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663Y1 -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663Y1
KR200382663Y1 KR20-2005-0001834U KR20050001834U KR200382663Y1 KR 200382663 Y1 KR200382663 Y1 KR 200382663Y1 KR 20050001834 U KR20050001834 U KR 20050001834U KR 200382663 Y1 KR200382663 Y1 KR 200382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peater
digital
main blo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경환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테크
Priority to KR20-2005-0001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장치마다 고유의 IP를 할당하고 인터넷망을 통해서 상기 중계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며 TDD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 고안은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1 안테나와 접속되어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기 메인블록; 과 상기 중계기 메인블록과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와 상기 제 1 안테나와 중계기 메인블록 사이에 접속되어 다운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과 상기 중계기 메인블록과 제 2 안테나 사이에 접속되어 업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를 받아 TDD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중계기 메인블록과의 통신에 의해 중계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IP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은, 시분할 다중방식인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장치마다 고유의 IP를 할당하고 인터넷망을 통해서 상기 중계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며 TDD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IP module for Wi-bro repeater management system}
본 고안은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장치마다 고유의 IP를 할당하고 인터넷망을 통해서 상기 중계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며 TDD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까지의 다운링크 신호의 경우 기지국(120)에서 송신한 신호는 제 1 안테나(101)로 수신된 후 제 1 듀플렉서(102)를 거쳐 제 1 저잡음 증폭기(103), 송신대역 필터(104), 제 1 전력 증폭기(105)를 지나면서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를 일정 크기로 증폭한 다음 제 2 듀플렉서(106)를 거쳐 제 2 안테나(107)를 통해 음영지역에 전송된다.
또한, 단말기로부터 기지국까지의 업링크의 경우에는 단말기(130)에서 송신한 신호가 제 2 안테나(107)로 수신된 후 제 2 듀플렉서(106)를 거쳐 제 2 저잡음 증폭기(108), 수신대역 필터(109), 제 2 전력 증폭기(110)를 지나면서 소정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가 일정 크기로 증폭된 다음 제 1 듀플렉서(102)를 거쳐 제 1 안테나(101)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본 고안은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시분할 다중방식인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장치마다 고유의 IP를 할당하고 인터넷망을 통해서 상기 중계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며 TDD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시스템을 위한 IP 모듈은,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201);와, 상기 제 1 안테나와 접속되어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기 메인블록(203);과,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206);와, 상기 제 1 안테나와 중계기 메인 블록 사이에 접속되어 다운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202);과,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제 2 안테나 사이에 접속되어 업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204); 및 고유의 IP가 할당되되 상기 제 1 또는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 각각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를 받아 TDD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의 통신에 의해 중계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IP 모듈(2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IP 모듈은, 제 1 또는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301);와, 상기 스위치로부터 선택된 다운링크 및 업링크 RF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302);와,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다운링크 중간주파수 신호를 A/D 변환하는 A/D 변환기(303);와, 상기 A/D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I, Q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디지털 다운컨버터(304);와, 상기 디지털 다운컨버터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조 및 업링크 디지털 I, Q 신호를 변조하여 디지털 업컨버터로 전송하고, 소정의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부(308)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중계기 메인 블록과 트랜시버에 TDD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모뎀(305);과, 상기 모뎀으로부터 디지털 I, Q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상향 변환하는 디지털 업컨버터(306);와, 상기 디지털 업컨버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업링크 중간주파수 신호로 D/A 변환하여 트랜시버로 전달하는 D/A 변환기(307); 및 소정의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어부(308)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동일한 통신 방식에 의해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프로세서부(309);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201), 상기 제 1 안테나와 접속되어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기 메인 블록(203),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206), 상기 제 1 안테나와 중계기 메인 블록 사이에 접속되어 다운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제 2 안테나 사이에 접속되어 업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 고유의 IP가 할당되되 상기 제 1 또는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 각각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를 받아 TDD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의 통신에 의해 중계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IP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20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중계장치로서, 