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441Y1 -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 Google Patents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441Y1
KR200380441Y1 KR2019980028281U KR19980028281U KR200380441Y1 KR 200380441 Y1 KR200380441 Y1 KR 200380441Y1 KR 2019980028281 U KR2019980028281 U KR 2019980028281U KR 19980028281 U KR19980028281 U KR 19980028281U KR 200380441 Y1 KR200380441 Y1 KR 200380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reinforcement
support
hole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907U (ko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8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44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계가 쉽고, 구조가 간단하여(SIMPLE DESIGN) 제작이 용이하며, 개구부에 대한 보강재를 경량화 시키고, 그 외형을 매끄럽게 구성한 설계로 고객 및 제작자로부터 만족할 만한 점수를 받을 수 있는 연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보일러 및 개스터빈 등의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개스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연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돌장치의 전면부 입구부분 표면에는 지그재그로 다수의 구멍(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다수의 구멍(b)간에는 다수의 형강(12)이 내외면에 붙여져 있는 연돌(a)과; 상기 연돌(a)의 전면부에 연돌(a)의 지름보다 큰 길이를 갖는 수평 보강재(2)와, 이와 수직으로 접하고 이음쇠(15,16)에 의해 연결된 지지대(13,14)로 지지되는 수직보강재(1)가 4각프레임을 이루어 연돌(a)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보강재(1)의 후방부로는 연돌(a)의 후반부 둘레를 보강하는 상하로 다수개 설치된 보강재(11) 및 이와 연결된 연결보강재(1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보강재(10)는 수직보강재(1)와 평행을 이루고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8,9)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돌(a)의 상하부에는 연돌(a)둘레를 보강하는 보강재(3)가 설치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Description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본 고안은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 및 개스터빈 등의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개스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장치인 독립지지형 철구조 연돌(SELF SUPPORTED STEEL STACK)장치의 개구부 구조를 다중 구멍으로 하고 이를 지지하는 보강재를 설치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돌 크기의 대형화 및 연돌 입구덕트 크기의 대형화에 따라 연돌 입구 개구부(STACK INLET OPENING)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연돌 몸체에 뚫리게 되는 개구부의 크기도 커지게 됨으로써, 연돌의 풍하중 및 지진하중으로부터의 개구부에 대한 강도상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즉, 개구부의 보강설계시 설계가 간단하고, 제작이 간편하고, 경량화 설계를 통한 제작과 조립작업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구부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관건이나, 종래의 기술은 설계가 매우 복잡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제작물량 등의 증가로 고객 및 제작자로부터 만족할 만한 점수를 받고 있지 못하였다.
도 7 은 종래 개구부의 조립도아고, 도 8 은종래 개구부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종래 연돌장치의 구조 및 단점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연돌몸체에 뚫리게 되는 입구덕트 개구부(INLET)의 크기는 입구 덕트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 전부를 연돌 몸체로부터 떼어내게 되는데 이 경우, 연돌이 풍하중 및 지진하중으로부터의 개구부에 대한 강도상 보강방법으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개구부 양쪽에 I 형강(BEAM)을 덧붙인 T 형강(BEAM)을 설치하고, 상하로 H 형강(BEAM)을 설치함은 물론 중간에 보강재등이 다량 소요된다.
이러한 개구부는 소형 크기(1510mm×3510mm)임에도 불구하고 다량의 자재가 소요되며, 대형 크기인 경우는 설계가 매우 복잡하고, 외형상 매우 조잡해지며, 많은 량의 보강재가 필요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설계가 쉽고, 구조가 간단하여(SIMPLE DESIGN) 제작이 용이하며, 개구부에 대한 보강재를 경량화 시키고, 그 외형을 매끄럽게 구성한 설계로 고객 및 제작자로부터 만족할 만한 점수를 받을 수 있는 연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보일러 및 개스터빈 등의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개스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연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돌장치의 전면부 입구부분 표면에는 지그재그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다수의 구멍간에는 다수의 형강이 내외면에 붙여져 있는 연돌과;
상기 연돌의 전면부에 연돌의 지름보다 큰 길이를 갖는 수평 보강재와, 이와 수직으로 접하고 이음쇠에 의해 연결된 지지대로 지지되는 수직보강재가 4각프레임을 이루어 연돌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보강재의 후방부로는 연돌의 후반부 둘레를 보강하는 상하로 다수개 설치된 보강재 및 이와 연결된 연결보강재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보강재는 수직보강재와 평행을 이루고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돌의 상하부에는 연돌둘레를 보강하는 보강재가 설치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철구조 연돌 조립도로서 하부에 본 고안의 연돌장치인 보일러 및 개스터빈 등의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개스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장치인 독립지지형 철구조 연돌(SELF SUPPORTED STEEL STACK)장치가 상부의 장치들과 함께 조립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개구부 정면 구조(도시 없음)를 다중 구멍으로 하고 이를 지지하는 다수의 보강재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본 고안의 연돌 개구부 조립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연돌 개구부 조립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본 고안은 연돌 몸체( STACK BODY)에 뚫리는 개구부를 종래와 같이 입구덕트 면적 전체를 떼어내는 대신에 연돌의 전면 표면에 다중구멍방식(MULTI TYPE HOLE)으로 다수의 구멍을 가공하였다.
