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030Y1 - 계단 승강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계단 승강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030Y1
KR200381030Y1 KR20-2004-0032058U KR20040032058U KR200381030Y1 KR 200381030 Y1 KR200381030 Y1 KR 200381030Y1 KR 20040032058 U KR20040032058 U KR 20040032058U KR 200381030 Y1 KR200381030 Y1 KR 200381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iving means
carrier
coupled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신
Original Assignee
배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일신 filed Critical 배일신
Priority to KR20-2004-0032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0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5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gliding elements, e.g. sk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 승강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축(12)을 중심으로 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이동홈(10a)과, 상기 이동홈(10a) 하부에 다수 연장형성되는 안착홈(10b)으로 이루어진 작동홈(10)이 형성되는 본체(2)와; 하부 일측이 상기 본체(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타측에 작동핀(18)이 고정결합되어 상기 안착홈(10b)에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되며, 상부에 파지부(15)가 연장형성되는 회동레버(14)가 더 구비되며, 본체(2) 하부의 지지축(12)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브라켓(20)과; 상기 회동브라켓(20) 하부 일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회동제한바퀴(22)와; 상기 회동브라켓(20) 하부 타측 중앙에 설치되는 좌우회동바퀴(24)가 더 구비되는 계단 승강용 캐리어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회동레버(14)의 파지부(15)를 구동수단(8) 측으로 제치면 작동핀(18)이 안착홈(10b)으로부터 이탈되어 구동수단(8)이 지지축(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고, 구동수단(8)을 적절히 회동시킨 후 회동레버(14)를 적재판넬(4) 측으로 다시 복원시키면 작동핀(18)이 이에 대향된 안착홈(10b)에 안착지지되면서 회동된 구동수단(8)이 고정지지되므로, 회동레버(14)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구동수단(8)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구동수단(8)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극소화되어 제작 공정 및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브라켓(20) 및 이에 결합설치된 바퀴(22)(24)들이 바닥 상태에 맞게 지지축(12)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므로 3개의 바퀴(22)(24)들에 의해 캐리어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단 승강용 캐리어{carrier for stairs ascent and descent}
본 고안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판넬에 적재된 짐의 쏠림없이 계단을 비교적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 승강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캐리어는 비교적 무거운 짐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통 두 바퀴와, 적재판넬, 그리고 손잡이로 이루어진다.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캐리어는 평지를 이송하기에는 적합하나 계단을 오르내릴시 매우 불편하였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캐터필러 형식의 구동수단이 설치된 캐리어가 개발되어 계단을 편리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그런데 이러한 구동수단이 설치된 캐리어는 바퀴와, 적재판넬, 손잡이의 결합 구조상, 구동수단이 역삼각형태로 제작되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캐리어를 기울여서 구동수단의 바닥을 계단에 접촉시킬시 적재판넬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비교적 작아 짐이 적재판넬 전방측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계단 승강용 캐리어 (등록실용 20-0336168호)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도13은 종래의 계단 승강용 캐리어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14는 종래의 요부를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로써, 이는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본체(1000)가 구비되고, 본체(1000) 일측에는 ㄴ자형으로 형성되어 짐이 적재되는 적재판넬(3000)이 구비되며, 적재판넬(3000) 양측 상부에는 손잡이(4000)가 구비되고, 본체(1000) 하부에는 결합축(500) 상에 설치된 바퀴(2000)가 구비된다.한편 적재판넬(3000) 일측에는 구동수단(100)이 설치되는바, 이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연결되는 구동벨트(130)와, 구동벨트(130) 둘레에 다수 배열구비되는 볼록부(140)와, 구동벨트(130)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브라켓(110)과, 구동벨트(130) 어셈블리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수단(100) 전체가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중심축(120)으로 이루어진다.구동수단(100) 일측에는 편심캠(160)이 설치되어 이 구동수단(100) 전체를 중심축(12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는바, 이 편심캠(160)은 둘레의 이(170)가 구동벨트(130)의 볼록부(140)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며, 구동벨트(130)의 작동시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동벨트(130) 어셈블리 하부를 일측으로, 즉 적재판넬(3000) 반대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구동수단(100)의 내측 하부에는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작동브라켓(220)이 설치된다. 