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174Y1 -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174Y1
KR200381174Y1 KR20-2005-0000413U KR20050000413U KR200381174Y1 KR 200381174 Y1 KR200381174 Y1 KR 200381174Y1 KR 20050000413 U KR20050000413 U KR 20050000413U KR 200381174 Y1 KR200381174 Y1 KR 200381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raightening
rear end
induction heating
frequency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김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기 filed Critical 김성기
Priority to KR20-2005-0000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44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heating, lubricating or water-spray cooling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42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용 판재의 가공시 판재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상온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냉간 압연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이동용 및 교정용 상하 롤러를 구비하고, 그 좌우 측방에는 판재의 모서리를 직각으로 교정 가공하기 위한 사이드 롤러를 별도로 구비하고, 냉간압연으로 인한 조직변형 및 응력 제거를 위해 전단에 고주파 유도가열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연속적이고 원활한 판재의 압연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압연시 무리한 토크가 가해지지 않아도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일정길이의 철판류로 이루어진 판재재료가 냉간압연을 위해 인입되는 인입단측에 그 판재재료를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롤러와; 그 인입롤러의 후단에 구비되며, 냉간압연으로 인한 조직변형 및 응력 제거를 위한 고주파 유도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고주파 유도 가열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1 교정부와; 상기 제 1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1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와; 상기 제 1 이동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동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2 교정부와; 상기 제 2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2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와; 상기 제 2 이동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동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3 교정부와; 상기 제 3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제 3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인입단에 설치된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에 의해 모재가 유도 가열됨으로써 압연 공정시 조직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응력을 제거할 수 있고, 다수개의 이동부를 통해 이동되면서 그 이동부의 전후단에 배치된 다수개의 교정부에 의해 수회 교정됨으로써 정밀한 가공면을 갖는 판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COMPLEX APPARATUS OF A COLD ROLLING AND CORRECTOR WITH A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건축용 판재의 가공시 판재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상온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냉간 압연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이동용 및 교정용 상하 롤러를 구비하고, 그 좌우 측방에는 판재의 모서리를 직각으로 교정 가공하기 위한 사이드 롤러를 별도로 구비하고, 냉간압연으로 인한 조직변형 및 응력 제거를 위해 전단에 고주파 유도가열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연속적이고 원활한 판재의 압연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압연시 무리한 토크가 가해지지 않아도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성가공에서 판재의 성형가공은 대단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대량생산용 기계로서 프레스 기계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레스 기계장치는, 성형 가공할 성형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작되어 피성형판재를 지지하는 성형용 다이와 피성형판재를 성형용 다이를 향해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용 펀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프레스 금형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판금가공에서는 필요한 성형물의 형상을 얻기 위하여 일정부위를 이중으로 가공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피성형판재를 펀치로 가압하여 드로잉 성형한 드로잉성형부를 피어싱이나 버어링작업하여 천공부를 형성하는 것은 소성가공에서 매우 흔한 일이다. 이 작업은 드로잉성형용 펀치 및 피어싱이나 버어링성형용 펀치를 펀치홀더에 따로 장착하여, 별개의 공정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현재 판재성형 작업공구나 판재성형용 장치는 모두 피어싱 작업과 노칭작업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므로 공정수가 증가되게 되고, 공정시간 역시 증가되게 되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노칭작업을 하기 위한 장치는 피어싱 작업을 위한 장치와는 별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체 장치를 갖추기에 경제적인 부담이 더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판재 성형 프레스장치"라는 명칭으로 특허출원을 한 바, 그 판재성형 프레스장치는 단일의 장치에 피어싱과 노칭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펀치의 이동에 연동하여 피성형 판재에 대해 피어싱과 노칭을 동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한 "판재 성형 프레스 장치"를 통해서 가공된 건축용 판재(2)는 그 형태가 건축물의 형상이나 용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 상면(4)과 측면(8)을 천공하여 관통공(6, 10)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골조에 용이하게 결착할 수 있게 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건축용 판재의 복합 성형장치(도 1참조: 12)에 의해 그 상면(4)을 타공하는 것을 피어싱작업이라고 하고, 그 측면(8)을 타공하는 것을 노칭작업이라고 한다.
