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197Y1 -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197Y1
KR200382197Y1 KR20-2005-0000347U KR20050000347U KR200382197Y1 KR 200382197 Y1 KR200382197 Y1 KR 200382197Y1 KR 20050000347 U KR20050000347 U KR 20050000347U KR 200382197 Y1 KR200382197 Y1 KR 200382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shoulder
horizontal portion
container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20-2005-0000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1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3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being a follower-piston and the dispensing means comprising a hand-operated pressure-device at the opposite par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부와, 중앙영역에 하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수평부와 상기 어깨수평부의 둘레연부에 형성된 외부둘레벽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둘레벽부가 상기 용기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깨부와, 상기 하부통과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어깨수평부에 기립 설치되는 저장실측벽부와 상기 어깨수평부 및 상기 저장실측벽부와 협조하여 중간저장실을 형성하고 중앙영역에 상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부를 갖는 중간저장실부와, 상기 하부통과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어깨수평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밸브체와, 상기 상부통과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천정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밸브체와, 배출구가 형성된 버튼수평부와 상기 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버튼수평부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를 가지고 상기 배출관부가 상기 상부통과공에 연통하고 누름조작시 상기 천정부를 상기 어깨수평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천정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어깨부에 기립 설치되는 버튼복귀부와, 피스톤흡착둘레벽부와 상기 피스톤흡착둘레벽부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피스톤수평부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흡착둘레벽부가 상기 용기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피스톤을 갖는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측벽부는 상기 어깨수평부의 상기 하부통과공의 둘레영역으로부터 상기 누름버튼을 향해 기립 형성되고, 상기 천정부는 빨판형태의 천정흡착둘레벽부와 상기 천정흡착둘레벽부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중앙영역에 상기 상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수평부를 가지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상기 천정흡착둘레벽부가 상기 저장실측벽부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측벽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중간저장실의 용적 및 누름버튼의 단위스트로크에 대한 화장품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펌핑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Airless Pumping Type Cosmetics Receptacle}
본 고안은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겔 또는 크림형의 화장품을 진공상태로 저장하고 저장된 화장품이 펌핑(Pumping)방식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는 겔 또는 크림형의 화장품이 공기에 접촉되거나 빛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안출되어 있다.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구조로 용기의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실린더를 설치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실린더형태의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경우 누름버튼의 복귀력이 작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이 공기에 접촉될 가능성이 잔존하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없는 화장품 양이 많아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실린더형태의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00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5136호(고안의 명칭 :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하밸브체에 의해 개폐되는 중간저장실을 갖는 구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2는 종래의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요부분해단면도이다.
종래의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부(111)와, 용기부(111)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피스톤(도시되지 않음)과, 중앙영역에 하부통과공(131a)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수평부(131)를 가지고 용기부(111)를 밀폐하도록 용기부(1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깨부(130)와, 어깨수평부(131)와 협조하여 중간저장실(144)을 형성하는 중간저장실부(140)와, 배출관부(162)를 가지고 배출관부(162)가 후술하는 상부통과공(142a)에 연통하도록 중간저장실(140)의 상부에 결합된 누름버튼(160)과, 어깨수평부(131)의 상면에 설치된 하부밸브체(170)와, 후술하는 천정부(142)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밸브체(180)를 갖고 있다.
어깨부(130)는 중앙영역에 하부통과공(131a)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수평부(131)와, 어깨수평부(131)의 둘레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방향둘레벽부(132)와, 어깨수평부(131)의 둘레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방향둘레벽부(133)와, 하부통과공(131a)의 둘레영역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리상의 주름관수용리브(134)를 갖고 있다.
어깨수평부(131)는 하부통과공(131a)의 둘레영역에 디귿자 형상단면의 함몰부(131b)가 형성되어 있다.
상방향둘레벽부(132)는 상단 내표면에 고리상의 걸림턱(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깨부(130)는 하방향둘레벽부(133)를 통해 용기부(111)에 결합되어 있다.