이 작동브라켓(220)은 구동수단(100)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제1연장부(23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안착홈(250) 및 제2안착홈(260)이 형성된 제2연장부(240)가 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이러한 작동브라켓(220)의 제1연장부(230) 단부에는 수동작동레버(280)의 양단이 고정결합되어 있다.구동수단(100) 하부에는 편심캠(160)이 구동수단(100)의 하부를 적재판넬(3000) 반대측으로 밀시, 이와 함께 이송되면서 작동브라켓(220)의 제2안착홈(260)에 지지되도록 착탈봉(300)이 결합된다.그리고 본체(1000)와 이 착탈봉(300)에는 스프링(200)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바, 스프링(200)의 일단이 본체(10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착탈봉(300)에 결합되어 구동수단(100)의 하부를 적재판넬(3000)측으로 당기게 된다.또한 제1연장부(230) 반대측의 작동브라켓(220)에는 결합핀(270)이 구비되고, 작동브라켓(220) 근접 위치의 본체(1000)에는 링크작동모터(320)가 설치되며, 이들 사이에는 링크(360)가 결합된다.여기서 링크(360)는 일측에 긴 길이의 장홈(370)이 형성되고, 장홈(370)에 결합핀(270)이 결합되며, 링크작동모터(320)의 회전축(330)이 회전될시 결합핀(270) 측으로 밀리도록 타단이 링크작동모터(320)의 회전축(330)에 연결된 돌부(340)에 힌지결합된다.이러한 종래 계단 승강용 캐리어는, 평지에서는 두 바퀴(2000)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다가 계단을 오르내릴 경우, 구동수단(100) 하부를 적재판넬(3000) 반대측으로 회동시켜서 계단에 접촉되는 구동벨트(130)의 바닥면과 짐이 적재되는 적재판넬(3000)이 수평을 이루게 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수단(100)의 구동벨트(130) 바닥을 계단에 접촉시키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적재판넬(3000)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최대화되어 적재판넬(3000) 상의 짐이 적재판넬(3000) 전방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된다.그런데 이러한 종래 계단 승강용 캐리어는, 구동수단(100) 하부를 회동시키기 위해 편심캠(160), 작동브라켓(220), 수동작동레버(280), 착탈봉(300), 스프링(200) 등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며, 따라서 부품수 증가에 따른 조립공수 및 제작단가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또한 이러한 종래 계단 승강용 캐리어는 평지에서 계단을 오르거나 계단에서 평지로 내려올시 항상 구동수단 하부를 회동시키거나 회동시킨 구동수단을 원상복귀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수단이 적은 수의 부품들에 의해 간편하게 회동될 뿐 아니라, 평지를 이송할 때나 평지와 계단 사이를 오르내릴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계단 승강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는,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ㄴ자형으로 형성되어 짐이 적재되는 적재판넬과, 상기 본체 타측에 설치되고 구동모터 및 이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벨트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지지축에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가 구비되는 계단 승강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 하부에 다수 연장형성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작동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하부 일측이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타측에 작동핀이 고정결합되어 상기 안착홈에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되며, 상부에 파지부가 연장형성되는 회동레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 하부의 지지축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 하부 일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회동제한바퀴와; 상기 고정브라켓 하부 타측 중앙에 설치되는 좌우회동바퀴가 더 구비된다.따라서, 회동레버의 파지부를 구동수단 측으로 제치면 작동핀이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구동수단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고, 구동수단을 적절히 회동시킨 후 회동레버를 적재판넬 측으로 다시 복원시키면 작동핀이 이에 대향된 안착홈에 안착지지되면서 회동된 구동수단이 고정지지되므로, 회동레버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구동수단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구동수단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극소화되어 제작 공정 및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또한 회동브라켓 및 이에 결합설치된 바퀴들이 바닥 상태에 맞게 지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므로 3개의 바퀴들에 의해 캐리어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도1은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의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정면도이며, 도3 및 도4는 구동수단을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들로써, 이는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본체(2)와, 이 본체(2) 일측에 설치되고 ㄴ자형으로 형성되어 짐이 적재되는 적재판넬(4)과, 본체(2) 타측에 설치되고 구동모터 및 이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벨트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본체(2) 상의 지지축(12)에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동수단(8)과, 본체(2)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22)(24)들로 대분된다.