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063Y1 -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 Google Patents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063Y1
KR200384063Y1 KR20-2005-0003789U KR20050003789U KR200384063Y1 KR 200384063 Y1 KR200384063 Y1 KR 200384063Y1 KR 20050003789 U KR20050003789 U KR 20050003789U KR 200384063 Y1 KR200384063 Y1 KR 200384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wedge
anchor head
fixing
sna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운
Original Assignee
서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운 filed Critical 서병운
Priority to KR20-2005-0003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0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2D5/765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가 개시된다.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는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의 앵커해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앵커해드를 실린더, 실린더캡, 웨찌, 견인부, 고정부 및 스냅링으로 구성하여 웨찌를 견인하는 견인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이 되도록 비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장재의 제거 시에 상기 고정부가 후퇴를 하고, 후퇴한 고정부가 후퇴한 위치에서 상기 스냅링에 의해 고정이 되어 재전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는 인장재를 앵커해드에 결합 시에 결합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앵커해드의 조립작업 역시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인장재의 제거 시에 인장된 인장재의 반발력에 의해 웨찌가 실린더에서 뽑히고, 이후 웨찌의 재전진을 막아 확실히 인장재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ANCHOR-HEAD TO HAVE NON-FIXED TRACTOR}
본 고안은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설치되는 앵커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장재를 제거할 수 있는 인장재 제거식 앵커시스템의 앵커해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의 앵커시스템의 시공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앵커시스템은 토목 또는 건축 건축물 공사에 있어서 설치되는 정착장치로 지하 구조물의 구축을 위하거나 굴착 시에 주변 침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토류벽을 가설하고 상기 토류벽을 지탱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앵커시스템은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곳에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와 경사각으로 지반에 천공을 하고, 일정한 길이로 사전에 조립된 앵커시스템을 상기 천공에 삽입하고, 그라우팅을 통하여 지반과 앵커시스템을 고정시킨다. 상기 그라우팅은 모르타르 등을 이용하여 지반과 앵커시스템을 고정시킨다.
상기 지반에 고착된 앵커시스템의 인장재를 인장하고, 토류벽 내지 기타 장비와 인장재를 연결하여 상기 토류벽 내지 기타 장비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정착을 한다.
이와 같은 앵커시스템은 크게 인장재가 지중에 매장되는 비제거식 앵커시스템과 인장재를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식 앵커시스템이 있다.
상기 비제거식 앵커시스템의 경우 재산권 침해 문제 및 지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현재는 비제거식 앵커시스템을 요하는 곳 이외에는 모두 제거식 앵커시스템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거식 앵커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U-turn 앵커시스템이나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이 가장 대표적이다.
상기 U-turn 앵커시스템의 경우 인장재가 천공내로 삽입되어 돌아나오므로 인장재를 제거하는 인발작업이 어렵고, 장비 및 인력이 많이 동원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인장재가 인발되는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U-turn 앵커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으로 하나의 인장재를 하나의 앵커해드(1)가 고정하고 인발작업시 앵커해드(1) 내에서 인장재를 풀어주어 사람의 힘으로도 쉽게 인장재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 및 인발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앵커해드(1)로 인장재의 제거를 시도할 경우 인장재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장재를 풀어주는 상태로 변할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앵커해드(1)를 구성하는 부품의 형태 및 작동원리에 의해 앵커시스템의 기계적 신뢰도 및 앵커시스템 자체의 신뢰도가 좌우된다.
