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092Y1 -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 - Google Patents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092Y1
KR200383092Y1 KR20-2005-0002735U KR20050002735U KR200383092Y1 KR 200383092 Y1 KR200383092 Y1 KR 200383092Y1 KR 20050002735 U KR20050002735 U KR 20050002735U KR 200383092 Y1 KR200383092 Y1 KR 200383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lpg
cng
fue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국
Original Assignee
김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국 filed Critical 김재국
Priority to KR20-2005-0002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3/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ing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fuels, or on a liquid fuel and another liquid, e.g. the other liquid being an anti-knock addi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에 휘발유만을 분사시키는 엔진을 LPG 또는 압축천연가스 (CNG)도 분사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휘발유/LPG(CNG) 겸용 엔진으로 변경하는데 있어서, 기존 방법은 이미 설치된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인젝터)에 추가로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흡기다기관 외곽에 별도로 기계 가공을 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의 작업 방법에 따라 기계 가공 위치가 달라 LPG(CNG)의 연료 분사 각도가 균일하지 않아 최적의 엔진 출력을 낼 수 없을뿐더러, 불완전 연소로 인한 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등의 악성 배출개스도 다량 배출될 가능성이 많다. 또한 기계 가공중 가공칩이 엔진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없애기 위하여 일일이 흡기다기관을 엔진에서 탈거하여 가공한 후 다시 재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뿐더러, 가공을 흡기다기관의 벽 두께가 작은 부위에 가공되는 경우는 시간이 경과와 함께 엔진 진동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설치된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가 이탈 또는 절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엔진에서 흡기다기관을 탈거 및 기계 가공할 필요없이 기존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인젝터) 위치에 어댑터를 설치하여 휘발유 연료 분사기(인젝터)와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가 같이 장착되게 함으로써 항시 균일한 엔진 출력 향상과 악성 배출개스가 줄어 들도록 하고, 추가로 설치되는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의 작업을 쉽게함은 물론, 설치후 높은 내구성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The Injector adaptor for bi-fuel engine using Gasoline and LPG(CNG) fuel}
본 고안은 기존에 휘발유만을 분사시키는 엔진을 LPG 또는 압축천연가스 (CNG)도 분사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휘발유/LPG(CNG) 겸용 엔진으로 변경하는데 있어서, 엔진에서 흡기다기관을 탈거 및 기계 가공할 필요없이 기존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인젝터) 위치에 어댑터를 설치하여 휘발유 연료 및 LPG(CNG) 연료가 동일 위치에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엔진 출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악성 배출개스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존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인젝터)만을 탈거한 후에 어댑터를 삽입한 후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인젝터)와 LPG(CNG)용 연료 분사기를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설치 작업성과 부품 내구성을 높이고 연료 제어 성능을 안정시키는 것에 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존의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연료 장치중에는 휘발유는 물론 LPG(CNG)연료 장치도 분사식(인젝션)을 사용하는 장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기존 흡기다기관에 설치된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인젝터)의 설치 위치와 방향이 가장 연료 분배 특성상에 좋기 때문에 엔진 출력 및 악성 배출 개스 배출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지만 기존 방식의 경우는 별도로 LPG(CNG)연료 분사기(인젝터)를 흡기 다기관 외부에 기계 가공하여 설치함으로써 연료 분사 각도와 방향이 상이하여 엔진 출력의 일관성이 없고 연료 공급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공기와의 연소 조성비가 틀려지고 이로인한 불완전 연소등으로 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등의 악성 배출개스를 다량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엔진의 흡기다기관에 기계 가공을 하여 설치하는데 있어서도 작업자에 따라 가공 설치 위치가 서로 달라 동일 차량이라해도 연료분사 위치도 상이하여 더더욱 엔진 출력의 일관성이 없고 연료 공급 상태가 불안정하다. 특히 가공하기로 설정한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의 설치 부위가 흡기다기관의 벽두께가 작은 곳인 경우라든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설치 상태가 불안정하여 엔진 진동 및 열충편등이 장시간 가해질 경우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의 이탈 또는 설치 부위에서의 누기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주행중 엔진 시동 꺼짐 및 공회전 불안정등의 문제점이 있다.
