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666Y1 - 다단적재형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단적재형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666Y1
KR200379666Y1 KR20-2005-0000533U KR20050000533U KR200379666Y1 KR 200379666 Y1 KR200379666 Y1 KR 200379666Y1 KR 20050000533 U KR20050000533 U KR 20050000533U KR 200379666 Y1 KR200379666 Y1 KR 200379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rticle
support
crad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스
Priority to KR20-2005-0000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ttachment of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 대상물의 두께나 사이즈 등에 따라 재조립하거나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물품 거치 작업은 물론 물품 점검 작업시에 초래될 수 있는 불편 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콤팩트하게 해체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다단적재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개의 지지발(22)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서로 나란하게 직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포스트(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포스트(20)의 지지발(22) 사이에 물품(5)을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된 거치대에 있어서, 그 상하측 중에서 어느 일측에 돌부(32)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삽입홈(34)이 마련된 다수개의 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블록(30)을 상기 삽입홈(34)과 돌부(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포스트(20)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재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단적재형 거치대{Hanger of multiple pile type}
본 고안은 다단적재형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대상물의 두께나 사이즈 등에 따라 재조립하거나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물품 거치 작업은 물론 물품 점검 작업시에 초래될 수 있는 불편 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콤팩트하게 해체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다단적재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이나 평판형 케이스와 같은 물품은 제조 공정중에 거치대에 수평 방향으로 거치되어 점검 작업을 거치게 된다. 여기에 이용되는 거치대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발이 형성되어 전후좌우 사방으로 설치되는 지지포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포스트의 서로 마주보는 지지발 사이에 회로기판 등의 물품을 다단으로 적재하여 점검 작업 등을 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거치대는 작업대 등에 고정된 고정형이라서, 두께가 다른 물품을 적재해야 하는 경우에도 각 지지포스트의 지지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음은 물론 거치되는 물품의 사이즈 등에 따라 재구성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다른 규격의 물품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거치대를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나 비용 등의 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거치대는 작업대 등에 고정되어 있어서, 물품을 지지포스트의 측방에서 지지포스트의 지지발에 맞추어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물품을 거치할 때에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물품을 삽입하여 끼운 후에도 각 지지발과 물품의 두께가 맞지 않아서 헐렁하게 되면, 물품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물품이 밀려나는 등의 요동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점검 작업시에도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거치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소정의 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작업 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작업 대상물의 두께나 사이즈 등에 따라 재조립하거나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면서도 모든 물품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나 비용면 등에서 유리하며, 물품 거치 작업은 물론 물품 점검 작업시에 초래될 수 있는 불편 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콤팩트하게 해체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다단적재형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개의 지지발(22)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서로 나란하게 직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포스트(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포스트(20)의 지지발(22) 사이에 물품(5)을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된 거치대에 있어서, 그 상하측 중에서 어느 일측에 돌부(32)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삽입홈(34)이 마련된 다수개의 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블록(30)을 상기 삽입홈(34)과 돌부(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포스트(20)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재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삽입홈(34)와 연통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1)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31)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방홈(4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방홈(40)에는 걸림턱(43)가 마련되고, 상기 블록(30)은 별도의 베이스판(50)의 상면에 다단 적재되어 설치되고, 상기 블록(30)이 적층되는 상기 베이스판(50)에는 탄성와이어(60)가 설치되고, 이 탄성와이어(60)에는 다수개의 걸림부재(65)가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적층된 블록(30)의 관통공(31) 통과시켜 상기 탄성와이어(60)를 당겨서 상기 걸림부재(65)를 상기 측방홈(40)의 걸림턱(43)에 걸어줌으로써, 다단 적재된 상기 블록(30)의 결합력을 상기 탄성와이어(60)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재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30)의 지지발(22) 상면에는 오목홈(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재형 거치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을을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 일측에 수평 방향의 지지발(22)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포스트(20)가 작업대 등에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직립 배치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포스트(20)는 다수개의 블록(30)이 다단으로 적재되어 구성된다.