본 고안의 구조는 연돌(a)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돌(a)의 전면부 입구부분 표면에는 지그재그로 다수의 구멍(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다수의 구멍(b)간에는 다수의 형강(C250X90, 12)이 연돌(a)의 내외면에 붙여져 있다.
상기 지지체는 연돌(a)의 전면부에는 연돌(a)의 지름보다 큰 길이를 갖는 수평 보강재(2)와, 이와 수직으로 접하고 이음쇠(15,16)에 의해 연결된 지지대(13,14)로 지지되는 수직보강재(1)가 4각프레임을 이루어 연돌(a)을 지지한다.
상기 수직보강재(1)의 후방부로는 연돌(a)의 후반부 둘레를 보강하는 상하로 다수개 설치된 보강재(11) 및 이와 연결된 연결보강재(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연결보강재(10)는 수직보강재(1)와 평행을 이루고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8,9)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연돌(a)의 상하부에는 연돌(a)둘레를 보강하는 보강재(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돌(a)의 전면부 입구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b)은 구멍(지름 915mm, b)을 피치 1220이 되게 지그재그 방식으로 입구부분에 배열함으로써, 구멍사이의 간격(연돌몸체에 남아있는 철판간격)을 300mm이상 확보하게 된다.
도 4 는 도 2 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2 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 은 도 2 의 C-C선 단면도인데, 상기 상하부 수평보강재(2)는 지지대(4,5,6)에 의해 연돌(a)에 연결·지지되는데,
상기 지지대(5)는 상하부 수평보강재(2)와 일측면이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면은 지지대(4)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 지지대(4)가 연돌(a)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6)는 상하부 수평보강재(2)와 일측면이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면이 연돌(a)에 직접 연결 지지된다.
상기 이음쇠(16)는 형강(12)에 연결됨과 동시에 지지대(13,14)와 연결되어 있어서, 지지대(13,14)가 연돌(a)을 보강·지지하게 된다.
상기 도2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은 연돌몸체에 연돌직경 단면적의 1.25 배 면적의 다공 구멍(b, 지름915mm)을 수평방향으로 피치 1220, 수직방향으로 1220되게 지그재그 배열하여 뚫는데 구멍 사이 및 양끝은 C250X90 형강(12)을 사용하여 보강한다.
연돌 입구 개구부 구멍수의 결정은 다음에 따른다.