엔진에 기존의 휘발유 연료 분사기(인젝터)가 설치된 흡기다기관에 추가로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흡기다기관에 별도로 기계 가공을 하여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를 추가 설치하는 방식은 작업 방법이 매우 어렵고, 기존의 휘발유 연료 분사기(인젝터)의 위치에서 LPG(CNG) 연료가 분사되어야 엔진 출력이 향상되고 악성 배출개스가 적게 배출되어 지나, 작업자의 작업 상태에 따라 설치 위치가 각기 달라 엔진출력 저하 및 악성 배출개스 과다 배출이 초래될 수 있고, 또한 설치 상태가 불안정하여 장기간 차량 운행시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와 흡기다기관 사이에서 누기가 발생될 경우 엔진출력 저하 및 시동 꺼짐과 공회전 불안정, 악성 배출개스 과다 배출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엔진의 흡기다기관을 탈거는 물론 기계 가공을 하지 않고도 기존의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인젝터)만을 탈거한 후 어댑터를 삽입 설치후 휘발유용과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들을 삽입 설치하도록 하고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인젝터)가 분사각도 및 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하여 기존의 휘발유 연료 사용 상태에서도 엔진 성능이 감소되지 않고, LPG(CNG)용 연료 분사기(인젝터)도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엔진 성능은 물론 장기간 운행시에도 설치상의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엔진의 흡기다기관(10)의 탈거없이도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20)와 LPG(CNG)용 연료 분사기(30)가 인젝터 어댑터(40)에서 같이 설치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흡기다기관(10)에 기존의 휘발유 연료 분사기(20)가 설치되었던 부위에는 인젝터 어댑터(40)가 삽입 설치되고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20)가 삽입 설치되며, LPG(CNG)연료 분사기(30)를 통해 LPG(CNG)연료가 인젝터 어댑터(40)로 유입되도록 한 LPG(CNG) 연료 유입관(42)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 (20)가 기존의 퓨엘 레일(50)과 별도로 지지대(60)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LPG(CNG)연료의 분사량 제어가 주위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가급적 LPG(CNG) 연료용 분사기(30)가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20)에 가깝게 설치되도록 지지대(60)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1은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40)의 구조와 형상을 설치 전후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엔진의 흡기다기관(10)에 기존의 휘발유 연료 분사기(20)가 설치되었던 부위에는 삽입 설치된 인젝터 어댑터(40)는 안쪽에 LPG(CNG)유입 공간(41)이 형성되어 있고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20)는 LPG(CNG)유입 공간(41)이후까지만 삽입 설치되어지며, LPG(CNG)연료 분사기(30)에 분출된 LPG(CNG)연료는 LPG(CNG) 연료 유입관 (42)을 통해 LPG(CNG)유입 공간(41)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이 때 LPG(CNG)연료 분사기(30)과 LPG(CNG)연료 유입관(42)의 거리가 길어 질 경우 엔진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영향으로 LPG(CNG)연료의 상변화등으로 분사량 제어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가급적 LPG(CNG)연료 분사기(30)는 LPG(CNG)연료 유입관(42) 근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대(60)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2는 기존 방식의 LPG(CNG) 연료 분사기(30)의 설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휘발유용 연료 분사기(20)는 기존 엔진의 흡기다기관(10)에 그대로 설치되어 있고, LPG(CNG) 연료 분사기(30)는 흡기다기관(10)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지도록 기계 가공되어야 함에 따라 가공시에 발생되는 가공칩이 흡기다기관(10)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흡기다기관(10)을 반드시 탈거하여 기계 가공후 재 설치하여야 하며, 흡기다기관(10)의 벽두께가 작은 부위이던지 강성이 부족한 플라스틱 재질의 흡기다기관(10)에 LPG(CNG) 연료 분사기(30)를 설치할 경우 장기간 엔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흡기다기관(10)과 LPG(CNG) 연료 분사기(30)사이에 누기가 발생되거나, LPG(CNG) 연료 분사기(30)가 흡기다기관(10)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휘발유용 및 LPG(CNG) 연료 분사기(인젝터)용 어댑터 장치에 따르면, LPG(CNG) 연료 분사기(인젝터)의 설치 작업이 매우 쉽고 설치된 후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해도 엔진 진동등에 의하여 흡기다기관으로부터 LPG(CNG) 연료 분사기(인젝터)의 이탈 또는 공기 누기등을 방지하며
