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69Y1 - 자동문용 방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문용 방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69Y1
KR200461769Y1 KR2020090012736U KR20090012736U KR200461769Y1 KR 200461769 Y1 KR200461769 Y1 KR 200461769Y1 KR 2020090012736 U KR2020090012736 U KR 2020090012736U KR 20090012736 U KR20090012736 U KR 20090012736U KR 200461769 Y1 KR200461769 Y1 KR 200461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main body
sliding
door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389U (ko
Inventor
노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일자동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일자동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일자동문
Priority to KR2020090012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6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문의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 또는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킴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제품만으로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와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로 사용자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문용 방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는, 슬라이딩도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양단에 측판이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와,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시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2 틈새폐쇄용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틈새폐쇄용 패드는 상기 본체로부터 절취가능하도록 절취홈이 형성된다.
자동문, 방풍장치, 슬라이딩도어, 본체, 결합홈, 틈새폐쇄용 패드, 절취홈

Description

자동문용 방풍장치{WINDPROOF APPARATUS FOR AUTOMATIC DOOR}
본 고안은 자동문용 방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문의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 또는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킴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키는 자동문용 방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사, 상가, 교육시설, 관공서, 백화점 등을 비롯한 건물이나 공공시설물 내에는 사람의 출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출입하는 사람에 의한 버튼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이 많이 설치되는데, 도 1에는 일반적인 자동문의 개략구조도가 도시된다.
자동문(100)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출입구에 설치되는 자동문프레임(110)과, 출입구의 상측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121)이 구비되는 상부설치프레임(120)과, 상부설치프레임(120) 상의 일측에 설치되고 감지센서의 신호 또는 버튼 조작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구동모터(130)와, 구동모터(130)에 전동연결되는 감속기(131)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구동풀리(140)와, 구동풀리(140)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상부설치프레임(120) 상에 설치되는 종동풀리(150)와, 구동풀리(140) 및 종동풀리(150)를 구동연결하는 타이밍벨트(160)와, 타이밍벨트(150)의 소정의 부위에 고정되는 도어행거(170)와, 상기 도어행거(17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에 고정되며 슬라이딩도어(180)의 좌우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도어(180)가 선택적으로 겹쳐지는 고정도어(19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슬라이딩도어(180)는 도어행거(170)에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도어프레임(181)의 하부에 강화유리패널(183)이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고정도어(190)는 자동문프레임(110)에 일체로 고정되는 강화유리패널로 형성된다.
자동문(100)은 출입구의 크기에 따라 1개의 슬라이딩도어(180)가 일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면서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단일슬라이딩도어형으로 설치되기도 하고, 2개의 슬라이딩도어(180)가 동시에 양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면서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2-슬라이딩도어형으로 설치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슬라이딩도어가 다단을 겹쳐지면서 슬라이딩이동됨에 따라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다중슬라이딩도어형으로도 설치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자동문(100)의 경우 슬라이딩도어(180)의 좌우 슬라이딩이동을 위해 슬라이딩도어(180)의 강화유리패널(183)과 고정도어(190)를 둘러싸는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에 틈이 필수적으로 형성되기 마련이고, 2-슬라이딩도어형의 경우에 는 도어프레임(181)와 강화유리패널(183)의 결합구성상 강화유리패널(183)의 폭이 도어프레임(181)을 폭보다 약간 좁을 수 밖에 없고 특히 구동모터(130)의 노후로 인한 오작동시 슬라이딩도어(180)의 상호충돌에 의한 강화유리패널(18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슬라이딩도어(180)의 강화유리패널(183) 사이에 틈이 필수적으로 발생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 및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오염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실내공기가 오염됨은 물론 실외소음이 실내로 전달됨에 따라 조용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여름철에는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 및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냉방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됨과 동시에 더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고 겨울철에는 난방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됨과 동시에 차가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실내냉난방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에너지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도어(180)의 강화유리패널(183)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도어(180)의 폐쇄시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킴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문용 방풍장치와, 양측 슬라이딩도어(180)의 강화유리패널(183)에 각각 대향되게 결합되어 양측 슬라이딩도어(180)의 폐쇄시 양측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킴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 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문용 방풍장치가 각각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자동문용 방풍장치는 통상적으로 슬라이딩도어(180)의 강화유리패널(183)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라이딩도어(180)의 폐쇄시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 또는 양측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용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는 출입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는 출입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자동문용 방풍장치를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자동문용 방풍장치를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는 없는 바, 사용자가 그 용도에 따라 별도로 각각의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문의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 또는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킴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문용 방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제품만으로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와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로사용자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문용 방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이딩도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양단에 측판이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와,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시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2 틈새폐쇄용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문용 방풍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측면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본체의 결합홈 내에 압입결합되도록 상기 측판들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틈새폐쇄용 패드는 상기 본체로부터 절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취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틈새폐쇄용 패드는 상기 본체로부터 절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에 인접되는 일측의 두께가 타측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틈새폐쇄용 패드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중앙부분만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경질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틈새폐쇄용 패드는 연질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도어의 폐쇄시 제 1 틈새폐쇄용 패드에 의해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가 폐쇄될 수 있고 제 2 틈새폐쇄용 패드에 의해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가 폐쇄됨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실내공조효과 및 에너지효율이 증대되고 방음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에 의하면,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가 