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96Y1 - 유아용 좌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96Y1
KR200381596Y1 KR20-2005-0001556U KR20050001556U KR200381596Y1 KR 200381596 Y1 KR200381596 Y1 KR 200381596Y1 KR 20050001556 U KR20050001556 U KR 20050001556U KR 200381596 Y1 KR200381596 Y1 KR 200381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infant
toilet seat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주
Original Assignee
임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주 filed Critical 임영주
Priority to KR20-2005-0001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유아용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 몸체로부터 별도의 변기시트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아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유아용 좌변기는 상기 좌판을 포함한 몸체의 대부분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아가 좌판에 걸터앉게 되면 감촉이 딱딱하고 차가워서 유아가 이를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어느 정도 배변습관을 익힌 유아 또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차츰 유아용 좌변기와 일반 양변기를 함께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 양변기의 좌판 대부분은 어른의 체형에 맞춰서 제작된 것이므로 유아 및 어린이가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제작된 유아용 좌판을 양변기 좌판 상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소형 좌판이 일체로 형성된 양변기 좌판을 따로 구입해야 했기 때문에 비용이 이중으로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에 배출구가 형성된 좌판의 상부에 쿠션시트를 착탈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유아가 편안하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일반 양변기의 좌판에 상기 쿠션시트를 안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좌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유아용 좌변기.

Description

유아용 좌변기{A toilet stool for a baby}
본 고안은 유아용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 몸체로부터 별도의 변기시트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아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유아용 좌변기는 막 배변연습을 시작한 유아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통상 좌판과 등받이를 갖춘 의자 형태의 몸체로서, 상기 좌판의 중앙에 유아 및 어린이의 엉덩이 크기에 맞도록 배출공이 형성되고, 좌판 하부에 손쉽게 인출 및 결합토록 슬라이드 착탈되는 변기통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좌변기는 상기 좌판을 포함한 몸체의 대부분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아가 좌판에 걸터앉게 되면 감촉이 딱딱하고 차가워서 유아가 이를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어느 정도 배변습관을 익힌 유아 또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차츰 유아용 좌변기와 일반 양변기를 함께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 양변기의 좌판 대부분은 어른의 체형에 맞춰서 제작된 것이므로 유아 및 어린이가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제작된 유아용 좌판을 양변기 좌판 상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소형 좌판이 일체로 형성된 양변기 좌판을 따로 구입해야 했기 때문에 비용이 이중으로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에 배출구가 형성된 좌판의 상부에 쿠션시트를 착탈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유아가 편안하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일반 양변기의 좌판에 상기 쿠션시트를 안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좌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좌변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좌변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유아용 좌변기에 쿠션시트가 탈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좌변기는 크게 유아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중앙에 배출공(11)이 관통 형성된 좌판(12)이 일체로 이루어진 상부몸체(10)와, 상부몸체(10)의 하부를 지지하며 내측에 변기통(30)이 내부로 슬라이드 착탈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만큼의 변기통안착부(21)가 형성된 하부몸체(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부몸체(10)의 좌판에는 쿠션시트(1) 및 소변막이(2)가 탈착 가능토록 안착되고, 상부몸체(10)의 후방에는 변기뚜껑(40)이 상부몸체(10)에 대해 직각만큼 회전 가능토록 힌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쿠션시트(1)는 스펀지, 우레탄 등과 같은 쿠션재에 직물지를 피복하여 봉재한 것으로, 쿠션시트(1)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1a)가 형성되고, 상기 좌판(12) 상면에는 상기 각 고정돌기(1a)에 대응하는 요입홈(12a)이 형성되어 좌변기 사용 시 쿠션시트(1)를 상부몸체(10)의 좌판(12)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쿠션시트(1)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a)를 일반 양변기 좌판(51)의 배출공(52) 둘레의 표준 사이즈에 맞춰서 배치 형성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쿠션시트(1)를 요입홈(12a)에서 탈착시켜 용이하게 일반 양변기(50)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소변막이(2)는 특히 남자아이가 용변을 볼 때 소변이 좌변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판(12)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어 좌판(12)에 대해 직각만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좌변기 사용 시에는 위로 회전시켜 수직상태로 사용하고, 좌변기 사용이 끝나면 변기뚜껑(40)을 닫기 전에 아래로 눌러 수평상태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20)의 변기통안착부(21) 좌우 내측벽에는 변기통(30) 높이에 대응하는 단턱(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단턱(22)의 상면을 따라 레일(23)을 고정하여 변기통(30)의 안내편(31)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토록 함으로써 변기통(30)이 하부몸체(20)에 용이하게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는 그 저부와 상부가 서로 끼움 결합을 통해 일체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몸체(10)의 저부에는 다수 개의 끼움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23) 상면에는 상기 각 끼움돌기(13)가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편(23a)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에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 및 아동이 용변을 보고자 할 때는 변기뚜껑(40)을 열고 상부몸체(10)의 좌판(12) 위에 장착된 쿠션시트(1)에 앉아 변을 보게 되고, 이 때, 상기 변기뚜껑(40)은 좌판(12)에 대해 수직 상태로 세워지면서 등받이 기능을 하게 된다.
용변을 모두 본 후에는 하부몸체(20)에서 변기통(30)을 분리하여 변을 비우고 깨끗이 세척한 다음 다시 변기통(30)을 하부몸체(20)의 내부에 고정시키고 변기뚜껑(40)을 덮어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쿠션시트(1)는 그 배면의 고정돌기(1a)가 상부몸체(10)의 좌판(12)에 형성된 요입홈(12a)에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토록 구성됨으로써 어느 정도 배변연습에 익숙해진 유아 및 아동을 일반 양변기에 용변을 보게 할 경우에는 상부몸체(10)의 좌판(12)에서 쿠션시트(1)를 간단히 분리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일반 양변기 좌판(51)의 배출공(52) 둘레에 안착시키면 유아가 편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쿠션시트(1)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좌변기는 푹신푹신하고 감촉이 좋은 쿠션시트가 장착됨으로써 사용 시 촉감이 부드럽고 보온이 잘 되어 유아가 친근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쿠션시트를 탈착시키고 이를 다시 일반 양변기에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며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좌변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좌변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유아용 좌변기에 쿠션시트가 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일반 양변기에 쿠션시트가 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쿠션시트 1a : 고정돌기
2 : 소변막이 10 : 상부몸체
11 : 배출공 12 : 좌판
12a : 요입홈 13 : 끼움돌기
20 : 하부몸체 21 : 변기통안착부
22 : 단턱 23 : 레일
23a : 걸림편 30 : 변기통
31 : 안내편 40 : 변기뚜껑
50 : 양변기 51 : 양변기 좌판
52 : 양변기 배출공

