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601Y1 -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 Google Patents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601Y1
KR200378601Y1 KR20-2004-0037045U KR20040037045U KR200378601Y1 KR 200378601 Y1 KR200378601 Y1 KR 200378601Y1 KR 20040037045 U KR20040037045 U KR 20040037045U KR 200378601 Y1 KR200378601 Y1 KR 200378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back volume
lower case
cas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방에 밀폐된 공간(Back Volume)을 형성하여 진동판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후방 음을 완전히 차단하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는, 음방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는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상기 요크부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위치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이스코일과 함께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진동가능하게 고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음방출구가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이크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음방출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소정 크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백 볼륨 케이스(Back Volume Case)와; 상기 진동판의 진동 시 백 볼륨 케이스 내부의 공기압 상승에 따라 진동판의 진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에 일체로 결합된 소프트한 재질의 엣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Microspeaker formed integrally with back volume}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방에 소정 크기의 밀폐된 공간(Back Volume)을 형성하여 진동판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후방 음을 완전히 차단하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단말기에는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스피커가 설치된다. 도1은 이러한 마이크로스피커의 일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1)는 합성수지 등으로 사출성형된 소정 형상의 하부케이스(3)와, 상기 하부케이스(3)의 안착부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요크부재(4), 마그네트(5), 플레이트(6), 진동판(8) 및 상기 진동판(8)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보이스코일(7),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3)의 상부에는, 상기 진동판(8)을 보호함과 아울러 진동판(8)의 전방(상부)에서 발생되는 음이 원활하게 방사되도록 하는 다수의 전방 음방출구(91)가 형성된 상부덮개(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3)에는 상기 진동판(8)의 후방(하부)에서 발생되는 음이 후방으로 원활하게 방사되도록 하는 다수의 후방 음방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이스코일(7)에 소정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코일(7)에 형성되는 전자기력과 요크부재(4), 마그네트(5) 및 플레이트(6)에 형성된 자기력 상호 간에 흡인 및 반발 작용하여 보이스코일(7)과 함께 진동판(8)이 전후(상하)진동하여 전기신호에 대응되는 소리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8)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음파는 상기 상부덮개(9)의 음방출구(91)를 통해서 전방으로 출력되고, 상기 진동판(8)의 후방에서 형성되는 음파는 하부케이스(3)의 음방출구(31)를 통해서 후방으로 출력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스피커(1)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방 음과 후방으로 방사되는 후방 음은 그 위상 차가 180도이므로 서로 상쇄되어 저음 재생을 불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전방 음과 후방 음을 차단시키지 않으며 저음역이 상쇄되어 없어지고 고음역만 들리게 되어 자연음의 재생이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스피커(1)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후방 음을 차단하기 이해서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방에 소정 크기의 백 볼륨(또는 인클로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박형화 및 소형화를 추가하는 마이크로스피커에서는 이러한 백 볼륨을 설치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곤란하다. 즉, 저음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백 볼륨의 크기가 클수록 유리하나 박형화와 소형화를 추구하는 마이크로스피커에서는 백 볼륨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있다. 반면에 마이크로스피커에 소형 백 볼륨을 설치할 경우, 백 볼륨 내부의 공기압 상승에 따라 진동판의 진폭이 좁아지고 고음역만 재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래서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는 별도로 백 볼륨을 형성하지 않고 휴대용 전화기의 외장 케이스가 백 볼륨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도2는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1)가 장착된 휴대용 전화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의 외장 케이스(20) 내부에 마이크로스피커(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대쪽 외장 케이스(20)에는 리시버(21)가 설치되고, 리시버(21)의 아랫쪽에는 디스플레이(22) 및 조작부(2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후방에는 회로기판(2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안테나를 통해서 전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로스피커(1)를 통해서 소정의 음이 재생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판(8)의 전방에서 발생하는 전방 음은 상부덮개(9)의 음방출구(91)와 외장 케이스(20)의 통공(26)을 통해서 외장 케이스의 외부로 직접 출력되게 된다.(직접음) 그리고 상기 진동판(8)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후방 음은 하부케이스(3)의 음방출구(31)을 통해서 외장 케이스(20)의 내부로 방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외장 케이스(20)가 완전히 밀폐되는 경우라면 후방 음은 외장 케이스(2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기 외장 케이스(20) 내부로 방출된 음은 외장 케이스(20) 내부에서 반사된 후 외장 케이스(20)에 형성된 미세한 틈이나 외장 케이스(20)의 진동을 통해서 외부로 누출되게 된다.(누설음)
