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580B1 -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580B1
KR101032580B1 KR1020100042532A KR20100042532A KR101032580B1 KR 101032580 B1 KR101032580 B1 KR 101032580B1 KR 1020100042532 A KR1020100042532 A KR 1020100042532A KR 20100042532 A KR20100042532 A KR 20100042532A KR 101032580 B1 KR101032580 B1 KR 10103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plate
height adjustment
side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갑
Original Assignee
에스에프훼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프훼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프훼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1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made to cast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 본체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고 내면 상부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보조판이 장착되는 후판과, 상기 측판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판과, 상기 측판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판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여닫이문과, 상기 측판에 장착되는 고정돌기에 끝단이 각각 지지되는 곡면가이드 판과, 상기 하부판과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싱크대 본체의 상부에는 측판에 끼움 고정되는 결합고리와 상기 결합고리와 수평연결되는 연결망으로 구성되는 개수 지지대가 장착되며, 개수대는 상면에 돌기들이 형성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수대 경사면과, 상기 개수대 경사면에 수평연장형성되면서 배수구가 형성된 개수대 배출면과, 개수대 결합홈들이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과, 상기 개수대 배출면과 상부 수평면을 연결하는 수직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수평지지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 본체와 개수 지지대에 장착되고, 싱크대 다리는 상기 하부판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상부고정부와, 상기 상부고정부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선이 결합되면서 높낮이 조절되는 싱크대 다리 조절부와, 상기 싱크대 다리 조절부와 끼움 결합되고 저면에는 곡면 형상의 돌기들이 돌출형성되는 싱크대 다리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 본체의 하부판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는 키가 작은 사용자나 어린이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측판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 케이스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 조절판과, 상기 높이 조절판의 외면에 장착되는 손잡이 및 높이 조절 지지부재들과, 상기 높이 조절 지지부재의 끝단에 장착되는 완충재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에 장착되고 높이 조절판의 회동작동을 제어하는 높이조절 멈춤핀으로 이루어진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싱크대 본체의 전방에는 측판의 전면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가 배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와 내면에는 장착공간과 끼움홈들이 형성되는 차단케이스와, 상기 차단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감기는 차단망과, 상기 차단망의 끝단에 장착되고 도중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차단망을 상, 하 작동시키면서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고리로 구성되는 차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개수대의 개수대 결합홈에는 세재나 수세미 또는 비누를 수납할 수 있도록 망사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망과 상기 수납망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개수대 결합홈에 지지될 수 있는 곡면형상의 수납고정돌기들이 구비된 수납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보관함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대의 측판에 장착되는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손쉽게 식기, 과일, 야채 등을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곡면가이드 판과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여닫이문을 통해 식기, 과일, 야채 등을 세척하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The sink whose tableware washing is easy}
본 발명은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싱크대의 측판에 장착되는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손쉽게 식기, 과일, 야채 등을 세척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시 사용자의 하체가 싱크대에 닿지 않도록 한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각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어 설거지를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써 그 높이는 주로 주방에서 일을 하는 주부의 신체, 즉 키 높이에 맞게 대략 80 ~ 90cm 사이로 정형화되어 있으며 예외적으로 특수한 신체조건을 갖춘 사람을 위해 주문 제작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싱크대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싱크대용 발판을 설치하여 특히, 키가 작은 주부나 아이 혹은 신체 부자유자도 싱크대에서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가 제안된바 있다.
