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21Y1 -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 Google Patents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21Y1
KR200381521Y1 KR20-2005-0000516U KR20050000516U KR200381521Y1 KR 200381521 Y1 KR200381521 Y1 KR 200381521Y1 KR 20050000516 U KR20050000516 U KR 20050000516U KR 200381521 Y1 KR200381521 Y1 KR 200381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knot
necklace
presen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학
Original Assignee
민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학 filed Critical 민병학
Priority to KR20-2005-0000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8Neckties using a slide fastener to adjust the neck loo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매듭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옷매무시를 깔끔하게 유지시켜주는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외대와, 그 외대의 후면에 위치하는 내대와, 상기 외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역삼각형상의 매듭부와,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는 목걸이부로 이루어지는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는 그 일부를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매듭부가 형성된 넥타이를 제공하되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가 목걸이부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가미되어 착용이 용이하고, 장시간 착용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넥타이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도록 보정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Necktie having compensating function}
본 고안은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넥타이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매듭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옷매무시를 깔끔하게 유지시켜주는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긴 끈 형태를 이루고 있어 실제로 착용하기 위해서는 목에 두르고 여러번 매듭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착용이 매우 번거롭고 초보자의 경우에는 넥타이 매는것이 쉽지 않아 매우 불편하다.
물론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지퍼넥타이가 등장하여 넥타이의 착용이 용이해졌으나,착용 후 일정시간이 흐른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매듭부가 풀려 헐거워져 타인에게 안좋은 인상을 남기게 되고, 자주 넥타이를 밀어 올려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넥타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흐른 경우에도 넥타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넥타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외대(10)와, 그 외대(10)의 후면에 위치하는 내대(20)와, 상기 외대(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역삼각형상의 매듭부(30)와,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는 목걸이부(40)로 이루어지는 넥타이(1)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40)는 그 일부를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42)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걸이부(40)는 그 일측이 절개되어 일단부에는 제1결합부(5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5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결합부(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듭부(30)의 양측에는 각각 제3 및 제4 결합부(60,70)를 구비하고, 상기 목걸이부(40)는 상기 매듭부(30)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그 일단부에 상기 제3결합부(60)와 체결 및 분리되는 제5결합부(62)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상기 제4결합부(70)와 체결 및 분리되는 제6결합부(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의하면 넥타이(1)는 외대(10)와, 그 외대(10)의 후면에 위치하는 내대(20)와, 상기 외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역삼각형상의 매듭부(30)와,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는 목걸이부(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목걸이부(40)는 그 전체를 신축성을 가지는 일정폭의 밴드(42)로 구성하고 그 밴드(42)의 양단부를 상기 매듭부(30)의 양측에 봉재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 넥타이(1)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목걸이부(40)를 양손으로 잡아늘린 상태에서 머리를 통과시켜 간단히 목에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밴드(42)의 재질은 신축성 있는 고무 또는 라텍스 계통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신축성 있는 면 등의 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42)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비율만큼씩 늘어나게 되며, 힘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 길이가 다시 줄어든다.
그리고, 상기 넥타이(1)는 비단이나 면 또는 나일론과 같은 섬유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매듭부(30)의 내부에는 그 매듭부가 역삼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질 성질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보형물을 내부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의하면, 외대(10)와 매듭부(30)를 일체로 형성하고,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는 목걸이부(40)와 내대(20)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대(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대칭되도록 절개된 상태에서 다수의 엘리먼트(22)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2개의 지퍼테이프(24,24')가 매듭부(30)의 일측까지 연장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매듭부(30)에는 상기 지퍼테이프(24,24')가 왕복하면서 상기 엘리먼트(22)끼리 서로 맞물리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슬라이더(32)가 고정되어 넥타이의 사용자가 슬라이더(32)가 고정되는 매듭부(30)를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내대(20)를 잡아당기면 슬라이더(32)에 의해 엘리먼트(22)끼리 결합하며 조여지게 되고, 목걸이부(40)를 잡아당기면 엘리먼트(42)가 분리되어 넥타이(1)를 푸를 수 있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의 후단 일측를 탄성력을 가지는 밴드(42)를 구비하여 넥타이(1)가 흘러내리는 경우 그 탄성력이 작용하여 쳐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의하면, 목걸이부(40)의 일측이 절개되어 일단부에는 제1결합부(50)인 단추를 구비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50)인 단추가 체결되는 제2결합부(52)인 단추구멍를 구비한다. 한편, 목걸이부의 일정구간은 신축성을 가지는 일정폭의 밴드(42)로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50) 및 제2결합부(52)는 암/수 벨크로테이프(미도시됨)로 구성하거나, 암/수 스냅단추(미도시됨)로 구성함도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채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넥타이(1)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결합부(50) 및 제2결합부(52)를 서로 분리하여 목에 댄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50) 및 제2결합부(52)를 결합시켜 고정하여 줌으로서 착용이 완료된다. 이 경우에도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밴드(42)의 탄성에 의해 일정하게 처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의하면, 목걸이부(40)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매듭부(30)의 양측에 각각 제3 및 제4 결합부(60,70)인 단추를 구비하고, 목걸이부(40)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3결합부(60)와 체결 및 분리되는 제5결합부(62)인 단추구멍을 구비하고 타단부에 상기 제4결합부(70)와 체결 및 분리되는 제6결합부(72)인 단추구멍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결합부(60) 및 제5결합부(62)와 제4결합부(70) 및 제6결합부(72)는 암/수 벨크로테이프로 구성하거나, 암/수 스냅단추로 구성함도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채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넥타이(1)를 오랜기간 동안 사용하여 닳은 경우 목걸이부(40)만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의하면, 일반적인 일자형 넥타이(1)의 일정구간, 특히 넥타이(1)를 목에 착용하는 경우 목걸이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밴드(42)로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매듭부(30)가 형성된 넥타이를 제공하되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42)가 목걸이부(40)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가미되어 착용이 용이하고, 장시간 착용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넥타이(1)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도록 보정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 일반적인 넥타이를 착용시 혈압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42)를 이용하여 구성하여 넥타이 착용자의 고혈압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목걸이부(40)만을 따로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넥타이(1)를 오랜기간 착용하여 목걸이부(40)가 닳은 경우에는 목걸이부(40)만을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대 20: 내대
30: 매듭부 40: 목걸이부
42: 밴드 50: 제1결합부
52: 제2결합부 60: 제3결합부
62: 제5결합부 70: 제4결합부
72: 제6결합부