상기 블록(30)은 대략 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일측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발(22)이 서로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30)의 하측에는 삽입홈(34)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34)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30)의 상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돌부(32)가 형성된다. 이 돌부(3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블록(30)의 지지발(22)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측 블록(30)의 돌부(32)에 상측 블록(30)의 삽입홈(34)을 끼워 상하측으로 적층하여, 작업대 등에 전후좌우 사방으로 배치함으로써 다수개의 지지포스트(20)를 사각 형태로 형성한 다음, 상기 블록(30)의 서로 마주보는 지지발(22) 사이에 회로기판이나 평판형 케이스와 같은 물품(5)을 거치하여 점검 작업과 같은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30) 중에서 어느 한 부분의 블록(30)의 지지발(22)이 물품(5)이 걸리지 않는 영역에 위치되도록 해당 블록(30)을 돌려서 적층함으로써, 두께가 더 두꺼운 물품(5)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각 블록(30)을 한 층씩 결합해 가면서 블록(30)의 상측에서 물품(5)을 거치하면 되므로, 물품의 거치가 편리하고, 각 블록(30)의 결합 깊이를 물품(5)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한 경우 각 블록(30)의 지지발(22)이 물품(5)에 걸리지 않는 방향으로 돌려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품(5)의 두께와 거의 무관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블록(30)을 한 층씩 적재하면서 물품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블록(30)의 지지발(22)의 형상을 사각형 물품(5)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하여, 상기 지지발(22)에 의해 물품(5)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여 물품(5)을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5)을 거치한 다음, 물품(5)의 수평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물품(5)이 요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록(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삽입홈(34)와 연통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1)의 일측에는 측방홈(40)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측방홈(40)은 상기 관통공(31)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방홈(40)에는 걸림턱(43)이 블록(3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30)은 별도의 베이스판(50) 위에 적층되고, 상기 베이스판(50)은 블록(30)이 적층되는 위치에 고무줄과 같은 신축 가능한 탄성와이어(60)가 설치되고, 이 탄성와이어(60)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부재(65)가 설치된다. 이 걸림부재(65)는 짧은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적층된 블록(30)의 삽입홈(34)과 관통공(31)을 통해 상기 탄성와이어(60)를 상측으로 당겨서 각 블록(30)의 측방홈(40)으로 탄성와이어(60)의 걸림부재(65)를 끼워서 상기 측방홈(40)의 걸림턱(43)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탄성와이어(60)의 탄성력에 의해 다단 적재된 블록(30)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65)는 탄성와이어(36)를 묶어서 매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상기 블록(30)의 걸림턱(43)에 걸려질 수 있는 형태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각 블록(30)을 한 층씩 결합해 가면서 블록(30)의 상측에서 물품(5)을 거치할 수도 있는데, 각 블록(30)의 결합 깊이를 물품(5)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와아어(36)의 탄성력에 의해 각 블록(30)의 결합력이 유지되므로, 각 블록(30)에 적재된 물품(5)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30)의 지지발(22) 상면에는 오목홈(24)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회로기판과 같은 물품(5)의 하측에 돌기(6)가 형성된 경우, 이 물품(5)의 돌기(6)를 상기 지지발(22)의 오목홈(24)에 끼워서 물품(5)을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지지포스트가 다수개의 블록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처리하고자 하는 물품의 두께에 따라 어느 한 부분의 블록의 지지발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블록 중의 일부를 돌려서 끼우거나 작업 물품의 사이즈 등에 따라 블록을 재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매우 편리하면서도 모든 작업 물품에 맞추어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블록을 해체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보관할 수 있어서, 작업대 등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작업 공간의 활용도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이 적층되는 베이스판에는 블록을 관통하는 탄성와이어가 설치되고, 이 탄성와이어에는 다수개의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의 상면에는 상하단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측방홈이 연통 형성되고, 상기 측방홈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와이어의 걸림부재를 상기 블록의 측방홈에 끼워서 걸림턱에 걸어줌으로써, 적재된 블록의 결합력을 