이를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싱크대는 크게 상단에 싱크보울(110)이 설치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발받침부(500)와, 상기 발받침부(500)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받침부(50)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발받침부(500)를 따라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높이조절부(700)와, 상기 케이스(30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다수의 지압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혔다 펼쳐지는 지압판(900)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키가 작은 주부나 아이 혹은 신체 부자유자는 상기 발받침부(50) 또는 상기 발받침부(50)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된 상기 높이조절부(70)를 딛고 올라서서 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싱크대는 발받침부(50) 또는 발받침부(50)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된 상기 높이조절부(70)의 구성이 복잡하고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싱크대는 식기세척시 사용자의 하체 특히 무릎 부분이 싱크대에 닿게 됨으로써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개수대와 간격을 두고 세척함으로써 세척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싱크대의 측판에 장착되는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손쉽게 식기, 과일, 야채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싱크대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곡면가이드 판과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여닫이문을 통해 식기, 과일, 야채 등을 세척하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싱크대 측판에 장착되는 물품보관함을 통해 간단한 메모, 세재, 음식이 담긴 봉지를 고정하는 클립, 비닐봉지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싱크대 본체와, 상기 싱크대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개수대와, 상기 싱크대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싱크대 다리로 이루어진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본체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고 내면 상부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보조판이 장착되는 후판과, 상기 측판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판과, 상기 측판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판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여닫이문과, 상기 측판에 장착되는 고정돌기에 끝단이 각각 지지되는 곡면가이드 판과, 상기 하부판과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싱크대 본체의 상부에는 측판에 끼움 고정되는 결합고리와 상기 결합고리와 수평연결되는 연결망으로 구성되는 개수 지지대가 장착되며, 상기 개수대는 상면에 돌기들이 형성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수대 경사면과, 상기 개수대 경사면에 수평연장형성되면서 배수구가 형성된 개수대 배출면과, 개수대 결합홈들이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과, 상기 개수대 배출면과 상부 수평면을 연결하는 수직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수평지지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 본체와 개수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싱크대 다리는 상기 하부판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상부고정부와, 상기 상부고정부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선이 결합되면서 높낮이 조절되는 싱크대 다리 조절부와, 상기 싱크대 다리 조절부와 끼움 결합되고 저면에는 곡면 형상의 돌기들이 돌출형성되는 싱크대 다리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 본체의 하부판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는 키가 작은 사용자나 어린이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측판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 케이스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 조절판과, 상기 높이 조절판의 외면에 장착되는 손잡이 및 높이 조절 지지부재들과, 상기 높이 조절 지지부재의 끝단에 장착되는 완충재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에 장착되고 높이 조절판의 회동작동을 제어하는 높이조절 멈춤핀으로 이루어진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싱크대 본체의 전방에는 측판의 전면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가 배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와 내면에는 장착공간과 끼움홈들이 형성되는 차단케이스와, 상기 차단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감기는 차단망과, 상기 차단망의 끝단에 장착되고 도중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차단망을 상, 하 작동시키면서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고리로 구성되는 차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개수대의 개수대 결합홈에는 세재나 수세미 또는 비누를 수납할 수 있도록 망사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망과 상기 수납망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개수대 결합홈에 지지될 수 있는 곡면형상의 수납고정돌기들이 구비된 수납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보관함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대의 측판에 장착되는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손쉽게 식기, 과일, 야채 등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싱크대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곡면가이드 판과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여닫이문을 통해 식기, 과일, 야채 등을 세척하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싱크대 측판에 장착되는 물품보관함을 통해 간단한 메모, 세재, 음식이 담긴 봉지를 고정하는 클립, 비닐봉지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구성하는 