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667Y1 -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667Y1
KR200379667Y1 KR20-2005-0000541U KR20050000541U KR200379667Y1 KR 200379667 Y1 KR200379667 Y1 KR 200379667Y1 KR 20050000541 U KR20050000541 U KR 20050000541U KR 200379667 Y1 KR200379667 Y1 KR 200379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nipple
fixing
body portion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성
Original Assignee
박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성 filed Critical 박주성
Priority to KR20-2005-0000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우유가 담겨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고정캡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고정공을 통하여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상부로 노출되고 본체부에 담겨진 우유를 수유 할 때에 분출할 수 있는 분출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젖꼭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외주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젖꼭지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우유가 담겨지는 본체부의 상부와 하단부에 유아에 물릴 수 있는 젖꼭지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수유를 마친 젖병을 소독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젖꼭지부에 우유가 나오는 분출구멍을 통하여 우유가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의 통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아가 우유를 흡입할 때 보다 수월하게 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젖병 {a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의 바닥부분에 다른 하나의 젖꼭지부를 마련하여 분유의 수유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이라 함은, 탈지분유(가루우유)를 음용수와 혼배합하여 유아에게 액상의 분유를 먹이기 위한 일종의 용기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그 일반적인 형상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암물질이 포함되지 않고 고열에 변형되거나 녹지 않는 투명재질로서 이루어진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진 주입구에 나사체결되며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캡(12)과, 상기 고정캡(12)의 고정공에 끼워지며 고정캡(12)에 의해 몸체부(10)에 탈부착되며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어진 젖꼭지부(14)와, 상기 젖꼭지부(14)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부(16)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외형은 대개 원통형으로 성형되어지는 것이 보편적인 것이나, 날로 다양해지는 구매자의 취향이나 사용편리성을 고려하여 호리병 타입이나 몸체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공간부를 갖는 곡선 형상으로 다양하게 디자인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젖병은 몸체부(20) 상단의 주입구에 나사 결합되어지는 젖꼭지부(14)를 분리한 후 유아에게 먹일 1회분의 우유와 물을 넣고 잘 흔들어서 주입구에 체결 고정되어진 젖꼭지부(14)를 유아에게 물려 우유를 먹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젖병은 사용자가 유아에게 젖꼭지부(14)를 물려서 수유하게 되면, 때 젖병에 공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유아가 젖꼭지부(14)를 빠는 데에 힘이 들고, 이에 따라 양쪽 볼의 통증이나 귀이염이 발생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아에게 우유를 다시 수유하려면 젖병 즉, 젖꼭지부(14)를 자주 소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젖병의 바닥에 또 하나의 젖꼭지부를 탈부착하여 공기가 잘 통하게 하여 우유의 수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젖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우유가 담겨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고정캡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고정공을 통하여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상부로 노출되고 본체부에 담겨진 우유를 수유할때에 분출할 수 있는 분출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젖꼭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외주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젖꼭지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결합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2의 번호 50은, 젖병의 본체부(50)를 보인 것으로, 이 본체부(5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것으로, 그 내부는 유아에게 수유될 우유가 담겨질수 있도록 발암물질이 포함되지 않고 고열에 변형되거나 녹지 않는 투명재질로 만들어 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50)의 상단과 하단에는 중앙에 고정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캡(52)(52')이 분리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제1 및 제2고정캡(52)(52')의 고정공에는 제1 및 제2젖꼭지부(54)(54')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분리 가능하게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젖꼭지부(54)(54')에는 유아가 본체부(50) 내의 우유를 빨아 먹이 위한 아주 작은 분출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출구멍은 우유를 수유할 때 분출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제1 및 제2젖꼭지부(54)(54') 중 어느 하나를 유아에게 물리고 수유할 때 다른 하나의 젖꼭지부의 분출구멍은 본체부(50) 내에서 우유가 외부로 잘 배출시키기 위한 통공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52)(52')의 외주에는 제1 및 제2젖꼭지부(54)(54')를 완전히 덮고, 개방할 수 있는 제1 및 제2마개부(56)(56')가 각각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젖병은 제2 젖꼭지부(5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50)의 하부에 끼워지는 제2마개부(56), 제2고정캡(52'), 제2젖꼭지부(54')를 분해한 다음, 제2젖꼭지부(54')를 뒤집어서 몸체부(50)의 하단에 개방된 부분에 끼워넣은 후에, 제2고정캡(52')을 몸체부(50)의 하단에 결합하고, 제2마개부(56')를 덮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에서 유아에게 우유를 수유하려면, 본체부(50)의 상부에 마련된 제1마개부(56)와, 제1젖꼭지부(54)가 끼워진 제1고정캡(52)을 열고 본체부(50) 내로 우유를 넣은 후에 제1젖꼭지부(54)가 끼워진 제1고정캡(52)을 본체부(50)의 상부에 고정한 후에 제1젖꼭지부(54)를 유아에 물리고, 본체부(50)의 하부에 있는 제2마개부(56')를 열고 제2젖꼭지부(54')가 노출된 상태에서 수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아에게 우유를 수유하고, 제1젖꼭지부(54)가 소독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하게 다시 우유를 본체부(50)에 넣고 우유를 수유할 때에는, 제2젖꼭지부(54')를 우유에 물려서 우유를 수유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우유가 담겨지는 본체부의 상부와 하단부에 유아에 물릴 수 있는 젖꼭지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수유를 마친 젖병을 소독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젖꼭지부에 우유가 나오는 분출구멍을 통하여 우유가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의 통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아가 우유를 빨때에 보다 수월하게 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젖병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을 보인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본체부 52,52': 제1 및 제2고정캡
54,54' : 제1 및 제2젖꼭지부
56,56': 제1 및 제2마개부

Claims (1)

  1.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우유가 담겨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고정캡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고정공을 통하여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상부로 노출되고 본체부에 담겨진 우유를 수유할때에 분출할 수 있는 분출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젖꼭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캡의 외주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젖꼭지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KR20-2005-0000541U 2005-01-07 2005-01-07 젖병 KR200379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41U KR200379667Y1 (ko) 2005-01-07 2005-01-07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41U KR200379667Y1 (ko) 2005-01-07 2005-01-07 젖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350A Division KR20060081381A (ko) 2006-03-14 2006-03-14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667Y1 true KR200379667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541U KR200379667Y1 (ko) 2005-01-07 2005-01-07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6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904B2 (en) Feeding kit
US5244122A (en) Medicine dispensing baby bottle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8113364B1 (en) Nursing bottle ensemble
US20110046671A1 (en) Adjustable flow infant pacifier
US9770394B1 (en) Baby feeding pacifier with enclosed edible product
JP2002506687A (ja) おしゃぶり用乳首
KR101894739B1 (ko) 젖병
KR101624291B1 (ko) 일회용 젖병 키트
US20020139767A1 (en) Sipping lid for baby bottles
US20060155331A1 (en) Pacifier for administering flavour substances
ES2325231T3 (es) Envase desechable para bebidas.
KR200379667Y1 (ko) 젖병
KR20060081381A (ko) 젖병
US20110139740A1 (en) Feeding bottles
US20190117518A1 (en) Air-free, flow-control feeding bottle
KR19990021881U (ko) 젖병
KR200257562Y1 (ko) 가요성 젖병
KR200382961Y1 (ko) 스푼형 실리콘 유아젖병
KR101524413B1 (ko) 젖병
JP4220163B2 (ja) 飲料パック用吸引具
KR200221842Y1 (ko) 유아용 구강주입기
KR200484185Y1 (ko) 젖병
KR20180105856A (ko)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KR100623902B1 (ko) 약 먹이는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