따라서 사용자는 마이크로스피커(1)를 통해서 직접 방사되는 직접음과 함께 외장 케이스(20)의 내부에서 누설되는 누설음을 동시에 청취할 수밖에 없으므로 음이 혼탁해지고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 등에서 누설음이 생기지 않도록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방에 소정 크기의 밀폐된 백 볼륨(Back Volume)을 형성하여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방에 형성된 백 볼륨에 의해서 진동판의 진동 시 진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동판의 테두리에 소프트한 재질의 엣지를 형성하여 백 볼륨 내의 공기압을 흡수 또는 완충할 수 있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는, 음방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는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상기 요크부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위치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이스코일과 함께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진동가능하게 고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음방출구가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이크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음방출구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결합되어 소정 크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백 볼륨 케이스(Back Volume Case)와;
상기 백 볼륨 케이스 내부의 공기압 상승에 의해서 상기 진동판의 진폭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에 일체로 결합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엣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10)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신호로 전환하는 스피커유닛(1)과, 상기 스피커유닛(1)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백 볼륨 케이스(3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스피커유닛(1)은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1)와 동일한 것이다. 즉, 상기 스피커유닛(1)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하부 음방출구(31)가 형성된 하부케이스(3)와, 상기 하부케이스(3)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요크부재(4), 마그네트(5) 및 플레이트(6)와, 상기 요크부재(4)와 마그네트(5) 사이에 형성된 간극(2)에 위치되는 보이스코일(7)과, 상기 보이스코일(7)과 함께 하부케이스(3)의 상면에 진동 가능하게 고착되는 진동판(8)과, 상기 진동판(8)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부 음방출구(91)가 형성된 상부덮개(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백 볼륨 케이스(30)는 상기 하부케이스(3)의 하부 외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케이스(3)에 형성되어 후방음이 방출되는 모든 하부 음방출구(31)를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밀폐된 공간(Back Volume)(3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백 볼륨(33)의 크기는 저음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가능하면 클 수록 유리하나 박형화 및 소형화를 추구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크기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상기 백 볼륨(33)의 크기는 0.5 내지 10ml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ml이다.
이어 상기 백 볼륨 케이스(30)는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단에는 하부케이스(3)의 외주연에 밀접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단턱부(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백 볼륨 케이스(30)는 합성수지재 뿐만 아니라 그 보다 소프트한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후방음 소거 효과가 더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밸 볼륨 케이스(30)의 내부에는 후방음을 소거하기 위하여 다공성 시트나 섬유 등과 같은 흠음재가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진동판(8)의 테두리에는 진동흡수 능력(내부손실)이 큰 소프트한 재질의 엣지(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라 하부케이스(3)에 소정 크기의 백 볼륨(33)을 형성하게 되면, 진동판(8)이 진동할 때, 후방으로 방사된 음이 백 볼륨 케이스(30)에 부딪혀 전방으로 다시 반사되기 때문에 역 위상의 반사파에 의해서 진동판(8)이 후방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해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판(8)의 진폭은 좁아지고 진동수는 증가되어 고음역만이 발생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백 볼륨(33)의 용적이 작을 수록 심해지고 진동판(8)의 완충력이 작을 수록 커진다. 그러므로 상기 백 볼륨(33)을 적절한 크기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진동판(8)의 진동흡수력이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상기 진동판(8)의 테두리에 소프트한 재질의 엣지(50)가 일체로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소프트한 재질의 엣지(50)는 진동판(8)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함과 동시에 측방으로의 흔들림을 막아 위치를 정확히 유지하고, 진동판(8)에서 전방으로 방사된 음파가 후방으로 방사되어 역 위상의 음파가 혼합되어 상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진에 의해 엣지(50)에서 발생한 음이 스피커의 성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엣지(50)는 진동판의 테두리에 결합되기 때문에 진동판(8)과 같이 경량(저밀도)인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엣지(50)의 요구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재료로는 코팅 포, 발포폴리우레탄 고무, 에라스토머 등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진동판(8)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는 실리콘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실리콘 또는 실리콘수지는 그 자체로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내후성, 내유성 및 내수성이 좋기 때문에 환경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갑작스러운 진폭 변동에 의해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엣지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음의 