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717Y1 -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717Y1
KR200306717Y1 KR20-2002-0035721U KR20020035721U KR200306717Y1 KR 200306717 Y1 KR200306717 Y1 KR 200306717Y1 KR 20020035721 U KR20020035721 U KR 20020035721U KR 200306717 Y1 KR200306717 Y1 KR 200306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cover
toilet seat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최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성 filed Critical 최종성
Priority to KR20-2002-0035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변기 본체와, 상기 좌변기 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후방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부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으로 힌지가 결합됨으로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좌판과 덮개로 구성된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돌출부 양측에는 상기 좌변기 본체와 접촉하는 각각의 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의 중앙부 내측면에는 각각의 절곡면을 가지는 받침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의 저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좌판과 덮개에 조립된 힌지의 양 끝단부는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 양측면에 고정된 결합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게 구성함으로서 상기 좌변기의 사용시 받침돌기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받쳐주게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받침돌기에 유아들이나 혹은 지체장애자들이 걸쳐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좌변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개폐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좌판과 덮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LOW BENCH AND FOR DEVICE OPENING AND CLOSING SMALL CHILD OF TOILET BOWL}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상부면에 설치된 좌판의 중앙부에 받침돌기를 형성하여 유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좌판과 덮개를 개폐시키는 장치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기타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좌변기는 통상 좌변기 본체와 저수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좌변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앉아서 편안히 배설할 수 있도록 좌판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체결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좌판의 경우 대체로 규격이 성인의 체형에 맞도록 구성됨으로서 유아들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야기 되었다. 또한 성인의 경우 역시 사용 도중 상기 좌판에 안착된 둔부나 혹은 허벅지가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항시 허리를 굽혀 사용해야 함으로서 척추에 심한 무리가 발생하는문제가 있었다. 또한 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대체적으로 사용도중 책이나 기타 신문등을 보며 장시간 앉아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종래의 좌판이 가지는 불편함으로 인해 항문탈착의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종래 좌판은 사용도중 밀려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서 사용자는 좌판에서 밀려나지 않기 위하여 항시 둔부에 힘을 가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 좌판에는 사용시 필히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됨으로서 항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좌판의 상부면에는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덮개와 좌판은 좌변기본체의 상부면에 힌지 결합되어 후방으로 개방가능 하게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의 경우 사용중에 덮개와 좌판의 결합부위(힌지)가 저수용기와 너무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시 상기 덮개와 좌판을 세우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저수용기에 상기 덮개와 좌판을 걸치기 위한 각도가 확보되지 않음으로서 사용도중에 스스로 닫혀버리는 경우가 발생했다. 또한 상기 덮개가 개방되어 저수용기에 걸쳐진 경우에도 상기 저수용기에 설치된 배수레버를 가려버림으로서 레버의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좌변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좌판의 중앙부 내측면으로 각각의 받침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허벅지를 받쳐주게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받침돌기를 형성하여 유아들이나 혹은 지체장애자들이 걸쳐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좌변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좌변기 본체의 후방 양측면에 요입홈과 제 1, 2안내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결합부재를 조립하여 덮개와 좌판에 결합된 힌지를 상기 요입홈과 제 1, 2안내홈중에서 선택적으로 삽입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덮개와 좌판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원활히 개폐시킬 수 있는 좌변기용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덮개의 크기를 좌판의 크기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서 개폐시 저수용기에 설치된 배수레버의 작동을 간섭하지 않는 좌변기용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변기 본체와, 상기 좌변기 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후방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부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으로 힌지가 결합됨으로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좌판과 덮개로 구성된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돌출부 양측에는 상기 좌변기 본체와 접촉하는 각각의 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의 