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007B1 -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007B1
KR102513007B1 KR1020210051863A KR20210051863A KR102513007B1 KR 102513007 B1 KR102513007 B1 KR 102513007B1 KR 1020210051863 A KR1020210051863 A KR 1020210051863A KR 20210051863 A KR20210051863 A KR 20210051863A KR 102513007 B1 KR102513007 B1 KR 10251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undation
prefabricated structure
binding
makj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146A (ko
Inventor
황양훈
Original Assignee
황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양훈 filed Critical 황양훈
Priority to KR102021005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0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재부재에 의해 벽면 및 지붕을 형성한 조립식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기초프레임, 지주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을 설계에 따라 조립식으로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바로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 및 지붕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다수 개의 막재부재(300)로 구획되게 배열되어 벽면 및 지붕을 형성하는 조립식 구조물(10)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막재부재(300)를 결합하도록 지주프레임(200)의 하단을 연결하는 기초프레임(100)은, 상부로 개방되어진 단면의 형태가 “H”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지면으로 시공되는 기초(20)의 상부에 올려진 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기초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부 가이드홈(101)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며,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모서리 내측에 결합되어 직교하는 기초프레임(100)을 상호 사선으로 연결하는 보강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EARTHQUAKE-PROOF TYPE PREFABRICATED STRUCTURE USING FOUNDATION SHAPE FRAME}
본 발명은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재부재에 의해 벽면 및 지붕을 형성한 조립식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기초프레임, 지주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을 설계에 따라 조립식으로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바로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구조물 중 막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에 있어 막재는 직물(coated fabric)의 표면에 다양한 성분 또는 특징을 가진 합성재료를 코팅, 접착 또는 침투시켜 만든 것이며, 이러한 막재를 단독 또는 막재를 연결 및 결합하는 프레임으로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으로, 특히 조립식 구조물에서 막재는 연성의 막(membrane)을 사용하여 지붕이나 벽체를 형성한 후 막(membrane)에 초기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외부 하중에 대하여 안정된 형태가 유지되면서 저항력이 강한 구조물을 구성하는 재료이다.
이러한 조립식 구조물은 막(membrane)에 대한 자유로운 곡면 형상이 가능하고 아름다운 조형미를 갖고 있으며 재료의 경량화로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며 실내 경기장이나 공연장 또는 재래시장의 아케이드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분야 및 목적으로 점차 확장되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막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은 자연채광(투광성)에 의한 밝은 실내를 조성할 수 있어 차고 등과 같은 소형구조물 및 생활 체육(테니스, 게이트볼, 풋살, 배드민턴 등)을 위한 전천후 실내 경기장의 용도로 많이 시공 및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지지기둥과 상기의 지지기둥을 이용하여 막 구조물의 뼈대를 완성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지지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들 지지기둥 및 지지아암을 이용하여 대형의 천막(멤브레인)을 통해 천장부를 형성함에 따라 조립식 구조물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천막의 각 끝단에는 와이어(강선)을 매입하고 이들 와이어에 대하여 고도의 인장력을 부여함에 따라 상기의 천막은 항상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긴장 상태의 천막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막 구조물은 설계된 본래의 미려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바람에 의해 펄럭임이 발생하거나 천막이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막 구조물의 경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천막의 처짐으로 인해 정기적으로 천막에 대한 장력조절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유지 및 관리비가 과도 소요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그리고, 천막 자체도 수명이 길지 못하고 오염이나 외부 자극 및 충격에 의해 취약하므로 장기간 조립식 구조물을 사용하는 경우 천막에 대한 교체가 뒤따르는 것이고, 바람이 세게 불거나 많은 량의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 눈이 쌓이거나 빗물이 고이면서 붕괴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천막을 이용한 막 구조물의 경우 채광성이 확보되나 단열 및 보온성에 매우 취약하므로 간이 또는 임시 시설물에만 적용되어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으며, 기존의 막 구조물의 경우 대부분 천막이 지지기둥의 선단에 씌워지는 형태를 갖고 있어 막 구조물의 측면이 개방될 수밖에 없으므로 바람이나 비로부터 완전한 차단 효과를 갖지 못하고 차양 효과도 떨어지므로 실제 막 구조물이 차지하는 면적에 비하여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은 지극히 협소하여 매우 불합리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5267호(발명의 명칭 :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 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8908호(발명의 명칭 : 옥상 설치형 조립식 온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식 구조물의 벽면 및 지붕을 구성하는 강화된 내구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가진 기초프레임, 지주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골조 및 상기 골조에 형성되는 구획 공간에 결합되는 막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재부재의 결합에 대응되는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가진 