민감도가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엣지의 소재로서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실리콘 엣지(50)가 일체로 형성된 진동판(8)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갖는 P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알루미늄,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진동판(8)의 가장자리에 실리콘 엣지(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진동판(8)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체로서 안쪽에는 소정 곡률의 곡면부(8a)가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 둘레에는 소정 폭의 평면부(8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엣지(50)는 진동판의 평면부(8b)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것으로서, 상부로 굴곡된 굴곡부(50a)와 상기 굴곡부(50a)의 내외측에 형성된 평탄부(50b,50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의 평면부(8b) 상면에는 상기 실리콘 에지의 내측 평탄부(50b)의 저면이 접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엣지(5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거나 실리콘 엣지(50)의 사출 성형시에 진동판(8)을 인서트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판(8)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 엣지(50)에 소정의 굴곡부(50a)가 형성되므로 진동판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백 볼륨에 의한 증가되는 공기압을 흡수하여 저음역의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도5 및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3)는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면 가운데에는 타원형 요크부재(104)가 안착되는 타원형의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03)의 안착부(111) 내주면에는 요크부재(104)의 외주면에 돌설된 다수의 안착돌부(114)가 안착되는 안착턱부(113)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요크부재(104)의 안착돌부(114)와 하부케이스(103)의 안착턱부(113)가 서로 대응하도록 안착시키면, 결합과 동시에 상기 안착턱부(113) 사이에 소정 크기의 하부 음방출구(131)가 형성되게 된다. 이어 상기 요크부재(104)의 내부에 타원형의 마그네트(105)와 플레이트(106)를 차례로 설치한 다음, 상기 요크부재(114)와 마그네트(105) 사이에 보이스코일(107)이 위치하도록 진동판(108)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진동판(108)의 테두리에는 실리콘 엣지(15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3)의 상면에는 상기 엣지(150)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돌부(1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저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진동판(108)의 상부로는 다수의 상부 음방출구(191)가 형성된 상부덮개(10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109)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평면부(109a)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108)의 테두리에 형성된 엣지(150)의 평탄부(50c)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덮개(108)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요크부재(104) 및 마그네트(105)의 자력에 의해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109)는 상기 진동판(108)을 보호하는 동시에 진동판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103)에는 하부케이스(103)에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음방출구(131)를 모두 커버하는 소정 크기의 백 볼륨 케이스(130)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백 볼륨 케이스(130)는 바닥면과 외주면이 모두 폐쇄된 타원형 용기로서 그 상단에는 하부케이스(103)의 하단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단턱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 대신에 나사홈이나 걸림턱 등과 같은 다른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마이크로스피커(100)에 소정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진동판(108)이 진동되어 소정의 음향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판(108)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전방 음은 상기 상부덮개(109)의 음방출구(191)를 통해서 전방으로 출력되고, 상기 진동판(108)의 후방에서 생성되는 후방 음은 상기 하부케이스(103)에 형성된 하부 음방출구(131)를 통해서 후방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하부케이스 음방출구(131)를 통해서 후방으로 출력되는 후방 음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백 볼륨 케이스(130)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진동판(108)의 후방으로 방출된 후방 음은 백 볼륨 케이스(130)에서 반사되어 진동판(108)이 후방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진동판(108)의 가장자리에 진동흡수 능력이 큰 실리콘 엣지(1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역 위상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진동판(108)의 진폭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는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을 완전히 차단하여 반사음이나 누출음에 의해서 음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백 볼륨 케이스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서 진동판의 진폭이 줄어드는 것을 소프트한 재질의 엣지를 이용하여 완충시킴으로써 자연음의 재현성을 높이고 저음역을 살릴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는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을 완전히 차단하여 반사음이나 누출음에 의해서 음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백 볼륨 케이스 내부의 공기압 상승에 의해서 진동판의 진폭이 좁아지는 것을 소프트한 재질의 엣지를 이용하여 완충시킴으로써 자연음의 재현성을 높이고 저음역을 살려 우퍼 스피커의 효과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피커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2를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에 적용될 수 있도록 스프트한 재질의 엣지가 형성된 진동판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 3 : 종래의 하부케이스