이때, 상기 성형 건축용 판재(2)는 관통공(6, 10)이 소성 가공되지 않은 피성형 건축용 판재(도시 생략)를 상기 건축용 판재 성형 프레스장치(12)에 투입하여 그 상면(4)과 측면(8)에 각각 관통공(6, 10)을 형성한다. 상기 성형 건축용 판재(2)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6, 10)은 각 성형 건축용 판재(2)간의 지지를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한 "판재 성형 프레스 장치"를 통해서 건축용 판재(2)를 가공하기 전에 일정형태의 철판을 건축용 판재(2)의 형태로 가공한 후, 상기한 "판재 성형 프레스장치"를 통해 펀칭과 노칭작업을 실행하는 데, 이때 철판을 건축용 판재(2)로 가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길이가 긴 철판에 열을 가하여 다수개의 압연롤러(미도시)가 구비된 열간압연기(미도시)를 통과시켜 도 1a에 도시된 형태의 건축용 판재(2)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열간압연기는 다수개의 압연롤러가 모두 상부 및 하부 롤러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그 측면 가공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가공이 완료된 건축용 판재(2)는 모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모서리부분(2a,2b,2c,2d)이 모두 일정각도로 라운드져 있었다. 이렇게 모서리가 라운드진 건축용 판재(2)를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연결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게 되면 시멘트를 그 거푸집에 타설하여 양생한 다음에 건축 구조물의 벽체에 그 건축용 패널의 모서리 연결부에 일정한 갭(16a,16b)이 생겨 부착한 자국이 남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건축용 패널의 자국은 일일이 정이나 끌,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수공으로 마모시키는 마무리작업을 행해야 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고 건축물 마감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열간압연기는 건축용 판재의 온도가 높으므로 그 마지막 롤러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중에 건축용 판재(2)가 엿가락처럼 휘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휘어진 건축용 판재(2)를 일일이 해머 등을 이용하여 펴거나, 별도의 교정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라는 명칭으로 열간압연 방식을 이용하여 건축용 판재를 강제 인출함으로써 그 판재의 모서리부가 직각으로 형성되게 하는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특허출원하였다.
이하,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a, 3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가공장치의 냉간압연부와 교정부를 각각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가공장치(100)는 건축용 판재의 가공시 판재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상온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냉간압연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상하 롤러를 구비하고, 그 좌우 측방에는 판재의 모서리를 직각으로 가공하기 위한 사이드 롤러를 별도로 구비하며, 냉간압연공정에 이어 판재 교정기를 통과시켜 미세한 휨까지 자동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도록 한다.
즉,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가공장치(100)는 크게 일정길이의 철판류가 그 인입단으로부터 인입되어 상온상태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냉간압연기(200)와; 그 냉간압연기(200)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냉간압연기(200)로부터 가공되어 인출된 건축용 판재(2)의 비틀림을 교정하여 주는 교정기(300)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냉간압연기(200)는 종래의 열간압연기(미도시)에서 판재(2)가 인출될 때 그 판재에 가해진 열에 의해 판재(2)에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거나 판재가 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판재(2)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공되지 않게 함으로써 거푸집에 시멘트 타설시 벽면이 매끄럽게 양생되도록 하기 위한 건축용 판재(2)의 가공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냉간압연기(200)는 네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202)과, 그 수직 프레임(202)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204)과, 그 수직 프레임(202)의 상면에 연결된 상판(214)으로 이루어진 장치다이가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204)의 상면에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2 모터(206, 208)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그 모터축에는 각각 풀리(210, 212)가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판(214)에는 다수개의 하부롤러(218,228,236)를 지지하는 지지대(216,226,234)가 구성되고, 그 지지대(216,226,234)의 상면에는 하부롤러(218,228,236)가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져 있으며, 전방 및 후방에 구성된 하부롤러(218,228,236)의 측면에는 각각 풀리(220,238)가 결합되어져 있고, 그 풀리(220,238)는 상기 제 1, 2 모터(206,208)의 풀리(210,212)에 밸트(242,244)를 매개로 연결되어져 있다.