지주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을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조립식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주프레임과 결합되는 기초프레임의 다양한 형상재를 통하여 지주프레임 간에 결합구조를 가져 기초 골격을 형성함으로서 작업이 수월하고 구조물 자체의 수평 또는 수직의 평활도와 같은 레벨을 맞추기가 유리하다는 또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태양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받고, 별도의 냉난방시스템 없이 송풍시설의 설치를 통해 에어를 순환시킴으로써 냉방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다중의 단열공간을 형성한 조립식 셀형을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높이면서 태양열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또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벽면 및 지붕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다수 개의 막재부재로 구획되게 배열되어 벽면 및 지붕을 형성하는 조립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막재부재를 결합하도록 지주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기초프레임은, 상부로 개방되어진 단면의 형태가 “H”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토사면으로 시공되는 기초의 상부에 올려진 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기초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초프레임의 상부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몸체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이 구비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초프레임의 단면 형태가 상부와 하부가 각각 평면판을 가지면서 각각의 평면판 사이를 수직형 중간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I”자 형태를 가지며, 이때 기초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평면판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부의 지지수평판과 상기 지지수평판의 상부 중앙에 서로 이격된 수직형 지지수직판 한 쌍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소켓이 포함되며,
상기 결합소켓의 지지수직판 사이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몸체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이 구비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초프레임의 단면 형태가 하부에 평면판을 가지면서 상기 평면판 중앙에 상향의 수직형 중간판이 형성된 “ㅗ”자 형태이며,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의 중간판이 하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하부의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몸체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이 구비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초프레임의 단면 형태가 상부의 평면판과 상기 평면판 중앙에 하향의 수직형 중간판이 형성된 “T”자 형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이면서 이웃하는 평면판 양측단을 각각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이 형성된 “ㅁ”자 형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이면서 상호 평면판 일측단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이 형성된 “ㄷ”자 형태, 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이면서 상호 평면판 일측단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이 형성된 “ㄷ”자 형태가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면접 또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형태를 가진 기초프레임을 사용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연결소켓 체결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한 하측의 제1고정공과 상기 제1고정공 상측에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통된 제1조절공을 이 형성하며, 상기 연결소켓의 체결몸체가 결합하는 위치의 기초프레임에 제1고정공과 제1조절공의 위치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과 제2조절공이 형성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초프레임의 모서리 내측에 결합되어 직교하는 기초프레임을 상호 사선으로 연결하는 보강대가 더 포함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프레임과 지주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면 벽면을 형성하도록 벽면의 양측단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각각 마련된 결속와이어와 상기 결속와이어를 감싸 양측 결속와이어 사이를 연결시켜 커버하는 막재로 구성된 막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프레임의 사방(四方)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면서 서로 대향하는 면부에 서로 좌우대칭형태로 형성되면서 노출면에 막재가 통과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된 지지결속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결속홈에 막재부재의 결속와이어 삽입 결속되면서 결속와이어를 감싸 연결되는 위치의 막재 연결면에 가압되도록 상기 개방구의 외측 돌출탭이 내측 돌출탭 외부로 더 돌출 연장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초프레임에 지주프레임을 연결하며, 이때 기초프레임에 지주프레임을 수직으로 세우지 않은 눕혀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주프레임 사이를 막재부재로 결합시킨 후, 상기 기초프레임의 외측단 중앙에 위치한 막재부재 중앙 또는 연결프레임에 연결로프를 연결하며, 상기 지주프레임이 수직으로 세워질 때까지 연결로프를 잡아당기며, 이때 연결로프가 연결된 기초프레임 후측으로 점진적으로 지주프레임이 수직으로 세워져 조립식 구조물을 시공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다수 개로 구획된 구획면에 설치된 막재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획면에 막재부재를 설치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부재 결합되어 태양광을 모아 열을 생성하는 쏠라셀모듈과, 생성된 열을 전원으로 전환하여 모으는 축전모듈로 이루어지는 태양발전모듈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게 구성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벽면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주프레임 중 벽면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조립식 구조물의 내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석부 내부에 전기적 온열수단이 구비된 가로길이의 좌석부재가 더 포함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 의하면, 조립식 구조물의 벽면 및 지붕을 구성하는 강화된 내구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가진 기초프레임, 지주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골조 및 상기 골조에 형성되는 구획 공간에 결합되는 