10, 100 :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 20 : 휴대폰의 외부 케이스
30, 130 : 백 볼륨 케이스 33 : 백 볼륨
50, 150 : 엣지

Claims (6)

  1. 음방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는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상기 요크부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위치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이스코일과 함께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진동가능하게 고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음방출구가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이크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음방출구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백 볼륨 케이스(Back Volume Case)와;
    상기 진동판의 진동 시 백 볼륨 케이스 내부의 공기압 상승에 의해서 상기 진동판의 진폭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에 일체로 결합되며 진동흡수 능력(내부손실)이 큰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진 엣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볼륨 또는 백 볼륨 케이스의 크기는 0.5 내지 10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볼륨 케이스는 합성수지개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하부케이스에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결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볼륨 케이스의 내부에는 다공성 시트나 섬유 등과 같은 흠음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가운데에는 소정 곡률의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의 외측으로는 소정 폭의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엣지의 가운데에는 소정 곡률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의 내외측으로는 소정의 평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엣지의 내측 평탄부의 저면이 상기 진동판의 평면부 상면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KR20-2004-0037045U 2004-12-28 2004-12-28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KR200378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045U KR200378601Y1 (ko) 2004-12-28 2004-12-28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045U KR200378601Y1 (ko) 2004-12-28 2004-12-28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601Y1 true KR200378601Y1 (ko) 2005-03-18

Family

ID=4368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045U KR200378601Y1 (ko) 2004-12-28 2004-12-28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60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137B1 (ko) 2006-09-19 2007-10-17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의 백볼륨 단자구조
KR100858958B1 (ko) 2007-04-05 2008-09-17 김진상 자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스피커
KR101423841B1 (ko) * 2011-12-13 2014-08-13 부전전자 주식회사 내부 공명 챔버가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
KR101470983B1 (ko) * 2013-05-20 2014-12-09 김흥배 마이크로 스피커
KR102214649B1 (ko) * 2019-10-21 2021-02-15 주식회사 이엠텍 방수용 마이크로스피커의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CN114257919A (zh) * 2021-11-29 2022-03-29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装置和电子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137B1 (ko) 2006-09-19 2007-10-17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의 백볼륨 단자구조
KR100858958B1 (ko) 2007-04-05 2008-09-17 김진상 자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스피커
KR101423841B1 (ko) * 2011-12-13 2014-08-13 부전전자 주식회사 내부 공명 챔버가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
KR101470983B1 (ko) * 2013-05-20 2014-12-09 김흥배 마이크로 스피커
KR102214649B1 (ko) * 2019-10-21 2021-02-15 주식회사 이엠텍 방수용 마이크로스피커의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CN114257919A (zh) * 2021-11-29 2022-03-29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装置和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393B1 (ko) 휴대폰 장착용 마이크로스피커 모듈
US10225645B1 (en) Speaker box
US63891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moving armature transducers
JP4853029B2 (ja) 携帯端末、スピーカ、及び携帯端末のスピーカ取付構造
KR100997039B1 (ko)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CN1722913B (zh) 扬声器及移动终端设备
US20200213741A1 (en) Speaker box
CN109218928B (zh) 发声装置
KR100811871B1 (ko)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GB2333004A (en) Improving earpiece acoustics by providing a resonator between loudspeaker and sound ports.
CN110198509B (zh) 发声器及电子产品
CN110198510B (zh) 发声器
KR100540678B1 (ko)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US7088838B2 (en) Speakerphone accessory assembly
US7680293B2 (en) Loudspeaker apparatus
US811186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peaker
US20110158448A1 (en) Speakerbox
KR200378601Y1 (ko)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KR100665637B1 (ko) 사운드 발생기
US20190373348A1 (en) Speaker Box
WO2023051005A1 (zh) 圈铁喇叭组件及耳机
CN113993043B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JP5548554B2 (ja) スピーカ装置
CN111371930A (zh) 屏幕发声装置和电子设备
KR100768137B1 (ko)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의 백볼륨 단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