중간저장실부(140)는 누름버튼(160)과 어깨부(13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주름관부(141)와, 주름관부(141)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주름관부(141)의 상단에 설치되는 천정부(142)를 갖고 있다.
주름관부(141)는 하부영역 외표면이 주름관수용리브(134)의 내표면에 면적촉하고, 상부영역 내표면이 후술하는 배출관부(162)의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누름버튼(160)의 누름 조작시 배출관부(162)를 통해 가해지는 하방향의 압력에 의해 주름관부(141)는 수축된다.
천정부(142)는 대략 디귿자 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는 상부통과공(142a)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160)은 버튼수평부(161)와, 버튼수평부(161) 저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162)와, 배출관부(162)를 둘러싸도록 버튼수평부(161)로부터 연장 형성된 커튼부(163)를 갖고 있다.
버튼수평부(161)는 좌측 외표면에 배출구(161a)가 배출관부(162)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튼부(163)는 하단 외표면에 걸림돌부(163a)가 상방향둘레벽부(132)의 걸림턱(132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름버튼(160)은 걸림돌부(163a)가 상방향둘레벽부(132)의 걸림턱(132a)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방향둘레벽부(132)에 결합되어 있다.
하부밸브체(170)는 하부밀폐판(171)과, 하부밀폐판(171)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연결바(172)와, 연결바(172)에 결합된 고리상의 부착판(173)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밸브체(170)는 부착판(173)이 함몰부(131b) 측벽에 밀착되고, 하부밀폐판(171)이 하부통과공(131a)의 상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어깨수평부(131)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부밸브체(180)는 상부밀폐판(181)과, 상부밀폐판(181)의 저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182)과, 연결봉(182)의 종단에 형성된 분리제한블럭(183)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밸브체(180)는 하부밀폐판(171)이 상부통과공(142a)의 상측개구를 밀폐하고 분리제한블럭(183)이 주름관부(1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천정부(14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동작을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부(111)의 내부 공간(어깨부와 피스톤의 사이 공간)에는 액상 또는 크림형태의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외부캡(도시되지 않음)을 분리시킨 후, 누름버튼(160)을 하방향을 향해 누름 조작한다.
누름버튼(160)이 눌러지면 배출관부(162)로부터의 하방향 압력에 의해 주름관부(141)가 수축되면서 중간저장실(144)의 부피가 감소되고 내부압력은 점점 증가한다. 주름관부(141)가 수축되는 동안 탄성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누름버튼(160)의 누름조작시 주름관부(141)는 측방향(어깨수평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팽창한다.
그리고 누름버튼(160)이 하강함에 따라 상부밸브체(180)는 천정부(142)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상부밸브체(180)의 천정부(142)에 대한 분리정도는 분리제한블럭(183)에 의해 제한된다.
상부밸브체(180)가 천정부(142)로부터 분리되면 중간저장실(144)내의 공기는 상부통과공(142a), 상부밸브체(180)와 천정부(142)의 상면사이의 공간 및 배출관부(1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구(16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13 참조).
다음에 누름버튼(160)의 누름조작을 해제하면, 주름관부(141)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신장되고, 누름버튼(160)은 주름관부(141)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한다. 여기서 누름버튼(160)의 누름해제조작시 주름관부(141)는 측방향(어깨수평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수축한다. 그리고 누름버튼(160)의 상승은 어깨부(130)의 상방향둘레벽부(132)에 형성된 걸림턱(132a)과 누름버튼(160)의 커튼부(163)에 형성된 걸림돌부(163a)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된다.
주름관부(141)가 상승함에 따라 중간저장실(144)의 부피가 증가되고 내부압력은 점점 감소한다.
중간저장실(144)의 압력이 감소하면 하부밸브체(170)의 하부밀폐판(171)은 어깨수평부131)의 함몰부(131b)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하부밀폐판(171)의 함몰부(131b)에 대한 분리정도는 부착판(173)에 의해 제한된다.