- 연돌직경 단면적 = (3.14x연돌지름2)/4
- 필요한 구멍 단면적 = 연돌직경 단면적/0.8
- 구멍 지름 = 915 mm(0.65m2)
- 필요한 구멍 수 = 필요한 구멍 단면적/0.65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 연돌몸체에 개구부 전체를 구멍내는 설계에서 연돌몸체에 다중구멍을 뚫는 설계로 바꿈으로써 풍하중 및 지진하중 보강에 대한 설계가 간단해졌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외관이 매끄러운 경량화 설계화 기능을 높인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철구조 연돌 조립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연돌 개구부 조립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연돌 개구부 조립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2 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 은 도 2 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 은 종래 개구부의 조립도이고,
도 8 은 종래 개구부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연돌장치 (b) : 구멍
(1) : 수직보강재 (2) : 수평 보강재
(3,11) : 보강재 (4,5,6,8,9,13,14) : 지지대
(10) : 연결보강재 (12) : 형강
(15,16) : 이음쇠

Claims (4)

  1. 보일러 및 개스터빈 등의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개스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연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돌장치의 전면부 입구부분 표면에는 지그재그로 다수의 구멍(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다수의 구멍(b)간에는 다수의 형강(12)이 내외면에 붙여져 있는 연돌(a)과;
    상기 연돌(a)의 전면부에 연돌(a)의 지름보다 큰 길이를 갖는 수평 보강재(2)와, 이와 수직으로 접하고 이음쇠(15,16)에 의해 연결된 지지대(13,14)로 지지되는 수직보강재(1)가 4각프레임을 이루어 연돌(a)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보강재(1)의 후방부로는 연돌(a)의 후반부 둘레를 보강하는 상하로 다수개 설치된 보강재(11) 및 이와 연결된 연결보강재(1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보강재(10)는 수직보강재(1)와 평행을 이루고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8,9)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돌(a)의 상하부에는 연돌(a)둘레를 보강하는 보강재(3)가 설치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a)의 전면부 입구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b)은 연돌몸체에 연돌직경 단면적의 1.25 배 면적의 다공구멍을 뚫되, 그 지름은 915mm가 되도록 하고, 수평방향으로 피치 1220, 수직방향으로 1220되게 지그재그 배열하여 뚫어서 구멍사이의 간격인 연돌몸체에 남아있는 철판간격을 300mm이상 확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수평보강재(2)는 지지대(4,5,6,)에 의해 연돌(a)과 연결 지지되는데, 지지대(5)는 상하부 수평보강재(2)와 일측면이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면은 지지대(4)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 지지대(4)가 연돌(a)에 연결되고, 지지대(6)는 상하부 수평보강재(2)와 일측면이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면이 연돌(a)에 직접 연결 지지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쇠(16)는 형강(12)에 연결됨과 동시에 지지대(13,14)와 연결되어 있어서, 지지대(13,14)가 연돌(a)을 보강·지지하게 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KR2019980028281U 1998-12-31 1998-12-31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KR200380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281U KR200380441Y1 (ko) 1998-12-31 1998-12-31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281U KR200380441Y1 (ko) 1998-12-31 1998-12-31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07U KR20000014907U (ko) 2000-07-25
KR200380441Y1 true KR200380441Y1 (ko) 2005-07-07

Family

ID=4368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281U KR200380441Y1 (ko) 1998-12-31 1998-12-31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4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5402B (zh) * 2020-12-08 2023-12-26 四川省达州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脱硫白烟治理系统及其治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07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0653A (ja) 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に使用する予備製作された金属壁部品および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の構築方法
CN102016195B (zh) 栅格型托板结构及其建造方法
JP5072388B2 (ja) 蒸気発生器の管支持板
SG179393A1 (en) Support beam structure capable of extending span and reducing height of ceiling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20150114073A (ko) 모듈러 풍력타워
MXPA03000225A (es) Soporte de estator.
JP5663196B2 (ja) 低圧蒸気タービン用の波形フード
KR200380441Y1 (ko) 독립지지용 철구조 연돌 장치
JP5362901B2 (ja) 火力プラント
KR100798101B1 (ko) 고강성형 강재 거푸집
KR20210156194A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능성 지지 구조체
EP1901019B1 (en) Bearing construction for high power liquid condensers and coolers
JP3831617B2 (ja) 蒸気タービンの車室構造
US3070533A (en) Nuclear reactor core supporting means
RU2204672C2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JP3990975B2 (ja) 複合構造送電用鉄塔及び嵩上げ工法による組立て工法
KR101954789B1 (ko) 파이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플랫폼 고정식 풍력 발전 플랜트.
KR101618153B1 (ko) 구조보강재가 부착된 철골구조물
JP6384905B2 (ja) 剛性板耐震壁及び剛性板耐震壁付きのフレーム機構
CN108252201A (zh) 一种四片桁拱圈与双柱式拱上钢立柱的连接构造
CN212642079U (zh) 一种装配式建筑悬挑操作平台
CN218623126U (zh) 一种新型大截面烟风道导流板加强结构
CN217233609U (zh) 一种汽轮机缸体结构
CN216948178U (zh) 外海装配式新型平台
JP2018076112A (ja) 構築途中の円筒タンクの耐風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