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368Y1 -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368Y1
KR200378368Y1 KR20-2004-0036719U KR20040036719U KR200378368Y1 KR 200378368 Y1 KR200378368 Y1 KR 200378368Y1 KR 20040036719 U KR20040036719 U KR 20040036719U KR 200378368 Y1 KR200378368 Y1 KR 200378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rinter
cylinder
reservo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문배
Original Assignee
전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문배 filed Critical 전문배
Priority to KR20-2004-0036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3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3Ink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프린터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되 필터링하여 공급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크게 향상 시킨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잉크의 주입시 낙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판들을 갖는 잉크저장통, 상기 잉크저장통과 연결되어 프린터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잉크통체를 갖는 잉크 카트리지부, 상기 잉크통체에 내설되어 잉크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잉크량 조절부, 상기 잉크통체에 내설되어 프린터에 공급되는 잉크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잉크통체에 잉크의 과충전시 이를 회수하여 상기 잉크저장통에 회송하는 잉크 회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프린터의 인쇄 품질이 크게 향상됨과 아울러 잉크의 남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ink to printer}
본 고안은 프린터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프린터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되 필터링하여 공급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크게 향상 시키는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잉크 카트리지로 부터 잉크를 공급받아 인쇄를 수행하는데, 기존의 잉크 카트리지는 교체 가능한 일회용품이기 때문에 그 교체 비용이 고가였다. 이 때문에 교체 비용의 절감을 위해 재충전 카트리지 즉, 리필 카트리지가 사용되거나 잉크연속공급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잉크연속공급장치는 잉크저장통을 구비하여 프린터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기존의 리필 카트리지는 수동으로 잉크를 주입하기 때문에 잉크 주입량의 체크가 어려워 잉크가 저충전 또는 과충전되는 문제가 있고, 잉크연속공급장치 또한 잉크의 수위 조절이 어려워 잉크 충전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공을 통해 잉크가 역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프린터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되 필터링하여 공급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의 과충전시 이를 회수하여 잉크의 남용을 방지하는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외부와 연락하는 소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걸개용 고리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프린터에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공간이 외부와 연락하는 부위에는 캡이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그 내측으로 길이를 따라 서로 교호로 경사지게 다수개로 돌설되어 잉크 주입시 그 낙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판들이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 외면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락하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는 잉크저장통; 양측에 바늘을 갖고 그 일측이 상기 잉크저장통의 배출구에 삽탈되게 연결되어 상기 잉크저장통의 잉크를 이송하는 잉크 이송관과, 이 잉크 이송관의 타측과 탈착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들을 통해 다수개로 구획 분할되되 수지막으로 밀폐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잉크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잉크를 수용함과 아울러 일측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락하는 잉크공급유로를 형성하여 그 잉크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잉크를 상기 프린터에 연속 공급하는 잉크통체로 이루어진 잉크 카트리지부; 상기 잉크 이송관의 바늘을 위요(圍繞)하며 상기 잉크통체의 수용공간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관과, 이 가이드관의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잉크의 부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잉크 이송관의 바늘을 개폐하는 부구(浮具)로 이루어진 잉크량 조절부; 상기 잉크통체의 잉크공급유로와 이웃하는 격벽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프린터로 공급되는 잉크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 및 상기 잉크통체의 수용공간과 상기 잉크저장통과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잉크통체의 수용공간에 과충전되는 잉크를 회수하여 상기 잉크저장통로 회송하는 잉크 회수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잉크 이송관의 중간에는 상기 잉크저장통으로 부터 잉크통체로 이동하는 잉크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가 분리되게 더 설치되고, 상기 잉크 이송관의 일측에는 상기 잉크저장통의 배출구와 대응하여 그 결합을 적합하게 안내하는 소켓이 분리되게 더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잉크통체의 잉크공급유로는 상기 수용공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유로와 연결되고, 이 경사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홈부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잉크저장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잉크 