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924Y1 -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24Y1
KR200380924Y1 KR20-2005-0000480U KR20050000480U KR200380924Y1 KR 200380924 Y1 KR200380924 Y1 KR 200380924Y1 KR 20050000480 U KR20050000480 U KR 20050000480U KR 200380924 Y1 KR200380924 Y1 KR 200380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alue
underground buried
master processo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
Original Assignee
(주) 이우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우티이씨 filed Critical (주) 이우티이씨
Priority to KR20-2005-0000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1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the magnetic field is produced by the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38Processing data, e.g. for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매설물에 부착시킨 강자성체의 자기마커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하여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지하매설물을 향하는 탐지봉의 축의 일직선 상에 탐지봉의 선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4개 제1 내지 제4의 검출센서와, 이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병렬로 처리하는 신호처리 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 검출부와, 이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강자성체와 약자성체를 판단하는 마스터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탐지봉의 선단에 가장 인접한 제1센서의 측정값과 제1센서에 인접하고 상기 제1센서보다 상기 선단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제2센서의 측정값의 차(A값)가, 상기 제2센서의 측정값과 제2센서에 인접하고 제2센서보다 상기 선단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제3센서의 측정값의 차(B값) 보다 작은(A값<B값) 것을 나타낼 때, 강자성체를 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buried magnetic objects}
본 고안은 지하매설물에 부착시킨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진 자기마커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탐지하여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한 지하매설물 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자성체와 약자성체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전기, 통신, 상하수도 등의 기반시설 확충을 위하여, 상하수도관, 도시가스 공급관, 전기 및 통신선로 등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설비들은 미관이나 설비보호로 인해 대부분 지중에 매립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매설물의 위치나 깊이에 대한 정보가 잘 갖추어지지 않고 시각을 통해 그 위치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하매설물의 유지관리에 어렵다. 또한, 새로운 지하매설물을 설치하거나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존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고, 정확히 파악하지 못할 때는 공사중에 기존 지하매설물을 파괴하거나 이로인해 작업자의 안전에도 위험하게 된다.
종래에는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면 위에서 지하의 매설물을 탐지하기 위하여, 매질로서의 지반에 전자파나, 초음파, 초고주파 등을 전파시킨 후 매질 및 매설물을 통해 전파되어온 파장 변화를 탐지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측량된 파장의 주파수의 분석에 의해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분석을 위해 푸리에 변환, 오차 보정, 기능진단테스트 등 복잡하고 난해한 알고리즘을 만들어 적용하여야 하고, 이러한 처리를 위해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지하매설물의 상층부에 자기코일을 설치하여, 지상의 탐지기가 자기를 유도하여 설치된 자기코일에서 발생되는 전류의 자기장을 파악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추후 굴착 및 매설 시공을 할 때, 자기코일을 잘못 설치하면 위치 파악이 어렵거나 자기코일이 분실될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430385로 등록된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해 자기마커를 이용하여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를 개시한 바가 있고, 그 기술내용은 본 고안에 통합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있어서는 2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각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지중의 자성체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2개의 센서를 사용하는 탐지기의 경우, 강자성체인 자기마커와 약자성체인 일반금속체을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2개의 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양(+)의 값인 경우는 강자성체로 판단할 수 밖에 없으므로, 지중에 약자성체가 매설되 있는 경우에도 양(+)의 값을 나타내므로, 강자성체로 판단할 오류의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지중에 위치한 강자성체인 자기마커를 약자성체인 일반금속과 구분하여 정확히 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하매설물 탐지기를 통해 측정된 정보 데이터가 GPS 기능을 갖는 모바일 장치, 예컨대 PDA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동시에 처리되므로, 별도의 현장도면 없이도 PDA 화면을 통해 지하매설물을 탐지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은, 지하매설물에 부착시킨 강자성체의 자기마커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하여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지하매설물을 