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239Y1 - 방향제 휘산기 - Google Patents

방향제 휘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239Y1
KR200380239Y1 KR20-2005-0000262U KR20050000262U KR200380239Y1 KR 200380239 Y1 KR200380239 Y1 KR 200380239Y1 KR 20050000262 U KR20050000262 U KR 20050000262U KR 200380239 Y1 KR200380239 Y1 KR 200380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storage container
fragrance
guide portion
absorben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김기섭
장욱
최용욱
유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05-0000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239Y1/ko
Priority to CNB2005100645159A priority patent/CN100406067C/zh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 휘산기에 관한 것으로, 휘산 불량을 방지하고, 잔량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향제 휘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액상의 방향제(40)가 수용된 저장용기(30)와 방향제(40)를 휘산시키는 심지(50)와 방향제(40)를 흡수하여 심지(50)로 전달시키는 흡수심(60)과 상기 심지(20)를 저장용기(30)에 고정시키며, 저장용기(3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부압홀(A)이 형성된 팩킹(70);을 가지는 방향제 휘산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체(73)의 상부에 심지(50)의 팽창 및 휘어짐을 방지하는 심지 가이드부(78)가 형성된 방향제 휘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수심(60)은 그 말단이 저장용기(30)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심지 가이드부(78)에 의해 심지(50)의 팽창 및 휨이 방지되어 휘산 불량이 방지되고, 흡수심(60)의 말단이 저장용기(30)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되어 저장용기(30)의 내부에 잔량이 남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방향제 휘산기{AROMA EVAPORATION DEVICE}
본 고안은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 휘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지와 저장용기를 고정시키는 팩킹을 구성함에 있어서 심지가 팽창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팩킹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휘산 불량을 방지하고, 심지에 결합되어 방향제를 흡수하는 흡수심은 그 말단이 저장용기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용기에 잔량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향제 휘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 휘산기는 액상의 방향제가 자연적으로 휘산되도록 하는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향제 휘산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제 휘산기는 일반적으로 액상의 방향제(4)가 수용된 저장용기(3)와, 이 저장용기(3)에 수용된 방향제(4)를 휘산시키는 심지(5)와, 이 심지(5)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고 방향제(4)를 흡수하여 심지(5)로 전달시키는 흡수심(6)과, 상기 심지(5)를 저장용기(3)의 개구부에 고정시키는 팩킹(7)을 갖는다. 이때, 팩킹(7)에는 저장용기(3)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부압홀(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팩킹(7)은 심지(5)와 저장용기(3)를 고정시키면서 부압홀(A)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방향제 휘산기는 유통시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1)과 내캡(2)이 나사구조로 조립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방향제 휘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심지(5)는 미세한 섬유(FIBER)가 집합된 원통체로 이루어지는데,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지(5)는 방향제(4)를 흡수하면 팽창되어 부풀거나,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2a는 팽창되어 부푼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휘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심지(5)가 팽창되어 부풀거나, 휘어지는 경우 저장용기(3)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팩킹(7)의 부압홀(A)이 막히게 되어 방향제(4)가 휘산되지 않거나 누액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부압홀(A)이 막히게 되면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여, 저장용기(3)의 내외부 온도가 거의 같은 경우에는 방향제(4)가 휘산되지 않게 되고, 저장용기(3)의 외부 온도가 내부 온도보다 높으면 방향제(4)가 넘쳐 누액된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3)는 성형 특성상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바닥부(3a)가 볼록하게 성형되는 데, 종래에는 흡수심(6)이 직선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저장용기(3)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있는 방향제(4)는 흡수되지 못하고 잔량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심지와 저장용기를 고정시키는 팩킹을 구성함에 있어서, 심지가 부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부압홀을 막지 못하도록 팩킹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휘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제 휘산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저장용기에 잔량이 남지 않고 모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는 방향제 휘산기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상의 방향제가 수용된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방향제를 휘산시키는 심지와; 상기 심지의 하부에 결합되고 방향제를 흡수하여 심지로 전달시키는 흡수심과;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부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과, 저장용기의 개구부 벽면에 밀착되는 상부벽체와, 심지의 하부가 끼워지는 하부벽체와, 상기 상부벽체와 하부벽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와, 상기 하부벽체의 하단에 절곡 형성된 흡수심 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부에 부압홀이 형성된 팩킹;을 가지는 방향제 휘산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체의 상부에 심지의 팽창 및 휘어짐을 방지하는 심지 가이드부가 형성된 방향제 휘산기를 제공한다. 