고, 침전조는 혐기성 미생물로 폭기조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활하수나 오수 중의 유기물질을 생물학적으로 분해 처리하여 방류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중에서 특히, 폭기조는 생활하수나 오수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신속하게 분해처리 되도록 호기성 미생물을 사용하고 있어서, 많은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정화조는 원통형 탱크의 중앙부를 원형의 칸막이로 둘러싸고, 그 내부에 폭기조를 설치하여 유입된 오폐수를 미생물에 의해 분해하고, 원통형 탱크의 중앙부에서 분해된 오폐수를 칸막이의 외측부로 유동되도록 하여 침전시켜 방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의 정화조는 원통형 탱크의 중앙부에서 오폐수가 일괄적으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므로,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오폐수의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효율이 저하되고, 특히 많은 량의 오폐수가 원통형 탱크에 적체될 때는 극히 일부의 오폐수만 분해되어 배출되므로, 원통형 탱크에서 폐수처리시설로 유동하는 중에 오수가 부패하여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고, 분해되지 못한 오폐수 자체의 점성으로 인해 폐수처리시설로 연결된 관을 막히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격판에 의해 구분된 다단계의 부패공간과 폭기공간을 제공하여 오폐수가 저장통의 내부에서 단계적으로 유동하면서 부패되고,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받아 분해되도록 하고, 상기 부패공간을 거친 오폐수가 단계적으로 구분된 폭기공간을 거쳐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나서 침전을 통해 배출되므로, 오폐수의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오폐수의 악취 발생이 저감되고, 오폐수에 대한 분해가 극대화되어 오폐수의 점성이 약해짐으로써 오폐수의 유동이 배수관로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정화조를 제공함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생물 처리 정화조의 구성은 오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배출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으로 유입된 오수가 상기 저장통의 내부에서 부패와 폭기를 다단계로 거치면서 유동하여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오수의 부패를 위한 부패공간과 오수에 대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공간을 오수의 유동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구분수단 및 상기 구분수단에 의해 제공된 폭기공간으로 산소가 공급되어 상기 폭기공간으로 유입된 오수가 신속하게 분해되도록 상기 폭기공간에 제공된 산기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은 오수의 유입을 위한 유출구와 오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 한 쌍의 반원통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구분수단은 상기 반원통의 내주면으로 양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반원통을 외측공간과 내부공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외측공간과 내측공간으로 통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메인격판 및 상기 메인격판에 의해 제공된 상기 반원통의 내측공간을 복수의 부분공간으로 분리하여 오수가 상기 부분공간을 따라 저류되어 단계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내측공간에 제공된 보조격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격판은 각각의 반원통에 오수의 부패조를 위한 부패공간 및 폭기조를 위한 폭기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반원통의 결합으로 저장통의 중앙부에 산기관에 의한 1차 폭기공간을 제공하는 제1, 2 메인격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격판은 상기 부패공간을 분리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부패되기 위한 1차 부패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보조격판과 상기 1차 부패공간의 오수가 유입되어 2차로 부패되기 위한 2차 부패공간 및 상기 2차 부패공간의 오수가 유입되어 3차로 부패되고 나서 상기 메인격판의 연결구를 통해 상기 1차 폭기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3차 부패공간을 제공하는 제2 보조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폭기공간을 분리하여 상기 제2 메인격판의 연결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폭기되기 위한 2차 폭기공간을 제공하는 제3 보조격판과 상기 2차 폭기공간의 오수가 유입되어 3차로 폭기되기 위한 3차 폭기공간 및 상기 3차 폭기공간의 오수가 유입되어 침전되기 위한 침전공간을 제공하는 제4 보조격판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처리 정화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처리 정화조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생물 처리 정화조는, 오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배출되는 저장통(100), 상기 저장통(100)으로 유입된 오수가 상기 저장통(100)의 내부에서 부패와 폭기를 다단계로 거치면서 유동하여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오수의 부패를 위한 부패공간(130)과 오수에 