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148Y1 - 용지스택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스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148Y1
KR200379148Y1 KR20-2004-0037724U KR20040037724U KR200379148Y1 KR 200379148 Y1 KR200379148 Y1 KR 200379148Y1 KR 20040037724 U KR20040037724 U KR 20040037724U KR 200379148 Y1 KR200379148 Y1 KR 200379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tack
guide
stack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호
곽재훈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용지스택장치는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스택 지지대, 스택 지지대 상으로 상기 용지를 차례로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 스택 지지대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례로 공급되는 상기 용지의 상면을 눌러서 정리하는 푸쉬 플레이트, 스택 지지대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면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스택 가이드 및 용지 공급부의 출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용지의 진행 방향을 상기 스택 지지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가이드부가 용지들을 적층하는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용지가 깔끔하게 정돈할 수 있으므로 이후 전송이나 반송 과정에서도 흐트러지거나 잼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용지스택장치{APPARATUS FOR STACKING PAPER}
본 고안은 용지스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여러 장의 용지를 차례대로 적재하기 위한 스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객이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통장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음성안내전화를 이용하거나 인터넷을 통한 뱅킹 거래를 통해 입출금 내역 및 기타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음성안내전화를 통해서 입출금 내역을 조회할 때에는 고객이 많은 수의 거래 내역을 모두 기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인터넷을 이용하여 거래내역을 출력할 수 있지만, 이 방법 또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하여야 하고, 별도의 프린터를 이용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통장 이외의 방법으로 거래내역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일정 거래내역을 기준으로 출력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공공장소, 은행지점, 편의점 등에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접근이 용이하며, 금융자동화기기가 거래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면 통장 없이도 용이하게 서류 형태로 거래내역을 증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래내역을 위해 제공되는 용지의 후면에는 다양한 안내 또는 광고 등을 포함시킬 수 있어 상업적으로도 많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금융자동화기기에서 거래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용지는 일반적으로 A4 또는 B5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용지는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용지를 취급하는 프린터 모듈 역시 비교적 큰 사이즈로 제작될 수 밖에 없다. 일 예로, 금융자동화기기에서 거래내역을 기재한 A4 용지를 제공함에 있어, 고객이 제공된 용지를 수령하지 않으면, 이를 회수하여 회수함에 보관할 수 있다. 이 용지들을 자동으로 적재하는 과정에서 잼 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이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련된 기술 중 이중으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는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상자(3, 4)에는 A4 또는 B5의 폭을 갖는 연속용지가 접힌 상태로 수용되어 있으며, 제1 용지(1) 및 제2 용지(2)는 각각 프린터(10)로 공급되어 필요한 작업을 인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용지(1) 및 제2 용지(2)는 각각 다른 형식, 다른 사이즈, 다른 색깔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절단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A4 또는 B5 용지 크기로 제공되는 경우와 규격 크기에서 일부 절단한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프린터(10)는 접이식 연속용지를 이용하며, 제1 용지(1) 및 제2 용지(2)를 구분하여 인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린터(10)는 제1 이송가이드(20) 제2 이송가이드(30), 감열 프린트 모듈(40), 커터(50), 스택 이송부(60), 회수부(70) 및 회수함(80)을 포함한다.
용지(1, 2)는 제1 또는 제2 이송가이드(20, 30)를 통해 프린트 모듈(40)로 제공되며,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20, 30)에는 각각 이송롤러(22, 32)가 장착되어 있다. 제어부는 이송롤러(22, 32)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작동에 의해서 제1 용지(1) 또는 제2 용지(2)를 프린트 모듈(40)에 공급할 수 있다.
프린트 모듈(40)은 플래튼 롤러(42)을 포함하며, 플래튼 롤러(42)는 프린트 헤드에 대응하여 인자면을 지지하고, 한편으로는 회전하면서 인쇄용지 중 인자된 부분을 지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인자가 완료되면 커터(50)는 인자된 부분을 절단하게 되고, 스택 이송부(60)는 절단된 인자용지를 스택공간(61)으로 이송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프린터 모듈은 거래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용지가 무질서하게 적층되고, 이러한 용지들이 이송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용지들의 위치가 비뚤어져서 모듈 사이에 끼거나 용지의 잼(jam)에 의해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용지들이 적층하는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용지가 깔끔하게 정돈될 수 있으며, 이후 전송이나 반송 과정에서도 흐트러지거나 잼이 발생하지 않는 용지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지적재장치는 스택 지지대, 용지 공급부, 푸쉬 플레이트, 스택 가이드 및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스택 지지대는 용지를 지지하고, 용지 공급부는 스택 지지대 상으로 용지를 차례로 공급한다. 그리고, 푸쉬 플레이트는 스택 지지대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례로 공급되는 용지의 상면을 눌러서 정리한다. 따라서, 용지 간에 밀착시켜 적재된 용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택 가이드는 스택 지지대의 측면에 장착되어 용지의 측면을 일시적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적재된 용지가 측부 및 상면에서 고정해주므로 깔금하게 정돈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용지 공급부의 출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용지의 진행 방향을 스택 지지대로 안내한다. 가이드부는 용지들이 적층하는 영역을 한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용지 공급부에서 전달되는 용지가 가이드부와 충돌하면서 진행 방향을 스택 지지대로 향하게 하므로 용지들의 정리가 더욱 용이하다.