이때, 심지 가이드부는 하부벽체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흡수심은 그 말단이 저장용기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수심은, 그 일측은 심지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어지되, 그 타측 말단은 저장용기에 잔량이 남지 않도록 저장용기의 내부 모서리 바닥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흡수심 가이드부에는 흡수심을 저장용기의 내부 모서리 쪽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을 상세히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휘산기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보인 팩킹의 절단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팩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방향제 휘산기는 적어도 액상의 방향제(40)가 수용된 저장용기(30)와, 상기 저장용기(30)에 수용된 방향제(40)를 휘산시키는 심지(50)와, 상기 심지(50)의 하부에 결합되고 방향제(40)를 흡수하여 심지(50)로 전달시키는 흡수심(60)과, 상기 심지(50)를 저장용기(30)의 개구부에 고정시키는 팩킹(70)을 갖는다. 이때, 팩킹(70)은 심지(50)를 저장용기(30)의 개구부에 고정시키면서 저장용기(3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팩킹(70)은 저장용기(30)의 개구부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71)과, 저장용기(30)의 개구부 벽면에 밀착되는 상부벽체(72)와, 심지(50)의 하부가 끼움 고정되는 하부벽체(73)와, 상기 상부벽체(72)와 하부벽체(73)를 이격시키는 이격부(74)와, 상기 하부벽체(73)의 하단에 절곡 형성된 흡수심 가이드부(75)로 구성되며, 상기 이격부(74)에는 저장용기(3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부압홀(A)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심지(50)는 미세한 섬유(FIBER)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이는 원통체 및 다면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방향제 휘산기는 유통시 또는 보관 중에, 즉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방향제(40)의 휘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시 안정성을 확보를 위한 외캡(10) 및 내캡(20)이 나사구조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제(40)가 자연적으로 휘산될 수 있는 구조, 열에 의해 휘산될 수 있는 구조, 및 팬에 의해 공기 중으로 강제 휘산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방향제 휘산기는 하부벽체(73)의 상부에 심지(5)의 팽창 및 휘어짐을 방지하는 심지 가이드부(7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심지 가이드부(78)는 하부벽체(73)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지 가이드부(78)는 심지(50)를 감싸 안아 심지(50)의 팽창 및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본 고안에 포함되며, 그의 횡단면은 심지(50)의 횡단면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통체,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통망체가 될 수 있다. 이때, 심지 가이드부(78)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원통망체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심지 가이드부(78)의 상부 말단이 심지(50)의 상부 말단과 거의 일치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심지 가이드부(78)에 의해 심지(50)가 팽창되거나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부압홀(A)이 막히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3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이 일정하게 조절되어 휘산 불량이 없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30)는 성형 특성상 볼록한 바닥부(31)를 가질 수 있는 데, 이때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흡수심(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말단이 저장용기(30)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심(60)은 유동성이 없도록 실 형태나 섬유 집합체보다는 플라스틱재로서 모세관 튜브 형태가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서 흡수심(60)이 용기(30)의 하단 모서리 쪽에 치우쳐 위치되는 경우 용기(30) 바닥의 모서리에 존재하는 방향제(40)가 모두 흡수되어 잔량이 남지 않는다. 이때, 흡수심 가이드부(75)에는 흡수심(60)이 저장용기(30)의 내부 모서리 쪽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는 편심수단을 갖는다. 이 편심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첫째, 흡수심 가이드부(75)의 중심이 심지(50)의 중심과 불일치되게 구성된다. 즉, 흡수심(60)을 심지(50)의 중심에 결합시키되, 흡수심 가이드부(75)의 중심은 심지(50)의 중심과 불일치되게 한쪽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흡수심(60)은 한쪽으로 꺾어져 그 말단은 저장용기(30)의 모서리 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둘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심 가이드부(75)의 내부 벽면이 테이퍼(taper)지게 구성된다. 즉, 흡수심 가이드부(75)의 내부 벽면을 하향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한 상태에서 흡수심(60)을 심지(50)의 중심에 결합시키고 흡수심 가이드부(75)의 중심을 심지(5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흡수심(60)은 테이퍼진 내부 벽면에 의해 꺾어져 그 말단은 저장용기(30)의 모서리 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셋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심 가이드부(75)의 말단에 편심돌기(75a)를 형성한다. 즉, 흡수심 가이드부(75)로부터 수평적으로 연장된 편심돌기(75a)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흡수심(60)을 심지(50)의 중심에 결합시키고 흡수심 가이드부(75)의 중심을 심지(5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흡수심(60)은 편심돌기(75a)에 의해 꺾어져 그 말단은 저장용기(30)의 모서리 쪽에 위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흡수심(60)의 말단이 저장용기(30)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되면, 저장용기(30)가 볼록한 바닥부(31)를 가질 경우에도 방향제(40)는 모두 흡수되어 내부에는 잔량이 남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심지 가이드부(78)에 의해 심지(50)의 팽창 및 휨이 방지되어 부압홀(A)이 막히지 않아 휘산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흡수심(60)의 말단이 저장용기(30)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되어 저장용기(30)의 내부에 잔량이 남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향제 휘산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휘산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보인 팩킹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팩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캡 20 : 내캡
30 : 저장용기 31 : 저장용기 바닥부
40 : 방향제 50 : 심지
60 : 흡수심 70 : 팩킹
71 : 걸림턱 72 : 상부벽체
73 : 하부벽체 74 : 이격부
75 : 흡수심 가이드부 75a : 편심돌기
78 : 심지 가이드부 A : 팩킹의 부압홀

