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461Y1 - 유출유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유출유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461Y1
KR200380461Y1 KR20-2004-0035762U KR20040035762U KR200380461Y1 KR 200380461 Y1 KR200380461 Y1 KR 200380461Y1 KR 20040035762 U KR20040035762 U KR 20040035762U KR 200380461 Y1 KR200380461 Y1 KR 200380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il
type
coupled
oil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재만
Original Assignee
도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재만 filed Critical 도재만
Priority to KR20-2004-0035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8Ej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Abstract

본 고안은 유출유 회수장치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이격된 한 쌍의 부력체; 상기 한 쌍의 부력체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 상기 한 쌍의 부력체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서 상기 지지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회수 보조장치; 및 상기 한 쌍의 부력체를 지지하며, 상기 유회수 보조장치를 통해 회수된 유류를 이송하는 이송관이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공흡입차량이나 이송펌프 또는 자체 제작된 동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수면에 분포된 오염물질을 회수할 경우, 오염물질 외에 물과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감소시켜 효율적인 방제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수면상의 오염물질 종류와 두께,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유회수 보조장치(흡입식, 위어식, 디스크식 등)를 교체 장착 하여 방제능력을 최적화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출유 회수장치{Recovery Apparatus Of Outflow Oil}
본 고안은 유출유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유회수 보조장치를 해상의 조건, 기름의 종류 및 두께 등의 조건에 맞게 유동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황에 맞는 최적의 회수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유출유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사고 등이 발생하면 선박으로부터 다량의 기름이 유출되어 인근해역을 오염시키게 되고 해양에서의 기름유출은 기름이 해수와 층을 이루면서 빠른속도로 해양을 오염시켜 양식업등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되며, 이 같은 기름유출사고시에는 신속하게 기름을 제거하여야만 2차오염을 막을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기름 등 물보다 비중이 작은 오염물질이 해양 등 수중에 유출되었을 때, 이를 회수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비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회수장비에는 흡수성이 좋은 물질을 이용하는 벨트식, 디스크식, 로프식, 브러시식등의 흡착식(Oleophilic)과, 기름과 물의 경계면에 최대한 정교하게 위어(Weir)의 위치를 맞추고 상단의 기름만 집유부 안으로 흘러들어가게 하여 기름을 수거하는 위어식, 비중차에 의해 기름이 수면에 뜨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름만 회수기만으로 흘러들게 하여 회수하는 원심분리식,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기름을 흡입하는 흡입식 및, 기름과 물을 함께 흡입한 다음 윈심력을 이용하여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원심력식(Hydrocyclone) 등이 있는데, 근자에는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형화·세트화된 회수장비를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항내 부두 계류지역이나 우수로내, 기타 육상 및 해양시설 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 유출사고는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선박이나 점점 대형화·세트화 되어 가고 있는 회수장비의 투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이럴 경우 작업 인력이 사고 공간내 직접 투입되어 오염물질의 물리적 제거작업을 수행하므로써, 사고처리의 지연 및 많은 방제자원 소요가 불가피하고 불의의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제세력의 진입이 난이한 오염지역은 최근 들어 진공 흡입차량 등을 동원하여 수면상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사례가 많이 증가하고 있으나, 방제 작업시 사람이 직접 둥근 흡입호스를 가지고 흡입 제거작업을 수행하므로써 오염물질 대비 함수비율이 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제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선박과 부두 계류시설내 잔존하는 오염물질은 공간의 협소로 인해 기계적 회수가 어려워 유흡착재 등 방제 자재를 사용한 물리적 회수에 의존하고 있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재대비 회수율이 낮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흡입차량이나 이송펌프 또는 자체 제작된 동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수면에 분포된 오염물질을 회수할 경우, 오염물질 외에 물과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감소시켜 효율적인 방제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수면상의 오염물질 종류와 두께,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회수 보조장치(흡입식, 위어식, 디스크식 등)를 교체 장착 하여 방제능력을 향상시킨 