여기서 본체(2)에는 작동홈(10)이 형성되는바, 이는 지지축(12)을 중심으로 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이동홈(10a)과, 이동홈(10a) 하부에 다수 연장형성되는 안착홈(10b)으로 이루어져, 이에 후술할 회동레버(14)의 작동핀(18)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회동레버(14)는, 하부 일측이 힌지핀(16)에 의해 본체(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타측에는 작동핀(18)이 고정결합되어 있어, 이 작동핀(18)이 본체(2)의 안착홈(10b)에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되며, 회동레버(14)의 상부에는 파지부(15)가 길게 연장형성되어 있다.본체(2) 하부의 지지축(12) 상에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을 이루는 회동브라켓(20) 및 바퀴들이 설치되는바, 여기서 회동브라켓(20)은 본체(2) 하부의 지지축(12)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 회동브라켓(20) 하부 일측 양단에는 좌우회동제한바퀴(22)가 각각 설치되고, 회동브라켓(20) 하부 타측 중앙에는 좌우회동바퀴(24)가 설치된다.도7은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의 손잡이를 인출한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로써, 적재판넬(4) 양측에 손잡이(6)의 하단이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캐리어를 운반할 작업자의 체격에 맞게, 그리고 캐리어가 주행할 바닥면의 경사도에 맞게 손잡이(6)를 적절히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는,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을 오르 내릴 수 있으며,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지를 이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로 계단을 승강할시 도1과 같은 상태에서 도3과 같이 회동레버(14)를 구동수단(8)측으로 제친다. 이와 같이 하면 안착홈(10b)에 지지된 상태의 작동핀(18)이 이로부터 이탈되며, 따라서 작동핀(18)이 이동홈(10a)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수단(8) 및 회동레버(14)를 적절히 회동시킨 후 회동레버(14)를 적재판넬(4) 측으로 회동시키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레버(14)의 작동핀(18)이 이에 대향된 안착홈(10b)에 안착지지되면서 구동수단(8)에 의해 회동레버(14)가 본체(2)에 일정한 경사각이 유지되게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기 위해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계단 승강용 케리어를 기울여서 구동수단(8)의 구동벨트(8c)에 구비된 볼록부(8d) 바닥을 계단에 접촉시키면,수직면을 기준으로 적재판넬(4)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최소화 된다.따라서, 적재판넬(4)상의 짐이 적재판넬(4)전방측으로 쏘리는 것이 방지되며, 적재판넬(4)에 적재된 짐이 쏠림없이 계단을 비교적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게된다.한편, 계단 승강이 완료되어 수동수단(8)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려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레버(14)를 구동수단(8)측으로 제친다. 이와 같이 하면 안착홈(10b)에 지지된 상태의 작동핀(18)이 이로부터 이탈되며, 따라서 작동핀(18)이 이동홈(10a)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수단(8) 및 회동레버(14)를 적절히 회동시킨 후 회동레버(14)를 적재판넬(4) 측으로 회동시키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수단(8)을 복원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 계단 이송용 캐리어는 회동레버(14)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구동수단(8)의 각도를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절할 수 있어 계단을 오르내릴시 구동수단(8)을 회동시키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또한 본 고안 계단 이송용 캐리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8)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회동레버(14) 및 본체(2)에 형성된 작동홈(10), 그리고 힌지핀(16), 작동핀(18)으로 이루어지므로 구동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종래의 구성요소들에 비해 그 수가 현저히 감속되고 그 형태로 비교적 단순하여 작업공수 및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그리고 본 고안 계단 이송용 캐리어는, 회동브라켓(20) 및 이에 설치된 바퀴(22)(24)들이 지지축(1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따라서, 도8과 같이 바퀴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되다가 도9와 같이 계단을 오르게 되면 계단의 경사도 및 그 모서리에 맞게 적절히 회동되면서 지지되므로 캐리어의 계단 승강을 돕게 된다.이러한 회동브라켓(20) 및 바퀴(22)(24)들의 회동구조는 평지를 이송할 때에도 매우 유용한 역할을 하는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가 평지를 이송할 경우에도 적재판낼에 실린 물체의 양에 따라, 또는 캐리어를 운전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따라, 또는 구동수단의 사용 여하에 따라 적재판넬(4)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이와 같은 경우 본 고안은 회동브라켓(20) 및 바퀴(22)(24)가 지지축(12)을 중심으로 상황에 따라 적절히 회동되어서 지면에 항상 3점지지되므로 본체(2)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 승강용 캐리어에 의하면, 회동레버(14)의 파지부(15)를 구동수단(8) 측으로 제치면 작동핀(18)이 안착홈(10b)으로부터 이탈되어 구동수단(8)이 지지축(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고, 구동수단(8)을 적절히 회동시킨 후 회동레버(14)를 적재판넬(4) 측으로 다시 복원시키면 작동핀(18)이 이에 대향된 안착홈(10b)에 안착지지되면서 회동된 구동수단(8)이 고정지지되므로, 회동레버(14)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구동수단(8)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구동수단(8)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극소화되어 제작 공정 및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또한 회동브라켓(20) 및 이에 결합설치된 바퀴(22)(24)들이 바닥 상태에 맞게 지지축(12)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므로 3개의 바퀴(22)(24)들에 의해 캐리어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 및 도4는 구동수단을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들