곡면가이드 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구성하는 개수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구성하는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구성하는 싱크대 다리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구성하는 차단부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10)는 싱크대 본체(20)와,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개수대(30)와,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싱크대 다리(40)와,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측판(21)에 장착되는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싱크대 본체(20)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측판(21)과, 상기 측판(21)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는 후판(22)과, 상기 측판(21)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판(24)과, 상기 하부판(24)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여닫이문(25)과, 상기 여닫이문(25)의 상부에 장착되는 곡면가이드 판(26)과, 상기 하부판(24)의 하부에 장착되는 마감판(28)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판(21)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판(22)의 내면 상부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보조판(23)이 장착되며, 상기 여닫이문(25)은 측판(21) 또는 후판(22)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판(22)에 장착되는 보조판(23)은 후판(22)과 함께 개수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곡면지게 형성되는 곡면부(26a)와, 상기 곡면부(26a)를 기준으로 상부를 향해 직각 절곡형성되는 지지부(26b)와, 상기 곡면부(26a)를 기준으로 하부에 절곡형성되는 결합돌기부(26c)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은 절곡형성되는 지지부(26b)가 상기 측판(21)의 고정돌기(27)에 지지되면서 개수대(30)에 하부에 눌리면서 고정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여닫이문(25)은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의 곡면만큼 내측을 향해 함몰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의 일측에는 메모지, 세재, 음식이 담긴 봉지를 고정하는 클립, 비닐봉지가 선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물품보관함(60)들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의 수평방향으로 곡면가이드 삽입공(26d)을 형성한 후, 상기 곡면가이드 삽입공(26d)에 회동작동하는 물품보관함(60)을 장착하여, 상기 물품보관함(60)의 내부 공간에 메모지, 세제, 음식이 담긴 봉지를 고정하는 클립, 비닐봉지가 선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4)과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마감판(28)에는 물건을 보관 또는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함(70)이 양측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의 작동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넬(70a)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함(70)은 마감판(28)의 양측에 장착공간(28a)을 형성한 후 상기 장착공간(28a)에 바퀴(71)들이 저면에 장착되는 수납함(70)이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넬(70a)은 마감판(28)의 중앙에 장착공간(28b)을 형성한 후 상기 장착공간(28b)에 바퀴(71a)들이 저면에 장착되고 상면에는 고정돌기(72a)가 장착된 지지판넬(70a)이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전방에는 유아의 안전과 미관을 위하여 차단부(100)가 장착되고 그 구성은 측판(21)의 전면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102)가 배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와 내면에는 장착공간(103)과 끼움홈(104)들이 형성되는 차단케이스(101)와, 상기 차단케이스(101)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축(105)과, 상기 회전축(105)에 감기는 차단망(106)과, 상기 차단망(106)의 끝단에 장착되고 도중에는 손잡이(108)가 구비되어 차단망(106)을 상, 하 작동시키면서 끼움홈(104)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고리(10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판(21)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102)는 공지된 끼움 구조로 형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차단부(100)의 차단망(106)은 평소 회전축(105)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다가 비 사용시 상기 차단망(106)의 결합고리(107)를 끼움홈(104)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망(106)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가 표시되어 미관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개수 지지대(90)는 상기 싱크대 본체(20)와 함께 개수대(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측판(21)에 끼움 고정되는 고무재질의 결합고리(91)와 상기 결합고리(91)와 수평연결되는 연결망(92)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개수대(30)는 상면에 돌기(32)가 형성되는 개수대 경사면(31)과, 상기 개수대 경사면(31)에 수평연장형성되면서 배수구(33)가 형성된 개수대 배출면(34)과, 개수대 결합홈(36)들이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35)과, 상기 개수대 배출면(34)과 상부 수평면(35)을 연결하는 수직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수평지지부(37)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수대 경사면(31)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개수대 배출면(34)은 수평형성되어 상기 개수대 경사면(31)을 통해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배수구(33)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수대 경사면(31)에 형성되는 돌기(32)와 수평지지부(37)는 야채, 식기, 과일 등이 개수대 경사면(31)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야채, 식기, 과일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수대 결합홈(36)에는 세제나 수세미 또는 비누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보관함(80)이 장착되고, 상기 수납보관함(80)은 세제나 수세미 또는 비누를 수납되는 망사형상의 수납망(81)과 상기 수납망(8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지지대(8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지지대(82)의 외면에는 상기 개수대 결합홈(36)에 지지될 수있도록 곡면형상의 수납고정돌기(83)들이 형성된다.