또, 상기 하부롤러(218,228,236)의 외주연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상부롤러(222,232,240)가 그 하부롤러(218,228,236)의 상부에 구성되는 바, 상기 하부롤러(218,228,236)와 상부롤러(222,232,240)의 갭으로 건축용 판재(2)가 투입되어 일정형상으로 압연 성형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상부롤러(222,232,240)는 상부 지지판(2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222,232,240) 및 하부롤러(218,228,236)는 각각 1조로 구성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3조의 상/하부 롤러가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각 조로 이루어진 상부롤러(222,232,240) 및 하부롤러(218,228,236)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판재(2)의 측면을 압연 가공하는 사이드롤러(246,250)가 복수개 구비되는 바, 그 사이드롤러(246,250)는 그 롤러축에 각각 풀리(248,252)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풀리(248,252)는 밸트를 매개로 후단에 별도로 축결합된 또 다른 풀리(254)에 연결되어져 있다.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풀리(254)는 모터축에 축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상판(214)의 측면에 상기 사이드롤러(246,250)에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6)가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부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간압연기(200)의 하부롤러(218,228,236)와 상부롤러(222,232,240) 및 사이드롤러(246,250)가 형성하는 갭을 철판이 통과하게 되면, 건축용 판재(2)가 그 롤러들에 의해 냉간 압연되어 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간압연기(200)에서 냉간압연된 건축용 판재(2)는 다시 그 냉간압연기(200)의 후단에 구성된 교정기(300)를 통과함으로써 판재의 비틀림 또는 휨이 교정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교정기(300)는 상기 냉간압연기(200)와 마찬가지로, 네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프레임(302)과, 그 수직 프레임(302)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304)과, 그 수직 프레임(302)의 상면에 연결된 상판(310)으로 이루어진 장치다이가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304)의 상면에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06)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그 모터축에는 풀리(308)가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판(310)에는 다수개의 하부 교정롤러(312,318,320)를 지지하는 지지대(324,326,328)가 구성되고, 그 지지대(324,326,328)의 상면에는 하부 교정롤러(312,318,320)가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져 있으며, 전방에 구성된 하부 교정롤러(312)의 측면에는 각각 풀리(314)가 결합되어져 있고, 그 풀리(314)는 상기 모터(306)의 풀리(308)에 밸트(340)를 매개로 연결되어져 있다.
