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150Y1 -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150Y1
KR200378150Y1 KR20-2004-0034558U KR20040034558U KR200378150Y1 KR 200378150 Y1 KR200378150 Y1 KR 200378150Y1 KR 20040034558 U KR20040034558 U KR 20040034558U KR 200378150 Y1 KR200378150 Y1 KR 200378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proof
door
fixing
soundproof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현
Original Assignee
오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현 filed Critical 오수현
Priority to KR20-2004-0034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solid sealing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용 골재의 결착공간에 방음ㆍ방풍용 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능을 갖추어서, 실내 바닥에 맞추어 방음ㆍ방풍용 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출입문에 설치하는 데 따른 편의성을 제고하여 주는 동시에, 사용중인 출입문이 상태에 따라 방음ㆍ방풍용 부재의 높낮이를 간단히 변경시켜서 보수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는 사방이 막혀진 하단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지며 내부에 결착공간(A)이 형성되는 고정용 골재(10)와,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결착공간(A)에 상단이 끼워져서 결착되며 하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방음ㆍ방풍용 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골재(10)는 그 춤이 높은 결착공간(A) 내의 양측에 상하방향의 등간격마다 2개를 1개조로 하여 서로 마주하는 양측 구획돌기(12)들로서 구획된 복수개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들을 더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Soundproof and windproof implement for door}
본 고안은 출입문의 하단과 실내 바닥 사이의 틈새를 막아서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 또는 냉,온기를 차단하여 주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출입문은 그 출입문의 하단을 실내 바닥과 이격시켜서 원할히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되는 바, 이러한 출입문의 하단과 실내 바닥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거주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냉,온기가 실내로 유입되어서 냉,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서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가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의 하나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269630호(2002. 03. 13일 등록)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판체(2)의 일방향으로 구비된 판체(2) 일측면에 양면접착테이프(3)가 부착되고, 상기 판체(2) 하부에는 타측으로 돌출된 바닥면에 슬라이드 홈부(4)가 수직판체(2)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홈부(4)에 기모층(6)이 부착된 슬라이드포(5)가 슬라이드 홈부(4)에 삽입 슬라이드 작용으로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강화도어(10)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용 방풍패드가 선출원 등록공고되어 있다.
이러한 강화도어용 방풍패드는 수직판체(2)의 일측면에 양면접착테이프(3)를 부착하고, 그 수직판체(2)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부(4)에 기모층(6)이 부착된 슬라이드포(5)를 분리 체결할 수 있게 한 구성으로, 강화도어(10)의 하단과 실내 바닥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도록 설치되어서, 그 틈새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 또는 냉,온기를 차단하여서 거주자의 불편을 해소하여 주면서도 냉,난방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강화도어용 방풍패드는 슬라이드 홈부(4)에 기모층(6)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결착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모층(6)이 실내 바닥에 정확히 대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면접착테이프(3)가 부착된 수직판체(2)로서 높낮이를 맞추어 강화도어(10)의 하부에 고정시키게 되므로, 작업자가 방풍패드를 강화도어(10)에 설치할 때에 세심한 주의와 노력을 기우려야 하는 부담을 감수하게 되었다. 더욱이, 사용중인 강화도어(10)이 뒤틀림이나 처짐 등의 변형에 의하여 상하로 위치 변동됨에 따라 기모층(6)이 실내 바닥에 정확히 대접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격되거나 심하게 눌려져서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강화도어(10)의 하부에 양면접착테이프(3)로서 고정된 수직판체(2)를 떼어내고, 수직판체(2)의 양면접착테이프(3)를 새로 교환한 후에, 그 수직판체(2)를 강화도어(10)의 하부에 높낮이를 맞추어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보수하게 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고정용 골재의 결착공간에 방음ㆍ방풍용 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능을 갖추어서, 첫째 실내 바닥에 맞추어 방음ㆍ방풍용 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출입문에 설치하는 데 따른 편의성을 제고하여 주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사용중인 출입문이 상태에 따라 방음ㆍ방풍용 부재의 높낮이를 간단히 변경시켜서 보수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도 사방이 막혀진 하단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지며 내부에 결착공간(A)이 형성되는 고정용 골재(10)와,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결착공간(A)에 상단이 끼워져서 결착되며 하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방음ㆍ방풍용 부재(20)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고안의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골재(10)는 그 춤이 높은 결착공간(A) 내의 양측에 상하방향의 등간격마다 2개를 1개조로 하여 서로 마주하는 양측 구획돌기(12)들로서 구획된 복수개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들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정용 