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067Y1 -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067Y1
KR200381067Y1 KR20-2005-0000423U KR20050000423U KR200381067Y1 KR 200381067 Y1 KR200381067 Y1 KR 200381067Y1 KR 20050000423 U KR20050000423 U KR 20050000423U KR 200381067 Y1 KR200381067 Y1 KR 200381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patient
main frame
frame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웅
Original Assignee
이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웅 filed Critical 이영웅
Priority to KR20-2005-0000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혼자의 힘으로 거동이 어려운 환자나 장애인을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을 위한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감속모터의 구동으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환자를 들어올리는 리프트밴드가 고정된 이송부재를 상하 작동시킴으로서, 리프트의 구동방식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한편 환자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수직상의 메인프레임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에서 케이스에 감싸여 내장 설치된 감속모터와; 감속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베어링에 장착되어 메인프레임 안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에 끼워져 메인프레임 안에 내장 설치되고 스크류축의 회전으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재와; 이송부재에 한쪽단이 결속되고 다른 한쪽단은 후크가 장착되며 메인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끼워져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타고 상하 작동하는 리프트밴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For patient running gear lift}
본 고안은 혼자의 힘으로 거동이 어려운 환자나 장애인을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을 위한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속모터의 구동으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환자를 들어올리는 리프트밴드가 고정된 이송부재를 상하 작동시킴으로서, 리프트의 구동방식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한편 환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이 마비된 환자나 지체가 어려운 장애인 및 노약자는 혼자의 힘으로 거동이나 다른 장소로 이동이 어려움으로서 필수적으로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도움이 요구되고, 간병인이나 보호자라 하더라도 환자나 지체가 어려운 장애인 및 노약자를 안전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선 무리한 힘이 따르고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움을 받는 환자나 장애인 및 노약자가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즉, 거동이 어려운 환자나 장애인 및 노약자(이하 "환자"라 칭함)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선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환자를 침대에서 들어올려 휠체어 등에 앉힌 다음 휠체어를 통하여 환자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무리한 힘이 들어 환자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자를 들어올리는 리프트(lift)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목욕, 또는 옷을 갈아입히는 일들을 수행함으로서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 환자를 간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환자가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있다.
기존 병원이나 일반 가정에 제공되고 있는 환자용 리프트는 수직과 수평상의 프레임이 바닥면이나 또는 벽면에 지지 고정되고, 상기 수직과 수평상의 프레임 안에 후크가 장착된 와이어가 끼워져 내장 설치되며, 와이어의 후크에 환자를 감싸 들어올리는 기능의 리프트패드가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는 유압이나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 및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당겨져 환자가 감싸인 리프트패드를 들어올리고 내리게 작동된다.
이러한 기존의 환자용 리프트는 유압이나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 및 모터의 구동으로 와이어가 상하로 당겨져 환자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구동방식으로서,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뒤따르고, 고가의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한편 기존의 구동방식에서는 환자를 들어올리는 와이어의 상하 작동이 부드럽고 자연스럽지 못하여 안정감이 떨어짐에 따라 환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실정으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환자의 하중이 와이어를 통하여 구동장치에 가해질 경우 부하가 발생하여 손상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 환자용 리프트의 사용상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감속모터의 구동으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환자를 들어올리는 리프트밴드가 고정된 이송부재를 상하 작동시킴으로서, 리프트의 구동방식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한편 환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수직상의 메인프레임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에서 케이스에 감싸여 내장 설치된 감속모터와; 감속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베어링에 장착되어 메인프레임 안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에 끼워져 메인프레임 안에 내장 설치되고 스크류축의 회전으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재와; 이송부재에 한쪽단이 결속되고 다른 한쪽단은 후크가 장착되며 메인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끼워져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타고 상하 작동하는 리프트밴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리프트의 구동방식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한편 환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용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8 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자세히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된 특징은 수직상의 메인프레임(10)과 그 상단에 수평프레임(11)이 설치되어 바닥면이나 또는 벽면에 지지 고정되고, 메인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1) 안에 후크(51)가 장착된 와이어가 끼워져 내장 설치되며, 와이어의 후크(51)에 환자를 감싸 들어올리는 리프트패드(52)가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는 유압이나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 및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작동하는 기존의 환자용 리프트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13)에서 