하부밀폐판(171)이 함몰부(131b)로부터 분리되면, 용기부(111)내의 화장품은 하부통과공(131a), 하부밀폐판(171)과 어께수평부(131)의 상면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후 중간저장실(144)의 내부로 유입된다.
용기부(111)내의 화장품이 중간저장실(144)에 유입되면, 그 유입량에 대응하는 내부용적이 감소되도록 피스톤(도시되지 않음)은 상승한다.
한편 누름버튼(160)이 상승함에 따라 상부밸브체(180)와 천정부(142)의 사이공간은 점점 감소하고, 최종적으로 배출관부(162)와 중간저장실(144)은 격리된다.
누름버튼(160)의 누름조작과 누름해제조작을 2~3회 반복시켜 중간저장실(144)에 상당량의 회장품을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저장실(144)에 회장품이 상당량 저장되면, 누름버튼(160)의 누름 조작시 중간저장실(144)에 저장된 화장품이 상부통과공(164a), 상부밸브체(180)의 상부밀폐판(181)과 천정부(142) 상면사이의 공간, 배출관부(1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구(16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14 참조).
그런데 종래의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에 따르면, 주름관부(141)의 상측 단면적은 배출관부(162)의 단면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중간저장실(144)의 용적이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누름버튼(160)의 조작시 주름관부(141)가 측방향(어깨수평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팽창하고 수축하기 때문에 누름버튼(160)의 단위스트로크(Stroke)에 대하여 배출구(161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용기부(111)로부터 중간저장실(144)로 유입되는 화장품의 양이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름관부(141)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누름버튼(160)이 원위치로 상승하기 때문에 반복사용에 의해 주름관부(141)의 복원력이 작아지는 경우 펌핑기능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중간저장실의 용적 및 누름버튼의 단위스트로크에 대한 화장품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펌핑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부와, 중앙영역에 하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수평부와 상기 어깨수평부의 둘레연부에 형성된 외부둘레벽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둘레벽부가 상기 용기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깨부와, 상기 하부통과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어깨수평부에 기립 설치되는 저장실측벽부와 상기 어깨수평부 및 상기 저장실측벽부와 협조하여 중간저장실을 형성하고 중앙영역에 상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부를 갖는 중간저장실부와, 상기 하부통과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어깨수평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밸브체와, 상기 상부통과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천정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밸브체와, 배출구가 형성된 버튼수평부와 상기 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버튼수평부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를 가지고 상기 배출관부가 상기 상부통과공에 연통하고 누름조작시 상기 천정부를 상기 어깨수평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천정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어깨부에 기립 설치되는 버튼복귀부와, 피스톤흡착둘레벽부와 상기 피스톤흡착둘레벽부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피스톤수평부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흡착둘레벽부가 상기 용기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피스톤을 갖는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측벽부는 상기 어깨수평부의 상기 하부통과공의 둘레영역으로부터 상기 누름버튼을 향해 기립 형성되고, 상기 천정부는 빨판형태의 천정흡착둘레벽부와 상기 천정흡착둘레벽부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중앙영역에 상기 상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수평부를 가지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상기 천정흡착둘레벽부가 상기 저장실측벽부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측벽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6 내지 도9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부(11)와, 용기부(11)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피스톤(20)과, 용기부(11)를 밀폐하도록 용기부(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깨부(30)와, 어깨부(30)의 상부에서 중간저장실(48)을 형성하는 중간저장실부(40)와, 중간저장실부(40)의 상부에서 배출실(44)을 형성하는 배출실부(50)와, 배출실부(50)의 상측에 설치되는 누름버튼(60)과, 후술하는 어깨수평부(31)에 기립 설치되는 복귀스프링(13)과, 후술하는 어깨수평부(31)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밸브체(70)와, 후술하는 천정부(41)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밸브체(80)와, 용기부(11)와 협조하여 누름버튼(60)을 둘러싸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캡(15)을 갖고 있다.
