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392Y1 - 브라인드 리벳 - Google Patents

브라인드 리벳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392Y1
KR200378392Y1 KR20-2004-0037013U KR20040037013U KR200378392Y1 KR 200378392 Y1 KR200378392 Y1 KR 200378392Y1 KR 20040037013 U KR20040037013 U KR 20040037013U KR 200378392 Y1 KR200378392 Y1 KR 200378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bush
blind rivet
bending protrus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Original Assignee
박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현 filed Critical 박기현
Priority to KR20-2004-0037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F16B19/1054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the pull-mandrel or the like being frang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4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 B21J15/043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by pulling a mand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스템(10)의 몸체(11) 일측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18)의 하부로 다수 개의 결합돌기(16)가 형성되어 리벳팅시 부시(20)의 만곡결합부(26)을 파고들어가면서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는 것은 물론, 이로인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브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관통구멍(24)을 갖는 절곡돌조(21)의 하단부에 플랜지부(22)가 형성된 부시(20)와, 상기 부시(20)의 관통구멍(24)에 삽입되는 몸체(11)의 일단부에는 리벳팅시 상기 절곡돌조(21)를 찌그러뜨리면서 접합면(30)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헤드부(18)가 형성된 스템(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라인드 리벳(1)에 있어서,
상기 스템(10)의 헤드부(18) 하단에는 상기 절곡돌조(21)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스템(10)의 몸체(11)와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라인드 리벳{blind rivet}
본 고안은 스템(10)의 몸체(11) 일측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18)의 하부로 다수 개의 결합돌기(16)가 형성되어 리벳팅시 부시(20)의 만곡결합부(26)을 파고들어가면서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는 것은 물론, 이로인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브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벳 이음은 리벳을 사용하여 2개 이상의 판 또는 형강 등과 같은 접합물을 겹쳐서 고정하는 영구적인 체결요소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이 좋고, 각 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전달하는 능력도 크기 때문에 교량, 철골구조물, 선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죄는 힘이 크기 때문에 기밀을 요하는 압력용기나 보일러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브라인드 리벳의 종래기술에 따른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못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같은 스템(101)이 일측선단에 구형의 헤드(102)를 가지면서 구비되고, 상기 스템(101)의 헤드(102) 쪽에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부시(103)가 체결되되, 상기 부시(103)의 일측에 플랜지(104)가 형성되어 접합물(106)에 부시(103)가 체결될 경우 판재(106)의 면에 압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105)이 체결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진 두 접합물(106)에 브라인드 리벳(105)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템(101)과 부시(103)가 함께 접합물(106)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템(101)을 축방향으로 상기 부시(103)의 반대쪽으로 리벳팅머신을 이용하여 강하게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상기 스템(101)의 헤드(102)와 접하는 상기 부시(103)의 상부가 찌그러지면서 접합물(106)이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스템(101)의 헤드(102)는 잘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하고자 하는 접합물(106)의 하부에는 부시(103)의 플랜지(104)가 체결되고, 접합물(106)의 상부에는 스템(101)의 헤드(102)에 의해 찌그러진 부시(103)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브라인드 리벳(105)은 부시(103)와 스템(또는 헤드(102)) 사이에 공간이 생겨 수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105)이 냉동 컨테이너, 냉동 탑차 등의 단열을 필요로 하는 부위의 패널 조립시 사용될 경우, 패널에 단열재를 충전할 때의 충전압력에 의해 리벳 체결부위로부터 단열재가 누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템의 몸체 일측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의 하부로 다수 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리벳팅시 부시의 만곡결합부을 파고들어가면서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는 것은 물론, 이로인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브라인드 리벳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관통구멍(24)을 갖는 절곡돌조(21)의 하단부에 플랜지부(22)가 형성된 부시(20)와, 상기 부시(20)의 관통구멍(24)에 삽입되는 몸체(11)의 일단부에는 리벳팅시 상기 절곡돌조(21)를 찌그러뜨리면서 접합면(30)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헤드부(18)가 형성된 스템(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라인드 리벳(1)에 있어서, 상기 스템(10)의 헤드부(18) 하단에는 상기 절곡돌조(21)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스템(10)의 몸체(11)와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템(10)의 