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922Y1 -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 Google Patents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922Y1
KR200383922Y1 KR20-2005-0004772U KR20050004772U KR200383922Y1 KR 200383922 Y1 KR200383922 Y1 KR 200383922Y1 KR 20050004772 U KR20050004772 U KR 20050004772U KR 200383922 Y1 KR200383922 Y1 KR 200383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tent
tent house
insulating member
inne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04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트러스(10)와, 상기 각 하부 트러스(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트러스(20), 그리고 상기 각 상부 트러스(20) 및 하부 트러스(10)의 외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천막(30)을 포함하는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각 트러스(10, 20)는, 외측지주(12, 22), 내측지주(14, 24), 그리고 외측지주(12, 22)와 내측지주(14, 24)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빔(16, 2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내측지주(14, 24) 사이에 태양열을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단열부재(40)가 설치되며, 각 단열부재(40)의 좌우측 테두리가 상기 각 인접한 내측지주(14, 24)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열부재(40)에 의해 외부의 태양열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실내 온도의 과다한 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단열재(42) 및 보온재(44)로 이루어지는 단열부재(40)에 의해 실내 온도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여, 사용 목적에 적합한 실내의 온도 및 습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품의 손상이나 변질을 방지함은 물론, 텐트 하우스에 대한 냉/난방 비용까지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The structure of adiabatic tent house}
본 고안은 텐트 하우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태양열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단열용 천막이 내부에 설치되는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 하우스는 간단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야외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대형의 수용시설로서, 통상적으로 아치형의 바아의 양단을 지상에 고정시키고 비닐이나 천등으로 덮어서 폐쇄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형태의 텐트 하우스는 지붕 트러스의 양단에 단일의 파이프 기둥을 용접 시공하므로 대형제작이 어렵고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없으며, 용접 시공되므로 이동 설치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텐트 하우스를 대형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구조상 H빔과 같은 철골 구조물이 요구되는 바, 이 경우 많은 자재비와 중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는 등 제작이 곤란하며 비용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235289호에서 트러스 구조로 벽체 및 지붕 골조를 이루고, 외부에 천막을 결속시킨 텐트 하우스의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텐트 하우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텐트 하우스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동시에 눈 또는 빗물 등을 차단하기 위한 외부 천막이 텐트 하우스의 외부에 설치되는데, 그로 인해 장시간 태양열을 흡수한 외부 천막이 그 열기를 텐트 하우스의 내부로 방출함으로써, 실내온도의 과다한 상승으로 인한 보관품의 손상이나 변질이 발생할 수 있고, 보관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냉난방 시설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서, 장시간 태양열을 흡수한 외부 천막이 그 열기를 텐트 하우스 내부로 방출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의 과다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는,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트러스와, 상기 각 하부 트러스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트러스, 그리고 상기 각 상부 트러스 및 하부 트러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천막을 포함하는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각 트러스는, 외측지주, 내측지주, 그리고 외측지주와 내측지주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내측지주 사이에 태양열을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단열부재가 설치되며, 각 단열부재의 좌우측 테두리가 상기 각 인접한 내측지주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 트러스를 구성하는 각 내측지주의 양측 하단부에 고정 빔이 각각 설치되고, 각 단열부재의 상하부 테두리가 상기 각 인접한 고정 빔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열부재는, 1겹의 단열성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단열재에 박음질 접합되고, 보온성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보온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결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홀을 통과한 결속끈이 내측지주 및/또는 고정 빔에 조여짐으로써 각 단열부재가 텐트 하우스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수의 내부 트러스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는 트러스 구조로 벽체 및 지붕 골조를 형성하고, 트러스 구조의 외부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천막(30)이 설치되고, 트러스 구조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외부의 태양열로부터 단열시키기 위한 단열부재(40)가 설치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트러스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골조를 구성하는 트러스 구조는,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트러스(10)와, 상기 각 하부 트러스(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트러스(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트러스(10, 20)는, 외측지주(12, 24)와 내측지주(14, 24), 그리고 외측지주(12, 24) 및 내측지주(14, 24)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빔(16, 26)으로 이루어진다. 즉, 텐트 하우스의 벽체 골조를 형성하는 하부 트러스(10)는 각각, 직선형의 파이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측지주(12)와 내측지주(14), 그리고 상기 외측지주(12)와 내측지주(14)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연결 빔(1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텐트 하우스의 지붕 골조를 형성하는 상부 트러스(20)는 각각, 곡선형 또는 아치형의 파이프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측지주(22)와 내측지주(24), 그리고 상기 외측지주(22)와 내측지주(24)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빔(2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각 트러스(10, 20)는 소정 간격에 따라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2m 간격으로 트러스가 설치된다.