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싱크대 다리(40)는 상기 하부판(24)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상부고정부(41)와, 상기 상부고정부(41)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선이 결합되면서 높낮이 조절되는 싱크대 다리 조절부(42)와, 상기 싱크대 다리 조절부(42)와 끼움 결합되고 저면에는 곡면 형상의 돌기(44)들이 돌출형성되는 싱크대 다리 지지부(4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싱크대 다리(40)는 하부판(24)에 고정결합된 상부고정부(41)와 회전작동하는 싱크대 다리 조절부(42)를 통해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싱크대 다리(40)의 조절은 하부판(24)과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마감판(28)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부고정부(41) 및 싱크대 다리 조절부(42)의 회전작동을 통해 각각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하부판(24)과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마감판(28)을 장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싱크대 다리 조절부(42)와 결합되는 싱크대 다리 지지부(43)는 상부고정부(41)와 싱크대 다리 조절부(42)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저면에 형성되는 곡면 형상의 돌기(44)들을 통해 바닥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여닫이문(25)의 전방에 위치한 측판(21)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은 키가 작은 사용자나 어린이들이 상기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10)를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은 여닫이문(25)의 전방에 위치한 측판(21)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싱크대 본체(20)를 구성하는 여닫이문(25)의 폭은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을 고려하여 폭이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의 구성은 측판(21)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52)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 케이스(51)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51)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 조절판(53)과, 상기 높이 조절판(53)의 외면에 장착되는 손잡이(54) 및 높이 조절 지지부재(55)들과, 상기 높이 조절 지지부재(55)의 끝단에 장착되는 완충재(56)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51)에 장착되고 높이 조절판(53)의 회동작동을 제어하는 높이조절 멈춤핀(57)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은 높이 조절 케이스(51)에 장착되는 높이조절 멈춤핀(57)을 제거한 후, 사용자가 손잡이(54)를 잡고 높이 조절판(53)을 회동작동시키면, 상기 높이 조절판(53)은 외면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 지지부재(55) 및 완충재(56)가 바닥면에 접촉할 때까지 연동작동하다가 높이 조절 지지부재(55) 및 완충재(56)가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높이 조절판(53)을 밟고 싱크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은 평상시 높이 조절판(53)이 높이 조절 케이스(51)에 수용되어 있다가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들이 사용될 때 회동작동하여 바닥면에 지지되는 높이 조절 지지부재(55) 및 완충재(56)를 통해 수평으로 지지되어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들에게 발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은 여닫이문(25)의 전방에 위치한 측판(21)의 양측 또는 일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이 양측에 설치될 경우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장착되면서 상기 높이 조절판(53)이 겹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측판(21)과, 상기 측판(21)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고 내면 상부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보조판(23)이 장착되는 후판(22)과, 상기 측판(21)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판(24)과, 상기 측판(2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판(24)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여닫이문(25)과, 상기 측판(21)에 장착되는 고정돌기(27)에 끝단이 각각 지지되는 곡면가이드 판(26)과, 상기 하부판(24)과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마감판(28)으로 이루어진 싱크대 본체(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상부로 측판(21)에 끼움 고정되는 고무재질의 결합고리(91)와 상기 결합고리(91)와 수평연결되는 연결망(92)으로 구성되는 개수 지지대(9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싱크대 본체(20)와 개수 지지대(90)의 상부로 상면에 돌기(32)들이 형성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수대 경사면(31)과, 상기 개수대 경사면(31)에 수평연장형성되면서 배수구(33)가 형성된 개수대 배출면(34)과, 개수대 결합홈(36)들이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35)과, 상기 개수대 배출면(34)과 상부 수평면(35)을 연결하는 수직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수평지지부(37)가 일체로 구성되는 개수대(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하부판(24)에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상부고정부(41)와, 상기 상부고정부(41)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선이 결합되면서 높낮이 조절되는 싱크대 다리 조절부(42)와, 상기 싱크대 다리 조절부(42)와 끼움 결합되고 저면에는 곡면 형상의 돌기(44)들이 