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670Y1 - 신발 고정수단 - Google Patents

신발 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670Y1
KR200380670Y1 KR20-2004-0031780U KR20040031780U KR200380670Y1 KR 200380670 Y1 KR200380670 Y1 KR 200380670Y1 KR 20040031780 U KR20040031780 U KR 20040031780U KR 200380670 Y1 KR200380670 Y1 KR 200380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ic tape
shoe
coupled
fixing means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렉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to KR20-2004-0031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6Snap-button fasten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갑피의 좌우 양측에 결합된 제1,2고정편이 설포를 중심으로 교차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갖는 신발 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신발 고정수단은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과, 밑창 상부 외주면의 테두리부와 하단부가 틈새없이 접착되어 발등을 감싸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상부 중앙에 일측이 결합되는 설포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각기 갑피(300)의 좌우 양측 표면에 덧대어져 고정된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편이 설포(310)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반대편 갑피 상에 매직테이프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수단(1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포(310)를 중심으로 상·하로 구비된 구성된다.
본 고안 신발 고정수단은 제1,2고정편이 한 쌍을 이루는 고정수단이 갑피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어 설포를 중심으로 교차하여 이중결합을 이룸으로써, 매직테이프에 의한 편리한 결합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중결합을 통한 견고한 결합관계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신발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2고정편에 의해 균형적인 외관의 창출과 디자인의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 고정수단{A fixing device of shoes}
본 고안은 제1,2고정편에 의해 교차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갖는 신발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신발의 갑피 좌우 양측 표면에 덧대어져 고정된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편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편이 설포를 중심으로 서로 교차되어 반대편 갑피 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보다 견고한 고정력과 함께 외관의 화려함을 창출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갖는 신발 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걷게 되면서 발달되어 온 신발은 초기에 발을 다치지 않도록 단순히 보호하는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나, 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각종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되어 오늘날에는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정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각각 적합하도록 각종 용도의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나, 용도에 관계 없이 대부분의 신발에는 신발을 조여주기 위한 신발끈 등의 조임수단이 구비된다.
물론,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를 선택하여야 하고, 벗고 신기에 적당하도록 신발끈을 다소 느슨하게 묶은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가능한 한 보행시에는 신발이 발을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꼭 맞도록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조여주는 것이 발의 건강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당히 묶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보통의 경우인데, 이는 신고 벗을 때 사용자로 하여금 신발이 조여진 상태가 되어 불편을 초래하고 사용시에 신발의 폭을 조절하고자 할때마다 다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일반 보행시에도 신발끈은 종종 풀어져 다시 묶어야 하는 귀찮음을 초래하기도 하고, 신발끈이 풀어진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여 풀러진 신발끈을 밟거나 다른곳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생긴다.
더욱이, 초등학교 저학년 내지는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에 신발의 조임을 편리하게 하면서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매직 테이프로 구성된 신발 조임구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신발을 신었을 때 양발의 내측에 매직테이프가 결합된 덮개가 결합되고 외측 갑피에 구비된 매직테이프에 상기 덮개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신발의 일측방향에서 타측으로 조임덮개를 덮는 획일적인 방향으로만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단조로움을 준다.
그리고, 일률적인 방향으로 형성된 매직테이프의 경우에는 오래 사용하거나 이물질이 묻어 있거나 하면 매직테이프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걸어다니는 도중 매직테이프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신발의 조임수단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 갑피의 좌우 양측 표면에 덧대어져 고정된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편이 설포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반대편 갑피 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수단이 설포를 중심으로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한 쌍으로 구성된 고정수단에 의해 이중 결합을 이루어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고, 고정편에 구비된 매직테이프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신발 고정수단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신발의 갑피 좌우 양측 표면에 덧대어져 고정된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편이 설포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반대편 갑피 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수단의 제1,2고정편 내면과 갑피 