통상 다운링크 신호를 소정 이득으로 저잡음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을 송신 주파수 대역만 필터링하는 송신대역 필터와, 상기 송신대역 필터의 출력을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제 1 전력 증폭기와, 업링크 신호를 소정 이득으로 저잡음 증폭하는 제 2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 주파수 대역만 필터링하는 수신대역 필터 및 상기 수신대역 필터의 출력을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제 2 전력 증폭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중계기 메인 블록(203)의 구성은 본 고안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운링크 신호 경로에 다운컨버터를 구비하고 아울러 상기 업링크 신호 경로에 업컨버터를 구비하는 중간주파수 방식이 사용될 수도있으며, 또한 상기 다운링크 신호 경로에 A/D 변환기를 구비하고 아울러 상기 업링크 신호 경로에 D/A 변환기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분기수단(202)은 상기 제 1 안테나와 중계기 메인 블록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분기수단(204)은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제 2 안테나의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 다운링크 신호와 업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것으로서 통상의 분배기나 방향성 결합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가 통과하는 주선로에 인접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부선로를 배치한 방향성 결합기를 사용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IP 모듈은, 제 1 또는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301)와, 상기 스위치로부터 선택된 다운링크 및 업링크 RF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302)와,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다운링크 중간주파수 신호를 A/D 변환하는 A/D 변환기(303)와, 상기 A/D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I, Q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디지털 다운컨버터(304)와, 상기 디지털 다운컨버터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조 및 업링크 디지털 I, Q 신호를 변조하여 디지털 업컨버터로 전송하고, 소정의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부(308)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중계기 메인 블록과 트랜시버에 TDD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모뎀(305)과, 상기 모뎀으로부터 디지털 I, Q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상향 변환하는 디지털 업컨버터(306)와, 상기 디지털 업컨버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업링크 중간주파수 신호로 D/A 변환하여 트랜시버로 전달하는 D/A 변환기(307)와, 소정의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어부(308)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동일한 통신 방식에 의해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프로세서부(309)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301)는,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2개의 경로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모뎀(305)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 1 분기수단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 경로와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의 업링크 신호 경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따라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 경로가 선택되면 제 1 분기수단으로부터의 다운링크 RF 신호가 트랜시버(302)로 전달되며, 반대로 상기 업링크 신호 경로가 선택되면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의 업링크 RF신호가 트랜시버(302)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동축형 기계식 스위치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전자식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302)는 상기 제 1 분기수단으로부터의 다운링크 RF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A/D 변환기(303)로 전달하고, 상기 D/A 변환기(303)로부터의 업링크 중간주파수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분기수단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디지털 다운컨버터(304)와 업컨버터(306)는 각각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I, Q 신호로 하향 변환하고, 디지털 I, Q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상향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모뎀(305)은 상기 디지털 다운컨버터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업링크 디지털 I, Q 신호를 변조하여 디지털 업컨버터로 전송하는 기능과 함께, 소정의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부(308)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또한 중계기 메인 블록과 트랜시버에 TDD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부(309)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어부(308)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동일한 통신 방식에 의해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모뎀, 제어부, 프로세서부 및 중계기 메인 블록간의 통신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접속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은 IP 서버(401), 기지국 제어기(BSM;Base Station Manager)(402), 그리고 제 1 내지 제 n 기지국(403, 404, 405, 406)들이 각각 하나의 링 네트워크(400)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기지국(403, 404, 405, 406)들에는 본 고안에 따른 IP 중계기들(403-1 내지 406-3)이 각각 고유의 IP를 갖고 무선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중계기마다 별도의 IP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링 네트워크(400)를 통해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운용자의 IP 서버(401)와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링 네트워크(400)에 접속된 BSM(402)에 의해서 각 중계기의 동작상태가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은, 시분할 다중방식인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장치마다 고유의 IP를 할당하고 인터넷망을 통해서 상기 중계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며 TDD 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중계기의 망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접속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201. 제 1 안테나 102. 제 1 듀플렉서