종래의 용지스택장치는 거래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용지가 무질서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용지들이 이송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종래에는 후단에 벽을 만드는 방법인 후단 정렬을 사용하므로 용지들의 위치가 비뚤어진다. 따라서, 용지들을 외부로 이송 시에 용지의 잼(jam)에 의해서 오작동이 자주 발생할 수 있고, 용지들간에 더욱 무질서하게 배치됨에 따라 용지들이 모듈 사이에 낄 수 있고, 모듈의 기능을 방해하여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는 가이드부에 의해서 용지들의 진행 방향이 스택 지지대를 향하게 한다. 따라서, 용지들이 차례대로 스택 지지대에 적재되고, 스택 가이드는 스택 지지대의 측면에 장착되어 용지의 측면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며, 푸쉬 플레이트가 용지들의 상면을 눌러 용지들을 깔끔하게 정리한다. 따라서, 용지들이 외부로 이동할 때에도 용지들이 비스듬하게 되거나(skew), 용지들의 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 중 스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 중 푸쉬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지적재장치는 스택 지지대(110), 용지 공급부(120), 푸쉬 플레이트(130), 스택 가이드(140) 및 가이드부(150)를 구비한다.
스택 지지대(110)는 인쇄하여 이송되는 용지들을 저장하고, 차례대로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스택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용지 이송부(160)가 제공된다. 용지 이송부(160)는 스택 지지대(110)의 출구 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롤러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스택 지지대(110)의 상부에는 푸쉬 플레이트(130)가 위치하여 위 아래로 구동하므로 스택 지지대(110)에 적재되는 용지들을 상면에서 눌러줄 수 있다.
용지 공급부(120)는 프린트 모듈(101)에서 인쇄용지에 프린트하고, 커터(102)에서 크기에 맞게 자른 인쇄용지를 스택 지지대(110)까지 안내한다. 용지 공급부(120)는 복수개의 롤러가 위치하여 인쇄용지를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인쇄용지는 용지 공급부(120)의 단부에서 가이드부(150)를 향하여 배출되고, 가이드부(150)와 충돌하면서 진행 방향을 스택 지지대(110)의 상부를 향하도록 전환한다.
푸쉬 플레이트(130)는 상하로 왕복 이동을 하며, 푸쉬 플레이트(130)의 플레이트 본체(132)가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에 위치한 용지와 밀착할 수 있으며,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지 또는 용지들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푸쉬 플레이트(130)는 플레이트 본체(132), 랙(134), 구동 피니언(136) 및 종동 피니언(138)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132)는 푸쉬 플레이트(130)의 몸체를 의미하며, 푸쉬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용지를 밀착시킨다. 그리고, 랙(134)은 플레이트 본체(132)에 대해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랙(134)의 내부에서 랙(134)과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136),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는 종동 피니언(13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푸쉬 플레이트(130) 전체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스택 가이드(140)는 스택 지지대(110)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적재되는 용지들을 측부에서 눌러준다. 따라서, 용지들이 진행하면서 비스듬히 흘러 내리는 현상(skew)을 방지하여 용지의 이송을 용이하게 한다. 스택 가이드(140)는 연결부(142) 및 용지 고정부(144)를 포함한다. 연결부(142)는 스택 지지대(110)에 장착되고, 용지 고정부(144)는 연결부(142)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힌지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택 가이드(140)를 향하여 용지가 떨어지면, 스택 가이드(140)가 외부를 향하여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용지 공급부(120)의 출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용지의 진행 방향을 스택 지지대(110)로 안내한다. 가이드부(150)는 힌지와 연결되어 자유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용지가 용지 공급부(120)에서 배출될 때 가이드부(150)와 충돌하면서 스택 지지대(110)에 용지를 안착시킨다. 따라서, 용지스택장치는 스택 지지대(110)를 향하여 이동하는 용지들을 가이드부(150)가 방향을 전환하고, 푸쉬 플레이트(130) 및 스택 가이드(140)에 의해 용지들이 규칙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 중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이드부가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인쇄된 용지는 용지 공급부(120)를 통하여 이송되고, 용지 공급부(120)의 단부에서 가이드부(150)를 향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인쇄용지는 가이드부(150)와 충돌하여 진행 방향을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된다(ⓐ). 가이드부(150)는 그 충격량을 전달 받아 원래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후단 정렬을 기준으로 인쇄용지를 날리던 방식과는 다르게 가이드부(150)에서 인쇄용지를 중간에 차단하므로 인쇄용지가 가이드부(150) 하부에 차례대로 적재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스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스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적재된 용지들의 측부에 스택 가이드(140)가 형성되고, 용지 고정부(144)가 용지의 상면을 눌러 고정한다. 그리고, 용지 공급부(120)에서 하나의 용지가 떨어지면 동력부에 의해 용지 고정부(144)가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용지는 스택 지지대(110)를 피해 적재된 용지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용지 고정부(144)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므로 용지들의 상면을 눌러 용지들을 가지런히 모으고 깔끔하게 정리한다. 