유류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황에 따라 고온 고압의 액체 분사나 유처리제 살포기능을 수행하므로써 방제작업이 질적으로 향상되는 유류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비내에 연결고리를 만들어 와이어나 지지대를 부착하여 수면상에서 장비를 이동시키며 방제작업을 수행하므로써 작업자가 수중에 직접 몸을 담그고 작업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류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출유 회수장치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이격된 한 쌍의 부력체; 상기 한 쌍의 부력체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 상기 한 쌍의 부력체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서 상기 지지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회수 보조장치; 및 상기 한 쌍의 부력체를 지지하며, 상기 유회수 보조장치를 통해 회수된 유류를 이송하는 이송관이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부력체는 상호간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부력체의 각 내측면에는 유류 유도판이 확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부력체에는 상단의 소정위치에 외부 구조물과 연결 가능한 연결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회수 보조장치는 흡입식, 위어식, 브러시식, 드럼식, 및 디스크식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유류 유입공간이 형성된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보조부력체; 상기 흡입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지지바; 및 상기 흡입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의 연결구에 연결되는 유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은 상기 한 쌍의 보조부력체와 상하/전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관은 상기 흡입부과의 연결부가 'ㄱ'자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관은 플렉시블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위어식 유회수 보조장치는 위어의 하단에 플렉시블한 원형 보조부력체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지지판과 상하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유 회수장치는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된 유류에 세척수 내지 유처리제를 살포할 수 있는 디스펜싱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출유 회수장치에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그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출유 회수장치와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출유 회수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그 평면도이고, 도 3b는 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그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출유 회수장치는, 한 쌍의 부력체(10a, 10b),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회수 보조장치(30, 50),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를 연결하고 연결구(41)와 디스펜싱 헤드(42)가 형성된 지지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는 상호간 소정 각도를 이루며 외부로 개방되도록 내측이 절개된 입체형상을 이루고, 절개된 각 내측면에는 유류 유도판(11a, 11b)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의해 확장 전개되어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유류 유도판(11a, 11b)은 내부에는 다수개의 보조 유도판이 겹쳐서 장착 가능하고 공간의 폭에 따라 적절한 길이만큼 보조 유도판을 펼쳐 효율적으로 기름 포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의 절개면측 상단에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연결고리(12a, 12b)가 일체로 부착되어 필요에 의해 외부에서 와이어나 외부 지지대를 통해 연결된다. 이는 지상이나 선박에서 장비를 이동시키며 방제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자체 추진장치가 결합되어 원격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20)는 양측 말단이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의 개방된 전면 하단에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한 쌍으로 평행을 이루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의 중앙에는 유회수 보조장치(30, 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0)는 기름 회수시 장치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특별히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30)가 결합되는 경우 보조장치(30)의 상하 운동을 유도한다.
상기 유회수 보조장치(30, 50)는 흡입식, 위어(Weir)식, 브러시식, 드럼식, 및 디스크식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이때, 흡입식은 지상이나 선박에 탑재된 펌프 등의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기름을 흡입하는 방식이고, 위어식은 기름과 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유류와 물이 위어를 통과하면서 기름을 회수하도록 한 방식이며, 브러시식은 기름을 브러시에 묻게 한 후 이를 스크레퍼나 블레이드 등으로 짜서 모이게 한 회수방식이다. 또한, 드럼식은 유류가 회전드럼에 접촉되게 하여 스크레퍼로 긁어모아진 기름은 드럼이 부착된 헤드내에 고이게 하여 이송시키는 방법이고, 디스크식은 기본적으로 드럼식과 원리는 같으나 드럼 대신 디스크를 사용,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기름을 수거하는 방식이다.