카트리지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4 및 도5는 잉크량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는 프린터(1)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장치임을 알 수 있고, 상기 프린터(1)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기 위한 잉크를 저장하는 내부가 투시가능한 잉크저장통(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잉크저장통(40)은 내부에 외부와 연락하는 소정 크기의 저장공간(41)을 형성하여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하고 있고, 그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겸용 걸개용 고리(42)를 통해 스탠드(S)에 걸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S)는 높이 조절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기존의 잉크저장통은 통상 상기 스탠드(S)에 마련된 받침판을 통해 볼트 체결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잉크저장통(40)은 걸개용 고리(42)를 형성하여 상기 스탠드(S)에 대한 탈착을 편리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41)이 외부와 연락하는 상기 잉크저장통(40)의 부위 즉, 주둥이 부위(43)에는 외부와 연락하는 구멍을 갖는 캡(44)이 나사 결합되어 있고, 잉크저장통(40)의 외면에는 눈금을 표시하여 잉크량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잉크저장통(40)의 저장공간(41)에는 다수개의 완충판들(45a∼45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판들(45a∼45d)은 상기 저장공간(41)의 내측으로 그 길이를 따라 서로 교호로 경사지게 다수개로 연장 돌설되어 잉크 주입시 그 낙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캡(44)이 열려진 상기 주둥이 부위(43)를 통해 주입되는 잉크는 상기 완충판들(45a∼45d)을 따라 지그 제그로 유동하며 상기 저장공간(41)에 저장되는데, 이때 잉크의 낙하 길이가 상기 완충판들(45a∼45d)에 의해서 짧아지고, 이로 인해 낙하 충격이 상당히 완충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공간 (41)에는 거품이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판들(45a∼45d)은 잉크가 상기 저장공간(41)의 바닥으로 직접 낙하하지 않도록 "ㄴ"자 모양으로 형성됨이 좋고, 그 수는 증감될 수 있다. 참조부호(46)은 바닥으로 부터 상기 저장공간 (41)으로 수직 돌설되어 상기 완충판들(45a∼45d)을 따라 유동하는 잉크의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판을 나타낸 것으로, 잉크는 그 하부에 형성되는 절단부(46a)를 통해 배출구(47)로 유동한다.
상기 배출구(47)는 상기 잉크저장통(40)의 일측 외면에 상기 저장공간(41)과 연락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판(46)을 통해 유입되는 잉크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구(47)를 통해 배출되는 잉크는 하기의 잉크 카트리지부(도면부호를 부기하지 않음)로 유입되며, 참조부호(48)은 상기 배출구(47)에 끼워지는 고무마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부는 프린터(1)에 탑재되어 상기 잉크저장통(40)으로 부터의 잉크를 상기 프린터(1)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잉크 카트리지부는 잉크 이송관(10)과 잉크통체(20)로 대별된다.
설명하면, 상기 잉크 이송관(10)은 양측에 바늘(11a,11b)을 갖고 그 일측이 상기 잉크저장통(40)의 배출구(47)에 삽탈되게 연결되어 상기 잉크저장통(40)의 잉크를 상기 잉크통체(20)에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타측에는 고무패킹을 설치하여 상기 잉크통체(20)에 수밀하게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일측에는 소켓(1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소켓(13)은 바늘 (11a)을 위요하도록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일측에 분리되게 결합되는데, 상기 배출구(47)에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바늘(11a)이 적합하게 결합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배출구(47)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들(4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47)와 결합되는 상기 소켓(13)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들(47a)과 대응하여 끼워지는 홈들(1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소켓(13)은 상기 돌기들 (47a)과 홈들(13a)이 서로 끼워져야만 상기 배출구(47)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바늘(11a)이 상기 배출구(47)에 적합하게 결합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소켓(13)은 외부로 부터 상기 바늘(11a)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아울러 바늘(11a)에 사람이 찔리지 않도록 방호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중간에는 제2필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필터(14)는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타측과 인접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필터(14)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잉크 이송관(10)에 결합되며, 상기 잉크통체(20)로 주입되는 상기 잉크저장통(40)으로 부터의 잉크를 깨끗하게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잉크통체(20)는 상기 잉크 이송관(10)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잉크저장통(40)으로 부터의 잉크를 일시 수용하여 상기 프린터(1)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잉크통체(20)는 내부가 투시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잉크통체 (20)는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21)을 형성하여 상기 잉크 이송관(10)을 통해 이송되는 잉크를 수용하고 있고, 상단면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21)과 연락하는 주입공(22)을 형성하여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타측과 수밀하게 결합하고 있다. 상기 수용공간(21)은 격벽들(23)을 통해 다수개로 구획 분할되는데, 상기 격벽들(23)의 끝단에 형성되는 절단부(24)를 통해 서로 연락하도록 분할된다. 이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되는 잉크는 상기 격벽들(23)에 의해서 그 출렁거림이 최소화된다.