대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공간(140)을 오수의 유동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구분수단(145) 및 상기 구분수단(145)에 의해 제공된 폭기공간(140)으로 산소가 공급되어 상기 폭기공간(140)으로 유입된 오수가 산소에 의해 신속하게 분해되도록 상기 폭기공간(140)에 제공된 산기관(17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저장통(100)은 오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하는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저장통(100)의 일측 상부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2)를 포함하고, 타측 상부는 상기 구분수단(145)에 의해 제공된 부패공간(130)과 폭기공간(140)을 거쳐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0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분수단(145)은 오폐수가 다단계로 유동하면서 분해되도록 복수의 부패공간(130)과 산기관(170)에 의해 산소가 공급되어 오폐수를 다단계로 분해하는 복수의 폭기공간(140)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저장통(100)은 구분수단(145)에 의해 복수로 구비된 부패공간(130)과 폭기공간(140)으로 오폐수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하여 오폐수의 부패에 의한 분해율을 높이고, 부패공간(130)에서 분해된 오폐수가 다단계로 나누어진 폭기공간(140)에서 산기관(170)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도록 하여 오폐수에 대한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100)은 오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02)와 오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05)를 상부에 포함한 한 쌍의 반원통(100a, 100b)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반원통(100a, 100b)의 상부로는 환기관(120)이 제공된 상부 덮개부(110)가 씌어진다.
이때, 상기 구분수단(145)은 상기 반원통(100a, 100b)의 내주면으로 양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반원통(100a, 100b)을 외측공간과 내측공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외측공간과 내측공간으로 통하는 연결구(155)를 포함하는 메인격판(150) 및 상기 메인격판(150)에 의해 제공된 상기 반원통(100a, 100b)의 내측공간을 복수의 부분공간으로 분리하여 오수가 상기 부분공간을 따라 저류되어 단계적으로 유동하도록 내측공간에 제공된 보조격판(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격판(150)과 보조격판(160)은 상기 저장통(100)의 내부 양측으로 부패공간(130)과 폭기공간(140)을 제공하고, 상기 부패공간(130)과 폭기공간(140) 사이의 중앙부에도 폭기공간(140)이 제공된다. 즉, 상기 부패공간(130)은 메인격판(150)에 의해 형성되어 보조격판(160)에 의해 다단계로 분리되고, 상기 폭기공간(140)도 메인격판(150)에 의해 형성되어 보조격판(160)에 의해 다단계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보조격판(160)은 유입구(102)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연속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배출구(105)를 통해 배출되도록 각각 통공(165)을 포함하고 있으며, 통공(165)은 오폐수가 수압에 의해 유동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메인격판(150)은 각각의 반원통(100a, 100b)으로 오수의 부패조를 위한 부패공간(130) 및 폭기조를 위한 폭기공간(140)을 제공하면서, 상기 반원통의 결합으로 저장통(100)의 중앙부에 산기관(170)가 설치되기 위한 1차 폭기공간(141)을 제공하는 제1, 2 메인격판(1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격판(160)은 상기 부패공간(130)을 분리하여 상기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부패되기 위한 1차 부패공간(131)을 제공하는 제1 보조격판(161)과 상기 1차 부패공간(131)의 오수가 유입되어 2차로 부패되기 위한 2차 부패공간(132) 및 상기 2차 부패공간(132)의 오수가 유입되어 3차로 부패되고 나서 상기 메인격판(150)의 연결구(155)를 통해 상기 1차 폭기공간(141)으로 제공하기 위한 3차 부패공간(133)을 제공하는 제2 보조격판(162)을 포함하고, 상기 폭기공간(140)을 분리하여 상기 제2 메인격판(152)의 연결구(155)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폭기되기 위한 2차 폭기공간(142)을 제공하는 제3 보조격판(163)과 상기 2차 폭기공간(142)의 오수가 유입되어 3차로 폭기되기 위한 3차 폭기공간(143) 및 상기 3차 폭기공간(143)의 오수가 유입되어 침전되기 위한 침전공간(180)을 제공하는 제4 보조격판(16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1차 폭기공간(141)은 미생물이 정착되기 용이하도록 철재 구조물(172a)에 플라스틱 발(172b)이 걸쳐진 정착 구조물(172)과 상기 정착 구조물(172)과 함께 설치되어 기포를 공급하는 산기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구조물(172)과 상기 산기관(170)는 한조로 1차 폭기공간(141)에 포함되어 폭기조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정착 구조물(172)의 플라스틱 발(172b)은 유동하는 오폐수의 고형물이 정착되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하는 것으로, 정착되는 오폐수에 의해서 미생물이 신속하게 활성화되도록 하고, 1차 폭기공간(141)에서 산기관(170)에 의해 산소을 공급받는 오폐수는 정착된 미생물에 의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해된다.