상술한 다양한 회수방식 중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출유 회수장치에는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3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3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유류 유입공간이 형성된 흡입부(31), 상기 흡입부(31)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보조부력체(32a, 32b), 상기 흡입부(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지지바(33), 및 상기 흡입부(3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40)의 연결구(41)에 연결되는 유입관(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31)는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며 양 측면에는 상기 보조부력체(32a, 32b)와 조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31)를 상기 한 쌍의 보조부력체(32a, 32b)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조절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보조부력체(32a, 32b)는 장방형으로, 도 2의 발췌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말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31)의 가이드홈과 겹쳐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하 조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바(33)는 상기 지지대(20)의 체결홈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흡입부(31)가 수면높이에 유동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유입관(34)은 상기 흡입부(31)와의 연결부(34a)가 'ㄱ'자 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면상의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30) 내에 유류 유입시 공기가 혼합되더라도 유입된 기름은 수면아래로 이동되고, 공기는 비중에 의해 수면상에 머물게 되어 지상이나 선상의 탱크에는 순수 액체만 이송되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회수능력 저하문제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유입관(34)은 상술한 연결부(34a)를 제외하고 플라스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30)를 보조부력체(32a, 32b)에 의해 물결에 따라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40)은 판상으로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에는 상기 유회수 보조장치를 통해 회수된 유류를 이송하는 이송관이 연결되는 연결구(4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유입된 유류에 세척수 내지 유처리제를 살포할 수 있는 디스펜싱 헤드(4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40)은 수면상으로는 부력체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하여 유처리제 또는 세척수의 살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면하는 부력체와 같거나 길게 제작하여 유류 대한 흐름상실을 차단·포집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구(4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들과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판(40)과 상하 조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가이드홈들은 중앙에 상기 연결구(41)가 돌출되는 제 1 가이드홈(40a)과, 양측에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제 2 및 제 3 가이드홈(40b, 40c)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상기 연결구(41)가 상하 조절가능하게 결합된 것은 기름의 두께에 따라 유입구의 수면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유류 회수작업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디스펜싱 헤드(42)는 상기 지지판(4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점도유의 유출에 의한 해양오염 사고 발생시 육상에 비치된 고압 세척기와 연결후 고온 고압의 세척수를 유출유에 분사하므로써 유출유에 유동성을 증가시켜 기름 회수능력을 증가시키고, 협소한 공간 또는 육상으로부터 낮은 지역 등에 장비를 투입하여 육상에 비치된 펌프와 연결후 유처리제를 경질성 유출유 또는 유막 등에 분사하므로써 유처리제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인력 및 유처리제의 낭비를 억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출유 회수장치에는 위어식 유회수 보조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출유 회수장치에 위어(Weir)식 유회수 보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위어식 유회수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위어식 유회수 보조장치(50)는, 위어(51)의 하단에 원형의 플렉시블한 보조부력체(52)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원형 보조부력체(52)의 하단에는 연결부(54a)가 'ㄱ'자 형인 유입관(54)이 상술한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30)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원형 보조부력체(52)의 하단에는 또한 상기 지지대(20)와 상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지지바(53)가 형성된다.
이러한 위어식 유회수 보조장치(50)는 수면위에 부유하는 기름을 비중차를 이용하여 회수하는 장치로, 위어의 높이를 조절하여 물의 유입을 최대한 억제하므로써 회수능력을 극대화한다.