향하는 탐지봉의 축의 일직선 상에 탐지봉의 선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4개의 제1 내지 제4의 검출센서와 이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병렬로 처리하는 신호처리 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 검출부와, 이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강자성체와 약자성체를 판단하는 마스터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탐지봉의 선단에 가장 인접한 제1센서의 측정값과 제1센서에 인접하고 상기 제1센서보다 상기 선단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제2센서의 측정값의 차(A값)가, 상기 제2센서의 측정값과 제2센서에 인접하고 제2센서보다 상기 선단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제3센서의 측정값의 차(B값) 보다 작은(A값<B값) 값을 나타낼 때, 지하매설물에 부착된 강자성체를 탐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상기 A값<B값이고, 상기 제3센서에 인접하고 제3센서 보다 상기 선단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제4센서의 측정값이 제3센서의 측정값 보다 작을 때, 강자성체를 탐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지하매설물 탐지기는 상기 탐지봉의 수직상태(즉, 탐지기의 수직상태)를 파악하는 수평감지센서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마스터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화상출력하기 위한 LCD 플레이어와, 마스터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수단을 구비하고,
GPS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수신하여 마스터 프로세서로 입력하는 GPS 수신부와 외부의 GIS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GIS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는 외부 시스템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향신호를 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치를 기록저장하고 외부의 GIS시스템으로부터 측정지역의 매설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숫자나 그래프로 출력하기 위하여 계산처리하거나 상기 수신된 위치와 매설정보를 비교하고 검색하여, 수신된 위치에 해당하는 매설정보를 상기 LCD 플레이어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지하에 매설된 지하매설물을 탐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자기마커(1)는 수명이 영구적인 것으로 일정자력의 영구자석(페라이트)을 방수, 방습, 니켈도금, 우레탄 표막 코팅 처리 등을 하여 생산되고, 상하수도관, 도시가스 공급관, 전기 및 통신선로 등의 지하매설물(18)을 설치하는 공사시 이 시설물에 부착된다. 통상, 상기 자성체는 N극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S극이 상부를 향하게 설치된다.
한편, 지하매설물 탐지기(10)를 이루는 지지봉(11) 속에 위치하는 지면을 향하는 선단부(11a)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된 4개의 자기장 검출센서인 플럭스게이트 센서(12a,12b,12c,12d)가 자기장을 측정한다. 여기서, 각 플럭스게이트 센서(12)는 벡터 센서들이고, 각 센싱 축에 해당하는 평균적인 자장성분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자장성분의 데이터는 후술하는 장치(10)의 마스터 프로세서(20)에서 처리되어 내장된 스피커(13)를 통해 음향신호를 발하거나, 수치나 그래프 등의 형태로 LCD 플레이어(14)를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인터페이스수단으로 연결된 컴퓨터, 예컨대 GPS기능을 갖는 PDA 수단(30)으로 전송되어 처리되어진다.
또한, 탐지기(10)에는 지지봉(11)의 수직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15)가 구비된다. 통상 강자성체(1)의 탐지를 위해 탐지기(10)는 지지봉(11)을 수직상태로 하고 탐지하게 되는데, 수평계(15)를 통해 지지봉(11)의 수직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지하매설물 탐지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4개의 플럭스게이트 센서(12)는 지지봉(11)에 축이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지면에 지지봉(11)의 선단부(11a)를 접촉시키고 수직으로 세울 때, 상기 제1센서(12a)는 지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센서(12b)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10~20cm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3센서(12c)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40~50cm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4센서(12d)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50~60cm에 위치되도록 지지봉(11)에 설치되며, 각 플럭스게이트 센서(12)는 자기마커(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각자의 위치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자기장 데이터는 각 센서(12)로부터의 신호를 신속히 병렬 처리하기 위해 설치되어 대응하는 각각의 신호처리 프로세서(16)로 입력한다. 한편, 이러한 프로세서(16)는 본 고안에 그 기술내용이 통합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430385호에서는 2개의 센서로부터의 주파수값을 통합해서 처리하는 디지털 그래디오미터로서 개시되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의 프로세서(16)는 각 센서(12)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해당 센서로부터의 주파수값을 독립적으로 처리한다는 점에서 선출원과 구별된다.
프로세서(16)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숫자나 그래프로 출력하기 위하여, 입력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마스터 프로세서(20)로 전달된다. 마스터 프로세서(20)는 자기장의 세기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자기마커(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값은 LCD 플레이어(14)를 구동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LCD 플레이어(14)에 숫자나 그래프의 형식으로 표시한다.