Claims (6)

  1. 액상의 방향제(40)가 수용된 저장용기(30)와;
    상기 저장용기(30)에 수용된 방향제(40)를 휘산시키는 심지(50)와;
    상기 심지(50)의 하부에 결합되고 방향제(40)를 흡수하여 심지(50)로 전달시키는 흡수심(60)과;
    상기 저장용기(30)의 개구부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71)과, 저장용기(30)의 개구부 벽면에 밀착되는 상부벽체(72)와, 심지(50)의 하부가 끼워지는 하부벽체(73)와, 상기 상부벽체(72)와 하부벽체(73)를 이격시키는 이격부(74)와, 상기 하부벽체(73)의 하단에 절곡 형성된 흡수심 가이드부(75)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부(74)에 부압홀(A)이 형성된 팩킹(70);을 가지는 방향제 휘산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체(73)의 상부에 심지(50)의 팽창 및 휘어짐을 방지하는 심지 가이드부(7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휘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 가이드부(78)는 하부벽체(73)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휘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 가이드부(78)는 원통체 또는 원통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휘산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심(60)은 그 말단이 저장용기(30)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휘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심 가이드부(75)는 흡수심(60)의 말단이 저장용기(30)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되도록 그 내부 벽면이 테이퍼(taper)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휘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심 가이드부(75)는 흡수심(60)의 말단이 저장용기(30)의 내부 하단 모서리에 위치되도록 그 말단에 편심돌기(7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휘산기.
KR20-2005-0000262U 2005-01-05 2005-01-05 방향제 휘산기 KR200380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62U KR200380239Y1 (ko) 2005-01-05 2005-01-05 방향제 휘산기
CNB2005100645159A CN100406067C (zh) 2005-01-05 2005-04-11 芳香剂挥发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62U KR200380239Y1 (ko) 2005-01-05 2005-01-05 방향제 휘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239Y1 true KR200380239Y1 (ko) 2005-03-29

Family

ID=4368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262U KR200380239Y1 (ko) 2005-01-05 2005-01-05 방향제 휘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2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04B1 (ko) * 2019-04-04 2019-11-25 주식회사 다루 전자모기향을 위한 약액 저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04B1 (ko) * 2019-04-04 2019-11-25 주식회사 다루 전자모기향을 위한 약액 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5555A (en) 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6708897B1 (en) Unit for the transfer and distribution of a liqu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5505165A (ja) 蒸気放出装置
ES2327867T3 (es) Aparato para la difusion de un liquido volatil.
US20090101730A1 (en) Vented Dispensing Bottle/Cap Assembly
JPS6190666A (ja) 揮発性液体を拡散せる装置
JP6242216B2 (ja) 中栓、吸い上げ式液体容器
ES2376008T3 (es) Mecha de desplazamiento neutro.
KR200380239Y1 (ko) 방향제 휘산기
KR200380241Y1 (ko) 방향제 휘산기
US20040067172A1 (en) Air freshener device with child resistant features
KR20150100918A (ko) 횡력을 이용한 휘발물질 저장조의 작동
JP4221738B2 (ja) 液体収納容器
US5299736A (en) Air freshener device with a ceramic container and an absorbent pad
JPH10245086A (ja) 液体容器
WO2021261335A1 (ja) 薬液揮散器
JP5194206B2 (ja) 揮発性剤の揮散具
US20070057087A1 (en) Cap for a container containing a volatile air treatment agent
JP5078943B2 (ja) 芳香剤容器
KR200296945Y1 (ko) 방향제 휘산기
JPS6019714Y2 (ja) 芳香防臭器
JP4252119B2 (ja) 揮散装置
JP3079331U (ja) 揮散性液剤徐放器
JP3535348B2 (ja) 液状芳香剤容器
JPH0734838U (ja) 揮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