그러나 종래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은 그 구조 및 작동원리가 복잡하여 원할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해 기계적 신뢰도 및 앵커시스템 자체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의 앵커해드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앵커해드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형태 및 형태에 따른 작동원리를 단순화하여 앵커해드에 인장재의 결합이 용이하고, 인장된 인장재의 제거 시에 인장재를 확실히 풀어줄 수 있는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의 앵커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의 앵커해드에 있어서,
일측에 폐쇄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폐쇄면의 중앙에는 인장재가 삽입될 수 있는 인장재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의 끝단부위에 나사선(120)을 외측방향으로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인장재삽입공(110)에 연속되는 테이퍼형상의 웨찌장착공(130)을 형성한 실린더(10);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실린더(10)와 결합하여 앵커해드의 외관 및 고정핀장착홈(210)을 형성하고, 개방된 타측의 끝단부위에 상기 실린더(10)의 나사선(120)과 대응하는 나사선(220)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스냅링걸림홈(230)을 폐쇄된 일측쪽에 가깝게 형성한 실린더캡(20);
상기 실린더(10)의 웨찌장착공(130)에 삽입되어 인장재를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일측에 결합턱(310)을 형성한 2분할 또는 3분할된 웨찌(30);
상기 분할된 웨찌(30)를 견인하기 위해 인장재가 관통하는 관통공(410)을 형성한 원통형상으로 외경면에 상기 분할웨찌(30)의 결합턱(310)이 삽입되는 웨찌결합홈(420)과 고정부(50)의 결합핀결합홈(430)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견인부(40);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외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스냅링장착홈(510)을 형성하고, 일측면의 가장자리 위치에 일측면과 수직으로 2 내지 4개가 나사결합하며 말단부위는 상기 고정핀장착홈(210)에 삽입되는 턱이 형성된 고정핀(520)과 일측면의 내중에 중심에서 동일한 위치에 2 내지 4개가 나사결합하며 말단부위는 상기 견인부(40)의 결합핀결합홈(420)에 삽입되는 턱이 형성된 결합핀(530)으로 이루어진 고정부(50);
상기 견인부(40)와 고정부(5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견인부(40)를 지지하는 스프링(55); 및
상기 고정부(50)의 스냅링장착홈(510)에 장착되어 수축과 팽창을 할 수 있는 스냅링(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캡(20)은 상기 스냅링삽입홈(230)이 형성된 위치에서 개방된 타측방향으로 상기 고정부(50)의 고정핀(510)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의 상기 내부공간의 내경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고정핀걸림홈(2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는 인장재삽입공(110)을 형성하고, 나사선(120)을 외측방향으로 형성하며, 테이퍼형상의 웨찌장착공(130)을 형성한 실린더(10); 나사선(220)을 형성하며, 웨찌(30); 웨찌결합홈(420)과 결합핀결합홈(430)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견인부(40); 스냅링장착홈(510)을 형성하고, 고정핀(520)과 결합핀(530)을 각각 형성한 고정부(50); 스프링(55); 및 스냅링(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0)는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폐쇄된 일측의 중앙에는 합성수지피복(72)이 입혀진 인장재(70)의 끝단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인장재삽입공(110)을 갖는다. 따라서 인장재(70)는 상기 인장재삽입공(110)을 통해 앵커해드 내부로 삽입이 된다.
이렇게 삽입된 인장재(7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10)의 내부공간은 테이퍼형상의 웨찌장착공(130)을 상기 인장재삽입공(110)과 연속되어 형성한다.
즉 상기 웨찌장착공(130)은 일측에 형성된 인장재삽입공(110)에서 타측 개방부위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웨찌장착공(130)에 장착된 웨찌(30)는 삽입될수록 압착된다.
또한 상기 개방된 타측의 끝단 부위는 나사선(120)을 갖는다. 이는 상기 실린더캡(20)과 결합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고정핀장착홈(210)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린더캡(20)은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실린더(10)와 결합하여 앵커해드의 외관 및 고정핀장착홈(210)을 형성한다. 따라서 개방된 타측의 끝단부위에는 상기 실린더(10)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10)의 나사선(120)과 대응하는 나사선(220)을 형성하고, 내경면에는 상기 스냅링(60)이 걸리는 스냅링걸림홈(230)을 형성한다. 따라서 스냅링(60)이 장착된 상기 고정부(50)가 소정의 위치로 이용하여 상기 스냅링(60)이 상기 스냅링걸림홈(230)에 삽입이 되면, 상기 고정부(50)는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웨찌(30)는 인장재(70)를 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린더(10)의 웨찌장착공(130)에 삽입되어 인장재삽입공(110)을 통해 삽입된 인장재(70)와 결합한다.
이때 웨찌(30)는 2분할 내지 3분할로 되어 인장재(70)를 구속과 해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일측에 견인부(4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턱(310)을 갖는다.
