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293Y1 - 드럼세탁기용 드럼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용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293Y1
KR200378293Y1 KR20-2004-0035777U KR20040035777U KR200378293Y1 KR 200378293 Y1 KR200378293 Y1 KR 200378293Y1 KR 20040035777 U KR20040035777 U KR 20040035777U KR 200378293 Y1 KR200378293 Y1 KR 200378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aundry
washing machine
washing tank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오
Original Assignee
고창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창오 filed Critical 고창오
Priority to KR20-2004-0035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세탁기용 드럼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원통형의 세탁조(50) 내부에 투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후방에 형성된 드럼회전축(40)을 세탁조(50) 내측의 축지지부(50a)로 배출하여 세탁조(50) 하부에 설치된 모터(60)에 의해 구동 가능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하고, 내부에는 다수의 리프터(30)를 형성한 공지의 드럼세탁기용 드럼(10)에 있어서, 리프터(30)는 드럼(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바깥쪽은 높고 안쪽은 낮게 하여 직선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드럼세탁기의 세탁시 리프터가 세탁물을 드럼의 안쪽으로 점차적으로 이동시켜 드럼의 회전시에 세탁물의 불평형 질량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드럼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용 드럼{DRUM FOR DRUM WASHER}
본 고안은 드럼세탁기용 드럼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을 위해서 드럼이 회전할 때 드럼 내부에 담겨진 세탁물이 드럼축이 위치한 드럼 안쪽으로 모여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럼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 드럼세탁기용 드럼에 관한 것이다.
드럼 세탁기는 세탁조가 되는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계된 세탁기로서, 주로 유럽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업소용이나 산업용의 중·대형 세탁기에 많이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일반적인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서 물의 사용량이 적고 삶는 기능과 뛰어난 건조 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며, 세탁물이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세탁물의 마모가 적은 장점 등으로 인해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드럼세탁기는 일반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서 소음과 진동 현상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드럼세탁기의 구조상 세탁조가 되는 드럼이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드럼회전축을 드럼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하고, 그 회전축을 모터와 직접 연결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드럼은 실질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드럼회전축 부분에서 지지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태에서의 고속 회전시에는 큰 소음과 진동 발생은 없으나, 드럼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게 되면, 세탁물에 의한 불평형 질량이 원인이 되어 드럼의 회전시에 불평형 질량에 의한 원심력이 진동 발생을 가중시키고, 그로 인해 소음 현상도 더욱 심각해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드럼의 평행을 잡기 위해서 액체밸런서 등을 사용하지만, 비중이 1인 물을 사용하는 관계로 드럼 내의 불평형 질량을 상쇄하기 위한 충분한 액체를 적용하기가 곤란하며, 액체밸런서의 작용에 의해서 드럼의 평형을 잡기 위해서는 드럼의 무게 중심과 회전중심이 어긋날 수 밖에 없으므로 액체 밸런서만으로는 드럼의 진동을 완벽하게 저감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드럼의 내부에 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리프터를 형성하여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가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드럼의 안쪽으로 이동시켜 세탁물에 의한 불평형 질량을 최소화하여 드럼의 회전시에 드럼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원통형의 세탁조(50) 내부에 투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후방에 형성된 드럼회전축(40)을 세탁조(50) 내측의 축지지부(50a)로 배출하여 세탁조(50) 하부에 설치된 모터(60)에 의해 구동 가능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하고, 내부에는 다수의 리프터(30)를 형성한 공지의 드럼세탁기용 드럼(10)에 있어서,
리프터(30)는 드럼(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바깥쪽은 높고 안쪽은 낮게 하여 직선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드럼(1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원통형으로 된 드럼(10)의 일측면에는 드럼회전축(40)이 드럼(10)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드럼(10)의 주벽에는 다수의 통공(20)을 형성하여 세탁수의 소통이 원활하게 하고, 그 내주면에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된 다수의 리프터(30)를 형성하여 드럼(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드럼(10) 내부의 세탁물을 위로 끌어 올려 세탁물이 자연 낙하 하도록 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리프터(30)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바깥쪽은 높고 안쪽은 낮게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리프터(30)의 형상은 드럼(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드럼(10) 내부에 세탁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드럼(10)이 회전 하면 리프터(30)에 의해 드럼(10)의 회전 방향으로 끌어 올려지던 세탁물이 경사진 드럼(10)을 따라서 흘러 내리면서 드럼(10)의 안쪽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세탁을 위해 드럼(10)이 회전하면 드럼(10) 내부의 세탁물이 드럼(10)에 일체로 형성된 드럼회전축(40)쪽으로 떨어지면서 세탁이 이루어지며, 탈수 과정에서도 회전이 시작되면 세탁물들이 드럼회전축(40) 가까이에 몰려진 상태에서 탈수가 진행되기 때문에 세탁물에 의한 불평형 질량이 드럼(10)의 회전축 가까이로 몰리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드럼회전축(40)이 세탁조(50) 내측의 축지지부(50a)에 의해 지지되어 모터(60)에 의해 회전할 때, 드럼회전축(40)의 반대쪽에 위치한 드럼(10)의 바깥쪽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회전축(40)쪽으로 세탁물에 의한 무게가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드럼(10)의 바깥단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감소시켜 드럼(10)의 회전 진동을 감소시키며, 그로 인하여 드럼(10)의 회전시에 작동소음도 현전히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리프터(30)는 바깥쪽은 높게, 안쪽은 낮게 형성하여 리프터(30)의 바깥쪽 표면적이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세탁물을 드럼(10)의 회전 방향으로 끌어 올릴때, 넓은 면적의 리프터(30) 바깥쪽이 세탁물을 쉽게 끌어올릴 수 있게되며, 세탁물이 떨어지는 리프터(30)의 안쪽은 표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세탁물이 쉽게 낙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 만 아니라, 리프터(30)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리프터(30)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세탁물이 한번에 드럼(10)의 안쪽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드럼(10)에 회전에 의해 리프터(30)에 의해 끌어올려져 낙하하는 과정을 몇 차례 반복하면서 세탁물의 위치가 점차적으로 드럼(10)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세탁물의 세탁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리프터(30)의 기울기는 특정 각도로 한정하지 않으며, 바깥쪽은 높고 안쪽은 낮게 형성되는 리프터(30)의 높이에 있어서도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이 드럼(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드럼(10) 내부의 세탁물을 드럼(1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리프터(30)의 형상을 직선으로 표현하였으나, 리프터(30)의 형상은 드럼(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완만한 곡선 형태로 형성하더라도 상기한 직선형의 리프터(3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드럼세탁기용 드럼의 리프터에 높이와 각도의 변화를 부여하여 드럼세탁기의 세탁시 리프터가 세탁물을 드럼의 안쪽으로 점차적으로 이동시켜 드럼의 회전시에 세탁물의 불평형 질량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드럼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드럼 20 : 통공
30 : 리프터 40 : 드럼회전축
50 : 세탁조 60 : 모터