피스톤(20)은 빨판형태의 피스톤흡착둘레벽부(21)와, 피스톤흡착둘레벽부(21)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피스톤수평부(22)를 갖고 있다.
피스톤수평부(22)는 중앙영역에 대략 장방형상단면의 요입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피스톤(20)은 피스톤흡착둘레벽부(21)가 용기부(11)의 내표면에 밀착되고, 요입부(22a)가 상측에 배치되도록 용기부(1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어깨부(30)는 중앙영역에 하부통과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수평부(31)와, 어깨수평부(31)의 둘레연부에 형성된 외부둘레벽부(32)와, 하부통과공(31a)의 둘레영역에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된 외측 격벽부(34) 및 내측 격벽부(35)를 갖고 있다.
이들 외부둘레벽부(32), 외측 격벽부(34) 및 내측 격벽부(35)는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어깨수평부(31)는 저면 하부통과공(31a)의 둘레영역에 저장안내관부(31d)가 피스톤(20)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벽부(32)는 외표면에 고리상의 지지단턱(32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어깨수평부(31)는 중앙영역에 하부통과공(31a)을 둘러싸는 어깨저위면부(31b)와, 어깨저위면부(31b)와 단차가 있는 고리형상의 어깨고위면부(31c)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 격벽부(34)는 내표면 상측에 걸림턱(34a)이 고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깨부(30)는 지지단턱(32a)이 용기부(11)의 상단에 접촉하고 외부둘레벽부(32)가 용기부(11)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용기부(11)에 언더컷(UnderCut) 홈과 돌기를 통해(이하 "언더컷결합방법"이라고 한다) 결합되어 있다.
중간저장실부(40)는 어깨수평부(31)의 하부통과공(31a)의 둘레영역에서 누름버튼(60)을 향해 기립 설치되는 저장실측벽부(46)와, 어깨수평부(31) 및 저장실측벽부(46)와 협조하여 중간저장실(48)을 형성하는 천정부(41)를 갖고 있다.
저장실측벽부(46)는 전 높이구간에 걸쳐 어깨수평부(31)로부터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천정부(41)는 빨판형태의 천정흡착둘레벽부(43)와, 천정흡착둘레벽부(43)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천정수평부(42)를 갖고 있다.
천정수평부(42)는 중앙영역에 상부통과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수평부(42)는 상부통과공(42a)을 둘러싸는 천정저위면부(42b)와, 천정저위면부(42b)와 단차가 있는 고리형상의 천정고위면부(42c)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천정부(41)는 누름버튼(60)의 누름조작시 천정흡착둘레벽부(43)가 저장실측벽부(46)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도록 저장실측벽부(46)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실부(50)는 천정부(41)의 상부통과공(42a)의 둘레영역영역에서 누름버튼(60)을 향해 기립 형성된 배출실측벽부(58)와, 배출실측벽부(58)와 협조하여 배출실(44)을 형성하는 내부캡(51)을 갖고 있다.
내부캡(51)은 배출실측벽부(58)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내부캡수평부(56)와, 내부캡수평부(56)의 상면으로부터 누름버튼(60)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배출안내관부(53)와, 내부캡수평부(56)의 중앙영역에서 배출안내관부(53)와 연통하도록 어깨수평부(31)를 향해 기립 형성된 배출실연결관부(52)와, 내부캡수평부(56)의 둘레연부로부터 배출실연결관부(52)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캡둘레벽부(54)와, 캡둘레벽부(54)와 배출실연결관부(52)사이에서 배출실연결관부(52)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캡격벽부(55)를 갖고 있다.