도5 및 도6은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의 바퀴구조를 발췌하여 보이는 측면도 및 그 평면도
도7은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의 손잡이를 인출한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8 및 도9는 본 고안 계단 승가용 캐리어가 계단을 오르 내리는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들
도10 내지 도12는 본 고안 계단 승강용 캐리어가 평지를 이송하는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들도13은 종래의 계단 승강용 캐리어의 외관 사시도도14는 종래의 요부를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2 : 본체 10 : 작동홈10a : 이동홈 10b : 안착홈12 : 지지축 14 : 회동레버16 : 힌지핀 18 : 작동핀20 : 회동브라켓 22 : 회동제한바퀴24 : 회동바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2)

  1.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 일측에 설치되고 ㄴ자형으로 형성되어 짐이 적재되는 적재판넬(4)과, 상기 본체(2) 타측에 설치되고 구동모터(8a) 및 이에 의해 중심축(8b)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구동벨트(8c)와, 상기 구동벨트(8c) 둘레에는 다수의 배열구비되는 볼록부(8d)와,구동벨트(8c)양측에 설치되는 측면 브라켓(8e)과, 구동벨트(8c)의 어셈블리 상부 일측에 중심축(8b)을 중심으로 회동토록 구비된 구동수단(8)과, 상기 구동수단(8)을 본체(2)의 하부 지지축(12)에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고,상기 본체(2)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22,24)가 구비되는 계단 승강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2)을 중심으로 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이동홈(10a)과, 상기 이동홈(10a) 하부에 다수 연장형성되는 안착홈(10b)으로 이루어진 작동홈(10)이 형성되는 본체(2)와;
    하부 일측이 상기 본체(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타측에 작동핀(18)이 고정결합되어 상기 안착홈(10b)에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되며, 상부에 파지부(15)가 연장형성되는 회동레버(1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 하부의 지지축(12)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브라켓(20)과;
    상기 회동브라켓(20) 하부 일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회동제한바퀴(22)와;
    상기 회동브라켓(20) 하부 타측 중앙에 설치되는 좌우회동바퀴(2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캐리어.
KR20-2004-0032058U 2004-11-12 2004-11-12 계단 승강용 캐리어 KR200381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058U KR200381030Y1 (ko) 2004-11-12 2004-11-12 계단 승강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058U KR200381030Y1 (ko) 2004-11-12 2004-11-12 계단 승강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030Y1 true KR200381030Y1 (ko) 2005-04-11

Family

ID=4368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058U KR200381030Y1 (ko) 2004-11-12 2004-11-12 계단 승강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0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030B1 (ko) 2005-12-02 2006-11-27 허기호 운반기구
CN107333478A (zh) * 2016-12-21 2017-11-10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农耕机动力装置的连接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030B1 (ko) 2005-12-02 2006-11-27 허기호 운반기구
CN107333478A (zh) * 2016-12-21 2017-11-10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农耕机动力装置的连接机构
CN107333478B (zh) * 2016-12-21 2023-10-27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农耕机动力装置的连接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6377B1 (en) Chairs
US7434815B2 (en) Stair climbing wheelchair carrier
CA2238823A1 (en) Tool box carrier
JPH11245823A (ja) 運搬装置
JP2000288032A (ja) 車椅子
EP1995393A2 (en) A work platform
KR200381030Y1 (ko) 계단 승강용 캐리어
EP2818381B1 (en) Trolley for the transportation of a load on staircases
KR102235699B1 (ko)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KR101702003B1 (ko) 구동모터에 연동되는 계단지지회전체를 가지는 계단핸드카 및 이를 활용한 적재화물의 승강운송방법
US4911263A (en) Ambulatory ladder
JPH1129914A (ja) 除雪機の除雪高さ調節機構
JPH11165982A (ja) 移動式クレーン
KR200336168Y1 (ko) 계단 승강용 캐리어
JP6223834B2 (ja) 歩行器
JP2021037865A (ja) 台車、階段昇降装置及び搬送方法
JP2021038089A (ja) リフト装置
JP3223208U (ja) 階段搬送用台車
JP4108172B2 (ja) 重量物搬送装置および重量物の搬送方法
KR200208141Y1 (ko) 캐리어형 전동리프트
WO2022136934A1 (en) A movement device for a wheelchair, a wheelchair for a movement device and a movement device and a wheelchair
CN116373969A (zh) 一种室内装修用瓷砖搬运的助力搬运装置
JP2003072557A (ja) 階段昇降用台車
JPH05170104A (ja) 階段昇降用運搬車
JP2003146142A (ja) 車両用デッキ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