이때, 상기 위어(51)의 하단에 원형 보조부력체(52)가 일체로 결합되어 파도 등 물결에 따라 보조장치가 유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효율적인 방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류 회수장치에 의하면, 진공흡입차량이나 이송펌프 또는 자체 제작된 동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수면에 분포된 오염물질을 회수할 경우, 오염물질 외에 물과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감소시켜 효율적인 방제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수면상의 오염물질 종류와 두께,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유회수 보조장치(흡입식, 위어식, 디스크식 등)를 교체 장착 하여 방제능력을 최적화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고온 고압의 액체 분사나 유처리제 살포기능을 수행하므로써 방제작업이 질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장비내에 연결고리(12a, 12b)를 만들어 와이어나 지지대(20)를 부착하여 수면상에서 장비를 이동시키며 방제작업을 수행하므로써 작업자가 수중에 직접 몸을 담그고 작업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출유 회수장치에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그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유출유 회수장치와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유출유 회수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그 평면도이고, 도 3b는 그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그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유출유 회수장치에 위어(Weir)식 유회수 보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위어식 유회수 보조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부력체 20 : 지지대
30 :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 31 : 흡입부
32a, 32b : 보조부력체 33 : 수직 지지바
34 : 유입관 40 : 지지판
41 : 연결구 42 : 디스펜싱 헤드
50 : 위어(Weir)식 유회수 보조장치 51 : 위어(Weir)
52 : 원형 보조부력체

Claims (12)

  1.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이격된 한 쌍의 부력체(10a, 10b);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20);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서 상기 지지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회수 보조장치(30, 50); 및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를 지지하며, 상기 유회수 보조장치를 통해 회수된 유류를 이송하는 이송관이 연결되는 연결구(41)가 형성된 지지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는 상호간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의 각 내측면에는 유류 유도판(11a, 11b)이 확장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a, 10b)에는 상단의 소정위치에 외부 구조물과 연결 가능한 연결고리(12a, 12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회수 보조장치(30, 50)는 흡입식, 위어식, 브러시식, 드럼식, 및 디스크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식 유회수 보조장치(3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유류 유입공간이 형성된 흡입부(31);
    상기 흡입부(31)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보조부력체(32a, 32b);
    상기 흡입부(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20)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지지바(33); 및
    상기 흡입부(3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40)의 연결구(41)에 연결되는 유입관(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31)은 상기 한 쌍의 보조부력체(32a, 32b)와 상하/전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34)은 상기 흡입부(31)와의 연결부(34a)가 'ㄱ'자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34)은 플렉시블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어식 유회수 보조장치(50)는 위어(51)의 하단에 플렉시블한 원형 보조부력체(52)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41)는 상기 지지판(40)과 상하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된 유류에 세척수 내지 유처리제를 살포할 수 있는 디스펜싱 헤드(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장치.
KR20-2004-0035762U 2004-12-16 2004-12-16 유출유 회수장치 KR200380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62U KR200380461Y1 (ko) 2004-12-16 2004-12-16 유출유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62U KR200380461Y1 (ko) 2004-12-16 2004-12-16 유출유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461Y1 true KR200380461Y1 (ko) 2005-03-30

Family

ID=4368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762U KR200380461Y1 (ko) 2004-12-16 2004-12-16 유출유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4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4661A (zh) * 2020-11-26 2021-03-1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轮机轴承箱清理装置及清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4661A (zh) * 2020-11-26 2021-03-1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轮机轴承箱清理装置及清理方法
CN112474661B (zh) * 2020-11-26 2024-02-23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轮机轴承箱清理装置及清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6880B2 (ja) 水底上に沈積した可塑性の泥状物質の収集および除去用装置
US20120012535A1 (en) Oil skimmer conveyor
CN101691249B (zh) 气浮船与刮渣船联用对自然水体大面积藻类爆发的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0488391B1 (ko) 수륙양용 해양오염 방제장치
KR20140009958A (ko) 해상에 유출된 기름 회수와 오염물질 청소용 특수선박
KR200380461Y1 (ko) 유출유 회수장치
US20140319039A1 (en) Oil Spill Containment and Clean-Up Apparatus and Method
US9133593B2 (en) Stationary boom support system
KR101255462B1 (ko) 이동식 부유물 제거장치
US20170292240A1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n underwater ground-working apparatus and method
JP4037966B2 (ja) 海底浄化装置
FI119115B (fi) Menetelmä öljyn keräämiseksi vesistöstä
CN116395790A (zh) 一种海洋生态修复设备
US20130092610A1 (en) Oil skimmer assembly and system
KR101788606B1 (ko) 선박용 부유기름제거장치
KR20090107224A (ko) 해변의 오염된 흙의 기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JP6185852B2 (ja) 汚濁防止浚渫装置
JP2005350951A (ja) トンネル内壁面の洗浄装置
KR20120081837A (ko)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JP2005282155A (ja) 水底有害物除去装置
US6592681B1 (en) Floating oil boom cleaning apparatus
WO2000032467A1 (en) Ship hull cleaning device and floating dock
CN211948626U (zh) 生态清淤船的水下洗沙装置
KR101185966B1 (ko) 수면정화 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0288386B1 (ko) 수질오염방지를 위한 오일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