한편, 상기 수평계(15)의 센서에 의해 장치(10)의 수평도가 측정되어 마스터 프로세서(20)로 전달된다. 마스터 프로세서(20)는 장치의 수평도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장치의 수평도를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값을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LCD 플레이어(14)에 사용자가 수평도를 인식할 수 있는 형식, 예컨대 숫자나 그래프 등의 형식으로 표현해서, 사용자가 장치의 수직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스터 프로세서(20)는 GPS 수신부(23)와 외부 시스템 연결부(2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GPS 수신부(23)는 GPS를 통해 지하매설물 탐지기(10)의 현재 위치를 수신받을 수 있다. 수신받은 위치정보는 마스터 프로세서(20)가 처리하여 기록 저장한다. 외부 시스템 연결부(24)는 외부의 컴퓨터, 예컨대 GIS 시스템이 구비된 PDA(3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현재 측정하는 지역의 매설정보를 조회한다. 한편, 상기 PDA(30)에 GPS 수신부(24)의 기능이 추가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마스터 프로세서(20)는 센서(1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참조하여, 만약 자기마커(1)가 매설된 것을 확인하면, GPS 수신부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외부시스템 연결부(24)를 통해 외부의 GIS 시스템(30)으로부터 현재의 위치에 해당하는 매설정보를 조회하여 수신받아 참조한다. 그리고, 마스터 프로세서(20)는 매설정보와 위치를 비교하여 검색하여 지하매설물에 대한 매설정보를 확인하여 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LCD 플레이어(14)에 사용자가 지하매설물을 인식할 수 있는 형식, 예컨대 문자나 그래프의 형식으로 출력한다.
또한, 마스터 프로세서(20)는 자기마커(1)의 유무에 상관없이 GPS 수신부(23)를 통해 수신된 현재 위치정보나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지하매설물의 정보, 예컨대 자기마커의 종류 및 심도 정보를 수신받아, 이 정보만을 LCD 플레이어(14)에 문자나 그래프의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프로세서(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그 크기에 상응하는 세기의 외부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 인터페이스(26)를 거처서 입력된 디지털데이터의 크기대로, 예컨대 0 ~ 2.5 V의 범위의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로 스피커(13)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검출센서인 플럭스게이트 센서(1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럭스게이트 센서(12)는 드라이브 코일(121)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포화되는 자계철심(122)과 코일 내부의 자장을 측정하는 센스 코일(120)로 구성된다. 드라이브 코일(121)은 자계철심(122)에 감겨져 있고, 센스 코일(120)은 드라이브 코일(121)에 횡단으로 감겨져 있다.
보통의 경우 센스 코일(120)은 토로이드인 드라이브 코일(121)에 의해 발생되는 자장을 탐지하지 못하지만, 부가적인 외부의 자계가 가해진다면 드라이브 코일(121)의 히스테리시스에 의해 발생되는 순수한 자계가 센스 코일(120)에 의해 탐지된다. 이러한 특수한 구조로 외부의 자계에 대한 민감도는 센스 코일(120)의 방향에 관계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자기장 검출센서인 플럭스게이트 센서(12)는 제품명 FGM-3로 시판되는 센서로, 센서의 측정 범위는 ±50 μT (±0.5) 이며 약 10nT ( 0.1mG )의 분해능을 갖는다. 따라서 플럭스게이트 센서(12)는 매우 작은 자장의 변화도 민감하게 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매설물 탐지기(10)에서는 서로 위치를 달리하는 4개의 플럭스게이트 센서(12)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된 자장의 차이를 탐지하므로, 센서의 선형성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플럭스게이트 센서(12)의 출력은 사용하기 쉬운 5V 구형파이며 이의 주파수는 플럭스게이트 센서(12)가 위치하는 곳의 자계 크기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보통 50 kHz 에서 120 kHz까지 ( 주기 T = 8.5㎲ ~ 25㎲ ) 변화한다.