탄성와이어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적재된 각 블록의 결합력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탄성와이어를 당겨서 블록에 걸어주기만 하면 되므로, 적재된 블록의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한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의 지지발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물품의 하측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 이 물품의 돌기를 상기 지지발의 오목홈에 끼워서 물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블록을 한 층씩 결합해 가면서 블록의 상측에서 물품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거치가 편리하고, 각 블록의 결합 깊이를 물품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한 경우 각 블록의 지지발이 물품에 걸리지 않는 방향으로 돌려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두께와 거의 무관하게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블록의 지지발의 형상을 물품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하여, 블록의 지지발에 거치되는 물품의 모서리를 상기 지지발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을 거치한 다음, 물품의 수평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물품이 요동되지 않기 때문에, 물품의 점검 작업시에 초래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지지포스트 22. 지지발
30. 블록 32. 돌부
34. 삽입홈

Claims (3)

  1. 다수개의 지지발(22)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서로 나란하게 직립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포스트(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포스트(20)의 지지발(22) 사이에 물품(5)을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된 거치대에 있어서, 그 상하측 중에서 어느 일측에 돌부(32)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삽입홈(34)이 마련된 다수개의 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블록(30)을 상기 삽입홈(34)과 돌부(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포스트(20)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재형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삽입홈(34)과 연통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1)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31)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방홈(4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방홈(40)에는 걸림턱(43)가 마련되고, 상기 블록(30)은 별도의 베이스판(50)의 상면에 다단 적재되어 설치되고, 상기 블록(30)이 적층되는 상기 베이스판(50)에는 탄성와이어(60)가 설치되고, 이 탄성와이어(60)에는 다수개의 걸림부재(65)가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적층된 블록(30)의 관통공(31) 통과시켜 상기 탄성와이어(60)를 당겨서 상기 걸림부재(65)를 상기 측방홈(40)의 걸림턱(43)에 걸어줌으로써, 다단 적재된 상기 블록(30)의 결합력을 상기 탄성와이어(60)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재형 거치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30)의 지지발(22) 상면에는 오목홈(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재형 거치대.
KR20-2005-0000533U 2005-01-07 2005-01-07 다단적재형 거치대 KR200379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33U KR200379666Y1 (ko) 2005-01-07 2005-01-07 다단적재형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33U KR200379666Y1 (ko) 2005-01-07 2005-01-07 다단적재형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666Y1 true KR200379666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533U KR200379666Y1 (ko) 2005-01-07 2005-01-07 다단적재형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6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124B2 (en) Tool rack set fastener
TWI538639B (zh) 組合式架體
KR200379666Y1 (ko) 다단적재형 거치대
JP2013031547A (ja) 収納箱兼用折り畳み陳列台及びその使用方法
CN108125422B (zh) 置物架及储藏柜用置物架
KR101379685B1 (ko) 다용도 선반
KR100431249B1 (ko) 확장성을 갖는 식기건조대 겸용 봉선반
JP3141972U (ja) ラック装着具
JP4918837B2 (ja) 壁面構造体
JP2002095531A (ja) 家 具
KR100890556B1 (ko) 책받침 겸용 보강구조를 갖는 복식서가
TWI701007B (zh) 利用重心偏移而產生傾斜作用力來達到平衡穩固的置物架
JP3198175U (ja) 収納棚および収納システム
US20090045196A1 (en) Apparatus for holding stacked trays
JP2018051046A (ja) 物品収納庫用棚板
CN216769890U (zh) 一种冷柜网架的固定卡扣
JP7348669B2 (ja) 組み合わせ収納ボックス
KR20240000474U (ko) 가전제품용 선반
CN213503424U (zh) 一种纸张转运栈板
KR20180000327U (ko) 끼움식 선반
JP2005112536A (ja) 物品棚及び物品保管庫
EP1369057A1 (en) Combination frame structure for furniture
KR100602830B1 (ko) 꽃받침대와 꽃바구니의 결합구조
KR200331489Y1 (ko) 다단 확장 테이블
JP2003289953A (ja) 棚および棚受用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