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837A -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837A
KR20120081837A KR1020110003190A KR20110003190A KR20120081837A KR 20120081837 A KR20120081837 A KR 20120081837A KR 1020110003190 A KR1020110003190 A KR 1020110003190A KR 20110003190 A KR20110003190 A KR 20110003190A KR 20120081837 A KR20120081837 A KR 2012008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purification liquid
sediment
injection plate
liqui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권
한상재
Original Assignee
정석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권 filed Critical 정석권
Priority to KR102011000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1837A/ko
Publication of KR2012008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오염 퇴적토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중 오염 퇴적토를 별도로 수거하지 않고 직접 현장에서 고형화 및 안정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처리 과정에서 주변으로의 2차 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는 내부에 정화액이 충전된 정화액 보관통 및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바지선과, 바지선의 하방 수중에 배치되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고 정화액 보관통과 연결되어 정화액을 공급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정화액 주입판을 포함하며, 정화액 주입판이 하강하여 수중의 오염 퇴적토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정화액이 분사되어 오염 퇴적토가 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underwater contaminated sediment in-situ}
본 발명은 수중 오염 퇴적토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중 오염 퇴적토를 별도로 수거하지 않고 직접 현장에서 고형화 및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국의 총 해안선은 약 8,693㎞ 정도가 되는데, 산업발전과 더불어 항만 증설과 간척 사업 등 그 이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지만, 임해 도시 및 임해 공업 단지로부터 대량의 폐수 및 폐기물이 해안으로 방출됨으로 인해 해수가 오염되고 적조현상 및 어패류의 폐사가 일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중에 오염물이 퇴적되어 해안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특히 폐쇄성 내만 및 항구 등은 해양 물리학적으로 해수의 유동이 제한적이고 육상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이 활발한 지역이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 유입된 오염물질이 축적되어 퇴적물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퇴적물로 인한 극심한 오염으로 생태계 본래의 기능이 상실된 곳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수중 오염물 처리에 관한 특허가 다수 존재한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제10-0422406호는 수중 바닥에 위치하는 폐기물 수거차를 예인선으로 끌어 폐기물 수거차가 수중 바닥을 따라 이동되면서 폐기물이 폐기물 수거망에 모아지도록 하고 더욱이 갈퀴 부재가 수중 바닥을 긁으면서 수중 바닥에 묻힌 폐기물을 퍼내도록 한 것이며, 수거된 폐기물은 예인선에 저장된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422406호는 갈퀴 부재로 수중 바닥을 긁어 수중 바닥에 묻힌 폐기물이 폐기물 수거차의 후방에 고정된 폐기물 수거망에 모이도록 하고 있으나, 폐기물 수거망에 수거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되는 폐기물이 발생하여 주변을 오염시키는 2차 오염의 문제가 존재하며, 예인선에 별도의 수거 시설이 구비되어야 하는 등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332310호는 연안 해저 정화용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랜트 전방에 설치되어 긴 오물, 폐그물, 생활 쓰레기 등을 효과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수중 오물 수거장치와, 그 오물 수거후 플랜트 후방에 설치되어 오염된 퇴적물을 기계식으로 또는 원격 조정식으로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332310호는 수중 오물의 복원설비를 부선(Barge)에 설치해 해상 플랜트에서 오물을 수거한 후 정화장치로 정화시키는 방법에 의하고 있으나, 오물 수거과정에서 주변이 오염되는 2차 오염의 문제가 있으며, 육상 및 해상에 별도의 플랜트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중 오염 퇴적토를 별도로 수거하지 않고 직접 현장에서 고형화(solidification) 및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 오염 퇴적토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의 2차 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정화액이 충전된 정화액 보관통 및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의 하방 수중에 배치되되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고 상기 정화액 보관통과 연결되어 정화액을 공급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정화액 주입판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액 주입판이 하강하여 수중의 오염 퇴적토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정화액이 분사되어 상기 오염 퇴적토가 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바지선 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롤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지선 하방에 배치되는 정화액 주입판의 상면에 장착된 롤러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상기 정화액 보관통과 주입관으로 연결되어 정화액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정화액의 하방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화액 주입판의 상면에는 상기 주입관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화액 주입판의 분사노즐은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1분사노즐보다 짧은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지선 상에는 상기 정화액 