돌출형성되는 싱크대 다리 지지부(43)로 구성되는 싱크대 다리(40)들을 간격을 두고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측판(21)의 내측면에 키가 작은 사용자나 어린이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측판(21)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52)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 케이스(51)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51)의 내부에수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 조절판(53)과, 상기 높이 조절판(53)의 외면에 장착되는 손잡이(54) 및 높이 조절 지지부재(55)들과, 상기 높이 조절 지지부재(55)의 끝단에 장착되는 완충재(56)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51)에 장착되고 높이 조절판(53)의 회동작동을 제어하는 높이조절 멈춤핀(57)으로 이루어진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개수대(30)의 개수대 결합홈(36)에 세제나 수세미 또는 비누를 수납할 수 있도록 망사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망(81)과 상기 수납망(8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개수대 결합홈(36)에 지지될 수 있는 곡면형상의 수납고정돌기(83)들이 구비된 수납지지대(82)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보관함(8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전방에는 측판(21)의 전면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102)가 배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와 내면에는 장착공간(103)과 끼움홈(104)들이 형성되는 차단케이스(101)와, 상기 차단케이스(101)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축(105)과, 상기 회전축(105)에 감기는 차단망(106)과, 상기 차단망(106)의 끝단에 장착되고 도중에는 손잡이(108)가 구비되어 차단망(106)을 상, 하 작동시키면서 끼움홈(104)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고리(107)로 구성되는 차단부(100)를 장착하면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는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 부분은 개수대(30)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식기, 야채, 과일 등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싱크대에 신체가 접촉함에 따른 작업의 불편함을 곡면가이드 판(26)과 함몰장착되는 여닫이문(25)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세척에 따른 자세의 불편함 없이 식기,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키가 작은 사용자나 어린이들이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51)에 장착되는 높이조절 멈춤핀(57)을 작동하여 위치 조절한 후, 상기 높이 조절판(53)에 장착되는 손잡이(54)를 하부로 회동시켜 높이 조절판(53)의 외면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 지지부재(55)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키가 작은 사용자나 어린이들도 세척에 따른 자세의 불편함 없이 식기,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을 구성하는 높이 조절판(53)을 원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설치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20 : 싱크대 본체,
21 : 측판, 22 : 후판,
23 : 보조판, 24 : 하부판,
25 : 여닫이문, 26 : 곡면가이드 판,
27 : 고정돌기, 30 : 개수대,
31 : 개수대 경사면, 32 : 돌기,
33 : 배수구, 34 : 개수대 배출면,
40 : 싱크대 다리, 41 : 상부고정부,
42 : 싱크대 다리 조절부, 43 : 싱크대 다리 지지부,
44 : 돌기, 50 :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
60 : 물품보관함.

Claims (4)

  1. 싱크대 본체(20)와,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개수대(30)와,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싱크대 다리(40)로 이루어진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본체(2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측판(21)과, 상기 측판(21)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고 내면 상부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보조판(23)이 장착되는 후판(22)과, 상기 측판(21)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판(24)과, 상기 측판(2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판(24)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여닫이문(25)과, 상기 측판(21)에 장착되는 고정돌기(27)에 끝단이 각각 지지되는 곡면가이드 판(26)과, 상기 하부판(24)과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마감판(28)으로 구성되고,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상부에는 측판(21)에 끼움 고정되는 고무재질의 결합고리(91)와 상기 결합고리(91)와 수평연결되는 연결망(92)으로 구성되는 개수 지지대(90)가 장착되며,
    상기 개수대(30)는 상면에 돌기(32)들이 형성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수대 경사면(31)과, 상기 개수대 경사면(31)에 수평연장형성되면서 배수구(33)가 형성된 개수대 배출면(34)과, 개수대 결합홈(36)들이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35)과, 상기 개수대 배출면(34)과 상부 수평면(35)을 연결하는 수직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수평지지부(37)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 본체(20)와 개수 지지대(90)에 장착되고,
    상기 싱크대 다리(40)는 상기 하부판(24)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상부고정부(41)와, 상기 상부고정부(41)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선이 결합되면서 높낮이 조절되는 싱크대 다리 조절부(42)와, 상기 싱크대 다리 조절부(42)와 끼움 결합되고 저면에는 곡면 형상의 돌기(44)들이 돌출형성되는 싱크대 다리 지지부(43)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하부판(24)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상기 여닫이문(25)의 전방에 위치한 측판(21)의 내측면에는 키가 작은 사용자나 어린이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측판(21)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52)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 케이스(51)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51)의 내부에수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 조절판(53)과, 상기 높이 조절판(53)의 외면에 장착되는 손잡이(54) 및 높이 조절 지지부재(55)들과, 상기 높이 조절 지지부재(55)의 끝단에 장착되는 완충재(56)와, 상기 높이 조절 케이스(51)에 장착되고 높이 조절판(53)의 회동작동을 제어하는 높이조절 멈춤핀(57)으로 이루어진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이 장착되며,