캡둘레벽부(54)는 외표면에 걸림돌기(54a)가 어깨부(30)의 외부둘레벽부(32)에 형성된 걸림턱(34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부캡(51)은 내부캡수평부(56)의 저면이 배출실측벽부(58)의 상단에 접촉한 상태로 배출실연결관부(52)를 통해 배출실측벽부(58)에 언더컷결합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부캡(51)이 하강하면 배출실측벽부(58)를 통해 천정부(41)에 가해지는 하방향의 압력에 의해 내부캡(51)과 함께 천정부(41)도 하강하게 된다.
누름버튼(60)은 버튼수평부(61)와, 버튼수평부(61) 저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62)와, 배출관부(62)를 둘러싸도록 버튼수평부(61)로부터 연장 형성된 커튼부(63)와, 배출관부(62)의 내부 상부영역에서 배출관부(6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가압리브(64)를 갖고 있다.
버튼수평부(61)는 좌측 외표면에 배출구(61a)가 배출관부(62)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름버튼(60)은 가압리브(64)의 하단이 배출안내관부(53)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배출관부(62)의 내표면과 배출안내관부(53)의 외표면을 통해 언더컷결합방법으로 내부캡(51)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누름버튼(60)의 누름조작시 가압리브(64)를 통해 내부캡(51)에 가해지는 하방향의 압력에 의해 누름버튼(60)과 함께 내부캡(51)도 하강하게 된다.
복귀스프링(13)은 어깨부(30)의 내측 격벽부(35)와 저장실측벽부(46)의 사이공간 및 내부캡(51)의 배출실연결관부(52)와 캡격벽부(55)의 사이공간을 점유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부밸브체(70)는 하부통과공(31a)을 밀폐하기 위한 하부밀폐판(71)과, 하부밀폐판(71)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하부승강안내벽부(74)와, 후술하는 하부밀폐홈(73b)에 장착된 하부밀폐링(75)을 갖고 있다.
하부밀폐판(71)은 어깨수평부(31)의 어깨저위면부(31b)에 밀착되는 하부돌출부(72)와, 어깨수평부(31)의 어깨고위면부(31c)에 밀착되는 하부평탄부(73)를 갖고 있다.
하부평탄부(73)는 측면에 하부안내홈(73a)이 다수개 절취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부평탄부(73)의 하부돌출부(72) 연결영역에는 하부밀폐홈(73b)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승강안내벽부(74)는 종단 외표면에 하부분리제한돌부(74a)가 고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밸브체(70)는 하부밀폐판(71)이 하부통과공(31a)을 덮고, 하부승강안내벽부(74)가 어깨수평부(31)를 관통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어깨수평부(3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밸브체(80)는 상부통과공(42a)을 밀폐하기 위한 상부밀폐판(81)과, 상부밀폐판(81)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상부승강안내벽부(84)와, 후술하는 상부밀폐홈(83b)에 장착된 상부밀폐링(85)을 갖고 있다.
상부밀폐판(81)은 천정수평부(42)의 천정저위면부(42b)에 밀착되는 상부돌출부(82)와, 천정부(41)의 천정고위면부(42c)에 밀착되는 상부평탄부(83)를 갖고 있다.
상부평탄부(83)는 측면에 상부안내홈(83a)이 다수개 절취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부평탄부(83)의 상부돌출부(82) 연결영역에는 상부밀폐홈(83b)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승강안내벽부(84)는 종단 외표면에 상부분리제한돌부(84a)가 고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밸브체(80)는 상부밀폐판(81)이 상부통과공(42a)을 덮고, 상부승강안내벽부(84)가 천정수평부(42)를 관통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천정수평부(4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캡(15)은 하단이 어깨부(30)의 지지단턱(32a)에 접촉되도록 어깨부(30)의 외부둘레벽부(32)에 언더컷결합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동작을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부(11)의 내부 공간(어깨부와 피스톤의 사이 공간)에는 액상 또는 크림형태의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외부캡(15)을 분리시킨 후, 누름버튼(60)을 하방향을 향해 누름조작한다.