LPG(CNG) 연료 분사기(인젝터)와 LPG(CNG)연료 유입관 위치가 일정하여 작업 상태에 따라 엔진 출력 및 악성 배출개스량의 발생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의 구조와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존 방식의 휘발유 및 LPG(CNG) 연료 분사기(인젝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Claims (2)

  1. LPG(CNG) 연료 분사기(30)를 사용하는 휘발유와 LPG(CNG)겸용 연료 엔진에 있어서 LPG(CNG)연료의 분사 위치 및 각도와 방향이 휘발유 연료의 분사와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휘발유 연료 분사 통로와 LPG(CNG)연료 분사 통로가 공용으로 사용되어 지도록 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기존의 휘발유 연료 분사기(20)의 분사 각도와 방향의 변경없이 사용되도록 휘발유 연료 분사기(20)의 분사 통로를 보호하면서 LPG(CNG)연료 분사 통로가 추가로 설치되도록 한 장치
KR20-2005-0002735U 2005-01-28 2005-01-28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 KR200383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735U KR200383092Y1 (ko) 2005-01-28 2005-01-28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735U KR200383092Y1 (ko) 2005-01-28 2005-01-28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092Y1 true KR200383092Y1 (ko) 2005-04-29

Family

ID=4368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735U KR200383092Y1 (ko) 2005-01-28 2005-01-28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0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7978A (zh) 液化石油气喷射系统及使用该系统防止燃气泄漏和起动性能不良的方法
KR960031781A (ko) 내연기관에서 오염배출을 저감한 방법 및 보조연료시스템
US20090320774A1 (en) Operating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can be selectively operated by means of a liquid fuel and a gaseous fuel, and fuel supply system
JPWO2011148904A1 (ja) 液体燃料を用いる内燃機関に後から設置可能な後付式の気体燃料供給キット
KR101381034B1 (ko) 디젤-천연가스 혼소 엔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383092Y1 (ko) 휘발유 및 lpg(cng) 겸용 엔진용 인젝터 어댑터
JP4807732B2 (ja) 燃料噴射装置
WO2009053160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verbrennungsmotors mit zwei kraftstoffarten
KR20040028887A (ko) 엘피지자동차의 연료누설 방지장치
JP2008031922A (ja) 燃料改質装置付き内燃機関
KR20020054178A (ko)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CN100453783C (zh) 液化石油喷射发动机燃料喷射控制方法
KR20180058488A (ko) 내연기관용 수증기 공급장치
JP2005273528A (ja) レゾネータ内蔵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KR20070058130A (ko) 연료 분사장치
ATE321200T1 (de) Gasturbinentriebwerk mit einem system zur erleichterung eines kaltstartes und eines anhaltens und verfahren zur kraftstoffversorgung eines solchen triebwerks
JP3281674B2 (ja) 脱硝装置
KR200174489Y1 (ko) 희박 연소 엔진의 와류 콘트롤 동작 구조
JP2016217331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20090005711A (ko) Lpli용 lpg 탱크의 연료회수 장치
KR101200940B1 (ko) 커먼레일 디젤 엔진용 흡기매니폴드의 클리닝 장치
EP2746560B1 (en) Gas mix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5506923A (zh) 一种节能减排总成及其添加剂
WO2023105433A1 (en) Fuel system for a spark ignition engine
KR0138581Y1 (ko) 미연 가스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