또한, 전/후방에 각각 위치된 상기 하부 교정롤러(312,320)의 외주연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상부 교정롤러(313,322)가 그 하부 교정롤러(312,320)의 상부에 구성되는 바, 상기 하부 교정롤러(312,320)와 상부 교정롤러(313,322)의 갭으로 건축용 판재(2)가 투입되어 일정형상으로 압연 성형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중앙에 위치된 상부 교정롤러(316)는 중앙에 위치된 하부 교정롤러(318)의 직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고,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각각 일정거리 이격된 그 중앙의 상/하부 교정롤러(316,318)에 건축용 판재(2)가 잡혀진 상태로 통과되면서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 교정롤러(313,316,322)는 상부 지지판(3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가공장치(100)의 냉간압연기(200)는 냉간 압연시 피로도가 누적됨으로써 판재(2)의 조직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았으며, 상온(常溫) 상태의 판재(2)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내부 응력이 축적될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므로 판재(2)의 지지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축용 판재의 가공시 판재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상온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냉간 압연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이동용 및 교정용 상하 롤러를 구비하고, 그 좌우 측방에는 판재의 모서리를 직각으로 교정 가공하기 위한 사이드 롤러를 별도로 구비하고, 냉간압연으로 인한 조직변형 및 응력 제거를 위해 전단에 고주파 유도가열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연속적이고 원활한 판재의 압연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압연시 무리한 토크가 가해지지 않아도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길이의 철판류로 이루어진 판재재료가 냉간압연을 위해 인입되는 인입단측에 그 판재재료를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롤러와; 그 인입롤러의 후단에 구비되며, 냉간압연으로 인한 조직변형 및 응력 제거를 위한 고주파 유도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고주파 유도 가열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1 교정부와; 상기 제 1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1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와; 상기 제 1 이동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동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2 교정부와; 상기 제 2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2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와; 상기 제 2 이동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동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3 교정부와; 상기 제 3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제 3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2, 3 교정부는 이송된 판재의 상하면 및 측면 교정을 위해 복수개의 사이드롤러 및 교정롤러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사이드 롤러가 배치되고, 그 사이드 롤러의 후단에 교정롤러가 배치되며, 그 교정롤러의 후단에 다른 사이드롤러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2 이동부는 각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각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후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하 롤러가 1조로 이루어진 이송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롤러는 그 축에 종동풀리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다이 프레임의 하부지지판에 볼트 결합된 구동모터에 축결합된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짐으로써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는 건축용 판재의 가공시 판재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상온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냉간 압연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이동용 및 교정용 상하 롤러를 구비하고, 그 좌우 측방에는 판재의 모서리를 직각으로 교정 가공하기 위한 사이드 롤러를 별도로 구비하고, 냉간압연으로 인한 조직변형 및 응력 제거를 위해 전단에 고주파 유도가열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연속적이고 원활한 판재의 압연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압연시 무리한 토크가 가해지지 않아도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장치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출원한 판재 가공장치(100)에 구비된 구성이 다수 포함되어져 있으나, 본 고안의 보다 정확한 기재를 위해 중복되는 구성이라 할지라도 다시 중복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는 크게 일정길이의 철판류로 이루어진 판재재료가 냉간압연을 위해 인입되는 인입단측에 그 판재재료를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롤러(208)와; 그 인입롤러(208)의 후단에 구비되며, 냉간압연으로 인한 조직변형 및 응력 제거를 위한 고주파 유도 가열부(212)와;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부(212)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고주파 유도 가열부(212)를 통과한 판재(2)를 교정하기 위한 제 1 교정부(214)와; 상기 제 1 교정부(214)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1 교정부(214)를 통과한 판재(2)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216)와; 상기 제 1 이동부(216)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동부(216)를 통과한 판재(2)를 교정하기 위한 제 2 교정부(218)와; 상기 제 2 교정부(218)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2 교정부(218)를 통과한 판재(2)를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220)와; 상기 제 2 이동부(220)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동부(220)를 통과한 판재(2)를 교정하기 위한 제 3 교정부(222)와; 상기 제 3 교정부(222)의 후단에 구비되며, 제 3 교정부(222)를 통과한 판재(2)를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롤러(210)로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에서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212)는 고주파 유도 가열원리를 이용한 장치로서, 이미 공지된 장치이다. 