누름버튼(60)이 누름조작되면 내부캡(51)과 천정부(41)는 하강하게 된다.
내부캡(51)이 하강하는 동안 복귀스프링(13)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천정부(41)가 하강함에 따라 중간저장실(48)의 부피가 감소되고 내부압력은 점점 증가한다. 여기서 누름버튼(60)의 누름 조작시 중간저장실(48)의 부피는 누름버튼(60)의 하강스트로크(Stroke)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그리고 천정부(41)가 하강하면 상부밸브체(80)는 천정부(41)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상부밸브체(80)의 천정부(41)에 대한 분리는 상부승강안내벽부(84)의 상부분리제한돌부(84a)에 의해 제한된다.
상부밸브체(80)가 천정부(41)로부터 분리되면 중간저장실(48)내의 공기는 상부통과공(42a), 상부밸브체(80)와 천정수평부(42)의 상면사이의 공간, 배출실(44), 배출안내관부(53) 및 배출관부(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구(6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10 참조).
다음에 누름버튼(60)의 누름조작을 해제하면, 누름버튼(60)과 내부캡(51)은 복귀스프링(1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한다. 여기서 내부캡(51)의 상승은 어깨부(30)의 외부둘레벽부(32)에 형성된 걸림턱(34a)과 내부캡(51)의 캡둘레벽부(54)에 형성된 걸림돌기(54a)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된다.
천정부(41)가 상승함에 따라 중간저장실(48)의 부피가 증가되고 내부압력은 점점 감소한다. 여기서 누름버튼(60)의 누름해제 조작시 중간저장실(48)의 부피는 누름버튼(60)의 상승스트로크(Stroke)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중간저장실(48)의 압력이 감소하면 하부밸브체(70)는 어깨수평부(31)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하부밸브체(70)의 어깨수평부(31)에 대한 분리는 하부승강안내벽부(74)의 하부분리제한돌부(74a)에 의해 제한된다.
하부밸브체(70)가 어깨수평부(31)로부터 분리되면, 용기부(11)내의 화장품은 하부통과공(31a), 하부밸브체(70)와 어깨수평부(31)의 상면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후, 중간저장실(48)의 내부로 유입된다(도11 참조).
용기부(11)내의 화장품이 중간저장실(48)에 유입되면, 그 유입량에 대응하는 내부용적이 감소되도록 피스톤(20)은 상승한다.
한편 내부캡(51)이 상승함에 따라 상부밸브체(80)와 천정수평부(42)의 사이공간은 점점 감소하고, 최종적으로 배출실(44)과 중간저장실(48)은 격리된다.
누름버튼(60)의 누름조작과 누름해제조작을 2~3회 반복시켜 중간저장실(48)에 상당량의 회장품을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저장실(48)에 회장품이 상당량 저장되면, 누름버튼(60)의 누름조작시 중간저장실(48)에 저장된 화장품이 상부통과공(42a), 상부밸브체(80)와 천정수평부(42) 상면사이의 공간, 배출실(44), 배출안내관부(53) 및 배출관부(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구(6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측벽부(46)를 전 높이구간에 걸쳐 어깨수평부(31)로부터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중간저장실(48)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누름버튼(60)의 조작시 중간저장실(48)의 부피는 누름버튼(60)의 하강 또는 상승스트로크(Stroke)에 비례하여 감소하거나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버튼(60)의 단위스트로크에 대한 화장품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누름버튼(60)은 복귀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반복사용에 따라 복귀스프링(13)의 탄성력이 감소하는 경우 복귀스프링(13)의 교체를 통해 펌핑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저장실측벽부를 전 높이구간에 걸쳐 어깨수평부로부터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하여 중간저장실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누름버튼의 조작시 중간저장실의 부피는 누름버튼의 하강 또는 상승스트로크에 비례하여 감소하거나 증가되도록 하여 누름버튼의 단위스트로크에 대한 화장품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은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하도록 하여 복귀스프링의 교체를 통해 펌핑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5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6 내지 도9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분해단면도,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동작상태도,
도12는 종래의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요부분해단면도,
도13 및 도14는 각각 종래의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의 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용기부 13 : 복귀스프링
15 : 외부캡 20 : 피스톤
30, 130 : 어깨부 31, 131 : 어깨수평부
36, 114 : 중간저장실 40 : 중간저장실부
41 : 천정부 42 : 천정수평부
43 : 천정흡착둘레벽부 46 : 저장실측벽부
50 : 배출실부 51 : 내부캡
60, 160 : 누름버튼 61, 161 : 버튼수평부
62, 162 : 배출관부 70, 170 : 하부밸브체
71 : 하부밀폐판 75 : 하부밀폐링
80, 180 : 상부밸브체 81 : 상부밀폐판
85 : 상부밀폐링 113 : 주름관부
172 : 연결바 173 : 부착판
182 : 연결봉 183 : 분리제한블럭

Claims (1)

