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019Y1 - 물건적재용 파레트 - Google Patents

물건적재용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019Y1
KR200383019Y1 KR20-2005-0003166U KR20050003166U KR200383019Y1 KR 200383019 Y1 KR200383019 Y1 KR 200383019Y1 KR 20050003166 U KR20050003166 U KR 20050003166U KR 200383019 Y1 KR200383019 Y1 KR 200383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allet
support member
coupl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민
Original Assignee
김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민 filed Critical 김석민
Priority to KR20-2005-0003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2Platforms, i.e. load supporting devices without provision for handling by a fork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건 적재용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파렛트 받침판의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받침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파렛트 받침판의 단부 양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받침판이 고정되는 받침부재에 형성된 상측결합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받침판을 얇게 형성하여도 수직하중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물건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중앙과 양측에 다수의 받침대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대의 상, 하측에는 상측결합대와 하측결합대를 요철형상으로 형성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하측에 형성된 상,하측 결합대와 세로받침판과, 상기 세로받침판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가로절곡부를 형성한 가로받침판으로 구성되는 물건 적재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받침대 내경으로는 중공과, 외경으로는 보강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 상,하측에 형성된 상측결합대와 하측결합대의 전후방으로 보호돌편을 형성하여 절곡된 상,하측의 세로받침판의 전, 후방 단면이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측결합대를 하측결합대 보다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건적재용 파레트{Palette for a Thing Load}
본 고안은 물건 적재용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파렛트 받침판의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받침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파렛트 받침판의 단부 양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받침판이 고정되는 받침부재에 형성된 상측결합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받침판을 얇게 형성하여도 수직하중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물건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적재용 파렛트는 저면판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후 상기 저면판에 안치되는 물건을 적재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한다.
이와같은 물건적재용 파렛트는 목재로 형성한 것, 합성수지로 압출하여 사용하는 것, 금속재로 형성된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파렛트는 고가의 제작비용이 들어가 물류창고의 적재시나 운반시 사용하는 것으로 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파레트중 목재로 형성된 것은 파레트의 내구성이 저하되었으며 합성수지나 금속제의 파레트의 경우에는 모서리부분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함은 물론 파레트의 자체 무게가 증가하여 적재되는 물건을 이동할 때 지게차와 같은 운반수단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 347736호의 물건적재용 파렛트를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안한바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건적재용 파렛트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중앙과 양측에 다수의 받침대(11)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대(11)의 상, 하측에는 상측결합대(12)와 하측결합대(13)를 요철형상으로 형성하고 받침대(11)의 중앙기둥은 만곡부(15)를 형성한 받침부재(10)와, 상기 받침부재(10)의 상하측에 형성된 결합대(12)와 대응되도록 세로절곡부(21)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11)의 결합대(12)와 결합되도록 형성한 세로받침판(20)과, 상기 세로받침판(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가로절곡부(31)를 형성한 가로받침판(30)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물건적재용 파렛트는 세로받침판의 양측이 받침부재의 측면을 감싸고 있어 물건의 적재시나 파렛트를 운반할 때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된 으나 상측결합대와 하측결합대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상기 상측결합대에 결합되는 받침판이 많은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파렛트의 받침부재와 받침판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구조적 변경으로 인하여 하중의 강도는 높이고 파레트의 무게와 생산비용을 감소하며 받침부재와 받침판의 부품 교체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받침판의 단부 전후방면이 받침부재에 삽입되어 보호할 수 있어 받침판의 파손을 방지하며 파렛트의 무게를 감소하므로써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물건 적재용 파렛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중앙과 양측에 다수의 받침대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대의 상, 하측에는 상측결합대와 하측결합대를 요철형상으로 형성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하측에 형성된 상,하측 결합대와 세로받침판과, 상기 세로받침판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가로절곡부를 형성한 가로받침판으로 구성되는 물건 적재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받침대 내경으로는 중공과, 외경으로는 보강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 상,하측에 형성된 상측결합대와 하측결합대의 전후방으로 보호돌편을 형성하여 절곡된 상,하측의 세로받침판의 전, 후방 단면이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측결합대를 하측결합대보다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적재용 파렛트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건 적재용 파레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건 적재용 파레트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건 적재용 파레트를 나타낸 받침부재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물건 적재용 파레트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받침부재(10)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부재(10)는 중앙과 양측에 9개의 기둥 역할을 하며 상기 받침대(11)의 상,하측으로는 다수의 상, 하측결합대(12,13)를 요철형으로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받침부재(10)의 상하측에 형성된 상,하측결합대(12,13)와 결합되도록 세로받침판(20)을 형성하되 상기 세로받침판(20)은 상기 상측결합대(12)와 대응되도록 세로절곡부(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세로받침판(20)의 상측으로 결합되도록 가로받침판(30)을 형성하되 상기 가로받침판(30)에는 적재되는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가로절곡부(31)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물건적재용 파렛트의 받침부재(10)의 상측결합대(12)는 하측결합대(13) 보다 길게 형성하여 세로받침판(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도 수직하중에 강하며 상기 받침부재(10)의 받침대(11) 상,하측에 형성된 상측결합대(12)와 하측결합대(13)의 전후방으로 보호돌편(14)을 형성하여 절곡된 상,하측의 세로받침판(20)의 전, 후방 단면(15)이 삽입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0)의 받침대(11) 내경으로는 중공(16)과, 외경으로는 보강리브(17)를 형성하여 수직하중에 더욱 강하고 원재료를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건적재용 파레트의 받침부재(10)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상기 받침부재(10)의 받침대(11)의 상,하측으로 형성된 상,하측결합대(12,13)에 세로받침판(20)의 세로절곡부(2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세로받침판(20)은 상, 하측으로 3개씩 동일 직선상에 6개로 위치하도록 하고 각 세로받침판(20)의 단부와 중앙에 9개의 받침대(11)를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결합되는 세로받침판(20)의 양 단면(15)은 상측결합대(12)의 전후방에 형성된 보호돌편(14)에 삽입되어 작업시 세로받침판(1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합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0)의 상기 세로받침판(20)의 외측으로는 가로받침판(30)을 나사에 의해 결합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0)에 형성되어 잇는 상측결합대(12)의 길이를 하측결합대(13) 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세로받침판(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도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10)의 받침대(11) 내경으로는 중공(16)과, 외경으로는 보강리브(17)를 형성하여 재료를 절감하므로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파렛트의 무게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파렛트의 받침부재와 받침판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구조적 변경으로 인하여 하중의 강도는 높이고 파레트의 무게와 생산비용을 감소하며 받침부재와 받침판의 부품 교체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받침판의 단부 전후방면이 받침부재에 삽입되어 보호할 수 있어 받침판의 파손을 방지하며 파렛트의 무게를 감소하므로써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여 제품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물건 적재용 파레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건 적재용 파레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건 적재용 파레트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건 적재용 파레트를 나타낸 받침부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받침부재 11 : 받침대
12 : 상측결합대 13 : 하측결합대
14 : 보호돌편 15 : 단면
16 : 중공 17 : 보강리브
20 : 세로받침판 21 : 세로절곡부
30 : 가로받침판 31 : 가로절곡부