골재(10)의 결착공간(A) 내에 양측 구획돌기(12)들로서 구획된 복수개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들을 통하여 방음ㆍ방풍용 부재(20)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끼워서 그 방음ㆍ방풍 부재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첫째 해당 높이조절용 결착홈(13)에 방음ㆍ방풍용 부재(20)의 상단을 끼워서, 그 방음ㆍ방풍용 부재가 실내 바닥(3)에 대접되도록 높낮이를 맞출 수 있게 하여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켜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사용중인 출입문(2)이 뒤틀림이나 처짐 등의 변형에 의하여 상하로 위치 변동이 발생된 경우에, 방음ㆍ방풍용 부재(20)의 상단을 높이조절용 결착홈(13)에 바꿔 끼우는 단순작업으로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서, 유지 관리가 용이한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용 골재(10)는 출입문(2)의 하단에 고정되어서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를 지탱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그리고, 고정용 골재(10)는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춤이 높은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하단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진 몸통(11)의 내부에 결착공간(A)이 형성되도록 하되, 그 결착공간(A) 내의 몸통(11) 양측면에 상하방향의 등간격마다 2개를 1개조로 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양측 구획돌기(12)들로서 복수개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들이 구획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결착공간(A)에 구획된 높이조절용 결착홈(13)들을 통하여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끼워서 그 방음ㆍ방풍 부재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용 골재(10)는 그 몸통(11) 외면의 어느 일측 상단부 근처에 수평하게 연장된 끝단이 상향 절곡되는 꺾임날개판(14)을 형성하여 두고, 그 꺾임날개판(14)의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영구자석(M)을 삽입 설치하여서,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꺾임날개판(14)에 삽입 설치된 영구자석(M)으로서 철제 출입문(2)의 하단에 간단히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는 출입문(2)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용 골재(10)에 결착되어서, 출입문(2)과 실내 바닥(3)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구성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는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유연성의 고무를 소재로 하여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에 상응하는 폭으로서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끼움판(21)과, 그 끼움판(21)의 하면 중앙에 일체로서 하향 연장되는 막이판(22)으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음ㆍ방풍용 부재(20)는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에 끼움판(21)을 끼우면 막이판(22)이 실내 바닥(3)에 대접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되어서, 출입문(2)과 실내 바닥(3) 사이의 틈새를 확실하게 막아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의 막이판(22)에는 그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등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절개홈(22a)들을 형성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절개홈(22a)들은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의 막이판(22)을 간단히 절단 제거할 수 있게 하여서, 그 막이판(22)이 실내 바닥(3)에 정확히 대접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는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띠판(23)의 하면에 모헤어(24)를 식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방음ㆍ방풍용 부재(20)는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에 띠판(23)을 끼우면 모헤어(24)가 실내 바닥(3)에 대접된 상태로, 출입문(2)과 실내 바닥(3) 사이의 틈새를 확실하게 막아 주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정용 골재(10)는 그 몸통(11)의 상부 양단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양측 수직고정판(15)들을 형성하고, 그 몸통(11)의 하부 양단에는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는 양측 수평대접판(16)들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2) 하단의 요입홈(2a)에 양측 수직고정판(15)과 함께 몸통(11)을 삽입시키고, 그 출입문(2) 하단의 요입홈(2a) 주변에 양측 수평대접판(16)이 맞대어지도록 고정시켜서, 출입문(2)의 하단에 상기 고정용 골재(10)를 매립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몸통(11)과 양측 수직고정판(15)들의 외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5a)(16a)들을 가져서, 출입문(2) 하단의 요입홈(2a)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용 골재(10)가 견고히 결착되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양측 수직고정판(15)들 사이의 몸통(11) 상면 중앙에 나사고정홈(17)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두고, 그 몸통(11)의 양단에 각각 나사고정홈(17)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18a)로서 각각 양측 마구리판(18)들을 착설하여서, 출입문(2) 하단의 요입홈(2a)에 삽입되어서 개방된 고정용 골재(10)의 몸통(11) 양단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양측 수직고정판(15)들의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영구자석(M)을 삽입하여서, 철제 출입문(2) 하단의 요입홈(2a)에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삽입하여서 설치할 때에, 영구자석(M)의 자력에 의하여 더욱 견실하게 고정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는 고정용 골재의 결착공간 내에 양측 구획돌기들로서 구획된 복수개의 높이조절용 결착홈들을 통하여 방음ㆍ방풍용 부재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끼워서 그 방음ㆍ방풍 부재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출입문에 설치할 때에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켜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상태에 따라 단순작업으로 보수할 수 있게 하여서 유지 관리가 용이한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의 단면도