중앙부 내측면에는 각각의 절곡면을 가지는 받침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의 저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좌판과 덮개에 조립된 힌지의 양 끝단부는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 양측면에 고정된 결합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의 조립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구조에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구성인 좌판 및 덮개의 주요구성 및 개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좌판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좌판이 좌변기 본체에 안착된 형상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개폐장치의 조립구성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인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 와 도 8b는 본 고안인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인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의 덮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좌변기 본체 14: 좌판
16: 덮개 20: 받침돌기
24: 돌출부 25: 돌출편
27: 절곡면 28: 결합부
30: 힌지 34: 결합부재
36: 구멍 38: 제 1장공
40: 제 2장공 42: 결합봉
44: 고정판 52: 고무패킹
54: 고정너트 100: 좌변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의 조립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에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구성인 좌판 및 덮개의 주요구성 및 개폐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는 좌변기 본체(10)와, 상기 좌변기 본체(10)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저수용기(12)와, 상기 좌변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힌지(30)결합되어 회동하며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좌판(14)과, 상기 좌판(14)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힌지(30)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덮개(1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14)과 덮개(16)의 상세구성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좌판(14)은 중앙부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용변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좌판(14)의 중앙부 내측면에는 절곡면(27)을 가지도록 각각의 받침돌기(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돌기(20)를 형성한 것은 좌변기(100)의 사용시 사용자의 허벅지를 받쳐 주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더 편안함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받침돌기(20)에 각각의 절곡면(27)을 형성한 것은 안착시 사용자의 허벅지살이 걸쳐지도록 함으로서 사용중 둔부 및 허벅지가 좌판(14)에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좌판(14)에 절곡면(27)을 가지는 받침돌기(20)를 형성함으로서 사용자는 사용중 좌판(14)에서 밀려나지 않기 위하여 허리를 굽히거나 둔부에 힘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에도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고 항문의 괄약근의 이완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아들이 좌변기(100)를 사용할 경우 상기 받침돌기(20)에 둔부를 안착시켜 사용토록 함으로서 유아용 좌판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좌판(14)의 후방부에는 구멍(26)을 가지는돌출부(2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4)의 양측 선단부에는 각각의 돌출편(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25)을 형성한 것은 상기 좌판(14)의 사용시, 사용자의 하중을 전술한 좌변기 본체(10)와 접촉된 돌출편(25)이 지지토록 함으로서 후술할 힌지(30)와, 힌지(30)가 조립되는 돌출부(24)가 하중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4)의 저면 중앙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판(14)에 형성된 받침돌기(20)의 저면에는 보강리브(60)가 각각 형성되어 좌변기(100)의 사용시에 상기 받침돌기(20)에 전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좌판(14)에 보강리브(60)를 형성한 것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둔부가 좌변기 본체(10)에 설치된 좌판(14)에 안착될 시, 상기 좌변기 본체(14)에 형성된 용변실(64)의 상단 내측면에 상기 보강리브(60)가 각각 밀착 고정됨으로서 좌변기(100)의 사용시에 상기 받침돌기(20)에 전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서 받침돌기(2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사용도중 상기 좌판(14)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덮개(16)의 후방부에는 전술한 좌판(14)의 돌출부(24)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2)의 양측면에는 구멍(29)을 가지는 결합부(28)가 각각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좌판(14)과 덮개(16)는 상기 좌판(14)에 형성된 돌출부(24)가 상기 덮개(16)의 개구부(32)에 삽입된 후, 결합부(28)에 형성된 구멍(29)과 돌출부(24)에 형성된 구멍(29)으로 전술한 힌지(30)가 삽입됨으로서 좌판(14)과 덮개(16)는 상호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6)의 크기를 좌판(14)의 크기보다 작게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좌변기(100)의 사용시에 상기 덮개(16)가 저수용기(12)의 전방에 걸쳐질 경우, 상기 저수용기(12)에 설치된 배수레버(13)가 덮개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배수레버(13)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덮개(16)의 전방부에는 상기 덮개(16)를 원활히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손잡이(18)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좌판(14)과 덮개(16)에 결합된 힌지(30)는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변기 본체(10)의 후방 양측면에 결합된 결합부재(34)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된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재(34)는 사각의 판상으로 성형되며 일측면에는 요입홈(36)과 제 1, 2안내홈(38, 40)이 각각 일정간격을 두며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36)과 제 1, 2안내홈(38, 40)으로 힌지(3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4)에 요입홈(36)과 제 1, 2안내홈(38, 40)을 각각 형성한 것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100)의 사용시 저수용기(12)쪽으로 제쳐진 덮개(16)가 상기 힌지(30)를 중심으로 최소 90??