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156Y1 - 발포수지 감용기 - Google Patents

발포수지 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156Y1
KR200382156Y1 KR20-2005-0003170U KR20050003170U KR200382156Y1 KR 200382156 Y1 KR200382156 Y1 KR 200382156Y1 KR 20050003170 U KR20050003170 U KR 20050003170U KR 200382156 Y1 KR200382156 Y1 KR 200382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asing
grinding
compress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곤
진대식
Original Assignee
김행곤
진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곤, 진대식 filed Critical 김행곤
Priority to KR20-2005-0003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8Cutter-compactors, e.g. of the EREMA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포수지 감용기에 관한 것으로, 분쇄된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하단의 배출구(12)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부가 경사형성된 분쇄수지수집탱크(10)와;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의 배출구(12) 하측에 설치되며, 모터(21)에 연동회전되고 다수의 회전날개(23)가 부착된 윤활공급축(22)과, 하측으로 낙하되는 분쇄수지양을 조정가능하도록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한 개폐조정판(24)이 구비된 회전공급장치(20)와; 상기 회전공급장치(20)에 연통되게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유입된 분쇄수지를 회전에 의해 전방의 유출공(32)측으로 이송시키는 압착스크류(33)가 설치되고, 내면둘레상에 나선형 유도홈(34)이 형성된 압착케이싱(30)과;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전방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이송된 분쇄수지를 열용융시키며,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지정온도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온오프작동되어 지정온도를 유지하는 열용융수단(40)과;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유입구(31) 직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압착케이싱(30)으로 유입되는 분쇄수지에 섞인 수분을 외부로 하강배출시키는 수분배출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압착케이싱 내벽상에 분쇄수지가 눌러붙는 것을 방지시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쇄수지를 고르게 용융 및 유출시킬 수 있으며, 지정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어 외부온도나 분쇄수지의 양, 종류에 따라 발열온도를 조정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분쇄수지가 고온영역으로 이송되기 전에 분쇄수지에 섞인 수분 및 물이 자동으로 외부배출되어 분쇄수지 용융 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발포수지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수지 감용기{blowing-resin compressor}
본 고안은 발포수지 감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수지를 열용융이 이루어지는 압착케이싱 내벽둘레에 너트형 나사산과 같은 형태의 유도홈이 형성되며, 전방에 설치된 열용융수단에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압착케이싱 내벽상에 분쇄수지가 눌러붙는 것을 방지시키고 지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발포수지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폐플라스틱은 자연능력으로는 분해되지 않아 매립해도 썩지않고 그대로 남아있게 되며, 소각시에는 완전한 연소가 어렵다. 또한 매립이나 소각 후에도 중금속의 잔재가 남아 이차적인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되므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스티로폼은 플라스틱의 원료 중 하나인 폴리스텔렌수지에 펜탄이나 부탄 등을 주입시킨 뒤 증기로 부풀린 발포제품으로, 희고 가벼우며, 내수성,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부서지기 쉬운 물품의 운송용 포장재나 건축재료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열가소성을 가지고 있어 높은 열을 가하면 유동체가 되므로 이를 압출성형시키면 능률적으로 가공하여 합성목재나 경량 콘크리트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으며, 펜탄가스를 발포제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감용과정에서도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폐스티로폼의 처리방법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지 않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폐수지들을 재활용하기 위해 수지를 감용시키기 위한 감용기는 주로 열용융수단과 압착스크류 등을 이용한 열용융압착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열용융압착방식의 감용기는 폐수지의 열용융 및 압착이 이루어지는 압착케이싱 내벽상에 용융된 폐수지가 들러붙어 폐수지의 전방이송속도를 저하시키고, 일부가 지속적으로 고열에 노출되어 용융폐수지의 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외부온도나 폐수지 양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열용융수단의 발열온도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수동으로 온도조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압착케이싱 내벽상에 분쇄수지가 눌러붙는 것을 방지시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쇄수지를 고르게 용융 및 유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발포수지 감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정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어 외부온도나 폐수지의 양, 종류에 따라 발열온도를 조정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구조의 발포수지 감용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분쇄된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하단의 배출구(12)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부가 경사형성된 분쇄수지수집탱크(10)와;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의 배출구(12) 하측에 설치되며, 모터(21)에 연동회전되고 다수의 회전날개(23)가 부착된 윤활공급축(22)과, 하측으로 낙하되는 분쇄수지양을 조정가능하도록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한 개폐조정판(24)이 구비된 회전공급장치(20)와; 상기 회전공급장치(20)에 연통되게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유입된 분쇄수지를 회전에 의해 전방의 유출공(32)측으로 이송시키는 압착스크류(33)가 설치되고, 내면둘레상에 나선형 유도홈(34)이 형성된 압착케이싱(30)과;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전방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이송된 분쇄수지를 열용융시키며,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지정온도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온오프작동되어 지정온도를 