고주파 유도 가열이라 함은 표면 경화 처리(表面硬化處理)로서의 고주파 열처리(高周波熱處理)는 경화층(硬化層)을 자유로 선정하여 내마모성(內麻耗性)과 피로강도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도가열은 전자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금속내에서 전기에너지를 직접 열에너지로 변화시켜 발열시키는 방법으로 이것을 이용한 고주파 열처리에는 많은 특징이 있다. 가열효율이 좋고 작업시간이 짧아지므로 에너지가 절약되어 가공비가 절약된다. 이러한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본 고안은 그 냉간압연시 가공이 용이하며, 내부 응력제거 및 판재(2)의 조직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212)는 타 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에서 제 1 교정부(214)는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212)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212)를 통과하여 이송된 판재(2)의 상하면 및 측면 교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개의 사이드롤러(226,238) 및 교정롤러(228,2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단에 사이드 롤러(226)가 배치되고, 그 사이드 롤러(226)의 후단에 교정롤러(228,230)가 배치되며, 그 교정롤러(228,230)의 후단에 다른 사이드롤러(238)가 배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판재(2)는 제 1 교정부(214)를 통과하면서 1차 교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사이드롤러(226,238) 및 교정롤러(228,230)의 가압면 구성은 종래 본 출원인이 출원한 롤러의 가압면 구성과 동일하므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에서 상기 제 1 이동부(216)는 상기 제 1 교정부(214)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1 교정부(214)를 통과한 판재(2)를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으로서, 상하 롤러가 1조로 이루어진 이송롤러(240,24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240,242)는 그 축에 종동풀리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다이 프레임(202)의 하부지지판(206)에 볼트 결합된 제 1 구동모터(246)에 축결합된 구동풀리(246a)와 벨트(244)로 연결되어짐으로써 구동풀리(246a)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어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에서 제 2 교정부(218)는 상기 제 1 이동부(216)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212)를 통과하여 이송된 판재(2)의 상하면 및 측면 교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개의 사이드롤러(250,258) 및 교정롤러(252,254)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단에 사이드 롤러(250)가 배치되고, 그 사이드 롤러(250)의 후단에 교정롤러(252,254)가 배치되며, 그 교정롤러(252,254)의 후단에 다른 사이드롤러(258)가 배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판재(2)는 제 2 교정부(218)를 통과하면서 2차 교정이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에서 상기 제 2 이동부(220)는 상기 제 2 교정부(218)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2 교정부(218)를 통과한 판재(2)를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으로서, 상하 롤러가 1조로 이루어진 이송롤러(262,26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262,264)는 그 축에 종동풀리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다이 프레임(202)의 하부지지판(206)에 볼트 결합된 제 2 구동모터(266)에 축결합된 구동풀리(266a)와 벨트(267)로 연결되어짐으로써 구동풀리(266a)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어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에서 제 3 교정부(222)는 상기 제 2 이동부(220)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212)를 통과하여 이송된 판재(2)의 상하면 및 측면 교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개의 사이드롤러(272,280) 및 교정롤러(274,276)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단에 사이드 롤러(272)가 배치되고, 그 사이드 롤러(272)의 후단에 교정롤러(274,276)가 배치되며, 그 교정롤러(274,276)의 후단에 다른 사이드롤러(280)가 배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판재(3)는 제 3 교정부(222)를 통과하면서 3차 교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에 구비된 모든 사이드 롤러(226,238,250,258,272,280)는 그 하단에 각각의 종동풀리(224,236,248,256,270,278)가 축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종동풀리(224,236,248,256,270,278)는 벨트(284)에 의해 구동모터(282)에 결합되어져 그 구동모터(282)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는 다수개의 이동용 또는 교정용 상하 롤러(228,230,240,242,252,254,262,264,274,276)를 지지하기 위한 상하 지지대(232,255,260,234,268)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200)는 인입단에 설치된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212)에 의해 모재가 유도 가열됨으로써 압연 공정시 조직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응력을 제거할 수 있고, 다수개의 이동부(216,220)를 통해 이동되면서 그 이동부(216,220)의 전후단에 배치된 다수개의 교정부(214,218,22)에 의해 수회 교정됨으로써 정밀한 가공면을 갖는 판재(2)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는 인입단에 설치된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에 의해 모재가 유도 가열됨으로써 압연 공정시 조직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응력을 제거할 수 있고, 다수개의 이동부를 통해 이동되면서 그 이동부의 전후단에 배치된 다수개의 교정부에 의해 수회 교정됨으로써 정밀한 가공면을 갖는 판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 1c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a, 3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재가공장치의 냉간압연부와 교정부를 각각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판재, 212:고주파유도가열부,
214:제1교정부, 216:제 1이동부,
218:제 2교정부, 220:제 2 이동부,
222:제 3교정부, 246:제1구동모터,
266:제2구동모터.

