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963Y1 -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 Google Patents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963Y1
KR200379963Y1 KR20-2004-0036193U KR20040036193U KR200379963Y1 KR 200379963 Y1 KR200379963 Y1 KR 200379963Y1 KR 20040036193 U KR20040036193 U KR 20040036193U KR 200379963 Y1 KR200379963 Y1 KR 200379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inclined surface
block
shaped blo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태
Original Assignee
홍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태 filed Critical 홍현태
Priority to KR20-2004-0036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십자형블록을 경량의 재생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제품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경사면에 설치/고정이 편리하여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에 관한 것으로,
즉, 절개지의 경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에 서로 맞대어 연속 반복되게 설치하는 십자형블록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블록은 중앙부에 상/하로 개구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십자형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락볼트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십자형블록의 내측에는 상기 십자형블록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와이어가 삽입/관통되는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과 높이를 달리하되, 수평방향으로 수직 교차되어 와이어가 삽입/관통되는 제2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제1,2 관통공에 삽입/관통된 와이어의 양측에는 하부가 경사면에 매설되어 상기 십자형블록을 경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락볼트가 각각 체결되어 있다.

Description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A cross block for breakdown preventing of slope surface}
본 고안은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면에 설치되는 십자형블록을 경량의 재생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제품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경사면에 설치/고정이 편리하여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 간접 자본인 도로, 항만, 택지 및 공단조성과 하천공사, 철도공사등에 있어서 자연상태의 토지나 산등을 인위적으로 훼손 및 변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절개지 또는 성토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개지 또는 성토면을 그대로 방치하게 될 경우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폭우 및 계속되는 침하작용으로 인하여 붕괴사고 및 이에 따른 각종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경사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천공을 형성한 후, 상기 천공의 위치에 락볼트를 이용하여 중량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십자형블록을 경사면에 안착시켜 경사면의 지반을 안정화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십자형블록을 이용한 경사면 붕괴 방지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십자형블록은 그 무게가 4톤이 넘는 중량물로써 이와 같은 중량의 십자형블록을 경사면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경사면에 20m 이상의 깊이를 갖는 천공을 형성한 후, 락볼트로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굴착과정에서 시공비용이 상승되며, 또한 상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십자형블록을 시공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대형 트럭을 이용하여 운반하게 되는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십자형블록은 중량물이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양을 운송할 수 없어 수회 반복적으로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추가 운송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십자형블록은 중량물이기 때문에 이동 및 시공도중 작업자의 부주위로 인해 십자형블록에 신체부위가 낌으로써, 이에 따른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십자형블록을 경사면에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가 중량물이기 때문에 경사면이 그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경사면에 시공되는 십자형블록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십자형블록을 경량의 재생플라스틱 으로 제작하여 제품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경사면에 설치/고정이 편리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과정에서 제품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도중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십자형블록에 사용되는 착색제의 종류에 따라 십자형블록을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경사면의 경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십자형블록의 무게가 경량이기 때문에 공사현장으로 운송시 한번에 대량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을 제공한다.
즉, 절개지의 경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에 서로 맞대어 연속 반복되게 설치하는 십자형블록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블록은 중앙부에 상/하로 개구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경사면으로 부터 상기 십자형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락볼트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십자형블록의 내측에는 상기 십자형블록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와이어가 삽입/관통되는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과 높이를 달리하되, 수평방향으로 수직 교차되어 와이어가 삽입/관통되는 제2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제1,2 관통공에 삽입/관통된 와이어의 양측에는 하부가 경사면에 매설되어 상기 십자형블록을 경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락볼트가 각각 체결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의 연결관계를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십자형블록(10)은 그 중앙부에 상/하로 개구된 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1)에는 제1 락볼트(21)가 삽입/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십자형블록(10)은 상기 제1 락볼트(21)에 의해 경사면(S)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십자형블록(10)은 제작과정에서 사용되는 착색제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갖으며, 상기 제1 락볼트(21)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락볼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 형태는 제작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십자형블록(10)의 내측에는 십자형블록(1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양측이 개구된 제1 관통공(13)과, 상기 제1 관통공(13)과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제1 관통공(13)과 수평방향으로 수직 교차되는 제2 관통공(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 관통공(13,15)에는 와이어(W)가 삽입/관통된다.
또한, 경사면(S)에 연속 반복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십자형블록()의 각 제1,2 관통공(13,15)을 관통한 와이어(W)의 양단에는 제2 락볼트(31)가 체결된다.
상기 제2 락볼트(31)는 그 상부에 인장콘(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장콘(32)은 그 양측이 개구되어 있되, 그 양측의 지름이 내측으로 갈수록 와이어(W)의 지름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작아지는 연통공(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장콘(32)의 연통공(33)에는 상기 제1,2 관통공(13,15)을 관통한 와이어(W)가 관통되는 고정구(35)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이때, 상기 제2 락볼트(31)는 하부가 경사면(S)에 매설되어 상기 십자형블록(10)을 경사면(S)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각 십자형블록(10)이 접하는 내측 즉, 서로 접하는 4개의 십자형 블록(10) 내측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식생공간(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성관계를 갖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시공순서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십자형블록(10)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 다수개의 천공을 굴삭하는 경사면 천공단계;
이후, 상기 천공의 위치에 십자형블록(10)을 위치시킨 후 제1 락볼트(21)를 이용하여 십자형블록(10)을 고정하는 1차 십자형블록의 고정단계;
이후, 상기 십자형블록(10)에 형성된 제1,2 관통공(13,15)에 와이어(W)를 삽입/관통시켜 경사면(S)에 설치된 다수개의 십자형블록(10)을 연결시킨 후, 그 양단 즉, 다수개의 십자형 블록(10)이 설치된 경계의 와이어(W)단부에 제2 락볼트(31)를 체결하는 2차 십자형블록의 고정단계;
이후, 상기 각 십자형블록(10)을 통해 형성된 식생공간(40)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결합관계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소정각도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S)에 격자배열을 갖는 다수개의 천공(미도시)을 굴삭한 후, 상기 천공의 위치에 십자형블록(10)들을 서로 맞대어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각 십자형블록(10)을 제1 락볼트(21)를 이용하여 경사면(S)에 1차 고정시킨 후 상기 십자형블록(10)들의 각 제1,2 관통공(13,15)을 삽입/관통한 와이어(W)의 양단에 제2 락볼트(31)가 체결된다. 즉, 서로 연속 반복되게 맞대어 설치된 십자형블록(10)들은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W)의 양단에 제2 락볼트(31)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먼저 각 제2 락볼트(31)를 경사면에 설치/고정시킨 다음 일단의 와이어(W)에 상기 인장콘(32)의 연통공(33)과 고정구(35)를 삽입/관통시킨 후 고정구(35)를 가압하여 고정구(35)의 외형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구(35)가 연통공(33)에 걸림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이후, 타단의 와이어(W)를 당긴 상태에서 와이어(W)의 타단에 인장콘(32)의 연통공(33)과 고정구(35)를 삽입/관통시킨 후 고정구(35)를 가압하여 고정구(35)의 외형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각 고정구(35)가 경사면(S)에 설치된 다수개의 십자형블록(10)을 사이에 두고 연통공(33)에 걸림을 이룸으로써, 십자형블록(10)을 경사면에 고정시키다.
이와 같이 설치된 십자형블록(10)에 의해 형성된 식생공간(40)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경사면의 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경사면을 안정되게하고, 또한,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치된 십자형블록을 경량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시공함으로써, 이에 따른 공사비용의 절감 및 제품의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은 그 소재를 경량의 재생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제품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설치/고정이 편리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과정에서 제품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운반도중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십자형블록에 사용되는 착색제의 종류에 따라 십자형블록을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경사면의 경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십자형블록의 무게가 경량이기 때문에 공사현장으로 운송시 한번에 대량운송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십자형블록을 1,2 차에 걸쳐 경사면에 고정하기 때문에 경사면에 대해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의 연결관계를 타나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십자형블록 11 : 통공
21 : 제1 락볼트 31 : 제2 락볼트
32 : 인장콘 35 : 고정구
40 : 식생공간
W : 와이어 S : 경사면