보관통에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으로 고압으로 정화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정화액 주입용 펌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스틸 패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외주를 따라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확산방지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상면 둘레에 장착되는 보강 앵글을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화액 주입판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면 위로 연장되는 분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노즐의 끝단에 결합되는 워터제트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지선 상에는 상기 정화액 주입판과 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막힘상태를 뚫기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정화액이 충전된 정화액 보관통 및 크레인이 설치되는 바지선과, 상기 크레인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바지선의 일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수중에서 승강이 가능하고 상기 정화액 보관통과 주입관으로 연결되어 정화액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정화액을 하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정화액 주입판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액 주입판이 하강하여 수중의 오염 퇴적토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정화액이 분사되어 상기 오염 퇴적토가 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에 의하면, 수중 오염 퇴적토를 별도로 수거할 필요없이 직접 현장에서 정화액 주입판을 이용하여 수중 오염 퇴적토에 정화액을 주입함으로써 고형화 및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속도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고형화된 오염 퇴적토의 이동, 보관 및 처리에 편의성이 제공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화액 주입판에 확산방지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수중 오염 퇴적토의 정화효율이 향상되고, 주변으로의 2차 오염도 방지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의 개략적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의 일 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의 일 요부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수중 오염 퇴적토를 현장에서 정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인데, 수중 오염 퇴적토를 처리하기 전에 수중에 쌓여있는 폐기물은 선 수거가 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폐기물이 제거된 후의 수중 오염 퇴적토를 처리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는 정화액 보관통(110) 및 승강수단(130)이 설치된 바지선(100)과, 정화액 주입판(200)을 포함하며, 수중의 오염 퇴적토 상에 정화액 주입판(200)을 안착시킨 후 정화액을 분사함으로써, 오염 퇴적토의 현장 정화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선(100) 상에는 정화액 보관통(110)과 승강수단(120)이 설치된다.
정화액 보관통(110)은 정화액 주입판(200)에 정화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정화액이 충전되어 있으며, 정화액 주입판(200)과는 주입관(112)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정화액 보관통(110)에 충전되는 정화액은 천연 무기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제품이 혼합된 정화액을 사용하게 되면 오염 퇴적토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화학제품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승강수단(120)은 정화액 주입판(200)을 수중에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120)은 바지선(100) 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프레임(122)과, 프레임(122) 및 정화액 주입판(200)을 연결하는 승강와이어(12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승강와이어(124)는 일단이 프레임(122)에 장착된 롤러(12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정화액 주입판(200)의 상면에 장착된 롤러(125)에 연결되며, 바지선(100) 상에서 조작함으로써 승강와이어(124)가 정화액 주입판(200)을 승강시키게 된다.
정화액 주입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선(100)의 하방 수중에 배치되고, 승강수단(120)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화액 주입판(200)의 상면에 롤러(125)가 장착되고, 롤러(125)에 승강와이어(124)가 연결되며, 승강와이어(124)에 의해 정화액 주입판(200)이 승강하게 된다.
정화액 주입판(200)은 정화액 보관통(110)과 주입관(112)을 통해 연결되어, 정화액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정화액 주입판(200)은 공급받은 정화액을 하방으로 분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분사노즐(21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분사노즐(210)은 정화액 주입판(2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데, 다수 개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면 된다. 다만, 분사노즐(210)은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분사노즐(210a)과, 다수의 제1분사노즐(210a)의 사이에 제1분사노즐(210a)보다 짧은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분사노즐(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분사노즐(210)의 정화액 분사 높이에 차이를 둠으로써 정화대상인 오염 퇴적토에 균일하게 정화액이 분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화액 주입판(200)은 스틸 재질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화액 주입판(200)의 상면에는 주입관(112)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주입구(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도 5 참조), 주입구(220)는 분사노즐(21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화액 보관통(110)에서 주입관(112)을 통해 주입구(220)로 정화액이 공급되며, 분사노즐(210)을 통해 정화액이 분사된다.