103. 제 1 저잡음 증폭기 104. 송신대역 필터
105. 제 1 전력 증폭기 106. 제 2 듀플렉서
107, 206. 제 2 안테나 108. 제 2 저잡음 증폭기
109. 수신대역 필터 110. 제 2 전력 증폭기
120. 기지국 130. 휴대 단말기
203. 제 1 분기수단 203. 중계기 메인 블록
204. 제 2 분기수단 205. IP 모듈
301. 스위치 302. 트랜시버
303. A/D 변환기 304. 디지털 다운컨버터
305. 모뎀 306. 디지털 업컨버터
307. D/A 변환기 308. 제어부
309. 프로세서부 400. 링 네트워크
401. IP 서버 402. BSM
403, 404, 405, 406. 제 1 내지 제 n 기지국
403-1 내지 406-3. 중계기

Claims (5)

  1.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중계장치에 있어서,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
    상기 제 1 안테나와 접속되어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기 메인 블록;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
    상기 제 1 안테나와 중계기 메인 블록 사이에 접속되어 다운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제 2 안테나 사이에 접속되어 업링크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 및
    고유의 IP가 할당되되 상기 제 1 또는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 각각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를 받아 TDD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중계기 메인 블록과의 통신에 의해 중계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IP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P 모듈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분기수단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로부터 선택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RF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상기 트랜시버로부터의 다운링크 중간주파수 신호를 A/D 변환하는 A/D 변환기;
    상기 A/D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I, Q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디지털 다운컨버터;
    상기 디지털 다운컨버터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조 및 업링크 디지털 I, Q 신호를 변조하여 디지털 업컨버터로 전송하고, 소정의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부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중계기 메인 블록과 트랜시버에 TDD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모뎀;
    상기 모뎀으로부터 디지털 I, Q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상향 변환하는 디지털 업컨버터;
    상기 디지털 업컨버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업링크 중간주파수 신호로 D/A 변환하여 트랜시버로 전달하는 D/A 변환기; 및
    소정의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동일한 통신 방식에 의해 중계기 메인 블록과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프로세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3.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기마다 고유의 IP를 할당하고, 상기 중계기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경로로부터 각각 신호를 분기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TDD 경로를 제어하는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제어부, 프로세서부 및 중계기 메인 블록간의 통신 방식은 UART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P 서버, 기지국 제어기, 그리고 제 1 내지 제 n 기지국들이 유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기지국들에는 각각 고유의 IP를 갖는 중계기들이 무선으로 접속되는 링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KR20-2005-0001834U 2005-01-20 2005-01-20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KR200382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834U KR200382663Y1 (ko) 2005-01-20 2005-01-20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834U KR200382663Y1 (ko) 2005-01-20 2005-01-20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663Y1 true KR200382663Y1 (ko) 2005-04-22

Family

ID=4368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834U KR200382663Y1 (ko) 2005-01-20 2005-01-20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6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8597B1 (en) Repeating installation using telephone line
JPH10247874A (ja) 時分割双方向方式携帯電話中継装置
GB2272599A (en) A method of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and a cellular radio system for use in such method
US8396418B2 (en) Microwave relay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microwave relay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icrowave relay node
CN101980580B (zh) 一种基站、远端射频单元及其信号发送方法
JPH04234233A (ja) 通信方法と通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と受信装置
KR101956875B1 (ko) 5g 네트워크용 다이나믹 tdd 방식의 los 확보를 위한 릴레이장치
KR100799679B1 (ko)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방식의 마이크로웨이브중계기시스템
EP2733976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input-multi-output signals
KR0144208B1 (ko) 이동통신 고출력 중계장치
KR200382663Y1 (ko)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ip 모듈
KR100375318B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101488159B1 (ko) 중계 기능을 겸비한 이동 단말 및 그 중계 방법
KR100491088B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WO2007108221A1 (ja) 無線通信装置
JP2967907B2 (ja) 移動無線のサービス領域拡張方法
KR20000045268A (ko) 무선 중계기의 상태 감시장치
KR100530497B1 (ko) 위성 통신 시스템과 연동하는 신호 변환 중계 장치
JPH0298238A (ja) 無線通信装置
KR101082346B1 (ko) 채널주파수 선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
KR19990018816A (ko) Wll 및 imt-2000 시스템의 실내 가입자 장치 통신방법 및 그 장치
KR100333141B1 (ko) 광 선로를 이용한 시디엠에이 기지국의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KR100442331B1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광대역 중계 시스템
KR100315307B1 (ko) 전화선 또는 전용회선을 이용한 중계장치
KR20020073878A (ko) 무선 데이터 통신용 주파수 변환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