막재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벽면 및 지붕단위에 대응되는 막재부재의 결합으로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가진 지주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을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조립식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프레임과 결합되는 기초프레임의 다양한 형상재를 통하여 지주프레임 간에 결합구조를 가져 기초 골격을 형성함으로서 작업이 수월하고 구조물 자체의 수평 또는 수직의 평활도와 같은 레벨을 맞추기가 유리할 뿐만 아니라 기초의 설치비용이 감소하며,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을 부분적으로 생산하여 조립함으로서 높은 위치의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태양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받고, 별도의 냉난방시스템 없이 송풍시설의 설치를 통해 에어를 순환시킴으로써 냉방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다중의 단열공간을 형성한 조립식 셀형을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높이면서 태양열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의 기초 및 골격 구조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H”형의 기초프레임에 연결소켓 및 지주프레임을 설치하는 분리 결합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I”형의 기초프레임에 결합소켓, 연결소켓 및 지주프레임을 설치하는 분리 결합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ㅗ”형의 기초프레임에 연결소켓 및 지주프레임을 설치하는 분리 결합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ㅜ“형, ”ㅁ“형, ”ㄷ“형 등의 기초프레임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지주프레임에 막재부재가 설치되는 분리 결합 도면.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A"부위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에서 기초프레임 또는 결합소켓에 결합된 연결소켓과 지주프레임 사이에 지지소켓-제1, 2완충부재-탄성부가 설치되는 분리 결합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 및 지붕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다수 개의 막재부재(300)로 구획되게 배열되어 벽면 및 지붕을 형성하는 조립식 구조물(10)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막재부재(300)를 결합하도록 지주프레임(200)의 하단을 연결하는 기초프레임(100)은, 상부로 개방되어진 수직단면의 형태가 “H”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지면으로 시공되는 기초(20)의 상부에 올려진 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기초(2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부 가이드홈(101)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10, 이하, ‘조립식 구조물’이라 칭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10)은 기초(20)의 상부에 지주프레임(200)을 설치하기 위해 기초프레임(100)을 조립식 구조물(1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형태로 연결하며, 상기 조립식 구조물(10)의 기둥에 해당하는 기초프레임(100)에 하단을 결합시켜 수직으로 연장시키는 지주프레임(200)을 설치하며, 상기 조립식 구조물(10)의 지붕을 형성하기 위해 지주프레임(200)과 마주하는 지주프레임(200)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600)을 설치하며, 이때 상기 조립식 구조물(10)의 벽면을 형성하도록 양측의 수직형 지주프레임(200)과 상기 지주프레임(200) 간의 상측 및 하측 모두 또는 상측으로 연결시킨 연결프레임(600)으로 구성되면서 내측에 구획공간을 형성한 단위공간이 조립식 구조물(10)의 둘레면을 구획되게 다수 개로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조립식 구조물(10)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연결프레임(600)으로 사방면(四方面)을 형성하면서 내측에 구획공간을 형성한 단위공간이 조립식 구조물(10)의 지붕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로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물(10)의 골격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구조물(10)의 벽면의 단위공간 및 지붕의 단위공간들을 지주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600)을 측단부가 결합하여 구획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막재부재(30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종래의 조립식 구조물은 기초에 지주프레임의 하단을 결합되도록 베이스를 고정시킨 후 지주프레임을 결합하는 시공구조를 가지지만, 벽면 및 지부을 형성하도록 막재부재(300)를 결합하기 위해 설계된 치수 및 긴장된 벽면을 가지도록 일률적인 치수를 가진 막재부재(300)와 지주프레임(200)에 결합관계에 치수에 대한 오차가 빈번히 발생되어 이를 해결하고자 기초(20)에 고정된 베이스판을 다시 다른 위치로 설치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조 및 시공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먼저, 콘크리트 또는 지면 기초(20)의 상부에 기초프레임(100)을 고정시키는 단게를 거치며,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0)은 조립식 구조물(1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형태로서, 일예로 기초프레임(100)을 상호 연결시켜 사각형태의 테두리로 형성하도록 배치시킨다
상기 기초프레임(100)은 수직 단면이 “H”형, “I”형, “ㅗ”형, “ㅁ”형, ㄷ”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동일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호 대칭형태로 한 쌍이 서로 면접 또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프레임(100)이 “H”자 형태를 가질 경우, 즉 서로 이격된 양측 수직판(100-1)과 상기 수직판(100-1) 중앙을 상호 가로질러 연결한 수평판(100-2)으로 형성되면서 수평판(100-2)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가이드홈(101)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부 일면으로부터 지주프레임(20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부 가이드홈(101)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포함된다.
상기 연결소켓(400)은 체결몸체(410)의 단면적이 결속몸체(420)의 단면적에 비해 큰 단면적을 형성하여 무게중심이 수직 하향으로 집중되면서 지주프레임(200)의 하중에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단면 형태가 상부와 하부가 각각 평면판(110)을 가지면서 각각의 평면판 중앙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중간판(120)으로 형성되는 “I”자 형태를 가지며, 이때 기초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한 평면판(1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부의 지지수평판(510)과 상기 지지수평판(510)의 상부 중앙에 서로 이격된 수직형 지지수직판(520) 한 쌍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소켓(500)이 포함되며,
상기 결합소켓(500)의 지지수직판(520) 사이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는 조립식 구조물(10)을 제공한다.