Claims (1)

  1.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중앙과 양측에 다수의 받침대(11)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대(11)의 상, 하측에는 상측결합대(12)와 하측결합대(13)를 요철형상으로 형성한 받침부재(10)와, 상기 받침부재(10)의 상하측에 형성된 상,하측 결합대(12,13)와 세로받침판(20)과, 상기 세로받침판(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가로절곡부(31)를 형성한 가로받침판(30)으로 구성되는 물건 적재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의 받침대(11) 내경으로는 중공(16)과, 외경으로는 보강리브(17)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1) 상,하측에 형성된 상측결합대(12)와 하측결합대(13)의 전후방으로 보호돌편(14)을 형성하여 절곡된 상,하측의 세로받침판(20)의 전, 후방 단면(15)이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측결합대(12)를 하측결합대(13)보다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적재용 파렛트.
KR20-2005-0003166U 2005-02-02 2005-02-02 물건적재용 파레트 KR200383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66U KR200383019Y1 (ko) 2005-02-02 2005-02-02 물건적재용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66U KR200383019Y1 (ko) 2005-02-02 2005-02-02 물건적재용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019Y1 true KR200383019Y1 (ko) 2005-04-28

Family

ID=4368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166U KR200383019Y1 (ko) 2005-02-02 2005-02-02 물건적재용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0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496B1 (ko) 2021-01-27 2021-12-22 김태영 분쇄망 안전받침과 분리가 용이한 음식물 분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496B1 (ko) 2021-01-27 2021-12-22 김태영 분쇄망 안전받침과 분리가 용이한 음식물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18001A (ja) 商品を取り扱うためのパレット、パレッ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商品の取り扱いにおいてパレットを使用する方法
KR101222932B1 (ko) 조립식 팔레트
JP3253615B2 (ja) プラスチック・パレット
US20110005436A1 (en) Steel pallet
US20060201398A1 (en) Plastic pallet having diagonally corrugated deck
US20110192327A1 (en) Loading pallet
KR101171138B1 (ko) 조립식 파렛트
KR200383019Y1 (ko) 물건적재용 파레트
KR101214792B1 (ko) 화물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KR20110100687A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20030069918A (ko) 간편 조립식 파렛트 판재, 간편 조립식 파렛트 중간지지구및 간편 조립식 파렛트와 그의 제작방법
KR101217386B1 (ko) 맞춤형 조립식 파레트
US20080190922A1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KR200347736Y1 (ko) 물건 적재용 파레트
KR200417384Y1 (ko) 철제 팔레트의 골조구조
KR100899250B1 (ko) 폐비닐 재활용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팔레트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0304597B1 (ko) 철재 파렛트
KR100556708B1 (ko) 자동차부품 저장용 조립식 팔레트
KR101298181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KR200390520Y1 (ko)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20130053903A (ko) 화물적재용 경량 팔레트
KR200345551Y1 (ko) 자동차부품 저장용 조립식 팔레트
KR200286614Y1 (ko) 조립식 파레트
KR950008452Y1 (ko) 물품 상하역 작업용 팰릿(pallet)의 구조
KR20230001375U (ko) 하이브리드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