그리고 텐트 하우스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동시에 그 내부 공간을 외부의 빗물, 눈,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텐트 하우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천막(30)은, 통상의 천막을 구성하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트러스(10, 20)의 외측지주(12, 22)에 결속된다.
또한 텐트 하우스의 내부 공간을 외부의 태양열로부터 단열시켜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텐트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부재(40)는, PVC, 나일론, 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단열 능력이 높은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트러스의 내측지주(14, 24)에 결속된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40)는 단열성의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서 내부 공간을 단열시키는 1겹의 단열재(42)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단열재(42)에 내부 공간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보온재(44)를 접합하여 2겹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온재(44)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불 속에 들어가는 솜 또는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온재(44)를 단열재(42)에 접합하는 방식에는 박음질 접합 방식이 대표적이나,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요부 평단면도와 요부 측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소정 길이의 단열부재(40)가 좌우측에 인접한 한 쌍의 내측지주(14, 24) 사이에 위치하고, 단열부재(40)의 좌우측 테두리가 상기 한 쌍의 내측지주(14, 24)에 의해 결속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각 단열부재(40)는 하부 트러스(10)의 내측지주(14)와 상부 트러스(20)의 내측지주(24)를 따라서 설치되고, 좌우측은 직선형, 상부는 아치형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부재(40)의 양측 하단부 테두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빔(18)이 내측지주(14)의 하단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단열부재(40)의 좌우측 테두리는 상기 한 쌍의 내측지주(14, 24)에 의해 결속되고, 단열부재(40)의 양측 하단부 테두리는 상기 고정 빔(18)에 의해 결속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내부에는, 다수의 내측지주(14, 24)가 텐트 하우스의 내부 전체에 소정 간격에 따라 설치되고, 또한 한 쌍의 고정 빔(18)이 내측지주(14)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각 인접한 한 쌍의 내측지주(14, 24)와 고정 빔(1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마다 소정 크기의 단열부재(40) 설치되고, 결국 텐트 하우스의 내부 전체에 단열부재(40)가 설치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단열부재(40)의 테두리에는 결속끈(48)의 삽입을 위한 다수의 결속홀(46)이 형성되고, 따라서 각 결속홀(46)을 통과한 결속끈(48)을 고정 빔(18)과 내측지주(14, 24)에 조임으로써 각 단열부재(40)를 텐트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결속끈(48)을 이용하여 단열부재(40)를 고정시킬 때 내부 공간의 환기를 위해, 단열부재(40)와 내측지주(14, 24) 사이 및/또는 단열부재(40)와 고정 빔(18)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분리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내측지주(1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정 빔(18)과 지면 사이에도 환기를 위해 소정 간격 분리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에 의하면, 외부천막(30)에서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태양열을 단열부재(40)에 의해 이중으로 차단하여 실내 온도의 과다한 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단열재(42) 및 보온재(44)로 이루어지는 단열부재(40)에 의해 실내 온도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여, 사용 목적에 적합한 실내의 온도 및 습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품의 손상이나 변질을 방지함은 물론, 텐트 하우스에 대한 냉/난방 비용까지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트러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트러스 12 : 외측지주
14 : 내측지주 16 : 연결 빔
18 : 고정 빔 20 : 상부 트러스
22 : 외측지주 24 : 내측지주
26 : 연결 빔 30 : 외부천막
40 : 단열부재 42 : 단열재
44 : 보온재 46 : 결속홀
48 : 결속끈

Claims (5)

  1.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트러스(10)와, 상기 각 하부 트러스(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트러스(20), 그리고 상기 각 상부 트러스(20) 및 하부 트러스(10)의 외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천막(30)을 포함하는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각 트러스(10, 20)는, 외측지주(12, 22), 내측지주(14, 24), 그리고 외측지주(12, 22)와 내측지주(14, 24)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빔(16, 2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내측지주(14, 24) 사이에 태양열을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단열부재(40)가 설치되며,
    각 단열부재(40)의 좌우측 테두리가 상기 각 인접한 내측지주(14, 24)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 트러스(10)를 구성하는 각 내측지주(14)의 양측 하단부에 고정 빔(18)이 각각 설치되고,
    각 단열부재(40)의 양측 하단부 테두리가 상기 각 고정 빔(18)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단열부재(40)는, 1겹의 단열성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단열부재(40)는, 단열재(42)에 박음질 접합되고, 보온성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보온재(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단열부재(40)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결속홀(46)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홀(46)을 통과한 결속끈(48)이 내측지주(14, 24) 및/또는 고정 빔(18)에 조여짐으로써 각 단열부재(40)가 텐트 하우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KR20-2005-0004772U 2005-02-23 2005-02-23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KR200383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772U KR200383922Y1 (ko) 2005-02-23 2005-02-23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772U KR200383922Y1 (ko) 2005-02-23 2005-02-23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922Y1 true KR200383922Y1 (ko) 2005-05-10