한편, 오염 퇴적토가 효율적으로 교반 및 혼합되어 정화되도록 하기 위해 정화액 주입판(200)의 분사노즐(210)을 통해 고압으로 정화액이 분사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바지선(100) 상에 정화액 주입용 펌프(13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바람직하게는, 정화액 주입판(200)은 확산방지부(230)를 가질 수 있다(도 1, 도 2 및 도 3 참조). 확산방지부(230)는 정화액 주입판(200)의 하방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정화액 주입판(20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확산방지부(230)를 형성하는 이유는 오염 퇴적토에 정화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교반 및 정화하는 과정에서 오염 퇴적토가 주변으로 확산됨으로써 2차 오염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확산방지부(230)는 수중의 바닥면에 박혀 정화액 주입판(200)의 하방을 폐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교반 및 정화과정 중 오염 퇴적토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2차 오염이 예방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확산방지부(230)는 정화액 주입판(200)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 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정화액 주입판(200)은 견고한 고정 및 지지를 위한 보강 앵글(240)을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앵글(240)은 정화액 주입판(200)의 상면 둘레에 장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정화액 주입판(200)은 분출관(250)을 가질 수 있다. 분출관(250)은 정화액 주입판(200)에서 분사노즐(210)을 통해 정화액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경우, 정화액 주입판(200)의 하방이 확산방지부(230)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공기압 차이를 상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관(250)은 정화액 주입판(2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면 위로 연장되며, 분출관(250)의 내부에서 해수가 승강하게 됨으로써 공기압 차이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분출관(250)은 그 직경이 약 300?500㎜ 정도가 될 수 있다.
한편, 정화액 주입판(200)의 분사노즐(210)로 정화액을 분사하기 전에, 정화액 주입판(200)에 의해 폐쇄된 하방에 존재하는 해수를 분출관(250)을 통해 분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정화액 주입판(200) 하방의 해수를 제거하지 않고 정화액을 분사하여 오염 퇴적토를 정화시키는 경우 분출관(250)을 통해 혼탁액이 유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며, 미리 해수를 제거한 후 정화처리를 하게 되면 혼탁액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정화액 주입판(200)은 더욱 강한 압력으로 정화액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노즐(210)의 끝단에 결합되는 워터제트(water jet)(260)를 더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제트(260)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262), 수직부(262)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부(26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부(262)와 경사부(264)를 통해 정화액이 분사된다. 참고로, 수직부(262)와 경사부(264)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30°가 적당하며, 수직부(262)의 길이는 대략 30?50㎝, 경사부(264)의 길이는 대략 20?30㎝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분사노즐(210)에서 워터제트 방식으로 분사하는 것은, 특히 오염 퇴적토가 쌓여 이루게 되는 층의 경도가 큰 경우에 효용성이 크다. 예컨대, 오염 퇴적토층의 경도(N)가 약 5이상인 경우에는, 분사노즐(210)에서 워터제트(260)에 의해 강한 압력으로 정화액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오염 퇴적토층을 파쇄하고 혼탁해진 오염 퇴적토를 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사노즐(210)이 막힌 경우 이를 뚫기 위한 컴프레셔가 바지선(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프레셔는 정화액 주입판(200)과 관으로 연결되며,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막힌 분사노즐(210)을 뚫게 된다.
나아가, 바지선(100) 상에는 운전실(140), 승강수단과 바지선을 조종할 수 있는 기계실(150), 바지선 이동용 윈치(160) 및 GPS(170) 등이 설치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로 수중 오염 퇴적토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지선(100)에 설치된 승강수단(120)으로 정화액 주입판(200)을 수중의 오염 퇴적토 상으로 하강시킨다. 필요한 경우 컴프레셔를 가동하여 분사노즐(210)의 막힘 상태를 뚫어준다. 그리고 정화액 주입판(200)이 오염 퇴적토 상에 안착되면, 정화액 주입용 펌프(130)를 가동하여 정화액 보관통(110)에서 정화액 주입판(200)으로 정화액을 공급하여 분사노즐(210)을 통해 정화액이 고압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분사노즐(210)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정화액에 의해 정화액 주입판(200)의 하면과 확산방지부(230)로 둘러싸인 오염 퇴적토가 교반 및 정화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는 승강수단으로 크레인(120')을 적용한 것이다. 크레인(120')은 바지선(100)의 일단에 설치되며, 정화액 보관통(110)도 바지선(100)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정화액 주입판(200)은 바지선(100)의 일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수중에 배치되며, 바지선(100) 상의 크레인(120')과 와이어(124')로 연결되어 승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차이점을 제외한 나머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0 : 바지선 110 : 정화액 보관통
112 : 주입관 120 : 승강수단
122 : 프레임 123, 125 : 롤러
124 : 승강와이어 130 : 정화액 주입용 펌프
140 : 운전실 150 : 기계실
160 : 윈치 170 : GPS
200 : 정화액 주입판 210 : 분사노즐
220 : 주입구 230 : 확산방지부
240 : 보강 앵글 250 : 분출관

Claims (13)

  1. 내부에 정화액이 충전된 정화액 보관통과,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바지선; 및