상기 “I”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의 평면판(110)과 상기 평면판(110) 각각의 중앙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형 중간으로 구성되는 일몸체를 가지며,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측 평면판(110)으로 지주프레임(200)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평면판(110)과 지주프레임(200) 하단 사이에 결합소켓(500)이 더 포함되어 상호 결합하게 되며, 상기 결합소켓(500)은 기초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한 평면판(1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부의 지지수평판(510)과 상기 지지수평판(510)의 상부 중앙에 서로 이격된 수직형 지지수직판(520) 한 쌍이 일몸체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부 일면으로부터 지주프레임(20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소켓(500)의 지지수직판(520) 사이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포함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단면 형태가 하부에 평면판(110)을 가지면서 상기 평면판(110) 중앙에 상향의 수직형 중간판(120)이 형성된 “ㅗ”자 형태이며,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중간판(120)이 하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413)이 형성된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는 조립식 구조물(10)을 제공한다.
상기 “ㅗ”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지주프레임(200)을 결합하도록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중간판(120)에 끼움결합되도록 연결소켓(400)의 체결몸체(410) 하면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끼움홈(413)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판(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끼움홈(413) 내부형상을 가지어 중간판(120)이 끼움홈(413)으로 삽입시 긴밀한 밀착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단면 형태가 상부의 평면판(110)과 상기 평면판(110) 중앙에 하향의 수직형 중간판(120)이 형성된 “T”자 형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이웃하는 평면판(110) 양측단을 각각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130)이 형성된 “ㅁ”자 형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상호 평면판(110) 일측단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130)이 형성된 “ㄷ”자 형태, 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상호 평면판(110) 일측단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130)이 형성된 “ㄷ”자 형태가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면접 또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형태를 가진 기초프레임을 사용하는 조립식 구조물(10)을 제공한다.
도 5의 (b)와 같이 상기 단면이 “ㅁ”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이웃하는 평면판(110) 양측단을 각각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여 사각단면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일면이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413)이 형성된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소켓(400)의 끼움홈(413)의 폭은 기초프레임(100)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지주프레임(200)이 설치되는 위치의 기초프레임(100) 일면에 연결소켓(400)의 끼움홈(413)을 끼움 결합하며, 이때 상기 끼움홈(413)에 위치하는 기초프레임(100)의 일면 양측으로 한 쌍의 제1볼트공(105)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공(105)에 연계되도록 연결소켓(400)의 체결몸체(410) 양측으로 끼움홈(413)을 관통하는 제2볼트공(414)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체결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ㅁ”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 외에도 도 5의 (c)와 같이 “ㄷ”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 도 5의 (d)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상호 평면판(110) 일측단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130)이 형성된 “ㄷ”자 형태가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면접되는 기초프레임(100) 또는 도 5의 (e)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상호 평면판(110) 일측단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130)이 형성된 “ㄷ”자 형태가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태의 기초프레임(100)도 마찬가지로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일면이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413)이 형성된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며, 이때 상기 끼움홈(413)의 폭은 기초프레임(100)의 폭에 비례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기초프레임(100)에 연결소켓(400)의 끼움홈(413)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a)와 같이 상기 “T”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인 상부의 평면판(110)과 상기 평면판(110) 중앙에 하향의 수직형 중간판(12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술한 동일한 구조를 가진 결합소켓(500) 및 연결소켓(400)을 사용하며,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한 평면판(1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소켓(500)의 지지수평판(510)을 결합 고정 그리고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부 일면으로부터 지주프레임(20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소켓(500)의 지지수직판(520) 사이에 끼움 결합되도록 연결소켓(400)의 체결몸체(410)를 체결 고정하여 지주프레임(200)를 기초프레임(100)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c), (d) 및 (e)와 같이 상기 “ㄷ”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이 기초(20)의 상부에 고정시 “ㄷ”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 하나가 설치되는 구조이거나 상기 “ㄷ”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이 상호 좌우대칭형태로 한 쌍이 서로 면접 또는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ㄷ”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의 개방면이 상호 마주하거나 밀폐면이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400) 체결몸체(410)의 양측면을 관통한 하측의 제1고정공(411)과 상기 제1고정공(411) 상측에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통된 제1조절공(412)을 이 형성하며, 상기 연결소켓(400)의 체결몸체(410)가 결합하는 위치의 기초프레임(100)에 제1고정공(411)과 제1조절공(412)의 위치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102)과 제2조절공(103)이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물(10)을 제공한다.