케이스(20a)에 감싸여 내장 설치된 감속모터(21)와; 감속모터(21)의 동력을 풀리(22)(23)와 벨트(24)로 전달받아 회전하고 메인프레임(10)의 하단에서 베어링(25)에 장착되어 메인프레임(10) 안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스크류축(26)과; 스크류축(26)에 끼워져 메인프레임(10) 안에 내장 설치되고 스크류축(26)의 회전으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재(30)와; 이송부재(30)에 한쪽단이 고정핀(31)으로 결속되고 다른 한쪽단은 리프트패드(52)가 결속되는 후크(51)가 장착되며 메인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1)에 끼워져 수평프레임(11)안에 장착된 제1롤러(40)와 제2롤러(41)를 타고 상하 작동하는 리프트밴드(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된 요지는 리프트의 구동방식을 간단하게 개선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한편 환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감속모터(21)의 구동으로 이송부재(30)가 장착된 스크류축(26)을 정역 회전시켜 이송부재(30)를 상하 작동시킴으로서 이송부재(30)에 결속된 리프트밴드(50) 및 환자를 감싸는 리프트패드(52)를 끌어올리고 내려 환자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리프트는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수직상으로 위치한 메인프레임(10) 및 지지프레임(12)과, 상기 메인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2)의 상측단에 수평상으로 위치한 수평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2)의 하단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13) 및 지지바(12a)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3)상에 리프트밴드(50)와 환자를 감싸는 리프트패드(52)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구동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메인프레임(10)의 하단쪽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3)은 상기 수평프레임(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지지프레임(12)의 하단쪽에 위치한 지지바(12a)는 "+"자 형태로 설치되어 메인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2)을 바닥면에서 지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구동장치(20)는 베이스프레임(13)에 감속모터(21)가 설치되고, 메인프레임(10)안에 감속모터(2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축(26)과, 상기 스크류축(21)의 회전으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재(30)가 설치되는 한편 한쪽단에 후크(51)가 장착된 리프트밴드(50)가 수평프레임(11)과 메인프레임(10)안에 끼워져 이송부재(30)에 다른 한쪽단이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치(20)의 감속모터(21)는 베이스프레임(13)위에서 케이스(20a)에 감싸여 내장 설치되고, 풀리(22)가 결합된 모터축이 아래로 위치하게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하며, 케이스(20a)의 내부에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감속모터(2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축(26)은 메인프레임(10)의 하단에서 베어링(25)에 회전가능케 장착되어 메인프레임(10)안에 수직상으로 소정높이를 갖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26)에서 베이스프레임(13)안으로 위치한 하단에 풀리(23)가 장착되며, 감속모터(21)에 장착된 풀리(22)와 스크류축(26)에 장착된 풀리(23)에 벨트(24)가 감겨져 감속모터(21)의 구동으로 스크류축(26)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모터(21)와 스크류축(26)에 각각 스프라켓을 장착하고, 스프라켓에 체인을 장착하여 감속모터(21)의 동력을 스크류축(26)에 전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감속모터(21)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축(26)에 이송부재(30)가 끼워져 체결되며, 여기서 이송부재(30)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의 기능으로서 메인프레임(10)안에 내장된 상태에서 스크류축(26)의 나사산에 체결되고,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5 와 같이 사방측면이 메인프레임(10)의 내면과 근접하게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안에서 회전이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부재(30)는 감속모터(21)의 정역 구동으로 스크류축(26)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 스크류축(26)의 나사산을 타고 메인프레임(10)의 내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이송부재(30)의 한쪽면에 고정핀(31)으로 리프트밴드(50)의 한쪽단이 끼워져 결속되며, 리프트밴드(50)는 다른 한쪽단에 환자를 감싸 들어올리는 리프트패드(52)가 결속되는 후크(51)가 장착되고, 메인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1)에 끼워져 수평프레임(11)안에 장착된 제1롤러(40)와 제2롤러(41)에 감겨진 다음 수평프레임(11)의 중간 위치에서 아래로 노출되어 바닥면에서 후크(51)가 소정높이로 위치하게 설치된다.
수평프레임(11)에서 메인프레임(1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한쪽단과 중간 위치의 안쪽에 내장 설치되는 제1롤러(40)와 제2롤러(41)는 도르래의 기능으로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리프트밴드(50)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본 고안에서 메인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1)은 메인프레임(10)의 상단부에서 힌지(10a)로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접철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수평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2)은 수평프레임(11)의 한쪽단에 홀더(11a)가 부착되어 상기 홀더(11a)에 지지프레임(12)의 상단부가 끼워져 분리 가능케 설치된다.
도면에서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리프트의 운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3)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바퀴(13a)를 설치하고, 지지프레임(12)을 수평프레임(11)에서 분리한 다음 수평프레임(11)을 힌지(10a)를 통해 회동시켜 메인프레임(10)쪽에 접철시키며,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0)을 바퀴(13a)가 설치된 방향으로 기울려서 베이스프레임(13)을 바닥면에서 이격시킨 다음 바퀴(13a)를 통하여 이동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환자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경우 환자가 있는 침대나 소파 등의 위치로 리프트를 운반하여 세워서 설치한 다음 환자의 신체를 리프트패드(52)로 감싸고, 다음으로 플러그를 통해 구동장치(20)에 전원을 제공하는 한편 리프트패드(52)에 후크(51)를 결속하고자 메인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부착된 작동스위치(10b)를 조작하면 감속모터(21)가 역방향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스크류축(26)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부재(30)가 상승 작동함으로서 후크(51)가 장착된 리프트밴드(50)가 하강하므로 리프트패드(52)에 후크(51)를 간편하게 결속한다.
상기에서 리프트패드(52)에 후크(51)를 결속한 다음 작동스위치(10b)를 조작하여 감속모터(2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스크류축(26)이 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이송부재(30)가 하강하여 리프트밴드(50)를 상승 시킴으로서 환자가 감싸인 리프트패드(52)를 후크(51)로 끌어올리게 된다.