유지하는 열용융수단(40)과;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유입구(31) 직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압착케이싱(30)으로 유입되는 분쇄수지에 섞인 수분을 외부로 하강배출시키는 수분배출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포수지 감용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따라서, 압착케이싱 내벽상에 분쇄수지가 눌러붙는 것을 방지시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쇄수지를 고르게 용융 및 유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정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어 외부온도나 분쇄수지의 양, 종류에 따라 발열온도를 조정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분쇄수지가 고온영역으로 이송되기 전에 분쇄수지에 섞인 수분 및 물이 자동으로 외부배출되어 분쇄수지 용융 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발포수지 감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요부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발포수지 감용기는 크게 분쇄수지수집탱크(10), 회전공급장치(20), 압착케이싱(30), 열용융수단(40), 수분배출구(50)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10)에 임의로 수집된 분쇄수지는 하측의 상기 압착케이싱(30)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회전공급장치(20)에 의해 하방이송을 보조받으며, 상기 압착케이싱(30)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열용융수단(40)에 의해 열용융되고 압착스크류(33)에 의해 압착되어 외부배출되고, 상기 분쇄수지에 섞여 투입된 수분은 상기 수분배출구(50)를 통해 상기 분쇄수지와 분리되어 외부배출된다.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10)는 분쇄된 폐수지가 일차로 수집되는 탱크로, 상부에는 분쇄된 폐수지가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투입된 폐수지가 하강하여 하측으로부터 적재되고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에 배출구(12)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배출구(12)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10) 하단의 배출구(12)측으로 갈수록 분쇄수지 수집 및 이동경로가 좁아지게 되어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10) 내부로 투입된 분쇄수지 전량이 상기 배출구(12)측으로 자동이동된다.
상기 회전공급장치(20)는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의 배출구(12)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수지의 하강이동을 윤활시키거나 보조이송이시키는 구성요소로, 적층된 분쇄수지의 일부를 밀어낼 수 있는 접촉면을 구비한 다수의 회전날개(23)가 부착되고 모터(21)에 연동회전되는 윤활공급축(22)이 구비되어, 분쇄수지가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의 좁은 배출구(12)를 통과하여 적재되면서 하방낙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시 상기 윤활공급축(22)의 작동에 의해 분쇄수지간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거나 하측으로 강제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공급장치(20)의 하부에는 분쇄수지의 이송경로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한 개폐조정판(24)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조정판(24)을 상기 분쇄수지의 이송경로측으로 밀어넣을수록 경로가 좁아지고 상기 개폐조정판을 상기 분쇄수지의 이송경로 외측으로 꺼낼수록 경로가 확장됨에 따라 하측의 상기 압착케이싱(30)으로 낙하되는 분쇄수지양을 조정가능하다.
상기 압착케이싱(30)은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10) 및 회전공급장치(20)에 연통되게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분쇄수지를 전방이송시키는 압착스크류(33)가 설치되고, 내면둘레상에는 용융되어 내벽상에 부착된 분쇄수지의 이송을 유도하는 유도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스크류(33)는 후방에서 내측으로 유입된 분쇄수지를 회전에 의해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전방에 형성된 유출공(32)측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유출공(32)은 상기 압착케이싱(30)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전방부로 이송된 열용융수지를 압출시키게 된다.
상기 유도홈(34)은 상기 압착케이싱(30) 내면둘레상에 너트형 나사산과 같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착스크류(33)의 전방이송 회전력이 미비하게 미쳐 상기 압착케이싱(30) 내벽상에 고착될 수 있는 열용융수지가 너트형 나사산에 끼이게 됨에 따라 상기 압착스크류(33)의 회전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나선형의 상기 유도홈(34)을 타고 전방으로 용이하게 이송되어, 상기 압착케이싱(30) 내벽상에 분쇄수지가 눌러붙는 것을 방지시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쇄수지의 일부가 지속적으로 고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킴으로써 분쇄수지를 보다 고르게 용융 및 유출시키게 된다.
상기 열용융수단(40)은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전방에 장착되어 전방의 유출공(32)측으로 이송된 분쇄수지를 열용융시키는 구성요소로,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지정온도보다 높아지면 상기 열용융수단(40)의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고, 지정온도보다 온도가 낮아지면 전원이 다시 자동으로 켜져,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온도 및 신호에 따라 상기 열용융수단(40)이 자동으로 온오프작동되어 지정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부온도나 분쇄수지의 양, 종류에 따라 발열온도를 조정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수분배출구(50)는 상기 압착케이싱(30)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압착케이싱(30) 내부로 분쇄수지가 유입되는 유입구(31) 직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압착케이싱(30)으로 유입되는 분쇄수지가 전방의 고온영역으로 이송되기 전에 분쇄수지에 섞여 유입되는 수분이 자동으로 외부로 하강배출됨에 따라 분쇄수지 열용융 시 수분이 섞여 소비되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압착케이싱 내벽상에 분쇄수지가 눌러붙는 것을 방지시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쇄수지를 고르게 용융 및 유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정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어 외부온도나 분쇄수지의 양, 종류에 따라 발열온도를 조정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쇄수지가 고온영역으로 이송되기 전에 분쇄수지에 섞인 수분 및 물이 자동으로 외부배출되어 분쇄수지 용융 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발포수지 감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 - 도1의 요부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분쇄수지수집탱크 11 : 투입구
12 : 배출구 20 : 회전공급장치
21 : 모터 22 : 윤활공급축
23 : 회전날개 24 : 개폐조정판
30 : 압착케이싱 31 : 유입구
32 : 유출공 33 : 압착스크류
34 : 유도홈 40 : 열용융수단
50 : 수분배출구

