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348Y1 - H형 월류관 - Google Patents

H형 월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348Y1
KR200379348Y1 KR20-2004-0032615U KR20040032615U KR200379348Y1 KR 200379348 Y1 KR200379348 Y1 KR 200379348Y1 KR 20040032615 U KR20040032615 U KR 20040032615U KR 200379348 Y1 KR200379348 Y1 KR 200379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ank
outflow
treated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교술
Original Assignee
화성산업주식회사
주식회사 기술신환경
이교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성산업주식회사, 주식회사 기술신환경, 이교술 filed Critical 화성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2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8Overflow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하수 및 폐수시설 중 유입조에서부터 방류조까지 수로에 대하여 기존 수류의 월류를 개선한 것으로, 자연 월류방식으로 하여 수류 이동의 체류시간 연장효과와 수류이동시 부상 슬러지를 완벽히 차단하여 후단에 설치된 기계장치의 보호와 물의 흐름의 방해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H형 월류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H형 월류관 {H type overflow pipe}
본 고안은 오·하수 및 폐수시설에 설치되는 월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형 구조로 이루어져 부상 슬러지의 차단과 체류시간 연장에 효과적인 H형 월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하수 및 폐수시설에는 유입조, 유량조, 폭기조, 침전조, 방류조 등 다수의 수조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각 수조간 처리수의 이동은 각 수조의 벽 상부에 설치되는 월류관을 통하여 자연 월류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월류관은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각 수조에 부상하는 슬러지가 그대로 다음 수조로 넘어가서 후공정에 무리를 주거나 후단에 설치된 기계장치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또한 이 부상 슬러지에 의해 월류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수류 이동의 체류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오·하수 및 폐수처리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상 슬러지의 차단과 체류시간 연장에 효과적인 H형 월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입조, 유량조, 폭기조, 침전조, 방류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수조를 구비하는 오·하수 및 폐수시설에서 각 수조의 벽 상부에 설치되어 처리수를 다음 수조로 자연 월류시키는 월류관에 있어서,
수조벽을 향해 "ㅏ"의 형태로 설치되고 처리수가 하부관으로 유입되어 중앙관으로 유출되는 인입T관; 수조벽을 향해 "ㅓ"의 형태로 설치되고 처리수가 중앙관으로 유입되어 하부관으로 유출되는 유출T관; 상기 인입T관과 유출T관을 연결하는 T연결관; 및 상기 유출T관에 연결되어 유출T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를 다음 수조로 유출시키는 유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인입T관, T연결관 및 유출T관이 상호 연결되어 "H"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 월류관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H형 월류관의 설치도로서, 각 수조(10, 20 ,30)간 처리수의 이동은 각 수조벽(11, 21)의 상부에 설치되는 H형 월류관(40)을 통하여 자연 월류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처리수의 수류흐름은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와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H형 월류관(40)의 부품도로서, 본 고안의 H형 월류관(40)은 수조벽(11, 21)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인입T관(41)과 유출T관(43),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T연결관(42), 그리고 유출T관(43)에 연결되는 유출관(44)을 구비하며, 상기 인입T관(41), T연결관(42) 및 유출T관(43)이 상호 연결되어 "H"형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조(10)와 제2수조(20) 사이의 제1수조벽(11)에 설치되는 H형 월류관(40) 및 처리수 이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입T관(41)은 제1수조벽(11)을 향해 "ㅏ"의 형태로 제1수조(10)에 설치되며, 제1수조(10)의 처리수는 인입T관(41)의 하부관으로 유입되어 중앙관으로 유출된다.
상기 유출T관(43)은 제1수조벽(11)을 향해 "ㅓ"의 형태로 제2수조(20)에 설치되며, 제1수조(10)의 처리수는 유출T관(43)의 중앙관으로 유입되어 하부관으로 유출된다.
상기 T연결관(42)은 인입T관(41)과 유출T관(43)을 연결하는 일자형 관으로서, 이 T연결관(42)은 인입T관(41)과 유출T관(43)의 중앙관에 각각 삽입되거나, 반대로 T연결관(42)의 내부로 인입T관(41)과 유출T관(43)의 중앙관을 각각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T연결관(42)에서는 제1수조(10)의 수위보다 대략 10 ㎝ 정도 낮게 유지되면서 처리수가 흐른다.
상기 유출관(44)은 유출T관(43)에 연결되어 유출T관(43)으로부터 유입되는 제1수조(10)의 처리수를 제2수조(20)로 유출시킨다.
제1수조(10)에 부상하는 슬러지는 "ㅏ"의 형태로 배치되는 인입T관(41)의 수직관에 걸려서 완벽히 차단되고, 제1수조의 처리수만이 인입T관(41)의 하부관으로 유입되어 제2수조(20)로 월류되며, 이에 따라 월류관의 막힘을 방지하고 후공정에 설치되는 기계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월류관의 H형 구조로 인하여 물의 흐름이 방해되고, 이에 따라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오·하수 및 폐수처리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H형 월류관은 부상 슬러지를 완벽히 차단하고 처리수만을 다음 수조로 월류시킴으로써, 월류관의 막힘을 방지하고 후공정에 설치되는 기계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월류관의 H형 구조로 인하여 물의 흐름이 방해되어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오·하수 및 폐수처리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H형 월류관의 설치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H형 월류관의 부품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수조 11: 제1수조벽
20: 제2수조 21: 제2수조벽
30: 제3수조 40: H형 월류관
41: 인입T관 42: T연결관
43: 유출T관 44: 유출관