리프트밴드(50)의 상승 작동으로 환자가 소정높이로 위치하면 감속모터(21)를 정지시키고 환자 아래에 휠체어를 배치한 다음 다시 작동스위치(10b)를 조작하여 감속모터(2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환자가 휠체어 위로 하강하여 휠체어에 앉혀짐으로서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힘들이지 않고 환자를 들어올려 휠체어를 통해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구동장치(20)가 감속모터(21)와, 스크류축(26)과 이송부재(30)로 구성됨으로서 구동방식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작에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고, 특히 스크류축(26)의 회전으로 이송부재(30)가 메인프레임(10)에 내장된 상태에서 내면을 슬라이딩 하면서 상하 작동함에 따라 환자를 안정적으로 끌어올리고 내림으로서 환자에게 불안감을 주지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13)에 한쌍의 바퀴(13a)가 설치된 한편 지지프레임(12)이 분리되고 수평프레임(11)이 메인프레임(10)에 접철되어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환자나 지체가 어려운 장애인 및 노약자를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을 위한 환자용 리프트에서 감속모터의 구동으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환자를 들어올리는 리프트밴드가 고정된 이송부재를 상하 작동시킴으로서, 리프트의 구동방식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한편 환자가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리프트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리프트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 과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밴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리프트의 운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프레임 11: 수평프레임
12: 지지프레임 13: 베이스프레임
20: 구동장치 21: 감속모터
22(23): 풀리 24: 벨트
26: 스크류축 30: 이송부재
40: 제1롤러 41: 제2롤러
50: 리프트밴드 51: 후크
52: 리프트패드

Claims (3)

  1. 수직상의 메인프레임(10)과 그 상단에 수평프레임(11)이 설치되어 바닥면이나 또는 벽면에 지지 고정되고, 메인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1) 안에 후크(51)가 장착된 와이어가 끼워져 내장 설치되며, 와이어의 후크(51)에 환자를 감싸 들어올리는 리프트패드(52)가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는 유압이나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 및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작동하는 기존의 환자용 리프트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13)에서 케이스(20a)에 감싸여 내장 설치된 감속모터(21)와; 상기 감속모터(21)의 동력을 풀리(22)(23)와 벨트(24)로 전달받아 회전하고 메인프레임(10)의 하단에서 베어링(25)에 장착되어 메인프레임(10)안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스크류축(26)과; 상기 스크류축(26)에 끼워져 메인프레임(10)안에 내장 설치되고 스크류축(26)의 회전으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재(30)와; 상기 이송부재(30)에 한쪽단이 고정핀(31)으로 결속되고 다른 한쪽단은 리프트패드(52)가 결속되는 후크(51)가 장착되며 메인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1)에 끼워져 수평프레임(11)안에 장착된 제1롤러(40)와 제2롤러(41)를 타고 상하 작동하는 리프트밴드(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감속모터(21)와 스크류축(26)에 각각 스프라켓을 장착하고, 상기 스프라켓에 체인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의 상단부에 수평프레임(11)이 힌지(10a)로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접철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3)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바퀴(13a)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KR20-2005-0000423U 2005-01-06 2005-01-06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KR200381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23U KR200381067Y1 (ko) 2005-01-06 2005-01-06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23U KR200381067Y1 (ko) 2005-01-06 2005-01-06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067Y1 true KR200381067Y1 (ko) 2005-04-11

Family

ID=4368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423U KR200381067Y1 (ko) 2005-01-06 2005-01-06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0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8396B2 (en) Turning mechanism for a patient confined to a bed
CN106109135A (zh) 多功能护理床
US20220062079A1 (en) Auxiliary turning-over device
CN102824254A (zh) 一种辅助护理移乘装置
KR100960094B1 (ko)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KR101017646B1 (ko) 모노레일식 재활환자용 운동장치
CN202409329U (zh) 瘫痪病人专用护理床
KR101171521B1 (ko) 환자 이송용 멀티리프트
CN201658485U (zh) 一种翻身床
JP2010172630A (ja) 電動ベッドを利用した病弱者や寝たきり老人等の移送装置
KR200381067Y1 (ko) 환자용 리프트의 구동장치
JP2011120894A (ja) 寝具昇降装置
CN201987781U (zh) 一种助人自然坐姿护理床
JP4988958B1 (ja) 揺動式介護ベッド装置
CN102125490B (zh) 一种助人自然坐姿护理床
KR101403524B1 (ko) 다기능성 침대겸용 목욕대
JP2010057961A (ja) 介護用車椅子
JP3142492U (ja) 医療用多機能ベッド
JP2000300626A (ja) 補助用リフト装置
CN215193110U (zh) 一种预防压疮的翻身床
JP2008264095A (ja) 療養用ベッド
KR100458481B1 (ko) 의자와 변기로 변환이 가능한 침대
CN108338874A (zh) 医疗用护理病床
KR200324936Y1 (ko)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
JP2001137297A (ja) 椅子型床走行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