표 1은 상기와 같이 간격을 두고 센서가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탐지기의 탐지봉에 의해 소정 깊이의 지중에 매설된 자기마커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한 kHz 단위의 데이터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1
센서1 센서2 센서3 (A값:센서1-센서2)<(B값:센서2-센서3)
44.36 44.10 43.43 0.26<0.67
47.74 47.33 45.66 0.41<1.67
43.33 42.10 40.25 1.23<1.85
49.09 47.46 45.13 1.63<2.33
먼저, 표 1을 참조하면, 탐지기(10)는 센서가 이격되어 위치된 탐지봉과 강자성체인 자기마커(1) 사이의 측정 거리(높이)에 따라서, 강자성체인 자기마커(1)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제1센서(12a)가 가장 큰 주파수 값을 갖고, 그 다음 가까이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제2센서(12b)에서 다음 크기의 주파수 값을 가지며, 가장 원거리 위치에 설치된 제3센서(12c)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주파수 값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제1센서-제2센서의 측정 값, 즉 A값은 제2센서-제3센서의 측정 값, 즉 B값보다 작은 값, 즉 A값<B값을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센서에서 44.36kHz의 주파수값이 측정되고, 제2센서에서 44.10kHz의 주파수 값이 측정되므로, A값은 0.26kHz가 되고, B값은 0.67kHz가 되므로 A값<B값이 되었고, 이와 같은 실험데이터에 따라 본 고안자들은 A값<B값인 경우 측정 대상물, 예컨대 지중에 매설된 물체를 강자성체로 판단하게 되었다.
한편, 탐지봉(11)에서 상기 제3센서(12c)에 인접하고, 상기 제1센서(12c)로부터 가장 원거리의 위치에 설치되는 제4센서(12d)는 탐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센서로, 상기 제3센서(12c) 보다 작은 주파수 값을 나타내는 경우, 탐지 대상물을 강자성체로 판단하게 된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탐지기(10)에 있어서는, A값<B값이고, 제4센서(12d)의 측정 값이 제3센서의 측정값 보다 작은 경우, 측정 대상물이 강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표 2는 상기와 같이 간격을 두고 센서가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탐지기의 탐지봉에 의해 지표면 또는 소정 깊이의 지중에 위치된 약자성체인 일반금속(예컨대, 그레이팅, 멘홀, 철근 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한 kHz 단위의 데이터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2
센서1 센서2 센서3 (A값:센서1-센서2)>(B값:센서2-센서3) 조건
55.38 46.08 43.31 9.30>2.77 그레이팅
49.21 42.61 39.21 6.6>3.4 멘홀
189.66 67.56 42.60 122.1>24.96 철근 관
표 2을 참조하면, 탐지기(10)는 일반금속체인 약자성체와 센서가 이격되어 위치된 탐지봉 사이의 측정 거리(높이)에 따라서, 지중에 위치된 금속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제1센서(12a)가 가장 큰 주파수 값을 갖고, 그 다음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제2센서(12b)에서 다음 크기의 주파수 값을 가지며, 가장 원거리 위치에 위치된 제3센서(12c)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주파수 값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제1센서-제2센서의 측정 값, 즉 A값은 제2센서-제3센서의 측정 값, 즉 B값보다 큰 값, 즉 A값>B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상기 조건, 즉 A값>B값인 경우를 약자성체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지하에 N극이 지표면을 향하면서 자기마커가 설치된 상태를 예로서 설명한 것이고, S극이 지표면을 향하면서 자기마커가 설치된 경우에는, 탐지봉의 원거리에 위치된 센서가 가장 큰 주파수값을 갖게 되어 표 1 및 표 2를 참조한 설명의 내용은 반대로 되지만, 장치내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고, 본원 고안의 기술적 사상인 각 센서에서 측정한 자기장의 차이값을 비교하여 강자성체와 약자성체를 구분한다는 내용에는 변함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수도관, 도시가스 공급관, 전기 및 통신선로 등의 지하매설물에 부착된 강자성체의 자기마커를 탐지함으로써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지하매설물의 유지관리가 쉬어지고, 지하매설물의 불량 시공을 손쉽게 감리하는 것이 가능할뿐만아니라, 새로운 지하매설물을 설치하거나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존의 지하매설물의 훼손이나 그로인한 작업자의 위험 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자성체인 자기마커와 약자성체인 일반 금속체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자기마커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GPS 수신장치 및 PDA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탐지된 위치를 정확히 기록하고 저장하고, GIS 시스템과 연동시켜 측정지역의 매설 정보를 조회하여 측정에 의해서 그려진 매설물 위치와 사전에 비교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결과를 화면에 그려서 시각적으로 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과 손쉽게 연동할 수 있다.