    상기 바지선의 하방 수중에 배치되되,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고, 상기 정화액 보관통과 연결되어 정화액을 공급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정화액 주입판;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액 주입판이 하강하여 수중의 오염 퇴적토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정화액이 분사되어 상기 오염 퇴적토가 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바지선 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롤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지선 하방에 배치되는 정화액 주입판의 상면에 장착된 롤러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상기 정화액 보관통과 주입관으로 연결되어 정화액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정화액의 하방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의 상면에는 상기 주입관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의 분사노즐은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1분사노즐보다 짧은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 상에는 상기 정화액 보관통에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으로 고압으로 정화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정화액 주입용 펌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스틸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외주를 따라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확산방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상면 둘레에 장착되는 보강 앵글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면 위로 연장되는 분출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11.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액 주입판은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노즐의 끝단에 결합되는 워터제트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12.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 상에는 상기 정화액 주입판과 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막힘상태를 뚫기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13. 내부에 정화액이 충전된 정화액 보관통과, 크레인이 설치되는 바지선; 및
    상기 크레인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바지선의 일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수중에서 승강이 가능하고, 상기 정화액 보관통과 주입관으로 연결되어 정화액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정화액을 하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정화액 주입판;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액 주입판이 하강하여 수중의 오염 퇴적토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정화액이 분사되어 상기 오염 퇴적토가 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KR1020110003190A 2011-01-12 2011-01-12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KR20120081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190A KR20120081837A (ko) 2011-01-12 2011-01-12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190A KR20120081837A (ko) 2011-01-12 2011-01-12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37A true KR20120081837A (ko) 2012-07-20

Family

ID=4671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190A KR20120081837A (ko) 2011-01-12 2011-01-12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18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84B1 (ko) * 2012-07-31 2014-05-27 (주)신대양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CN104624631A (zh) * 2015-01-23 2015-05-20 河海大学 治理土壤中的铬污染并防止污染物扩散的装置
CN109187280A (zh) * 2018-11-02 2019-01-11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原位注入修复技术扩散半径的综合判定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84B1 (ko) * 2012-07-31 2014-05-27 (주)신대양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CN104624631A (zh) * 2015-01-23 2015-05-20 河海大学 治理土壤中的铬污染并防止污染物扩散的装置
CN109187280A (zh) * 2018-11-02 2019-01-11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原位注入修复技术扩散半径的综合判定方法
CN109187280B (zh) * 2018-11-02 2020-11-13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原位注入修复技术扩散半径的综合判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4156C (en) Sediment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ediment from open waterways
AU2012318208B2 (en) Seawater infiltration method and water infiltration intake unit
KR20200093998A (ko)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CA285452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age and treatment of remediation materials
KR20120081837A (ko)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KR101250333B1 (ko) 호수나 연못 바닥면에 침적된 오니류의 흡착/분리방법 및 그 장치
CN105887755A (zh) 一种水库抽沙系统
KR101255462B1 (ko) 이동식 부유물 제거장치
KR102342175B1 (ko) 침투형 고압분사관을 구비한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JP6871552B2 (ja) 河川や湖沼、池、海洋の区域閉鎖式浄化工法
CN105970876A (zh) 一种水库抽沙方法
JP3932411B2 (ja) トンネル内壁面の洗浄装置
KR20090107224A (ko) 해변의 오염된 흙의 기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CN102963946B (zh) 浮游式污水处理机
KR101208990B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78873A (ko)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KR102237084B1 (ko) 밀폐성이 향상된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CN210419496U (zh) 一种用于矿山废弃地污染防控系统
JP6138594B2 (ja) 海水浸透取水における移動式懸濁物質回収装置
KR101898396B1 (ko) 수중 저면 청소 시스템
CN109024745B (zh) 河道沉积物清除装置及方法
JP4382397B2 (ja)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KR101007465B1 (ko) 해양 오폐수 실시간 정수 시스템 및 방법
TWI803421B (zh) 下水道淤泥清除裝置
CN215330134U (zh) 一种用于城市河道污染底泥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