하기에 서술한 눕혀진 상태의 지주프레임(200)들을 동시에 수직으로 세우는 시공에서 상기 제1, 2고정공(411)(102)에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지 않으면서 제1, 2조절공(412)(103)을 통해 먼저 체결수단을 결합시킨 후 기초(20)에 고정된 기초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지주프레임(200)을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기초프레임(100)으로부터 연결소켓(400) 또는 결합소켓(500)이 자유롭게 유격을 발생시켜 지주프레임(200) 세움과정을 보다 수월하게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모서리 내측에 결합되어 직교하는 기초프레임(100)을 상호 사선으로 연결하는 보강대(104)가 더 포함되는 조립식 구조물(10)을 제공한다.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내측 모서리에 사선방향으로 보강대(104)를 고정시킴으로서 지진 등과 같은 외력이 발생시 기초프레임(100)의 유격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도 6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프레임(200)과 지주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면 벽면을 형성하도록 벽면의 양측단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각각 마련된 결속와이어(310)와 상기 결속와이어(310)를 감싸 양측 결속와이어(310) 사이를 연결시켜 커버하는 막재(320)로 구성된 막재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프레임(200)의 사방(四方)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면서 서로 대향하는 면부에 서로 좌우대칭형태로 형성되면서 노출면에 막재가 통과하도록 개방구(211)가 형성된 지지결속홈(210)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결속홈(210)에 막재부재(300)의 결속와이어(310) 삽입 결속되면서 결속와이어(310)를 감싸 연결되는 위치의 막재(320) 연결면(321)에 가압되도록 상기 개방구(211)의 외측 돌출탭(212a)이 내측 돌출탭(212b) 외부로 더 돌출 연장되면서 외측 돌출탭(212a)의 끝단부와 내측 돌출탭(212b)의 끝단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조립식 구조물(10)을 제공한다.
상기 막재부재(300)는 양측단 길이방향으로 결속와이어(310)가 마련되면서 상기 결속와이어(310)를 상호 연결하여 밀폐된 면(面)을 형성하면서 결속와어어(310) 외주를 감싸 결합되는 막재(320)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주프레임(200)은 막재부재(300)의 결속와이어(310)를 결속시키도록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지주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결속홈(210)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결속홈(210)의 일면에 지지결속홈(210)의 내측으로 연통 절개된 개방구(2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주프레임(200)이 세로길이를 가진다면 지지결속홈(210) 및 개방구(211)도 세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211)는 지지결속홈(210)의 중앙과 직선방향으로 연통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주프레임(200)이 사각의 단면형태를 가질 경우 폭이 넓은 세로면이 벽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지주프레임(200)의 각각 세로면의 모서리에 지지결속홈(210)이 형성하면서 개방구(211)가 지지결속홈(210)의 중앙과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주프레임(200)의 지지결속홈(210)에 일측 결속와이어(310)가 결속되어 단속되며, 이때 일측 결속와이어(310)에 연결된 막재(320)가 개방구(211)를 통해 외측으로 직선상으로 펴지며, 이때 상기 지주프레임(200)과 마주하는 다른 지주프레임(200)의 지지결속홈(210)에 타측 결속와이어(310)가 결속 단속됨으로서 일/타측의 결속와이어(310) 사이에 연결된 막재(320)가 벽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프레임(200)의 지지결속홈(210)의 중앙과 개방구(211)가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방향성을 가진다면 풍압 등에 의해 막재(320)의 흔들림과 동시에 개방구(211)에 위치한 막재(320)의 내/외측 일면이 개방구(211)의 공간을 따라 움직이면서 동시에 지지결속홈(210)에 결속된 결속와이어(310)가 회전됨에 따라 벽면의 배부름현상 및 개방구(211) 공간에 막재(320)의 유격으로 비 또는 바람이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지주프레임(200)의 지지결속홈(210)에 막재부재(300)의 결속와이어(310) 삽입 결속되면서 결속와이어(310)를 감싸 연결되는 위치의 막재(320) 연결면(321)에 가압되도록 상기 개방구(211)의 외측 돌출탭(212a)이 내측 돌출탭(212b) 외부로 더 돌출 연장된 밀착탭(213)이 형성됨에 따라 개방구(211)에 막재(320)의 연결면(321)이 절곡형태로 가압 고정됨으로서 외력에 의해 막재(320)의 흔들림에도 개방구(211) 및 막재(320) 연결면(321)과의 밀착 및 가압력 증대로 벽면의 막재(320) 긴장으로 인한 평면 유지 및 막재부재(300)와 지주프레임(20)) 간의 연결부위에 비 또는 바람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기초프레임(100)에 지주프레임(200)을 연결하며, 이때 기초프레임(100)에 지주프레임(200)을 수직으로 세우지 않은 수평 또는 지면으로 눕혀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주프레임(200) 사이를 막재부재(300)로 결합시킨 후,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외측단 중앙에 위치한 막재부재(300) 중앙 또는 연결프레임(600)에 연결로프(미도시)를 연결하며, 상기 지주프레임(200)이 수직으로 세워질 때까지 연결로프를 잡아당기며, 이때 연결로프가 연결된 기초프레임(100) 후측으로 점진적으로 지주프레임(200)이 수직으로 세워져 조립식 구조물(10)을 시공하는 조립식 구조물(10)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로프의 당김으로 순차적으로 지주프레임(200)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연결로프를 고정시킨 후 지주프레임(20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소켓(400)의 체결몸체(410)에 전면부가 밀착되어 연결소켓(40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직상태의 체결몸체(410)가 위치한 기초프레임(100)의 일면에 단속봉(미도시)을 결합시키며, 이때 단속봉이 연결소켓(400)의 체결몸체(410) 전방에 위치하면서 체결몸체(410) 전면부가 면접하게 된다.