Family

ID=4368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772U KR200383922Y1 (ko) 2005-02-23 2005-02-23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922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83B1 (ko) 2007-12-14 2008-06-17 강남수 절첩식 대형 텐트
KR101308066B1 (ko) 2011-07-28 2013-09-12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KR101416973B1 (ko) 2013-07-03 2014-07-08 (주)두리티엔티 텐트 하우스
KR101452389B1 (ko) 2014-07-09 2014-10-22 태양이엔지 (주) 기능성 접철식 천막
KR101995474B1 (ko) * 2018-11-30 2019-07-02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내피를 구비한 조립식 천막
KR20190083298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용 기둥과 지붕 트러스 연결방법 및 장치
KR20190083300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트러스 퍼린 연결방법 및 장치
KR20190083299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지붕 트러스간 연결방법 및 장치
KR20190083301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용 막재의 수직인장 텐션 조절방법 및 장치
KR102195284B1 (ko) 2020-01-22 2020-12-24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좌우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KR102195286B1 (ko) 2020-01-22 2020-12-24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좌우 및 수직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KR102263882B1 (ko) 2020-01-22 2021-06-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편심 후렌지를 구비한 천막
KR102552710B1 (ko) 2023-03-15 2023-07-06 한덕수 단열성이 향상된 텐트하우스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83B1 (ko) 2007-12-14 2008-06-17 강남수 절첩식 대형 텐트
KR101308066B1 (ko) 2011-07-28 2013-09-12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KR101416973B1 (ko) 2013-07-03 2014-07-08 (주)두리티엔티 텐트 하우스
KR101452389B1 (ko) 2014-07-09 2014-10-22 태양이엔지 (주) 기능성 접철식 천막
KR20190083300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트러스 퍼린 연결방법 및 장치
KR20190083298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용 기둥과 지붕 트러스 연결방법 및 장치
KR20190083299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지붕 트러스간 연결방법 및 장치
KR20190083301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용 막재의 수직인장 텐션 조절방법 및 장치
KR101995474B1 (ko) * 2018-11-30 2019-07-02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내피를 구비한 조립식 천막
KR102195284B1 (ko) 2020-01-22 2020-12-24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좌우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KR102195286B1 (ko) 2020-01-22 2020-12-24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좌우 및 수직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KR102263882B1 (ko) 2020-01-22 2021-06-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편심 후렌지를 구비한 천막
KR102552710B1 (ko) 2023-03-15 2023-07-06 한덕수 단열성이 향상된 텐트하우스
KR20230109597A (ko) 2023-03-15 2023-07-20 한덕수 단열성이 향상된 텐트하우스
KR20230109596A (ko) 2023-03-15 2023-07-20 한덕수 단열성이 향상된 텐트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3922Y1 (ko)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US4878322A (en) Insulating plastic film structures and method
US8549794B2 (en) Shade shelter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20130233364A1 (en) Shade shelter with solar panels
KR102144384B1 (ko) 이중구조 비닐하우스
JP2017012147A (ja) 硬質フィルム温室屋根構造
WO2015025513A1 (ja) 農業用ビニールハウス
KR101162109B1 (ko) 조적식 외부벽돌벽
JP5378265B2 (ja) 木造建築物の断熱構造
EP2267378A2 (en) Device for fixing installations to waterproofed covers
KR101068231B1 (ko) 조립식 막 구조물
JP6542740B2 (ja) 木造建物の外張り断熱透湿耐震構造
KR20140104710A (ko) 비닐하우스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US20130323459A1 (en) Edge overlay for layered insulative blanket
JP5379758B2 (ja) 二重屋根増設構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省エネ型屋根または消雪屋根
JP2019504225A (ja) 断熱トラス
WO1999009271A1 (en) A roof, a component for a roof, and a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a roof
KR100923590B1 (ko) 멀티 플렉스 하우스 구조물
JPH1068175A (ja) 構造用パネル及び建物の防湿構造
CN214430629U (zh) 一种城市道路绿化植物防冻装置
KR101748783B1 (ko) 조립 블록과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CN213991753U (zh) 粮仓低温储粮轻体软吊顶构造系统
JP3227285U (ja) 屋根用断熱パネル
KR102513007B1 (ko)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JP3133290U (ja) 木造建物の屋根裏シール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