결합돌기(16) 하단에는 상기 스템(10)의 몸체(11)를 리벳팅머신으로 물고 잡아당길 때 그 힘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템(10)의 결합돌기(16)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부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시(20)의 관통구멍(24)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쪽에 내부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직경부(D1)가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D1)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점점 넓어지면서 최대가 되는 대직경부(D2)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D2)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소직경부(D3)로 이루어지는 만곡결합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템(10)의 몸체(11) 타측 외주면에는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요철부(1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시(20)의 절곡돌조(21) 외주면에는 상기 절곡돌조(21)가 상기 스템(10)의 헤드부(18)에 의해 찌그러질 때 외부방향으로 찌그러지도록 유도하는 결합안내홀(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이 접합물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의 부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은 내부에 관통구멍(24)을 갖는 절곡돌조(21)의 하단부에 플랜지부(22)가 형성된 부시(20)와, 상기 부시(20)의 관통구멍(24)에 삽입되는 몸체(11)의 일단부에는 리벳팅시 상기 절곡돌조(21)를 찌그러뜨리면서 접합면(30)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헤드부(18)가 형성된 스템(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라인드 리벳(1)에 있어서, 상기 스템(10)의 헤드부(18) 하단에는 상기 절곡돌조(21)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스템(10)의 몸체(11)와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16)가 형성된다.
상기 스템(10)의 결합돌기(16) 하단에는 상기 스템(10)의 몸체(11)를 리벳팅머신으로 물고 잡아당길 때 그 힘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템(10)의 결합돌기(16)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부직경이 점점 작아진다.
상기 부시(20)의 관통구멍(24)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쪽에 내부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직경부(D1)가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D1)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점점 넓어지면서 최대가 되는 대직경부(D2)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D2)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소직경부(D3)로 이루어지는 만곡결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스템(10)의 몸체(11) 타측 외주면에는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요철부(1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시(20)의 절곡돌조(21) 외주면에는 상기 절곡돌조(21)가 상기 스템(10)의 헤드부(18)에 의해 찌그러질 때 외부방향으로 찌그러지도록 유도하는 결합안내홀(28)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안내홀(28)이 형성되어 있어 리벳팅시 하부에서 잡아당기는 리벳팅머신의 힘에 의해 상기 스템(10)의 헤드부(18)와 접하는 상기 부시(20)의 절곡돌조(21)의 상부가 찌그러지는 데, 이때 상기 결합안내홀(28)이 안쪽으로 움푹 파여들어가 있어 상기 절곡돌조(21)는 외부 방향으로 향해 찌그러지게 되며, 그 찌그러지는 부위 하부, 즉 결합안내홀(28)의 하부는 내부로 향해 찌그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안내홀(28)에 의해 상기 스템(10)의 결합돌기(16)와 부시(20)의 만곡결합부(26)가 더욱 더 긴밀하게 밀착 고정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브라인드 리벳(1)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드릴머신(미도시)으로 구멍을 뚫은 접합물(30)에 상기 브라인드 리벳(1)을 끼운 후, 리벳팅머신(미도시)의 리벳홀더(미도시)로 상기 스템(10)의 요철부(12)를 물고 잡아 당기게 되면, 그 힘에 의해 상기 스템(10)의 걸림턱부(18a)와 접하는 부시(20) 상부가 찌그러지면서 리벳팅 된다.
이때, 상기 부시(20)의 만곡결합부(26)가 외부쪽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상기 스템(10)의 결합돌기(16)에 상기 만곡결합부(26)의 내주면이 파여 들어가게 됨으로써, 긴밀하게 체결이 되고, 더 이상 찌그러지지 않게 되면 리벳홀더에 물려 있는 상기 스템(10)의 요철부(12) 상단에 형성된 파단부(14)가 절단됨으로써 리벳팅이 마무리 된다.
따라서, 긴밀하게 체결이 되는 브라인드 리벳(1)에 의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1)은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등의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1)은 스템(10)의 몸체(11) 일측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18)의 하부로 다수 개의 결합돌기(16)가 형성되어 리벳팅시 부시(20)의 만곡결합부(26)을 파고들어가면서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는 것은 물론, 이로인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템(10)의 몸체(11) 타측 외주면에는 요철부(12)가 형성되어 있어 리벳팅머신에 물려 잡아당겨질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템(10)의 몸체(11)에 형성된 결합돌기(16) 하부로 파단부(14)가 형성되어 있어 리벳팅머신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쉽게 절단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의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이 체결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이 접합물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리벳의 부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템
11 : 몸체 12 : 요철부
14 : 파단부 16 : 결합돌기
18 : 헤드부 18a : 걸림턱부
20 : 부시
21 : 절곡돌조 22 : 플랜지부
24 : 관통구멍 26 : 만곡결합부
28 : 결합안내홀
30 : 접합물