상기 잉크통체(20)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21)과 연락하는 잉크공급유(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공급유로(25)는 관 모양을 이루어 상기 수용공간(21)이 상기 잉크통체(20)의 내외부를 연락하게 한다. 상기 잉크공급유로(25)에는 상기 프린터(1)에 내설되는 바늘(1a)을 꼽아 지지하기 위한 고무마개(26)가 삽입되며, 이 때문에 상기 잉크공급유로(25)는 직선 형태를 뛴다. 참조부호(27)은 상기 배출유로(25)에 삽입된 상기 고무마개(2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잉크통체(20)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방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잉크공급유로(25)는 상기 수용공간(2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유로(28)와 연락하고 있다. 상기 잉크공급유로(25)와 인접하는 상기 수용공간(21)의 일측은 그 잉크공급유로(25)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처리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유로(28)는 이 수용공간(21)의 일측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유로(28)는 상기 수용공간(21)의 일측를 따라 덧 설치되는 경사판의 사이에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유로(28)의 끝단에는 상기 수용공간(21)의 외측으로 홈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잉크통체(20)의 일면은 분리되게 형성되고, 이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21)의 일면 또한 개방되는데, 이 개방되는 상기 수용공간(21)의 일면에는 바람직하게, 비닐지와 같은 수지막(V)이 설치된다. 상기 수지막(V)은 상기 수용공간 (21)을 밀폐하게 설치되며 자체에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되는 잉크가 출렁거릴 시 완충 역할을 한다.
상기 잉크통체(20)가 프린터(1)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 이송관(10)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잉크저장통(40)으로 부터의 잉크는 상기 격벽들(23)의 절단부 (24)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되며, 상기 홈부(29)에 모아진 상태에서 상기 경사유로(28)와 잉크공급유로(25)를 따라 상기 잉크공급유로(25)에 고무마개 (26)의 지지를 받으며 꼽아진 바늘(1a)을 통해 상기 프린터(1)로 공급된다.
상기 잉크통체(20)의 수용공간(21)의 내부에는 잉크량 조절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잉크량 조절부(30)는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바늘(11b)을 위요(圍繞)하며 상기 잉크통체(20)의 수용공간(21)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관(31)과, 이 가이드관(31)의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되는 잉크의 부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잉크 이송관(10)의 바늘(11b)을 개폐하는 부구(浮具;32)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되는 잉크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도4 및 도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통체(20)의 수용공간(21)에 수용된 잉크가 소모됨에 따라 상기 부구(32)가 상기 가이드관(31)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바늘(11b)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21)에는 그 소모된 량 만큼 잉크가 충전되며, 잉크가 충전되는 동안 그 수위를 따라 상기 부구(32)가 상기 가이드관(31)을 따라 상승하여 일정 수위가 되면 상기 바늘(11b)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 (21)에 충전되는 잉크는 항상 일정 수위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상기 잉크통체(20)에서 상기 프린터(1)로 공급되는 잉크의 유속과 압력은 일정하게 되어 인쇄 품질을 크게 향상 시킨다.
또한 상기 잉크통체(20)의 수용공간(21)에는 제1필터(50)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필터(50)는 상기 잉크공급유로(25)와 이웃한 격벽(23)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필터(50)는 상기 격벽(23)의 일면과 상기 수용공간(21)의 내면으로 부터 서로 대응하게 돌출 형성되는 끼움홈을 갖는 지지대(51a,51b)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격벽(23)의 절단부(24)를 통해 이동하는 잉크를 깨끗하게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상기 프린터(1)의 인쇄 품질은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잉크통체(20)의 수용공간(21)과 상기 잉크저장통(40)과의 사이에는 잉크 회수관(60)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잉크 회수관(60)은 상기 잉크량 조절부(30)와 인접하게 상기 잉크통체(20)로 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잉크 회수관(60)은 상기 잉크량 조절부(30)의 오작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잉크통체(20)의 수용공간(21)에 과충전되는 잉크를 회수하여 상기 잉크저장통(40)으로 회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잉크 회수관(60)은 상기 수용공간(21)에 잉크를 충전할 때 잉크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21)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잉크저장통(40)으로 배출하는 역할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프린터에 잉크를 연속 공급하되 필터링하여 공급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잉크의 과충전시 이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의 남용을 방지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프린터에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통의 내부에 다수개의 완충판들을 설치하여 잉크 주입시 거품의 발생을 없게 함으로써 잉크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게 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잉크저장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잉크카트리지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4 및 도5는 잉크량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프린터 1a,11a,11b:잉크용 바늘
10:잉크 이송관 13:소켓
13a:홈 14:제2필터
20:잉크통체 21:수용공간
22주입공 23:격벽
24:절단부 25:배출유로
26,48:고무마개 27:고무마개 이탈용 방지판
28:경사유로 29:홈부
30:잉크량 조절부 31:가이드관
32:부구 40:잉크저장통
41:저장공간 42:걸개용 고리
43:주둥이 부위 44:캡
45:완충판 47:배출구
47a:돌기 50:제1필터
51a,51b:지지대 60:잉크 회수관

Claims (3)