그리고, 상기 산기관(170)은 2, 3차 폭기공간(142, 143)으로 제공되어 1차 폭기공간(141)을 거친 오폐수에 대해 기포를 제공하고, 상기 오폐수는 2, 3 차 폭기공간(142, 143)에서 단계적으로 기포를 제공받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된다.
한편, 상기 오폐수는 3차 폭기공간(143)을 거쳐 침전공간(180)으로 유입되어, 비중에 따라 침전되고 오폐수의 상등수는 배출구(105)를 통해 배출되어 오폐수처리시설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생물 처리 정화조에 오폐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오폐수가 유입구(102)를 통해 1차 부패공간(131)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제1 보조격판(161)에 제공된 통공(165)을 통해 2차 부패공간(132)으로 유동하며, 상기 2차 부패공간(132)으로 유동한 오폐수는 다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제2 보조격판(162)에 제공된 통공(165)을 통해 3차 부패공간(133)으로 유입되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그리고, 상기 오폐수는 3차 부패공간(133)을 거쳐 제1 메인격판(151)에 제공된 연결구(155)를 통해 제1, 2 메인격판(150) 사이에 형성된 1차 폭기공간(141)으로 유동하여 저장되고 산기관(170)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상기 1차 폭기공간(141)의 오폐수는 2차 메인격판(150)에 제공된 연결구(155)를 통해 제3 보조격판(163)에 의해 형성된 2차 폭기공간(142)으로 유입되어 산기관(170)에 의해 다시 산소를 공급받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며, 상기 2차 폭기공간(142)의 오폐수는 제3 보조격판(163)에 제공된 통공(165)을 지나 제4 보조격판(164)으로 형성된 3차 폭기공간(143)으로 유동하여 저장되고 나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그리고, 상기 3차 폭기공간(143)의 오폐수는 제4 보조격판(164)에 제공된 통공(165)을 통해 침전공간(180)으로 유동하여 저장되고, 비중에 따라 침전물이 침전되며, 상기 침전공간(180)의 오폐수의 상등수는 배출구(105)를 통해 배출되어 오폐수 처리시설로 이동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생물 처리 정화조는 격판에 의해 구분된 다단계의 부패공간과 폭기공간을 제공하여 오폐수가 저장통의 내부에서 단계적으로 유동하면서 부패되고,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받아 분해되도록 하고, 상기 부패공간을 거친 오폐수가 단계적으로 구분된 폭기공간을 거쳐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나서 침전을 통해 배출되므로, 오폐수의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오폐수의 악취 발생이 저감되고, 오폐수에 대한 분해가 극대화되어 오폐수의 점성이 약해짐으로써 오폐수의 유동이 배수관로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처리 정화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처리 정화조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저장통 102: 유입구
105: 배출구 120: 환기관
130: 부패공간 131: 1차 부패공간
132: 2차 부패공간 133: 3차 부패공간
140: 폭기공간 141: 1차 폭기공간
142: 2차 폭기공간 143: 3차 폭기공간
145: 구분수단 150: 메인격판
151: 제1 메인격판 152: 제2 메인격판
155: 연결구 160: 보조격판
161: 제1 보조격판 162: 제2 보조격판
163: 제3 보조격판 164: 제4 보조격판
165: 통공 170: 산기관
172: 정착 구조물     180:침전공간

Claims (3)

  1. 오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배출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으로 유입된 오수가 상기 저장통의 내부에서 부패와 폭기를 다단계로 거치면서 유동하여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오수의 부패를 위한 부패공간과 오수에 대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공간을 오수의 유동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구분수단; 및
    상기 구분수단에 의해 제공된 폭기공간으로 산소가 공급되어 상기 폭기공간으로 유입된 오수가 신속하게 분해되도록 상기 폭기공간에 제공된 산기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처리 정화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오수의 유입을 위한 유출구와 오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 한 쌍의 반원통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구분수단은 상기 반원통의 내주면으로 양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반원통을 외측공간과 내부공간으로 분리하고, 상기 외측공간과 내측공간으로 통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메인격판; 및