Claims (6)

  1. 내부에 관통구멍(24)을 갖는 절곡돌조(21)의 하단부에 플랜지부(22)가 형성된 부시(20)와, 상기 부시(20)의 관통구멍(24)에 삽입되는 몸체(11)의 일단부에는 리벳팅시 상기 절곡돌조(21)를 찌그러뜨리면서 접합면(30)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헤드부(18)가 형성된 스템(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라인드 리벳(1)에 있어서,
    상기 스템(10)의 헤드부(18) 하단에는 상기 절곡돌조(21)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스템(10)의 몸체(11)와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리벳.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10)의 결합돌기(16) 하단에는 상기 스템(10)의 몸체(11)를 리벳팅머신으로 물고 잡아당길 때 그 힘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리벳.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10)의 결합돌기(16)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부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리벳.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20)의 관통구멍(24)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쪽에 내부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직경부(D1)가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D1)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점점 넓어지면서 최대가 되는 대직경부(D2)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D2)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소직경부(D3)로 이루어지는 만곡결합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리벳.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10)의 몸체(11) 타측 외주면에는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요철부(1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리벳.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20)의 절곡돌조(21) 외주면에는 상기 절곡돌조(21)가 상기 스템(10)의 헤드부(18)에 의해 찌그러질 때 외부방향으로 찌그러지도록 유도하는 결합안내홀(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리벳.
KR20-2004-0037013U 2004-12-28 2004-12-28 브라인드 리벳 KR200378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013U KR200378392Y1 (ko) 2004-12-28 2004-12-28 브라인드 리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013U KR200378392Y1 (ko) 2004-12-28 2004-12-28 브라인드 리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392Y1 true KR200378392Y1 (ko) 2005-03-16

Family

ID=4368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013U KR200378392Y1 (ko) 2004-12-28 2004-12-28 브라인드 리벳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3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026A (ko) * 2017-12-29 2019-07-09 한정권 체결 기능을 강화한 피난 사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026A (ko) * 2017-12-29 2019-07-09 한정권 체결 기능을 강화한 피난 사다리
KR102010356B1 (ko) * 2017-12-29 2019-08-13 한정권 체결 기능을 강화한 피난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16839A (en) Interlocking sleeve coupling
US7575404B2 (en) Nut plate fastener assembly for composite materials
CA2048689C (en) Self-drilling fastening
CA2420707C (en) Bell and spigot joint with locking strap
JP2004116722A (ja) クリップ
TWI606188B (zh) 拉釘及使用其之密封結構
NO167411B (no) Fluidum-fittings for hoeye temperaturer.
JPH08187675A (ja) ねじまわし工具における拡大可能なねじ保持用先端
JPH06237808A (ja) ファスナーシーリングシステム
KR200378392Y1 (ko) 브라인드 리벳
US20070160418A1 (en) Quick assembly bolt jacket
US20240052868A1 (en) One-way fastener
CA2135727A1 (en) Bland rivet with sheath
KR20050111832A (ko) 방수 블라인드 리벳
KR20150135887A (ko) 패스너
KR10086849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GB2555389A (en) Pipe coupling
KR200397772Y1 (ko) 괭이
KR20180009890A (ko)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KR200282962Y1 (ko) 블라인드 리벳
KR20180009893A (ko) 방수 블라인드 리벳
JP3963688B2 (ja) 離脱防止継手のロックリング挿入補助具
KR200221013Y1 (ko) 타격 앵커용 확장 하우징
KR20230117931A (ko) 튜브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