즉, 상기 기초프레임(100)과 연결소켓(400)의 체결몸체(410)의 결합구조에서 제1고정공(411) 또는 제1조절공(412)이 사각단면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사각단면형태의 제1고정공(411) 또는 제1조절공(412)에 긴밀히 삽입되도록 대응된 단면적을 가진 사각단면형태의 단속봉이 삽입되며, 또한 기초프레임(100)의 제2고정공(102) 또는 제2조절공(103)이 사각단면형태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다수 개로 구획된 구획면에 설치된 막재부재(3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획면에 막재부재(300)를 설치되지 않고,
상기 지주프레임에 결합되어 태양광을 모아 열을 생성하는 쏠라셀모듈과, 생성된 열을 전원으로 전환하여 모으는 축전모듈로 이루어지는 태양발전모듈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게 구성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립식 구조물(10)의 지붕을 형성하는 막재부재(300)가 설치되지 않고, 막재부재(300) 대신에 쏠라셀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지붕을 형성하면서 쏠라셀모듈에 의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설비가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벽면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주프레임(200) 중 벽면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조립식 구조물(10)의 내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600)에 결합되어 착석부 내부에 전기적 온열수단이 구비된 가로길이의 좌석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벽면을 구성하는 지주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600)을 구성하는 구획된 단위체에 가로방향의 연결프레임(600)에 좌석부재(미도시)가 설치되며, 이때 좌석부재의 착석부 내부에 전기적 온열수단이 구비되어 착석부에 히팅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기초(2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기초프레임(100)이 설치되며, 이때 기초프레임(100)의 하부에 지면을 따라 조립식 구조물(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는 바퀴 등과 같은 회전 구동수단이 형성되어 기초프레임(100)에 다수 개가 구비됨으로서 지면으로 구동부의 회전으로 조립식 구조물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프레임(100)으로부터 전달된 외력을 완충 및 흡수하여 지주프레임(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한 지주프레임(200)의 설치구조를 가지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더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400)의 결속몸체(420)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한 쌍의 수직형 결합판(710)과 상기 결합판(710)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형 지지판(720) 및 상기 지지판(720)의 상부 중앙에 상향 연장되는 결합봉(730)으로 구성되는 지지소켓(700)과,
상기 지지소켓(700)의 결합봉(730)에 삽입되도록 결속공(811)이 형성된 허브판(810)과 상기 허브판(810)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연결되어 결속공(811)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되며, 양측을 개방하면서 내부로 완충공간(821)을 형성한 수직의 사각단면형태를 가진 한 쌍의 완충봉(820)을 가진 제1완충부재(800a)와,
상기 제1완충부재(800a)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완충부재(800a)와 상하 대칭형태로 배치되어 지지소켓(700)의 결합봉(730)에 삽입되는 제2완충부재(800b) 및,
상기 제1완충부재(800a)와 제2완충부재(800b)에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봉(730)으로 삽입되는 탄성부(900)로 구성되는 조립식 구조물(10)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소켓(700)은 연결소켓(400)의 결속몸체(420)에 고정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양측의 수직형 결합판(710)과 상기 결합판(710) 각각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형 지지판(720) 및 상기 지지판(720) 상부 중앙에 상향 연장되는 환봉형 결합봉(730)으로 구성되는 일몸체의 구조이며, 상기 결합판(710)과 결합판(720) 사이로 연결소켓(400)의 결속몸체(420)가 끼움 결합되면서 결속몸체(420)와 지주프레임(200)에 형성된 체결공(421)(201)의 위치에 대응되는 결합판(710) 일면에 체결공(711)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으로 연결소켓(400)의 결속몸체(420), 지지소켓(700)의 결합판(710) 및 지주프레임(200)을 동시에 결합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재(800a)는 지지소켓(700)의 결합봉(730)에 삽입되면서 지지소켓(700)의 지지판(72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봉(730)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결속공(811)이 형성된 수평판재형의 허브판(810)과 상기 허브판(810)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결속공(811)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되는 완충봉(820)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완충봉(820)은 양측이 개방 그리고 내부로 완충공간(821)이 형성된 수직의 사각단면형태이며, 상기 제1완충부재(800a)의 하면은 수평면형태을 형성하면서 허브판(810) 양측으로 완충봉(820)이 돌출된 형태로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재(800a)의 완충봉(820) 측면은 상기 측면과 대응된 위치의 지주프레임(200) 내부공간(220)의 내면에 밀착 면접되면서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완충봉(820)과 지주프레임(200) 간을 상호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부재(800b)는 결합봉(730)에 삽입되어 제1완충부재(80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1완충부재(800a)와 상하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즉 상기 제1완충부재(800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상하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어 상면이 수평면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900)는 결합봉(730)에 삽입되어 제1완충부재(800a)와 제2완충부재(800b) 사이에 배치되며, 이때 탄성부(900)의 상단 및 하단은 결속공(811)이 형성된 제2완충부재(800b)의 허브판(810) 주변 및 제1완충부재(800a)의 허브판(810) 주변에 밀착 단속되는 배치구조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조립식 구조물 10 기초프레임 100 가이드홈 101