도 6a, 도 6b는 본 고안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의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9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용 골재 A: 결착공간 11: 몸통
12: 양측 구획돌기 13: 높이조절용 결착홈 14: 꺾임날개판
M: 영구자석 15: 양측 수직고정판 16: 양측 수평대접판
17: 나사고정홈 18: 양측 마구리판 20: 방음ㆍ방풍용 부재
21: 끼움판 22: 막이판 22a: 절개홈
23: 띠판 24: 모헤어

Claims (7)

  1. 사방이 막혀진 하단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트여지며 내부에 결착공간(A)이 형성되는 고정용 골재(10)와,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결착공간(A)에 상단이 끼워져서 결착되며 하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방음ㆍ방풍용 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골재(10)는 그 춤이 높은 결착공간(A) 내의 양측에 상하방향의 등간격마다 2개를 1개조로 하여 서로 마주하는 양측 구획돌기(12)들로서 구획된 복수개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들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골재(10)는 그 몸통(11) 외면의 어느 일측 상단부 근처에 수평하게 연장된 끝단이 상향 절곡되는 꺾임날개판(14)을 형성하여 두고, 그 꺾임날개판(14)의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영구자석(M)을 삽입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는 유연성의 고무를 소재로 하여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높이조절용 결착홈(13)에 상응하는 폭으로서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끼움판(21)과, 그 끼움판(21)의 하면 중앙에 일체로서 하향 연장되는 막이판(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ㆍ방풍용 부재(20)의 막이판(22)에는 그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등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절개홈(22a)들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골재(10)는 그 몸통(11)의 상부 양단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양측 수직고정판(15)들을 형성하고, 그 몸통(11)의 하부 양단에는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는 양측 수평대접판(16)들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몸통(11)과 양측 수직고정판(15)들의 외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5a)(16a)들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골재(10)의 양측 수직고정판(15)들 사이의 몸통(11) 상면 중앙에 나사고정홈(17)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두고, 그 몸통(11)의 양단에 각각 나사고정홈(17)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18a)로서 각각 양측 마구리판(18)들을 착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KR20-2004-0034558U 2004-12-06 2004-12-06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KR200378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58U KR200378150Y1 (ko) 2004-12-06 2004-12-06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58U KR200378150Y1 (ko) 2004-12-06 2004-12-06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150Y1 true KR200378150Y1 (ko) 2005-03-11

Family

ID=4367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558U KR200378150Y1 (ko) 2004-12-06 2004-12-06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1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99B1 (ko) * 2009-11-27 2012-05-09 최중경 문의 틈새커버
KR200461769Y1 (ko) 2009-09-29 2012-08-06 주식회사 건일자동문 자동문용 방풍장치
KR20220145658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도어용 방음방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69Y1 (ko) 2009-09-29 2012-08-06 주식회사 건일자동문 자동문용 방풍장치
KR101143699B1 (ko) * 2009-11-27 2012-05-09 최중경 문의 틈새커버
KR20220145658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도어용 방음방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26553A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69262B1 (ko) 슬라이딩 높이 조절 창
RU2410512C2 (ru) Блок оконной или дверной рамы и узел блока оконного или дверного проема с рольставнем
US4335550A (en) Prime window unit installation system
RU2621246C2 (ru) Окно, имеющее сменное средство сопря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308262A (en) Ventilator
KR20080027581A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200378150Y1 (ko)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EP0343011A2 (en) Ventilated window/door structure
GB2194038A (en) Window vent
US2780283A (en) Skylight construction
KR20140128127A (ko) 창틀 보조용 덧창
JP2007126913A (ja) 二重窓枠
RU12069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29053B1 (ko) 창문 구조물
US5746654A (en) Ventilator
EP2157272A2 (en) Frame for a window, door or the like
KR100634877B1 (ko) 건축물 창문틀 받침판 구조
JP2001182259A (ja) 構造物躯体カバーの隙間塞ぎ構造及びその塞ぎ材
KR200411545Y1 (ko) 건축물용 공기 순환장치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CN217923173U (zh) 一种市政工程用的桥梁隔音结构
KR20130110284A (ko) 창호용 필링 피스
JPS6227665Y2 (ko)
JP2024056354A (ja) 改装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