Claims (2)

  1.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원통형의 세탁조(50) 내부에 투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후방에 형성된 드럼회전축(40)을 세탁조(50) 내측의 축지지부(50a)로 배출하여 세탁조(50) 하부에 설치된 모터(60)에 의해 구동 가능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하고, 내부에는 다수의 리프터(30)를 형성한 공지의 드럼세탁기용 드럼(10)에 있어서,
    리프터(30)는 드럼(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바깥쪽은 높고 안쪽은 낮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드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프터(30)는 곡선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드럼
KR20-2004-0035777U 2004-12-16 2004-12-16 드럼세탁기용 드럼 KR200378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77U KR200378293Y1 (ko) 2004-12-16 2004-12-16 드럼세탁기용 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77U KR200378293Y1 (ko) 2004-12-16 2004-12-16 드럼세탁기용 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293Y1 true KR200378293Y1 (ko) 2005-03-14

Family

ID=4367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777U KR200378293Y1 (ko) 2004-12-16 2004-12-16 드럼세탁기용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2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3887A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vanes
KR100513033B1 (ko) 하부 발란서가 구비된 세탁기
US7661203B2 (en) Basket for washing machine, washer-dryer, and the like
JP2012055349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104278474A (zh) 滚筒式洗衣机
KR100219267B1 (ko) 드럼식 세탁기
KR200378293Y1 (ko) 드럼세탁기용 드럼
KR20050087342A (ko) 펄세이터를 구비한 경사형 드럼세탁기 및 세탁방법
KR19990085008A (ko) 드럼 세탁기의 진동 감소 장치
JP437926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50006328A (ko) 드럼세탁기
JP2000014985A (ja) 補助水タンクを備えたドラム式洗濯機及びそれを用いた洗濯方法
KR100627905B1 (ko) 드럼 세탁기의 리프터
KR0116133Y1 (ko) 세탁기
JP430112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219819Y1 (ko) 세탁조 외부날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_
KR100423981B1 (ko) 세탁기
KR20070075487A (ko) 직립식 세탁기의 탈수방법
KR100484275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장치
KR20010009545A (ko) 드럼세탁기의 회전조
KR20000007694U (ko) 드럼세탁기의 드럼
KR100215629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451858B1 (ko) 세탁기
JP2005192830A (ja) 洗濯機
KR101298005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