  1.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부와, 중앙영역에 하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수평부와 상기 어깨수평부의 둘레연부에 형성된 외부둘레벽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둘레벽부가 상기 용기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깨부와, 상기 하부통과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어깨수평부에 기립 설치되는 저장실측벽부와 상기 어깨수평부 및 상기 저장실측벽부와 협조하여 중간저장실을 형성하고 중앙영역에 상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부를 갖는 중간저장실부와, 상기 하부통과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어깨수평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밸브체와, 상기 상부통과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천정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밸브체와, 배출구가 형성된 버튼수평부와 상기 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버튼수평부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를 가지고 상기 배출관부가 상기 상부통과공에 연통하고 누름조작시 상기 천정부를 상기 어깨수평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천정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어깨부에 기립 설치되는 버튼복귀부와, 피스톤흡착둘레벽부와 상기 피스톤흡착둘레벽부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된 피스톤수평부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흡착둘레벽부가 상기 용기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피스톤을 갖는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측벽부는 상기 어깨수평부의 상기 하부통과공의 둘레영역으로부터 상기 누름버튼을 향해 기립 형성되고, 상기 천정부는 빨판형태의 천정흡착둘레벽부와 상기 천정흡착둘레벽부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중앙영역에 상기 상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수평부를 가지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상기 천정흡착둘레벽부가 상기 저장실측벽부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측벽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KR20-2005-0000347U 2005-01-06 2005-01-06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KR200382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47U KR200382197Y1 (ko) 2005-01-06 2005-01-06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47U KR200382197Y1 (ko) 2005-01-06 2005-01-06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197Y1 true KR200382197Y1 (ko) 2005-04-19

Family

ID=4368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347U KR200382197Y1 (ko) 2005-01-06 2005-01-06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1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949B1 (ko) 2011-07-26 2013-05-21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949B1 (ko) 2011-07-26 2013-05-21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993B1 (ko) 내용물 배출펌프
JP4309279B2 (ja) 低背型予備加圧ポンプ
JP5714224B2 (ja) ポンプ付き容器
KR101448829B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100918856B1 (ko) 화장품용기용 압출펌프
US11833533B2 (en) Pump container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CN113148420B (zh) 泵容器
CN111712329B (zh) 双重容器
RU2337867C2 (ru) Крышка емкости, в частности вакуумной емкости для хран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N111743286B (zh) 化妆盒
JP2017535422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101464590B1 (ko) 화장품용기
KR200380613Y1 (ko)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KR200382197Y1 (ko)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KR200382198Y1 (ko)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KR200401892Y1 (ko)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JP5311475B2 (ja) 液体吐出ポンプ
KR20200001048A (ko) 펌프 용기
EP4089029A1 (en) Bladder-type dispensing pump
KR200401893Y1 (ko)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200312903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200492591Y1 (ko) 펌핑식 튜브용기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