따라서, 용지들의 측부가 동일한 위치로 적재되어 이송할 때 흐트러지거나 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용지적재장치는 용지들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므로 용지들이 외부로 이동할 때에도 용지들이 비스듬하게 되거나(skew), 용지들의 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용지적재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설치가 쉬우므로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용지적재장치는 가이드부에 의해 용지들이 차례대로 스택 지지대에 적재되고, 스택 가이드는 스택 지지대의 측면에 장착되어 용지의 측면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며, 푸쉬 플레이트가 용지들의 상면을 눌러 용지들을 가지런히 모으고 깔끔하게 정리한다. 따라서, 용지들이 외부로 이동할 때에도 용지들이 비스듬하게 되거나(skew), 용지들의 잼이 발생하지 않고, 용지들의 이송 및 회수가 용이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용지적재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설치가 쉬우므로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관련된 기술 중 이중으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는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 중 스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 중 푸쉬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스택장치 중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가이드부가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스택 지지대 120:용지 공급부
130:푸쉬 플레이트 140:스택 가이드
150:가이드부

Claims (5)

  1.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스택 지지대;
    상기 스택 지지대 상으로 상기 용지를 차례로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
    상기 스택 지지대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차례로 공급되는 상기 용지의 상면을 눌러서 정리하는 푸쉬 플레이트;
    상기 스택 지지대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면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스택 가이드; 및
    상기 용지 공급부의 출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용지의 진행 방향을 상기 스택 지지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용지스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택 지지대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고정된 가이드 축 및 상기 가이드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스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지지대에 적층된 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용지 이송부를 더 구비하는 용지스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 대해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랙, 상기 랙의 내부에서 상기 랙과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 및 종동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스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가이드는 상기 스택 지지대에 장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용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스택장치.
KR20-2004-0037724U 2004-12-31 2004-12-31 용지스택장치 KR200379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24U KR200379148Y1 (ko) 2004-12-31 2004-12-31 용지스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24U KR200379148Y1 (ko) 2004-12-31 2004-12-31 용지스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327A Division KR20060077847A (ko) 2004-12-31 2004-12-31 용지스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148Y1 true KR200379148Y1 (ko) 2005-03-17

Family

ID=4368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724U KR200379148Y1 (ko) 2004-12-31 2004-12-31 용지스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60B1 (ko) 2005-12-23 2010-10-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임시스택부가 구비된 명세표 프린터 및 명세표 배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60B1 (ko) 2005-12-23 2010-10-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임시스택부가 구비된 명세표 프린터 및 명세표 배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5819B1 (en) Paper money stacking apparatus and 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US6302606B1 (en) Sheet receiving/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033340B2 (en) Device for disbursing value notes comprising a stationary support element
JP4964978B2 (ja) 媒体検出方法、媒体検出装置、媒体排出装置、及び印刷装置
US7975909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US20210099584A1 (en) Multi-function printer
KR200379148Y1 (ko) 용지스택장치
KR20060077847A (ko) 용지스택장치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3472689B2 (ja) 紙葉類堆積装置
KR100608442B1 (ko) 지류 스택장치
JP6590054B1 (ja) スキャナ装置及びスキャン方法
KR200379149Y1 (ko) 용지 보관장치
WO2009072153A1 (en) Cheques dispenser
JP2010052884A (ja) 紙葉類取扱装置
JP3659734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KR200380090Y1 (ko) 용지 텐션구조
KR100591087B1 (ko) 인쇄 장치
JP7400307B2 (ja) 排紙装置、排紙装置の制御方法、処理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JP4878705B2 (ja) 媒体処理装置
JP2001019250A (ja) プリンタにおける単票紙の回収装置
KR20060079551A (ko) 용지 보관장치
JP6587020B1 (ja) スキャナ装置及びスキャン方法
JP4303238B2 (ja) 紙葉類回収機構
US5842826A (en) Sheet delivery apparatus for a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