상기 견인부(40)는 상기 분할된 웨찌(30)를 견인하기 위해 인장재(70)가 관통하는 관통공(410)을 형성한 원통형상으로 외경면에 상기 분할웨찌(30)의 결합턱(310)이 삽입되는 웨찌결합홈(420)과 고정부(50)의 결합핀결합홈(430)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견인부(40)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로 그 형태는 인장재(70)가 관통하는 관통공(410)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웨찌(30) 및 고정부(50)와 각각 결합하기 위해 웨찌결합홈(420)과 결합핀결합홈(430)을 외경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웨찌(30)는 견인부(40)에 의해 고정부(50)와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5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외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스냅링장착홈(510)을 형성하고, 일측면의 가장자리 위치에 일측면과 수직으로 2 내지 4개가 결합하며 말단부위는 상기 고정핀장착홈(210)에 삽입되는 턱이 형성된 고정핀(520)과 일측면의 내중에 중심에서 동일한 위치에 2 내지 4개가 결합하며 말단부위는 상기 견인부(40)의 결합핀결합홈(420)에 삽입되는 턱이 형성된 결합핀(5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핀(520)과 결합핀(530)은 2 내지 4개가 결합될 수 있으나 각각 4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결합방법은 나사결합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정핀(520)은 탄성을 요하므로 합성수지 내지 휨 특성이 있는 금속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부(50)는 인장재(70)의 장착시와 분리시에 특정위치에서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인장재(70)와 앵커해드의 결합될 때와 앵커해드에 결합된 인장재를 인장할 때 모두 고정부(50)는 실린더(10)와 실린더캡(20)의 결합으로 형성된 고정핀장착홈(210)에 다수의 결합핀(520)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인장재(70)를 제거할 때는 실린더캡(2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여 스냅링(60)에 의해 스냅링걸림홈(230)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도면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55)은 상기 견인부(40)와 고정부(50) 사이에 장착되어 비고정된 견인부(40)가 인장재(70)와 결합한 후 견인부(40)의 이동에 의해 웨찌(3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웨찌(30)에 물린 인장재(70)가 웨찌(30)의 이동에 의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웨찌(30)와 결합된 견인부(40)를 소정의 힘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앵커해드에 인장재(70)를 결합한 후 인장재(70)를 인장하기 전에 외부 충격 내지 기타의 사유로 앵커해드에서 인장재(7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냅링(60)은 소정이 구간이 절단된 도우넛 형상으로 탄성을 갖고 수축과 팽창을 하며, 상기 고정부(50)의 스냅링장착홈(510)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실린더캡(20)의 스냅링걸림홈(230)에 삽입되어 고정부(50)를 그 위치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중요 구성부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해드의 중요 구성구품의 일 실시 예로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실린더(10)와 실린더캡(20)의 결합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할된 웨찌(30), 견인부(40), 고정부(50), 스프링(55) 및 스냅링(60)이 장착된다.
상기 분할된 웨찌(30)는 3분할된 웨찌(30)를 도시한 것으로 그 조작을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상기 견인부(30)의 웨찌결합홈(420)에 삽입되는 결합턱(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웨찌(30)는 견인부(30)의 웨찌결합홈(420)에 삽입되어 모아지거나 펼쳐진다.
상기 견인부(40)는 원통형상으로 중앙에는 인장재가 관통하는 관통공(410)이 형성되고, 외경면에는 상기 웨찌(30)의 결합턱(310)이 삽입되는 웨찌결합홈(420) 및 상기 고정부(50)의 결합핀(530)이 삽입되는 결합핀결합홈(4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부(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50)와 분할된 웨찌(30)를 연결한다.
상기 고정부(50)는 절개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외경면에는 스냅링(60)이 삽입되는 스냅링장착홈(510)을 형성하고 일측면에서 다수의 고정핀(520)과 결합핀(53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520)은 가장 외측에 나사결합하고, 고정핀(520)에 형성된 턱이 외측을 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핀(530)은 상기 견인부(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내중에 나사결합하고, 결합핀(530)에 형성된 턱이 내측을 향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55)은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부(40)와 고정부(40)가 결합되어 형성된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다. 즉 견인부(40)의 상측면과 고정부(50)의 하측면에 접하여 장착된다. 따라서 견인부(40)가 고정부(50) 측으로 소정의 힘 즉 상기 스프링(55)의 지지력 이상의 힘이 작용했을 때만 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스냅링(6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구간이 절단된 도우넛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스냅링(60)은 고정부(50)의 스냅링장착홈(510)에 장착되어 실린더캡(20)의 내벽에 의해 압착되거나, 스냅링걸림홈(230)에 팽창하여 삽입된다.