Claims (1)

  1. 유입조, 유량조, 폭기조, 침전조, 방류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수조를 구비하는 오·하수 및 폐수시설에서 각 수조의 벽 상부에 설치되어 처리수를 다음 수조로 자연 월류시키는 월류관에 있어서,
    수조벽을 향해 "ㅏ"의 형태로 설치되고 처리수가 하부관으로 유입되어 중앙관으로 유출되는 인입T관;
    수조벽을 향해 "ㅓ"의 형태로 설치되고 처리수가 중앙관으로 유입되어 하부관으로 유출되는 유출T관;
    상기 인입T관과 유출T관을 연결하는 T연결관; 및
    상기 유출T관에 연결되어 유출T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를 다음 수조로 유출시키는 유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인입T관, T연결관 및 유출T관이 상호 연결되어 "H"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 월류관.
KR20-2004-0032615U 2004-11-18 2004-11-18 H형 월류관 KR200379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615U KR200379348Y1 (ko) 2004-11-18 2004-11-18 H형 월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615U KR200379348Y1 (ko) 2004-11-18 2004-11-18 H형 월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348Y1 true KR200379348Y1 (ko) 2005-03-23

Family

ID=4368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615U KR200379348Y1 (ko) 2004-11-18 2004-11-18 H형 월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3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50B1 (ko) 2011-07-21 2013-09-23 이경섭 비점오염 여과형 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50B1 (ko) 2011-07-21 2013-09-23 이경섭 비점오염 여과형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670B2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KR100924075B1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CN102493545A (zh) 具有混凝沉淀功能的雨污水调蓄池
CN105756180A (zh) 一种带水平格栅拦截装置的截流井
CN106563298A (zh) 一种污水沉淀池
KR101258565B1 (ko)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CN110478977B (zh) 一种螺旋流自排沙式沉沙过滤池
KR102574690B1 (ko) 하수처리 침전조의 스컴 제거시스템
KR200379348Y1 (ko) H형 월류관
RU2338696C2 (ru) Декантерный слив для установок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JP4569870B2 (ja) ポンプ井の異物排出方法並びに異物排出装置
JP5937299B2 (ja) 排水装置用渦流式水面制御装置
KR20060118245A (ko) 하천의 하구 폐쇄방지 방법 및 장치
JP4634492B2 (ja) 地下貯留槽
CN206529744U (zh) 一种沿河v型截污槽
KR200341022Y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JP2006257662A (ja) 排水ドレン設備
CN211912833U (zh) 一种升流式水处理构筑物中除浮泥的出水设备
CN107510963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曝气沉砂池
JP2005314879A (ja) 排水処理設備
KR200308775Y1 (ko) 차수막을 이용한 오염물질 침강장치
CN220580106U (zh) 一种高效防沙防漂浮物的取水装置
CN212016861U (zh) 一种高效易清洗的滤料过滤池
US7160440B2 (en) Storm water separator system
JP5871645B2 (ja) 浄化槽排水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逆流防止ま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