    상기 메인격판에 의해 제공된 상기 반원통의 내측공간을 복수의 부분공간으로 분리하여 오수가 상기 부분공간을 따라 저류되어 단계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내측공간에 제공된 보조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처리 정화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격판은 각각의 반원통에 오수의 부패조를 위한 부패공간 및 폭기조를 위한 폭기공간과 오수의 침전을 위한 침전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반원통의 결합으로 저장통의 중앙부에 산기관에 의한 1차 폭기공간을 제공하는 제1, 2 메인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격판은 상기 부패공간을 분리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부패되기 위한 1차 부패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보조격판과 상기 1차 부패공간의 오수가 유입되어 2차로 부패되기 위한 2차 부패공간 및 상기 2차 부패공간의 오수가 유입되어 3차로 부패되고 나서 상기 메인격판의 연결구를 통해 상기 1차 폭기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3차 부패공간을 제공하는 제2 보조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폭기공간을 분리하여 상기 제2 메인격판의 연결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폭기되어 분해되기 위한 2차 폭기공간을 제공하는 제3 보조격판과 상기 2차 폭기공간의 오수가 유입되어 3차로 폭기되기 위한 3차 폭기공간 및 상기 3차 폭기공간의 오수가 유입되어 침전되기 위한 침전공간을 제공하는 제4 보조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처리 정화조.
KR20-2005-0003767U 2005-02-11 2005-02-11 미생물 처리 정화조 KR200384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67U KR200384220Y1 (ko) 2005-02-11 2005-02-11 미생물 처리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67U KR200384220Y1 (ko) 2005-02-11 2005-02-11 미생물 처리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220Y1 true KR200384220Y1 (ko) 2005-05-12

Family

ID=4368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767U KR200384220Y1 (ko) 2005-02-11 2005-02-11 미생물 처리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2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55859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design
US20150008169A1 (en) Combined bioreactor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by means of anaerobic, aerobic and anoxic processes of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with zone separator system and collection of biogases, scum and sludge
CN105693014A (zh) 一种污水处理系统及污水处理方法
CN203866098U (zh) 一种高效厌氧-好氧一体化反应器
CN202785899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108609814A (zh) 卫生间粪尿资源化处理设备
CN108996827B (zh) 一种基于甲烷氧化的污水厂尾水深度脱氮装置
CN208022860U (zh) 深度废水处理系统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WO2019216753A1 (es) Bioreactor combinado con múltiples etapas para procesos anaerobios, anóxicos, aerobios, clarificación y desinfección en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CN209143980U (zh) 一种喷水织机废水处理系统
KR200384220Y1 (ko) 미생물 처리 정화조
CN209065651U (zh) 卫生间粪尿资源化处理设备
CN101428943A (zh) 一种用于城市污水厂升级改造的全流程工艺
SE1951184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N110950489A (zh) 一种高速公路服务区生活污水智能一体化处理设备及工艺
CN114933392A (zh) 一种农村生活污水处理设备
CN205347151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回用装置
KR102182069B1 (ko) 식생이 결합된 생물막 수처리 장치
CN211946461U (zh) 一种序批式活性污泥法污水生物处理装置
RU273618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RU15653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RU1552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109095725A (zh) 一种垃圾中转站渗滤液处理一体化装备
CN217556013U (zh) 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