    상기 개수대(30)의 개수대 결합홈(36)에는 세제나 수세미 또는 비누를 수납할 수 있도록 망사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망(81)과 상기 수납망(8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개수대 결합홈(36)에 지지될 수 있는 곡면형상의 수납고정돌기(83)들이 구비된 수납지지대(82)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보관함(80)이 장착되고,
    상기 싱크대 본체(20)의 전방에는 측판(21)의 전면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102)가 배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와 내면에는 장착공간(103)과 끼움홈(104)들이 형성되는 차단케이스(101)와, 상기 차단케이스(101)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축(105)과, 상기 회전축(105)에 감기는 차단망(106)과, 상기 차단망(106)의 끝단에 장착되고 도중에는 손잡이(108)가 구비되어 차단망(106)을 상, 하 작동시키면서 끼움홈(104)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고리(107)로 구성되는 차단부(100)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은 곡면형성되는 곡면부(26a)를 기준으로 상부에 직각형상의 지지부(26b)가 절곡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돌기부(26c)가 절곡형성되되,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은 절곡형성되는 지지부(26b)가 상기 측판(21)의 고정돌기(27)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곡면가이드 판(26)의 수평방향으로 곡면가이드 삽입공(26d)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가이드 삽입공(26d)에는 전, 후방으로 회동작동하고 내부 공간에는 메모지, 세재, 음식이 담긴 봉지를 고정하는 클립, 비닐봉지가 선택적으로 보관되는 물품보관함(60)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28)의 양측에는 저면에 바퀴(71)들이 장착되는 수납함(70)들이 장착되고, 중앙 배면에는 상기 싱크대 높이 조절수단(50)의 회전작동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저면에 바퀴(71a)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고정돌기(72a)가 장착된 지지판넬(70a)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KR1020100042532A 2010-05-06 2010-05-06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KR10103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32A KR101032580B1 (ko) 2010-05-06 2010-05-06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32A KR101032580B1 (ko) 2010-05-06 2010-05-06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580B1 true KR101032580B1 (ko) 2011-05-06

Family

ID=4436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532A KR101032580B1 (ko) 2010-05-06 2010-05-06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51A (ko) 2014-11-28 2016-06-08 고경원 받침대로 이용 가능한 주방 가구용 서랍
CN115198847A (zh) * 2022-08-02 2022-10-18 北京创特盛达商贸有限公司 一种集洗手、给皂和风干一体的多功能智能洗手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97U (ko) * 1998-07-06 2000-02-07 김원종 싱크대 다리의 높이조절장치
KR100597173B1 (ko) 2003-09-26 2006-07-11 문준우 승강식 싱크 구조
KR20100011604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에넥스 기능성 싱크볼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97U (ko) * 1998-07-06 2000-02-07 김원종 싱크대 다리의 높이조절장치
KR100597173B1 (ko) 2003-09-26 2006-07-11 문준우 승강식 싱크 구조
KR20100011604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에넥스 기능성 싱크볼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51A (ko) 2014-11-28 2016-06-08 고경원 받침대로 이용 가능한 주방 가구용 서랍
CN115198847A (zh) * 2022-08-02 2022-10-18 北京创特盛达商贸有限公司 一种集洗手、给皂和风干一体的多功能智能洗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7761B2 (ja) 乳幼児用ビデ
CA2128803C (en) Fold-up bathtub
US8528126B2 (en) Apparatus and/or device for personal hygiene
US20220202203A1 (en) Diaper changing table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KR101032580B1 (ko) 식기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KR20170032697A (ko) 비데 기능이 있는 유아 용품
KR101530657B1 (ko) 유아용 기저귀 비데
CN210582342U (zh) 一种儿童马桶
JP3199367B2 (ja) 椅子型簡易便器
KR200381596Y1 (ko) 유아용 좌변기
KR20130138164A (ko) 유아용 욕조
CN213030257U (zh) 一种拉伸组合浴室柜
KR101037824B1 (ko) 유아용 식탁겸용 손세척기
CA3132271A1 (en) Diaper changing table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KR20060134528A (ko)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JP2008138453A (ja) 棚付き水栓
KR200326180Y1 (ko) 이동식 의자가 설치된 싱크대
CN206295307U (zh) 一种多功能的婴儿洗澡台
KR101219246B1 (ko)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KR102307381B1 (ko) 유아용 샴푸 의자
KR200173721Y1 (ko) 유아용 욕조
JPH0628609Y2 (ja) 室構造
JP2641845B2 (ja) 洗い場用カウンタ
JP6803555B2 (ja) 洗面化粧ユニット
KR200458717Y1 (ko) 거북이 도마걸이겸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