표면에 각각 제1,2매직테이프가 결합되어 사용이 간단하면서 2개의 고정편이 교차하여 이중결합을 이룸으로써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신발 조임구조는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과, 밑창 상부 외주면의 테두리부와 하단부가 틈새 없이 접착되어 발등을 감싸는 갑피와, 갑피의 중앙에 일측이 결합되는 설포와, 갑피의 좌우 양측 표면에 덧대어져 고정된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편이 설포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반대편 갑피 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수단이 설포를 중심으로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자형의 제1고정편과 'Y'자 형의 제2고정편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제1고정편은 갑피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표면에 제1매직테이프가 결합된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내면에 제1매직테이프가 결합된 제1결합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Y'자 형상의 제2고정편은 양갈래로 갈라진 'U'자 형상의 일측이 갑피에 고정 결합되며 양갈래 사이 중간에 제2매직테이프가 결합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양갈래가 합쳐져 하나로 연장 형성되며 내면에 제2매직테이프가 결합된 제2결합편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고정편의 양갈래로 갈래진 지지부는 일측만이 갑피에 고정결합되면서 양갈래로 갈라지는 부분과 갑피의 단부에 의해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통해 제1고정편의 제1결합편이 삽입 교차되어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은 각각의 지지부가 결합된 갑피의 반대쪽에 결합됨으로써, 교차하여 2중 결합을 이루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신발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설포를 중심으로 상하로 적어도 한 쌍 이상이 결합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의 제1,2결합편에 구비된 매직테이프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똑딱이 단추나 후크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신발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수단을 펼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고정수단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신발 고정수단(100)은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200)과, 밑창(200) 상부 외주면의 테두리부와 하단부가 틈새없이 접착되어 발등을 감싸는 갑피(300)와, 상기 갑피(300)의 중앙에 일측이 결합되어 발등에 위치하는 설포(310)와, 각기 갑피(200)의 좌우 양측 표면에 덧대어져 고정된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편이 설포(310)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반대편 갑피(300) 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수단(100)이 설포를 중심으로 상·하로 구비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00)은 갑피(300) 표면에 고정되고 그 표면에 제1매직테이프(113a)가 구비된 제1지지부(111)와, 그 제1지지부(1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내면에는 제1매직테이프(113b)가 구비된 일자형의 제1결합편(112)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편(110)과; 'U'자 형상으로 두 갈래로 갈라진 일측이 갑피(300) 표면에 고정되고 갈라진 사이의 중간에 상기 제1결합편(112)에 형성된 제1매직테이프(113b)와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제2매직테이프(123a)가 구비된 제2지지부(121)와, 상기 제2지지부(121)가 이어지는 외측단부로부터 하나로 합쳐져 연장 형성되어 제2지지부(121)와 함께 'Y'자 형상을 이루며 내면에는 상기 제1매직테이프(113a)와 접합이 이루어지는 제2매직테이프(123b)가 구비된 제2결합편(122)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편(120)이 한 세트를 이루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편(122)은 양갈래로 갈라져 일측이 갑피(300)에 고정결합되는 제2지지부(121)와 양갈래로 갈라진 제2지지부(121)의 타측이 하나로 이어져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결합편(122)으로 이루어져 'Y'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양갈래로 갈라진 일측만이 갑피(300)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양갈래로 갈라진 제2지지부(121)가 이어지는 부분과 갑피(300)의 단부에 의해 통공(h)이 형성된다.
상기 설포(31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결합된 제1,2고정편(110)(120)은 제2고정편(120)에 형성된 통공(h)을 통해 제1고정편(110)의 제1결합편(112)이 삽입되어 제2고정편(120)의 제2지지부(121) 사이에 구비된 제2매직테이프(123a)와 결합되며, 제2고정편(120)의 제2결합편(122)은 제1지지부(111) 표면에 구비된 제1매직테이프(113a)에 교차하겨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매직테이프의 암·수 구조는 상호 바뀔 수 있는바, 제1매직테이프의 암·수가 서로 바뀌고, 제2매직테이프의 암수가 서로 바뀌더어 구성되더라도 제1,2결합편에 의한 교차 결합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매직테이프가 아닌 똑딱이 단추(P) 등을 이용하여 상호 교차하여 결합함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신발 고정수단은 갑피의 표면에 덧대여져 고정되며 표면에 매직테이프가 구비된 제1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1매직테이프가 결합된 제1결합편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편과 양갈래로 나뉘어진 일측이 갑피의 표면에 덧대여져 고정되며 양갈래 사이 중간에 제2매직테이프가 결합된 제2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2매직테이프가 결합된 제2결합편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편이 갑피의 좌우에 한 쌍을 이루어 결합됨으로써, 서로 교차되어 반대편 갑피 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매직테이프에 의한 편리한 결합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중결합을 통한 견고한 결합관계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신발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2고정편에 의해 균형적인 외관의 창출과 디자인의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신발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수단을 펼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신발 고정수단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수단 110. 제1고정편
111. 제1지지부 112. 제1결합편
113a,113b. 제1매직테이프 120. 제2고정편
121. 제2지지부 122. 제2결합편
123a,123b. 제2매직테이프 200. 밑창
300. 갑피 310. 설포
h. 통공 P. 똑딱이 단추