이상의 각도(K)로 제쳐지게 함으로서 사용도중 덮개(16)의 자중에 의해 닫혀 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덮개(16)가 수직이상의 각도로 제쳐지도록 힌지(30)를 요입홈(36)과 제 1, 2안내홈(38, 40)중 어느 한곳에 삽입되어 덮개(16)의 회동각도를 조절함으로서 사용도중에 덮개(16)가 닫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1, 2안내홈(38, 40)을 타원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좌판과 덮개(16)의 개폐 작동시 힌지(30)가 상기 타원형의 제 1, 2안내홈(38, 40)의 상, 하로 충분히 유동하게 됨으로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시에 상기 덮개(16)와 좌판(14)의 회동각도(K)를 보다 많이 확보하여 사용 도중에 상기 덮개(16)와 좌판(14)이 자중으로 스스로 닫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안내홈(38, 40)에 삽입된 힌지(30)에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서 상기 힌지(30)와 제 1, 2안내홈(38, 40)과의 결합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4)에 제 1,2안내홈(38, 40)과 요입홈(36)을 각각 형성하여 힌지(30)를 선택적으로 삽입토록 한 것은 상기 힌지(30)로 조립되는 좌판(14)과 덮개(16)를 다양한 규격(크기)으로 시중에 출시되는 모든 좌변기 본체(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좌변기 본체(10)의 규격에 따라 힌지(30)를 상기 제 1, 2안내홈(38, 40)과 요입홈(36)중 어느 하나에 삽입함으로서 상기 좌판(14)과 덮개(16)는 모든 좌변기(10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30)가 제 1, 2안내홈(38, 40)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이동함으로서 좌판(14)자체가 전,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사용시 규격이 다양한 좌변기(100)에 상기 좌판(14)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보다 상세히는 상기 좌변기(100)의 규격에 따라 좌변기(100)에 설치되는 좌판(14)이 힌지(30)에 의해 전, 후이동 가능하도록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서 본 고안인 좌판(14)을 현재 시중에 출시되는 모든 좌변기(100)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34)의 하부면에는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봉(42)이 설치되며, 상기 결합봉(42)은 좌변기 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멍(1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너트(54)로 체결됨으로서 결합부재(34)는 상기 좌변기 본체(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멍(11)의 상부면과 결합부재(34)의 사이에 고정판(44)이 끼워짐으로서 상기 결합부재(34)에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판(44)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구(48)를 상기 구멍(11)에 끼워 넣은 후, 상기 삽입구(48)에 형성된 체결공(50)으로 결합봉(42)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서 결합부재(34)는 상기 고정판(44)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이때 상기 고정판(44)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턱(46)이 상기 결합부재(34)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45)으로 삽입됨으로서 결합부재(34)는 고정판(44)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공(50)에 삽입 관통된 결합봉(42)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패킹(52)을 끼워 넣은 후, 고정너트(54)로 체결함으로서 결합부재(34)는 좌변기 본체(1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되어 비틀림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좌변기(100)를 사용할 경우 좌변기 본체(10)에 안착된 덮개(16)와 좌판(14)을 들어 올리게 되면 덮개(16)와 좌판(14)은 후방부에 결합된힌지(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저수용기(12)의 전방부에 걸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30)는 결합부재(34)에 형성된 제 1안내홈(38)에 각각 삽입되어 상, 하로 유동하여 회동각도(K)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6)와 좌판(14)이 좌변기 본체(10)에 덮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변기(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덮개(16)와 좌판(14)을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좌판(14)의 돌출부(24)에 형성된 돌출편(25)이 좌변기 본체(10)의 상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돌출부(24)에 관통되어 전술한 제 1안내홈(38)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던 힌지(30)는 돌출편(25)의 회동으로 점차 제 1안내홈(38)의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후,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6)와 좌판(14)이 완전히 회동하여 저수용기(12)에 걸쳐지게 되면, 상기 돌출편(25)은 좌변기 본체에서 탈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30)는 제 1안내홈(38)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좌판(14)과 덮개(16)의 회동시 힌지(30)가 상기 제 1안내홈(38)의 상, 하부로 유동하여 회동각도(K)를 보다 많이 확보하게 됨으로서, 사용 도중 덮개(16)와 좌판(14)이 자중으로 스스로 닫혀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30)와 제 1안내홈(38)의 결합부위에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서, 회동시에 결합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며 원활히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34)에 제 1,2안내홈(38, 40)과 요입홈(36)을 각각 형성하여 힌지(30)를 선택적으로 삽입토록 함으로서 상기 힌지(30)로 조립되는좌판(14)과 덮개(16)를 다양한 규격(크기)으로 시중에 출시되는 모든 좌변기 본체(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좌변기 본체(10)의 규격이 큰 경우 도 8a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30)를 상기 제 1안내홈(38)의 전방에 형성된 요입홈(36)에 끼워 고정함으로서, 상기 힌지(30)에 조립된 좌판(14)과 덮개(16)는 규격이 큰 좌변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상호 힌지(30)체결되어 있는 덮개(16)와 