Claims (1)

  1. 분쇄된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하단의 배출구(12)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부가 경사형성된 분쇄수지수집탱크(10)와;
    상기 분쇄수지수집탱크의 배출구(12) 하측에 설치되며, 모터(21)에 연동회전되고 다수의 회전날개(23)가 부착된 윤활공급축(22)과, 하측으로 낙하되는 분쇄수지양을 조정가능하도록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한 개폐조정판(24)이 구비된 회전공급장치(20)와;
    상기 회전공급장치(20)에 연통되게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유입된 분쇄수지를 회전에 의해 전방의 유출공(32)측으로 이송시키는 압착스크류(33)가 설치되고, 내면둘레상에 나선형 유도홈(34)이 형성된 압착케이싱(30)과;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전방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이송된 분쇄수지를 열용융시키며,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지정온도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온오프작동되어 지정온도를 유지하는 열용융수단(40)과;
    상기 압착케이싱(30)의 유입구(31) 직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압착케이싱(30)으로 유입되는 분쇄수지에 섞인 수분을 외부로 하강배출시키는 수분배출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 감용기.
KR20-2005-0003170U 2005-02-02 2005-02-02 발포수지 감용기 KR200382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70U KR200382156Y1 (ko) 2005-02-02 2005-02-02 발포수지 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70U KR200382156Y1 (ko) 2005-02-02 2005-02-02 발포수지 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156Y1 true KR200382156Y1 (ko) 2005-04-19

Family

ID=4368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170U KR200382156Y1 (ko) 2005-02-02 2005-02-02 발포수지 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1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4004455A (es) Dispositivo para procesar material plastico.
KR101309034B1 (ko) 고형연료 성형기
KR100913928B1 (ko) 고형연료 성형기
WO2008135757A1 (en) Was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0435218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0287790B1 (ko) 일반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 시스템
KR100743218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연료 제조장치
JP3917576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減容造粒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60798A (ja) 発泡スチロール廃材の破砕.溶融リサイクル装置
KR200382156Y1 (ko) 발포수지 감용기
KR20100117166A (ko)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2030024B1 (ko)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JP2009084517A (ja) 廃プラスチック類の圧縮固化方法及び圧縮固化装置
CN115556258A (zh) Eps热熔造粒机
KR100538478B1 (ko) 발포수지 감용기
KR101019216B1 (ko) 이동식 발포폴리스티렌 제품 재생장치
KR0175915B1 (ko) 폐 발포 폴리스티렌 재생장치
KR200304705Y1 (ko) 재생펠렛제조장치
JP2964399B2 (ja) 古紙再生ペレット、古紙再生ペレット造粒方法、及び古紙再生ペレット造粒装置
KR101994920B1 (ko) 폐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및 제조방법
JP2010158853A (ja) 減容加工装置及び減容加工方法
KR100866308B1 (ko) 폐필름 재생기
KR20210072311A (ko) 유압방식의 고형연료 압출 성형기
KR101839549B1 (ko) 폐합성수지 펠릿의 제조방법
KR20060114917A (ko) 스티로폼 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