지주프레임 200 지지결속홈 210 개방구 211
돌출탭 212a, 212b 내부공간 220 막재부재 300
결속와이어 310 막재 320 연결소켓 400
체결몸체 410 결속몸체 420 결합소켓 500
지지수평판 510 지지수직판 520 연결프레임 600
지지소켓 700 결합판 710 지지판 720
결합봉 730 제1완충부재 800a 제2완충부재 800b
하브판 810 결속공 811 완충봉 820
탄성부 900

Claims (8)

  1. 벽면 및 지붕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다수 개의 막재부재(300)로 구획되게 배열되어 벽면 및 지붕을 형성하는 조립식 구조물(10)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막재부재(300)를 결합하도록 지주프레임(200)의 하단을 연결하는 기초프레임(100)은, 상부로 개방되어진 단면의 형태가 “H”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지면으로 시공되는 기초(20)의 상부에 올려진 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기초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상부 가이드홈(101)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며,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모서리 내측에 결합되어 직교하는 기초프레임(100)을 상호 사선으로 연결하는 보강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소켓(400)의 결속몸체(420)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한 쌍의 수직형 결합판(710)과 상기 결합판(710)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형 지지판(720) 및 상기 지지판(720)의 상부 중앙에 상향 연장되는 결합봉(730)으로 구성되는 지지소켓(70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소켓(700)의 결합봉(730)에 삽입되도록 결속공(811)이 형성된 허브판(810)과 상기 허브판(810)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연결되어 결속공(811)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되며, 양측을 개방하면서 내부로 완충공간(821)을 형성한 수직의 사각단면형태를 가진 한 쌍의 완충봉(820)을 가진 제1완충부재(800a)가 구비되며,
    상기 제1완충부재(800a)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완충부재(800a)와 상하 대칭형태로 배치되어 지지소켓(700)의 결합봉(730)에 삽입되는 제2완충부재(800b)가 구비되며,
    상기 제1완충부재(800a)와 제2완충부재(800b)에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봉(730)으로 삽입되는 탄성부(9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 대신에, 기초프레임(100)의 단면 형태가 상부와 하부가 각각 평면판(110)을 가지면서 각각의 평면판 중앙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중간판(120)으로 형성되는 “I”자 형태를 가지며, 이때 기초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한 평면판(1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부의 지지수평판(510)과 상기 지지수평판(510)의 상부 중앙에 서로 이격된 수직형 지지수직판(520) 한 쌍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소켓(500)이 포함되며,
    상기 결합소켓(500)의 지지수직판(520) 사이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 대신에, 기초프레임(100)의 단면 형태가 하부에 평면판(110)을 가지면서 상기 평면판(110) 중앙에 상향의 수직형 중간판(120)이 형성된 “ㅗ”자 형태이며,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0)의 중간판(120)이 하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413)이 형성된 하부의 체결몸체(410)와 상기 체결몸체(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프레임(200)의 내부공간(220)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속몸체(4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연결소켓(4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자 형태의 기초프레임(100) 대신에, 기초프레임(100)의 단면 형태가 상부의 평면판(110)과 상기 평면판(110) 중앙에 하향의 수직형 중간판(120)이 형성된 “T”자 형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이웃하는 평면판(110) 양측단을 각각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130)이 형성된 “ㅁ”자 형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상호 평면판(110) 일측단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130)이 형성된 “ㄷ”자 형태, 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면판(110)이면서 상호 평면판(110) 일측단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는 측단판(130)이 형성된 “ㄷ”자 형태가 서로 좌우 대칭형태로 면접 또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형태를 가진 기초프레임(10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400) 체결몸체(410)의 양측면을 관통한 하측의 제1고정공(411)과 상기 제1고정공(411) 상측에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통된 제1조절공(412)을 이 형성하며, 상기 연결소켓(400)의 