이하 도 4에서는 앵커해드와 인장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고, 이하 도 5에서는 앵커해드로 부터 인장재의 분리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조립된 상태에서 인장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인장재(70)가 앵커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의 앵커해드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부(50)는 고정핀(520)이 고정핀장착홈(210)에 걸린 상태로 그 위치를 고수하고, 여기에 결합된 견인부(40)는 웨찌(30)와 결합하여 스프링(55)에 의해 전진한 상태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재(70)가 인장재삽입공(110)을 통해 앵커해드의 내부로 삽입이 되면, 상기 인장재(70)를 삽입하는 힘에 의해 웨찌(30)가 후퇴를 하게되고, 따라서 견인부(40)가 후퇴를 하면서 스프링(55)을 압착한다. 이후 인장재(70)를 삽입하던 힘이 사라지면, 상기 압착된 스프링(55)은 탄성에 의해 복원이 되면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인장재(70)와 웨찌(30)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인장재(70)는 앵커해드와 소정의 힘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한번 결합한 인장재(70)는 고정부(50)의 위치변화가 있기 전에는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상기 도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앵커해드는 비고정된 견이부(40)과 고정된 고정부(50)에 의해 앵커해드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장재(70)의 결합이 가능하고, 일단 결합된 인장재(70)는 인장재(70)의 인장 후 제거시 이외에는 그 결합이 풀리지 않는다.
도 5는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인장재 제거과정에 따른 앵커해드 내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각각의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해드의 인장재 제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5(a)는 앵커해드(1)에 인장재(70)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수단(2)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토류벽 등에 형성된 천공에 인장재(70)가 결합된 앵커해드(1)를 삽입하고 여기에 모르타르 등을 주입하여 고착시킨 후 인장재(70)를 인장하여 소정의 장력이 걸린 상태에서 고정수단(2)으로 인장재(70)의 타단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일 때 앵커해드(1)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재(70)에 걸린 장력에 의해 웨찌(30)는 더욱 큰 힘으로 인장재(70)의 일단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장재(70)의 제거는 상기 고정수단(2)의 제거에서 시작된다. 즉 인장재(70)의 타단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수단(2)을 고정상태를 제거하면 인장재(70)에 걸린 장력에 의해 반반력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반반력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반발력은 앵커해드 내의 고정부(50)를 후퇴시키고, 고정부(50)의 후퇴로 고정핀(520)은 고정핀장착홈(210)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50)와 결합된 견인부(40)도 함께 후퇴를 하고, 결국 견인부(40)에 의해 인장재(70)를 물고 있는 웨찌(30)를 뽑아 낸다.
따라서 인장재(70)의 반발력에 의해 후퇴하는 고정부(50)는 웨찌장착홈(130)에서 웨찌(30)를 끌어낸다.
이렇게 후퇴하는 고정부(50)는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캡(20)의 스냅링걸림홈(230)이 형성된 위치까지 후퇴하고 이때 스냅링장착홈(510)에 장착되고 실린더캡(20)의 내벽에 의해 압착된 스냅링(60)이 팽창하면서 스냅링걸림홈(230)에 삽입되어 그 위치에서 고정부(50)가 고정된다. 결국 고정부(50)의 고정으로 견인부(40) 및 웨찌(30)가 고정된다. 결국 웨찌장착홈(130)에서 빠지 웨찌(30)의 재삽입을 방지하여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재(70)를 앵커해드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실린더캡에 고정핀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실린더캡(20)의 형태는 고정부(50)가 반발력에 의해 후퇴하고 스냅링(60)에 의해 고정될 경우 보조적으로 고정부(50)의 고정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냅링(60)이 스냅링걸림홈(230)에 삽입될 경우 고정핀(520)의 턱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핀걸림홈(240)을 내경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스냅링(60) 및 고정핀(520)에 의해서 고정부(5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앵커해드를 비고정된 견인부와 고정부를 포함하여 조립된 상태의 앵커해드에 인장재를 바로 결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 작업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장된 인장재의 제거 시에 인장재를 확실히 풀어줄 수 있어 앵커해드를 포함하는 앵커시스템의 전체적인 기계적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제거식 앵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중요 구성부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조립된 상태에서 인장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인장재 제거과정에 따른 앵커해드 내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의 실린더캡에 고정핀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
1 : 앵커해드 10 : 실린더
20 : 실린더캡 30 : 웨찌
40 : 견인부 50 : 고정부
60 : 스냅링 70 : 인장재
72 : 합성수지 피복 110 : 인장재삽입공
120 : 나사선 130 : 웨찌장착공
210 : 고정핀장착홈 220 : 나사선
230 : 스냅링걸림홈 240 : 고정핀걸림홈