  1.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외부와 연락하는 소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걸개용 고리를 갖는 통체를 이루어 상기 프린터에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공간이 외부와 연락하는 부위에는 캡이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그 내측으로 길이를 따라 서로 교호로 경사지게 다수개로 돌설되어 잉크 주입시 그 낙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판들이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 외면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락하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는 잉크저장통;
    양측에 바늘을 갖고 그 일측이 상기 잉크저장통의 배출구에 삽탈되게 연결되어 상기 잉크저장통의 잉크를 이송하는 잉크 이송관과, 이 잉크 이송관의 타측과 탈착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들을 통해 다수개로 구획 분할되되 수지막으로 밀폐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잉크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잉크를 수용함과 아울러 일측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락하는 잉크공급유로를 형성하여 그 잉크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잉크를 상기 프린터에 연속 공급하는 잉크통체로 이루어진 잉크 카트리지부;
    상기 잉크 이송관의 바늘을 위요(圍繞)하며 상기 잉크통체의 수용공간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관과, 이 가이드관의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잉크의 부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잉크 이송관의 바늘을 개폐하는 부구(浮具)로 이루어진 잉크량 조절부;
    상기 잉크통체의 잉크공급유로와 이웃하는 격벽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프린터로 공급되는 잉크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 및
    상기 잉크통체의 수용공간과 상기 잉크저장통과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잉크통체의 수용공간에 과충전되는 잉크를 회수하여 상기 잉크저장통로 회송하는 잉크 회수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이송관의 중간에는 상기 잉크저장통으로 부터 잉크통체로 이동하는 잉크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가 분리되게 더 설치되고, 상기 잉크 이송관의 일측에는 상기 잉크저장통의 배출구와 대응하여 그 결합을 적합하게 안내하는 소켓이 분리되게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통체의 잉크공급유로는 상기 수용공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유로와 연결되고, 이 경사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홈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20-2004-0036719U 2004-12-24 2004-12-24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200378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719U KR200378368Y1 (ko) 2004-12-24 2004-12-24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719U KR200378368Y1 (ko) 2004-12-24 2004-12-24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629A Division KR100672962B1 (ko) 2004-12-24 2004-12-24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368Y1 true KR200378368Y1 (ko) 2005-03-16

Family

ID=4368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719U KR200378368Y1 (ko) 2004-12-24 2004-12-24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36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849B1 (ko) 2006-08-09 2007-12-14 (주)나이테산기개발 대용량 잉크 공급장치
KR200463175Y1 (ko) 2012-05-11 2012-10-24 (주)에프앤비즈 프린터의 잉크 공급장치
KR102300784B1 (ko) 2021-03-03 2021-09-09 임정근 프린터용 잉크리필 공급장치
KR102300783B1 (ko) 2021-03-03 2021-09-09 곽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프린터용 잉크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849B1 (ko) 2006-08-09 2007-12-14 (주)나이테산기개발 대용량 잉크 공급장치
KR200463175Y1 (ko) 2012-05-11 2012-10-24 (주)에프앤비즈 프린터의 잉크 공급장치
KR102300784B1 (ko) 2021-03-03 2021-09-09 임정근 프린터용 잉크리필 공급장치
KR102300783B1 (ko) 2021-03-03 2021-09-09 곽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프린터용 잉크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5044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supply apparatus
US5629727A (en) Continuous ink refill system for disposable ink jet cartridges having a predetermined ink capacity
TWI427001B (zh) 附屬裝置系統及安裝其之方法
EP1570995A1 (en) Ink cartridges and methods of filling ink cartridges
US6347863B1 (en) Ink cap
JP2005193688A (ja) 流体タンク用内部通気構造
EP4098450A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tank
JP3363052B2 (ja) インク供給装置及びインク充填方法
JP4879463B2 (ja) インク充填方法
KR200378368Y1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100672962B1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20070116933A (ko) 액체 용기
KR20130111766A (ko) 잉크 리필 장치
JPH06210865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の使用方法
KR101442631B1 (ko) 프린터의 무한 잉크공급기
KR100830667B1 (ko)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충전방법
CN210792089U (zh) 3d喷墨打印用材料储存容器及3d喷墨打印装置
US7328986B2 (en) Inkjet printer ink cartridge
KR100784849B1 (ko) 대용량 잉크 공급장치
KR20090030405A (ko) 수동펌프용 잉크 충전장치
KR100995377B1 (ko) 프린터용 잉크공급장치
KR100471659B1 (ko) 프린터용 잉크 충진장치
CN117207676B (zh) 一种新型连供墨盒
KR101174295B1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200358768Y1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