Claims (2)

  1. 유아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중앙에 배출공(11)이 관통 형성된 좌판(12)이 일체로 이루어진 상부몸체(10)와, 상부몸체(10)의 하부를 지지하며 내측에 변기통(30)이 내부로 슬라이드 착탈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만큼의 변기통(30)안착부가 형성된 하부몸체(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유아용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의 좌판(12)에는 쿠션시트(1) 및 소변막이(2)가 탈착 가능토록 안착되고, 상부몸체(10)의 후방에는 변기뚜껑(40)이 상부몸체(10)에 대해 직각만큼 회전 가능토록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좌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쿠션시트(1)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1a)가 형성되고, 상기 좌판(12) 상면에는 상기 각 고정돌기(1a)가 삽입될 수 있는 요입홈(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좌변기.
KR20-2005-0001556U 2005-01-18 2005-01-18 유아용 좌변기 KR200381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56U KR200381596Y1 (ko) 2005-01-18 2005-01-18 유아용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56U KR200381596Y1 (ko) 2005-01-18 2005-01-18 유아용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96Y1 true KR200381596Y1 (ko) 2005-04-14

Family

ID=4368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556U KR200381596Y1 (ko) 2005-01-18 2005-01-18 유아용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9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87B1 (ko) 2011-07-29 2013-05-02 곽재섭 좌변기와 소변기로의 사용이 가능한 변기의자
KR101930629B1 (ko) * 2017-04-14 2018-12-18 변재선 휴대 가능한 유아용 좌변대
KR20230106437A (ko) 2022-01-06 2023-07-13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유아용 간이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87B1 (ko) 2011-07-29 2013-05-02 곽재섭 좌변기와 소변기로의 사용이 가능한 변기의자
KR101930629B1 (ko) * 2017-04-14 2018-12-18 변재선 휴대 가능한 유아용 좌변대
KR20230106437A (ko) 2022-01-06 2023-07-13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유아용 간이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9851B2 (ja)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KR200381596Y1 (ko) 유아용 좌변기
KR100848920B1 (ko) 좌변기와 결합된 의자
JP5357397B2 (ja) 可搬便器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汚物受け
JP4995384B2 (ja) 便座および携帯用便器
KR20150054407A (ko) 유아용 기저귀 비데
CN210582342U (zh) 一种儿童马桶
US6158060A (en) Toilet seat cover assembly
KR101032580B1 (ko)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CN210354508U (zh) 一种多功能便器
KR102083102B1 (ko) 유아용 변기시트
KR101257187B1 (ko) 좌변기와 소변기로의 사용이 가능한 변기의자
KR200320365Y1 (ko) 분리되는 의자식 아동변기
KR200273928Y1 (ko) 유아 및 아동용 좌변기
CN216797503U (zh) 一种儿童马桶
KR200244104Y1 (ko) 좌대를 가진 욕조
AU2005318927B2 (en) Toilet training, bathing and toileting devices for infants, toddlers and pre schoolers
KR20110103043A (ko) 좌대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좌변기
KR20090007807U (ko)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KR200362686Y1 (ko) 좌변기용 의자
KR101219246B1 (ko)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KR20110008134A (ko) 유아용 식탁겸용 손세척기
KR100496701B1 (ko) 오염 방지 및 등받이 기능을 갖는 양변기 커버
KR200306717Y1 (ko)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KR200291894Y1 (ko) 유아·성인겸용 양변기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