Claims (4)

  1. 일정길이의 철판류로 이루어진 판재재료가 냉간압연을 위해 인입되는 인입단측에 그 판재재료를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롤러와; 그 인입롤러의 후단에 구비되며, 냉간압연으로 인한 조직변형 및 응력 제거를 위한 고주파 유도 가열부와;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고주파 유도 가열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1 교정부와; 상기 제 1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1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와; 상기 제 1 이동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동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2 교정부와; 상기 제 2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제 2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와; 상기 제 2 이동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동부를 통과한 판재를 교정하기 위한 제 3 교정부와; 상기 제 3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제 3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교정부는 이송된 판재(2)의 상하면 및 측면 교정을 위해 복수개의 사이드롤러 및 교정롤러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사이드 롤러가 배치되고, 그 사이드 롤러의 후단에 교정롤러가 배치되며, 그 교정롤러의 후단에 다른 사이드롤러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이동부는 각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각 교정부를 통과한 판재를 후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하 롤러가 1조로 이루어진 이송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그 축에 종동풀리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다이 프레임의 하부지지판에 볼트 결합된 구동모터에 축결합된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짐으로써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KR20-2005-0000413U 2005-01-06 2005-01-06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KR200381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13U KR200381174Y1 (ko) 2005-01-06 2005-01-06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13U KR200381174Y1 (ko) 2005-01-06 2005-01-06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174Y1 true KR200381174Y1 (ko) 2005-04-11

Family

ID=4368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413U KR200381174Y1 (ko) 2005-01-06 2005-01-06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1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008B1 (ko) 2006-12-04 2007-07-13 서훈산업유한회사 강판 소둔용 인너커버 고주파 히팅 교정기
KR101730606B1 (ko) * 2015-11-13 2017-04-26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강화패널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008B1 (ko) 2006-12-04 2007-07-13 서훈산업유한회사 강판 소둔용 인너커버 고주파 히팅 교정기
KR101730606B1 (ko) * 2015-11-13 2017-04-26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강화패널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017B1 (ko) 전열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10000932A (ko) 모터케이스의 베어링부 성형방법
CN108435907B (zh) 一种模板紧固件折弯生产线及加工方法
KR200381174Y1 (ko) 고주파 유도 가열부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US10472691B2 (en) Hot-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hardened shaped components from steel sheet
CN101215626B (zh) 连续角钢热处理方法和角钢制造方法
KR200353335Y1 (ko) 건축용 판재가공장치
CN210647843U (zh) 一种拉弯矫直机
KR20040078635A (ko) 판재 가이더가 구비된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CN215944159U (zh) 一种不锈钢板材粗糙花纹制作设备
KR20040030775A (ko) 건축용 판재가공장치
JP3491782B2 (ja) 曲率をもった部材の焼入装置
KR101204480B1 (ko) 롤 포밍 시스템용 피어싱 성형장치
JP4801277B2 (ja) 車体パネルの成形方法
KR20050035839A (ko) 동시 성형식 건축용 판재 가공장치
KR101424439B1 (ko) 슬라브 사이징 프레스 장치
KR200365276Y1 (ko) 보강구조를 갖는 냉간압연 타입의 건축용 판재
KR100351097B1 (ko) 평철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14263470U (zh) 一种大棚管加工用冲压设备
CN214919195U (zh) 一种用于冲床上的板簧调直装置
CN219648503U (zh) 一种w钢带用冲孔设备
CN212525505U (zh) 一种冷弯型钢的钢卷原料用夹送矫平装置
CN214442081U (zh) 一种可调式紧密钣金加工弯折装置
KR20050023172A (ko) 문틀 프레임 성형장치
CN201143531Y (zh) 角钢制造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