310 : 결합턱 410 : 관통공
420 : 웨찌결합홈 430 : 결합핀결합홈
510 : 스냅링장착홈 520 : 고정핀
530 : 결합핀

Claims (2)

  1. 일자형 제거식 앵커시스템의 앵커해드에 있어서,
    일측에 폐쇄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폐쇄면의 중앙에는 인장재가 삽입될 수 있는 인장재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의 끝단부위에 나사선(120)을 외측방향으로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인장재삽입공(110)에 연속되는 테이퍼형상의 웨찌장착공(130)을 형성한 실린더(10);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실린더(10)와 결합하여 앵커해드의 외관 및 고정핀장착홈(210)을 형성하고, 개방된 타측의 끝단부위에 상기 실린더(10)의 나사선(120)과 대응하는 나사선(220)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스냅링걸림홈(230)을 폐쇄된 일측쪽에 가깝게 형성한 실린더캡(20);
    상기 실린더(10)의 웨찌장착공(130)에 삽입되어 인장재를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일측에 결합턱(310)을 형성한 2분할 또는 3분할된 웨찌(30);
    상기 분할된 웨찌(30)를 견인하기 위해 인장재가 관통하는 관통공(410)을 형성한 원통형상으로 외경면에 상기 분할웨찌(30)의 결합턱(310)이 삽입되는 웨찌결합홈(420)과 고정부(50)의 결합핀결합홈(430)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견인부(40);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외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스냅링장착홈(510)을 형성하고, 일측면의 가장자리 위치에 일측면과 수직으로 2 내지 4개가 결합하며 말단부위는 상기 고정핀장착홈(210)에 삽입되는 턱이 형성된 고정핀(520)과 일측면의 내중에 중심에서 동일한 위치에 2 내지 4개가 결합하며 말단부위는 상기 견인부(40)의 결합핀결합홈(420)에 삽입되는 턱이 형성된 결합핀(530)으로 이루어진 고정부(50);
    상기 견인부(40)와 고정부(5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견인부(40)를 지지하는 스프링(55); 및
    상기 고정부(50)의 스냅링장착홈(510)에 장착되어 수축과 팽창을 할 수 있는 스냅링(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캡(20)은
    상기 스냅링삽입홈(230)이 형성된 위치에서 개방된 타측방향으로 상기 고정부(50)의 고정핀(510)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의 상기 내부공간의 내경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고정핀걸림홈(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KR20-2005-0003789U 2005-02-12 2005-02-12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KR200384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89U KR200384063Y1 (ko) 2005-02-12 2005-02-12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89U KR200384063Y1 (ko) 2005-02-12 2005-02-12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752A Division KR20050031078A (ko) 2005-02-12 2005-02-12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063Y1 true KR200384063Y1 (ko) 2005-05-11

Family

ID=4368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789U KR200384063Y1 (ko) 2005-02-12 2005-02-12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0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944B2 (en) Multi-use expansion anchor and system for setting the same
KR101329054B1 (ko) 지반용 앵커
US11066931B2 (en) Retainer device for a rock anchor, rock anchor system and associated installation method
KR100715633B1 (ko) 앵커용 내부정착제
KR100825484B1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9822546B1 (en) Reusable ground anchor, related methods of manuafacture and methods of use
KR100864084B1 (ko) 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한 정착부 팽창 가압식 앵커 및시공방법
KR20050031078A (ko)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KR100463269B1 (ko)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
KR20050017160A (ko)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고강성 앵커
KR200384063Y1 (ko)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KR20120119639A (ko) 타격을 통해 재장착이 가능한 일자형 제거식 앵커헤드
KR100487894B1 (ko) 해체수단을 구비하는 제거용 앵커체
KR100586078B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100762347B1 (ko) 중력에 의해 스냅링이 제거되는 인장재 제거식 정착구
JP2645888B2 (ja) 地中アンカー設置方法
KR100472135B1 (ko)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100479569B1 (ko) 고정링과 조절판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200277731Y1 (ko) 해체수단을 구비하는 제거용 앵커체
KR20120101945A (ko) 재장착이 가능한 일자형 제거식 앵커헤드
KR102111691B1 (ko) 전단면 지지 복합식 지중 앵커
KR100847080B1 (ko) 재 인장이 가능한 인장선 제거식 앵커 헤드
KR100463267B1 (ko) 인장재 중심선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200344958Y1 (ko) 웨찌콘 스프링과 웨찌 인발 스프링을 이용한 인장재제거식 앵커 해드
KR200382596Y1 (ko) 앵커용 내부정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