도 1은 지하에 매설된 강자성체의 자기마커가 부착된 지하매설물을 탐지하는 방법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지하매설물 탐지기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기마커, 10 - 탐지기,
11 - 탐지봉, 12a,12b,12c,12d - 센서,
16a,16b,16c,16d -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16 - 마스터프로세서.

Claims (5)

  1. 지하매설물에 부착시킨 강자성체의 자기마커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하여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지하매설물을 향하는 탐지봉의 축의 일직선 상에 탐지봉의 선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4개의 제1 내지 제4의 검출센서와, 이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병렬로 처리하는 신호처리 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 검출부와,
    이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강자성체와 약자성체를 판단하는 마스터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탐지봉 상의 다른 위치에서 측정된 상기 제1 내지 제4센서의 검출결과를 비교하여 약자성체와 강자성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탐지봉의 선단에 가장 인접한 제1센서의 측정값과 제1센서에 인접하고 상기 제1센서보다 상기 선단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제2센서의 측정값의 차(A값)가, 상기 제2센서의 측정값과 제2센서에 인접하고 제2센서보다 상기 선단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제3센서의 측정값의 차(B값) 보다 작은(A값<B값)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3센서에 인접하고 제3센서의 측정값 보다 상기 선단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제4센서의 측정값이 제3센서 보다 작을 때, 강자성체를 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봉의 수직상태를 파악하는 수평감지센서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지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센서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10~20cm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3센서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40~50cm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4센서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50~60cm에 위치되도록 지지봉(11)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마스터 프로세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화상출력하기 위한 LCD 플레이어(14)와,
    마스터 프로세서(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수단,
    GPS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수신하여 마스터 프로세서로 입력하는 GPS 수신부(32) 및,
    외부의 GIS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GIS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는 외부 시스템 연결부(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GPS 수신부(23)로부터 수신된 위치를 기록저장하고 외부의 GIS시스템으로부터 측정지역의 매설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숫자나 그래프로 출력하기 위하여 계산처리하거나 상기 수신된 위치와 매설정보를 비교하고 검색하여, 수신된 위치에 해당하는 매설정보를 LCD 플레이어(14)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탐지기.
KR20-2005-0000480U 2005-01-07 2005-01-07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KR200380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80U KR200380924Y1 (ko) 2005-01-07 2005-01-07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80U KR200380924Y1 (ko) 2005-01-07 2005-01-07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619A Division KR100602525B1 (ko) 2004-12-20 2004-12-20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24Y1 true KR200380924Y1 (ko) 2005-04-07

Family

ID=4368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480U KR200380924Y1 (ko) 2005-01-07 2005-01-07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127B1 (ko) 자기 마커의 극성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US10082591B1 (en) Magnetic utility locator devices and methods
US107537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buried or hidden objects using sheet current flow models
CN100365438C (zh) 用于检测埋入的磁性物体的检测器
KR101655936B1 (ko) 지하시설물과 그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EP1130355A3 (en) Target, surveying system and surveying method
KR20110058313A (ko) 지하 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
KR100947659B1 (ko) 지하매설물 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지방법
JP3448191B2 (ja) 鉄筋破断検出器及び鉄筋破断検出方法
KR101487017B1 (ko)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225752B1 (ko) 배관의 매설위치 확인용 자기장 측정 시스템
KR200380924Y1 (ko)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KR101444932B1 (ko)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0369401B1 (ko) 자기장을 이용한 매설 배관 위치 측정 시스템
KR101550854B1 (ko) 자기 마커를 이용한 지하 매설물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391797B1 (ko) 자기마커의 기울임조절이 가능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494399B1 (ko) 지하매설물관리시스템
KR101424983B1 (ko) 자기마커를 구비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569699B1 (ko) 지하 매설물 자기마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9307A (ko) 매립지 차수막 파손 외부측정 감지기
KR101517760B1 (ko) 자기마커 위치 탐지를 위한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494396B1 (ko) 자기마커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JP2000009849A (ja) 埋設ケーブル探査装置及び探査方法
KR200333857Y1 (ko)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해 자기마커를 이용하여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지하매설물 탐지기
JP3521157B2 (ja) 二重管の近接距離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