좌판(14)중 상기 덮개(16)만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변등을 보기 위하여 좌판(14)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 좌판(14)에 덮혀져 있는 덮개(16)를 개방한 후, 좌변기 본체(10)에 안착되어 있는 좌판(14)에 둔부를 안착시켜 사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판(14)에 형성된 돌출편(25)에 의해 덮개(16)는 회동시 좌변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접촉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다 상세히는 상기 좌판(14)의 돌출부(24)와 힌지(30)체결되어 있는 덮개(16)의 결합부(28)는 상기 돌출부(24)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25)에 의해 항시 좌변기 본체(10)의 상부면과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동시에도 상기 결합부(28)가 좌변기 본체(10)와 접촉되지 않은 채 회동함으로서 덮개(16)를 보다 더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좌변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좌판의 중앙부 내측면으로 각각의 받침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허벅지를 받쳐주게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받침돌기에 유아들이나 혹은 지체장애자들이 걸쳐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좌변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좌변기 본체의 후방 양측면에 요입홈과 제 1, 2안내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결합부재를 조립하여 덮개와 좌판에 결합된 힌지를 상기 요입홈과 제 1, 2안내홈중에서 선택적으로 삽입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덮개와 좌판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원활히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덮개의 크기를 좌판의 크기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서 개폐시 저수용기에 설치된 배수레버의 작동을 간섭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좌변기 본체(10)와, 상기 좌변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후방부에 형성된 돌출부(24)와 결합부(28)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26, 28)으로 힌지(30)가 결합됨으로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좌판(14)과 덮개(16)로 구성된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14)의 돌출부(24)양측에는 상기 좌변기 본체(10)와 접촉하는 각각의 돌출편(25)이 형성되며, 상기 좌판(14)의 중앙부 내측면에는 각각의 절곡면(27)을 가지는 받침돌기(2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20)의 저면에는 보강리브(60)가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좌판(14)과 덮개(16)에 조립된 힌지(30)의 양 끝단부는 상기 좌변기 본체(10)의 후방 양측면에 고정된 결합부재(34)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본체(10)의 후방 양측면에는 구멍(11)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11)에는 결합부재(34)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봉(42)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너트(54)로 체결되며, 상기 결합부재(34)의 일측면에는 요입홈(36)과 제 1, 2안내홈(38, 4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36)과 제 1, 2안내홈(38, 40)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힌지(30)의 양 끝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덮개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4)와 구멍(11)의 사이에는 하부 일측면으로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구(48)를 구비한 고정판(44)이 끼워지며, 상기 결합부재(34)의 결합봉(42)과 고정너트(54)의 사이에는 고무패킹(52)이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4)의 상부 일측면에는 돌출턱(46)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34)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45)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덮개 개폐장치.
KR20-2002-0035721U 2002-11-29 2002-11-29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KR200306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721U KR200306717Y1 (ko) 2002-11-29 2002-11-29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721U KR200306717Y1 (ko) 2002-11-29 2002-11-29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717Y1 true KR200306717Y1 (ko) 2003-03-11

Family

ID=4940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721U KR200306717Y1 (ko) 2002-11-29 2002-11-29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7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052B1 (ko) 휴대용 변기
JPH0145364B2 (ko)
KR200306717Y1 (ko)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KR20090079074A (ko) 환자용 절첩식 변기의자
KR200381596Y1 (ko) 유아용 좌변기
US6158060A (en) Toilet seat cover assembly
JP3973653B2 (ja) 椅子型簡易便器
JP4289957B2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KR20130010211A (ko) 양변기 커버체
KR200384260Y1 (ko) 좌변기용 보조장치
JP3199368B2 (ja) 椅子型簡易便器
KR200320365Y1 (ko) 분리되는 의자식 아동변기
KR970007146Y1 (ko) 변기가 겸비된 어린이용 의자
JP451630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196479Y1 (ko) 유아겸용 좌변기의 좌판
KR101257187B1 (ko) 좌변기와 소변기로의 사용이 가능한 변기의자
JPH10113311A (ja) 跳ね上げ式簡易ひじ掛け体
KR200362686Y1 (ko) 좌변기용 의자
KR20090007807U (ko)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KR200320416Y1 (ko) 유아의 좌변기용 의자
KR200273928Y1 (ko) 유아 및 아동용 좌변기
JP3326437B2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0284961Y1 (ko) 유아용 좌변기.
JP3465229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24071609A (ja) 浴室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