Claims (4)

  1. 외대(10)와, 그 외대(10)의 후면에 위치하는 내대(20)와, 상기 외대(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역삼각형상의 매듭부(30)와,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는 목걸이부(40)로 이루어지는 넥타이(1)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40)는 그 일부를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42)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40)는 그 자체를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4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40)는 그 일측이 절개되어 일단부에는 제1결합부(5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5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결합부(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부(30)의 양측에는 각각 제3 및 제4 결합부(60,70)를 구비하고, 상기 목걸이부(40)는 상기 매듭부(30)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그 일단부에 상기 제3결합부(60)와 체결 및 분리되는 제5결합부(62)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상기 제4결합부(70)와 체결 및 분리되는 제6결합부(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KR20-2005-0000516U 2005-01-07 2005-01-07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KR200381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16U KR200381521Y1 (ko) 2005-01-07 2005-01-07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16U KR200381521Y1 (ko) 2005-01-07 2005-01-07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21Y1 true KR200381521Y1 (ko) 2005-04-14

Family

ID=4368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516U KR200381521Y1 (ko) 2005-01-07 2005-01-07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43B1 (ko) * 2011-08-26 2013-04-09 양민우 소검 부가 없는 기능성 넥타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43B1 (ko) * 2011-08-26 2013-04-09 양민우 소검 부가 없는 기능성 넥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738B1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US20090133710A1 (en) Wig using hairnet
US5960473A (en) Sportswear
EP2441336B1 (en) Leg cover
KR200381521Y1 (ko) 보정기능을 가지는 넥타이
US6305025B1 (en) Permanently knotted tie
JP5000899B2 (ja) グローブ
KR101384591B1 (ko) 부착식 넥타이
KR102071521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한복치마의 착용방법
KR20080110125A (ko) 허리 사이즈 조절부를 구비한 치마
JPH114704A (ja) 靴の緊締構造
JP3757245B2 (ja) 留具
KR200420747Y1 (ko) 도복용 띠
KR200158613Y1 (ko) 매듭없는 넥타이
KR200348543Y1 (ko) 넥타이 착용구
KR200302800Y1 (ko) 도복용 띠
JP5236795B2 (ja) パンツ
JP2006022429A (ja) ゴーグル付きスイミングキャップ
KR200342587Y1 (ko) 넥타이용 고정구
KR100746354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간이 넥타이
KR200189047Y1 (ko) 넥타이
JP3118035U (ja)
KR200323299Y1 (ko) 넥타이 매듭
JP4413255B2 (ja) 微伸縮性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衣類
KR200422570Y1 (ko) 조립식넥타이의 목끈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