Claims (3)

  1.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과, 밑창 상부 외주면의 테두리부와 하단부가 틈새없이 접착되어 발등을 감싸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상부 중앙에 일측이 결합되는 설포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각기 갑피(300)의 좌우 양측 표면에 덧대어져 고정된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편이 설포(310)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반대편 갑피 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수단(1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포(310)를 중심으로 상·하로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00)은 갑피(300) 표면에 고정되고 그 표면에 제1매직테이프면(113a)이 구비된 제1지지부(111)와 그 제1지지부(1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내면에 제1매직테이프면(113b)이 구비된 일자형의 제1결합편(112)으로 구성되는 제1고정편(110)과;
    'U'자 형상으로 두 갈래로 갈라진 일측이 갑피(300) 표면에 고정되고 두 갈래 사이의 중간에 상기 제1결합편(112)에 형성된 제1매직테이프면(113b)과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제2매직테이프면(123a)이 구비된 제2지지부(121)와, 상기 제2지지부(121)의 두 갈래가 연결되는 외측단부로부터 하나로 합쳐져 연장 형성되어 'Y'자 형상을 이루며 내면에는 제1고정편(110)의 제1지지부(111) 표면에 형성된 제1매직테이프면(113a)에 결합되는 제2매직테이프면(123b)이 구비된 제2결합편(122)과, 갑피(300)에 개방된 일측이 결합된 상기 'U'자형 제2지지부(121)의 타측부와 갑피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통공(h)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편(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수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10)의 제1,2결합편(112)(122)의 일측단부와 제1,2결합편(112)(122)이 접합되는 반대편 갑피의 표면에는 암·수 똑딱이 단추(P)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수단.
KR20-2004-0031780U 2004-11-10 2004-11-10 신발 고정수단 KR200380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80U KR200380670Y1 (ko) 2004-11-10 2004-11-10 신발 고정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80U KR200380670Y1 (ko) 2004-11-10 2004-11-10 신발 고정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670Y1 true KR200380670Y1 (ko) 2005-04-07

Family

ID=4368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780U KR200380670Y1 (ko) 2004-11-10 2004-11-10 신발 고정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6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836A (ko) * 2018-01-25 2018-02-02 주식회사 인텍 벨크로 인서팅 타입의 신발 조임장치, 이의 사출성형장치 및 제작방법
CN115005552A (zh) * 2022-06-30 2022-09-06 深圳美叶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模拟型跑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836A (ko) * 2018-01-25 2018-02-02 주식회사 인텍 벨크로 인서팅 타입의 신발 조임장치, 이의 사출성형장치 및 제작방법
KR102011130B1 (ko) * 2018-01-25 2019-08-13 주식회사 인텍 벨크로 인서팅 타입의 신발 사출성형장치 및 제작방법
CN115005552A (zh) * 2022-06-30 2022-09-06 深圳美叶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模拟型跑鞋
CN115005552B (zh) * 2022-06-30 2024-01-26 深圳美叶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模拟型跑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554A (en) Asymmetrical reversible article of footwear
JP2007507323A (ja) モージュール式靴システム
TWM306793U (en) Shoes with replacing shoes front and rear bind for various combined manners
US6427363B1 (en) Reversible shoe
KR101026079B1 (ko) 묶지않는 신발끈
KR200393869Y1 (ko) 신발끈 내장형 신발
KR200380670Y1 (ko) 신발 고정수단
JP3166870U (ja) 履物
CN216363853U (zh) 一种系带拖鞋
JPS628729Y2 (ko)
KR200192601Y1 (ko) 신발끈 연결 운동화
JPS6236401Y2 (ko)
JP4716349B2 (ja) 雪面歩行補助具
CN2518353Y (zh) 组装凉鞋
JP2008142485A (ja) 異なる足幅に対応する靴の構造
KR200271353Y1 (ko) 기능성 샌들
JP3068586U (ja) 履 物
KR200226022Y1 (ko) 신발끈 결합단 운동화
JP2003047504A (ja) 甲バンドと舌片を連結した靴
KR200192594Y1 (ko) 접이식의 부츠신발
KR200352349Y1 (ko) 분리형 보조덮개를 구비한 신발
KR200343755Y1 (ko) 실내화
KR200192615Y1 (ko) 샌들
KR200322550Y1 (ko) 거시트 결착구를 가지는 신발
JP2000279207A (ja) 靴のベロ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