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86Y1 - 관로구 - Google Patents

관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86Y1
KR200381586Y1 KR20-2005-0001350U KR20050001350U KR200381586Y1 KR 200381586 Y1 KR200381586 Y1 KR 200381586Y1 KR 20050001350 U KR20050001350 U KR 20050001350U KR 200381586 Y1 KR200381586 Y1 KR 200381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crew groove
present
duc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오성종합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종합기술(주) filed Critical 오성종합기술(주)
Priority to KR20-2005-0001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로구에 관한 것으로, 맨홀과 관로를 연결하여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대가 형성되고, 타단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측에 지수판이 형성된 관형의 몸체와; 내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나사홈과 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고정대의 나사홈끼리 상호 돌려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로구{A drainpipe}
본 고안은 관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설치된 전력구나 맨홀에 추가로 관로구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관로구 숫자가 정해져 있는 기존 제품(기성품)에 추가로 관로구를 형성할 때, 맨홀과 관로를 연결하여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로구에 관한 것이다.
관로구는 맨홀 또는 핸드홀과 관로를 연결하여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관로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관로구(1)는 한쪽으로 갈 수록 좁아지는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체결홀(14)이 형성된 체결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에는 지수판(16)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10)에는 작업시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뚜껑(20)이 결합된다. 뚜껑(20)은 몸체(10)의 체결대(12)에 형성된 체결홀(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24)와 너트(26)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로구(1)는 벽체 형성시에 지수판(16)이 형성된 부분이 벽체에 내설될 수 있도록 위치시켜 벽체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관로의 증설 등의 이유로 벽체에 관로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한 후에 관로구를 삽입할 때에는 전술된 지수판(16)으로 인해 작업의 곤란성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관로구를 벽체에 설치하는 작업예를 설명한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관로구의 작업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관로구(1)를 삽입할 때에는 제1단계, 먼저 지수판(16)을 제거한다.
제2단계, 몸체(10)를 구멍에 삽입한다.
제3단계, 쐐기(32)를 사용하여 몸체(10)를 고정시킨다.
제4단계,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34)를 사용하여 벽체(30)를 밀봉시킨다.
제5단계, 볼트(24)와 너트(26)를 제거하여 뚜껑(20)을 몸체(10)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지수판(16)이 벽체(30)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제거시켜야 한다. 이때 지수판(16) 제거 작업시에 완전하게 제거가 되지 않거나 몸체(10)가 함께 파손될 위험이 있다.
둘째, 관로구(10)가 체결대(12)가 형성된 쪽으로부터 반대쪽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고정시키기가 곤란하여, 쐐기(32)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셋째, 침수 방지를 위해 실리콘 등과 같은 충진재(34)를 사용하여 벽체(30)와 몸체(10) 사이의 틈을 메꾸어야 하는데, 충진재(34) 등이 충격 등에 의해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누수 등이 발생하여 맨홀이나 관로가 침수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벽체에 형성된 구멍에 관로구를 설치할 경우에 벽체와 관로구를 견고히 결합시키고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관로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관로구는 일단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대가 형성되고, 타단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측에 지수판이 형성된 관형의 몸체와; 내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나사홈과 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고정대의 나사홈끼리 상호 돌려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관로구는 벽체에 삽입되되, 제1패킹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의 나사홈 부분이 상기 벽체를 통과하여 삽입되고, 제2패킹을 결합한 후 상기 고정대와 돌려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100)는 크게 몸체(110)와 고정대(120)로 구성된다.
몸체(110)는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체결대(112)가 타단에 나사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대(112)가 형성된 쪽에는 지수판(116)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지수판(1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관로구(1)의 지수판(116)이 벽체에 삽입되기 위해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에 비해, 체결대(112) 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며, 벽체에 삽입되지 않으며 관로구(1)를 벽체(30) 일측을 지지토록 한 것이 틀리다.
체결대(112)에는 체결홀(114)이 형성되어, 작업시 이물질이 관로구 내부에 유입하지 못하도록 뚜껑(20)과 결합되게 된다.
체결대(112)가 형성된 반대 부분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홈(118)이 형성된다. 나사홈(118)은 고정대(1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홈(122)과 돌려 맞춤되어 몸체(110)와 고정대(120)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100)를 벽체에 설치하는 작업예를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기술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의 작업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로 벽체(30)에 형성된 구멍의 입구 위치에 제1패킹(130)을 위치 시킨 후 몸체(110)를 벽체(3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한다.
제2단계, 벽체(30)에 형성된 구멍의 출구 위치에 제2패킹(132)을 위치시킨다.
제3단계, 고정대(120)에 형성된 나사홈(122)과 몸체(110)에 형성된 나사홈(118)을 상호 돌려 맞춤하여, 고정대(120)와 몸체(110)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벽체(30)를 중심으로 지수판(116)와 고정대(120) 사이에 위치된 제1패킹(130)과 제2패킹(132)이 압착되어 벽체(30)에 형성된 빈 틈새를 밀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파형관 끼움 작업시 뚜껑(20)을 체결대(112)로부터 상호 분리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에 형성된 나사홈과 고정대에 형성된 나사홈의 돌려 맞춤에 의해 간편하게 관로구를 벽체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1패킹과 제2패킹에 의해 벽체에 형성된 빈 틈새를 완벽하게 밀봉할 수 있어, 벽체 내부로 물이나 기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관로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관로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관로구의 작업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의 작업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관로구 10,110: 몸체
12,112: 체결대 14,114: 체결홀
16,116: 지수판 20: 뚜껑
22: 체결홀 24: 볼트
26: 너트 30: 벽체
32: 쐐기 34: 충진재
118,122: 나사홈 120: 고정대
130: 제1패킹 132: 제2패킹

Claims (2)

  1. 일단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대가 형성되고, 타단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측에 지수판이 형성된 관형의 몸체와;
    내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나사홈과 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고정대의 나사홈끼리 상호 돌려 맞추어 벽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는 벽체에 삽입되되,
    제1패킹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의 나사홈 부분이 상기 벽체를 통과하여 삽입되고,
    제2패킹을 결합한 후 상기 고정대와 돌려 맞추어 벽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KR20-2005-0001350U 2005-01-17 2005-01-17 관로구 KR200381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50U KR200381586Y1 (ko) 2005-01-17 2005-01-17 관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50U KR200381586Y1 (ko) 2005-01-17 2005-01-17 관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86Y1 true KR200381586Y1 (ko) 2005-04-14

Family

ID=4368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50U KR200381586Y1 (ko) 2005-01-17 2005-01-17 관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632B1 (en) Push-in closet flange
US20090119826A1 (en) Flexible flange apparatus with a flexible membrane
JP2007285522A (ja) 配管配線用挿通ダクト
JP6836309B2 (ja) シール
KR200381586Y1 (ko) 관로구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JP6120245B2 (ja) 配管接続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水洗便器
JP2011074928A (ja) 立管路構造及び管継手
KR101804247B1 (ko)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EP1313190A1 (en) Mechanical seal for a cable installed in a corrugated duct
JP2014234591A (ja) 配管部材の接続構造
JP2006307962A (ja) 配管固定具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JP7194008B2 (ja) 離脱防止装置
JP2007100410A (ja) 内副管用継手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JP4916674B2 (ja) 配管固定具
JP6488476B2 (ja) 管体の接続構造
KR100216073B1 (ko) 광케이블용 관구마개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19627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0666481B1 (ko) 케이블 관체의 방수장치
KR200343963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