체결몸체(410)가 결합하는 위치의 기초프레임(100)에 제1고정공(411)과 제1조절공(412)의 위치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공(102)과 제2조절공(10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200)과 지주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면 벽면을 형성하도록 벽면의 양측단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각각 마련된 결속와이어(310)와 상기 결속와이어(310)를 감싸 양측 결속와이어(310) 사이를 연결시켜 커버하는 막재(320)로 구성된 막재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프레임(200)의 사방(四方)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면서 서로 대향하는 면부에 서로 좌우대칭형태로 형성되면서 노출면에 막재(320)가 통과하도록 개방구(211)가 형성된 지지결속홈(210)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결속홈(210)에 막재부재(300)의 결속와이어(310) 삽입 결속되면서 결속와이어(310)를 감싸 연결되는 위치의 막재(320) 연결면(321)에 가압되도록 상기 개방구(211)의 외측 돌출탭(212a)이 내측 돌출탭(212b) 외부로 더 돌출 연장되면서 외측 돌출탭(212a)의 끝단부와 내측 돌출탭(212b)의 끝단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다수 개로 구획된 구획면에 설치된 막재부재(3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획면에 막재부재(300)를 설치되지 않고,
    상기 지주프레임(200)에 결합되어 태양광을 모아 열을 생성하는 쏠라셀모듈과, 생성된 열을 전원으로 전환하여 모으는 축전모듈로 이루어지는 태양발전모듈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게 구성되고,
    상기 벽면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주프레임(200) 중 벽면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조립식 구조물(10)의 내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600)에 결합되어 착석부 내부에 전기적 온열수단이 구비된 가로길이의 좌석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8. 삭제
KR1020210051863A 2021-04-21 2021-04-21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KR10251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863A KR102513007B1 (ko) 2021-04-21 2021-04-21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863A KR102513007B1 (ko) 2021-04-21 2021-04-21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146A KR20220145146A (ko) 2022-10-28
KR102513007B1 true KR102513007B1 (ko) 2023-03-21

Family

ID=8383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863A KR102513007B1 (ko) 2021-04-21 2021-04-21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0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698A (ja) * 2001-10-26 2003-05-08 Taiyo Kogyo Corp 膜材の定着構造
KR101133065B1 (ko) * 2011-12-19 2012-04-04 황양훈 조립식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559A (ko) * 2009-04-16 2010-10-26 강병규 정자(亭子)의 구조
KR101250505B1 (ko) * 2011-02-17 2013-04-08 정용숙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78908B1 (ko) 2016-02-22 2016-11-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옥상 설치형 조립식 온실
KR101865267B1 (ko) 2017-06-19 2018-06-08 대한전선 주식회사 나노카본을 포함하는 반도전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력케이블 중간접속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698A (ja) * 2001-10-26 2003-05-08 Taiyo Kogyo Corp 膜材の定着構造
KR101133065B1 (ko) * 2011-12-19 2012-04-04 황양훈 조립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146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631B2 (en) Portable housing system
US6345638B1 (en) Multiple peak cable tent
US20120131857A1 (en) Inflatable Enclosure
US5345962A (en) Arch supported fabric structure
KR102115516B1 (ko) 케이블 고정식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
CN114411978A (zh) 一种燕尾榫混凝土装配式围墙建筑
KR101715679B1 (ko) 보강형 골조와 이중 에어쿠션이 적용된 막 구조물
CN111441622A (zh) 一种装配式大棚及其施工方法
KR102513007B1 (ko) 기초 형상 프레임을 사용한 내진형 조립식 구조물
KR101126646B1 (ko) 조립식 구조물
JP5638221B2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068231B1 (ko) 조립식 막 구조물
KR101049004B1 (ko) 돔 구조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돔 구조물
JP5378265B2 (ja) 木造建築物の断熱構造
JP2013118238A (ja) 太陽光発電パネルフレームの支持架台構造及び支持金具
KR102360467B1 (ko) 가림막
KR101715681B1 (ko) 센터프레임에 대한 다방향 지지프레임의 조립식 연결구조를 갖는 보강형 막 구조물
CN214959376U (zh) 一种大跨距钢缆悬索高空光伏支架
KR101715680B1 (ko) 보강형 골조 및 에어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구조물
CN205688583U (zh) 建筑单元的支撑骨架结构、基本建筑单元、建筑单元及应用其的产品化建筑
CN212295806U (zh) 一种装配式大棚
KR20110107047A (ko) 조립식 주택
KR20100050993A (ko) 휴대용 간이 조립식 천막
CN208063088U (zh) 屋面无支承型屋顶光伏电站
KR102321718B1 (ko) 알루미늄프레임을 이용한 셀형 조립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