Claims (2)

  1. 절개지의 경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에 서로 맞대어 연속 반복되게 설치하는 십자형블록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블록(10)은 중앙부에 상/하로 개구된 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1)에는 경사면(S)으로 부터 상기 십자형블록(10)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락볼트(21)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십자형블록(10)의 내측에는 상기 십자형블록(1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와이어(W)가 삽입/관통되는 제1 관통공(13)과, 상기 제1 관통공(13)과 높이를 달리하되, 수평방향으로 수직 교차되어 와이어(W)가 삽입/관통되는 제2 관통공(1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제1,2 관통공(13,15)에 삽입/관통된 와이어(W)의 양측에는 하부가 경사면(S)에 매설되어 상기 십자형블록(10)을 경사면(S)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락볼트(31)가 각각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블록(10)은 재생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KR20-2004-0036193U 2004-12-21 2004-12-21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KR200379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93U KR200379963Y1 (ko) 2004-12-21 2004-12-21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93U KR200379963Y1 (ko) 2004-12-21 2004-12-21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963Y1 true KR200379963Y1 (ko) 2005-03-25

Family

ID=4368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193U KR200379963Y1 (ko) 2004-12-21 2004-12-21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9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35B1 (ko) * 2010-06-29 2013-01-22 (주)유화건설 사면안정보호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생 조성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35B1 (ko) * 2010-06-29 2013-01-22 (주)유화건설 사면안정보호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생 조성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15202A1 (en) Modular decking tile
WO2004033843A3 (en) Subterranea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subterranean structures
KR200379963Y1 (ko)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
KR102280605B1 (ko) 다확공 비트를 이용한 다목적 법면보호용 고정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JP2003119787A (ja) 構造物の緑化構造
KR101489443B1 (ko)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US5077944A (en) Curbstone
KR20170102617A (ko) 사면보강공법 및 사면보강장치
JP2007255162A (ja) 仕切り壁用基礎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ブロックユニット
KR200197317Y1 (ko) 낙석방지용 그물망 고정부재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200482742Y1 (ko) 옹벽용 블록
JP4749627B2 (ja) 法枠
WO2014164537A1 (en) Custom lightweight wall or fence
KR200379964Y1 (ko) 절개지 조경용 격자패널
KR101164185B1 (ko) 다중 고정식 앵커블록
JP2005213735A (ja) 法面における階段ブロックの施工方法および法面における一体式階段ブロック
KR200277425Y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클립
KR100537957B1 (ko) 건축단지내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102124342B1 (ko) 식생이 가능한 절토부 조립형 중력식 녹식생 판넬
KR200183310Y1 (ko) 경사면 보호 앵카 벨트
JP2005139787A (ja) 安全器材
KR100626325B1 (ko) 콘크리트 블록과 이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KR20080112603A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