절취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의 전면측에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2 틈새폐쇄용 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를 원상 그대로 슬라이딩도어의 일측에 결합시키게 되면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킬 수 있고,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로부터 제 1 틈새폐쇄용 패드를 절취한 후 슬라이딩도어의 타측에 결합시키게 되면 제 2 틈새폐쇄용 패드에 의해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킬 수 있어, 하나의 제품만으로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와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로 사용자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a 및 도 3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는, 자동문의 슬라이딩도어(18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 또는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킴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효율을 증대키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18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홈(11)이 형성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3)의 양단에 측판(15)이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도어(180)의 폐쇄시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와, 본체(1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도어(180)의 폐쇄시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2 틈새폐쇄용 패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0)는 슬라이딩도어(18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슬라이딩도어(180)의 측면 가장자리부분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11)이 형성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3)의 양단에 측판(15)이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디귿(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본체(10)는 슬라이딩도어(180)의 측면 가장자리부분이 결합홈(11) 내에 압입결합됨에 따라 임의로 분리됨없이 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측판들(15)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는 슬라이딩도어(180)가 통상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점을 감안 하여 착탈시에 슬라이딩도어(180)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압입결합을 위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경질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일측에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가 구비되어 본체(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데, 이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180)의 폐쇄시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여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자동문프레임(110)과의 마찰에 대해 탄성변형되면서 그 틈새를 폐쇄할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본체(10)의 일측에 접착 또는 초음파융착 등에 의해 부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가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가 필요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가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측면돌출로 인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므로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를 제거하여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는 본체(10)로부터 절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인접부위에 절취홈(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취홈(21)는 V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는 본체(10)로부터 절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중앙선을 기준으로 본체(10)에 인접되는 일측의 두께가 타측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는 고정도어(190)가 구비되는 자동문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슬라이딩도어(180)가 본체프레임(110) 내로 슬라이딩되는 자동문의 경우에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가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될 수 있고, 다수의 슬라이딩도어(180)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출입구를 개폐하는 다중슬라이딩도어형 자동문의 경우에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가 슬라이딩도어들(180)의 단부사이의 상호 이격공간을 폐쇄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체(10)의 전면측에는 제 2 틈새폐쇄용 패드(30)가 구비되는데, 이 제 2 틈새폐쇄용 패드(3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180)의 폐쇄시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여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양 슬라이딩도어(180)의 폐쇄시 상호 밀착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양 슬라이딩도어(180)의 틈새를 폐쇄할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본체(10)의 전면측에 접착 또는 초음파융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제 2 틈새폐쇄용 패드(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양측부분이 중앙부분에 대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분만 본체(10)의 전면측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를 슬라이딩도어(180)의 일측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슬라이딩도어의 폐쇄시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에 의해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가 폐쇄됨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실내냉난방을 위한 에너지효율이 증대되고 방음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를 슬라이딩도어(180)의 타측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제 2 틈새폐쇄용 패드(30)에 의해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가 폐쇄됨에 따라, 오염된 실외공기나 실외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공조처리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실내냉난방을 위한 에너지효율이 증대되고 방음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는, 본체(10)의 일측에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가 절취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10)의 전면측에 제 2 틈새폐쇄용 패드(30)가 구비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를 원상 그대로 슬라이딩도어(180)의 일측에 결합시키게 되면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본체(10)로부터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를 절취한 후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1)를 슬라이딩도어(10)의 타측에 결합시키게 되면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제품만으로 슬라이딩도어(180)와 자동문프레 임(11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와 양 슬라이딩도어(180)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용도로 사용자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연질 합성수지로 제조된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에 본체(10)의 인접부위에 절취홈(21)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본체(10)에 인접되는 일측의 두께가 타측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됨에 따라, 제 1 틈새폐쇄용 패드(20)는 본체(10)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문의 개략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용 방풍장치
10 : 본체
11 : 결합홈
13 : 베이스플레이트
15 : 측판
20 : 제 1 틈새패쇄용 패드
30 : 제 2 틈새패쇄용 패드

Claims (6)

  1. 자동문의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도어와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 또는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키는 자동문용 방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양단에 측판이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자동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1 틈새폐쇄용 패드; 및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시 양 슬라이딩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제 2 틈새폐쇄용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틈새폐쇄용 패드는 상기 본체로부터 절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틈새폐쇄용 패드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중앙부분만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부착되는 자동문용 방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측면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본체의 결합홈 내에 압입결합되도록 상기 측판들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방풍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틈새폐쇄용 패드는 상기 본체로부터 절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에 인접되는 일측의 두께가 타측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방풍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경질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틈새폐쇄용 패드는 연질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방풍장치.
  5. 삭제
  6. 삭제
KR2020090012736U 2009-09-29 2009-09-29 자동문용 방풍장치 KR200461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36U KR200461769Y1 (ko) 2009-09-29 2009-09-29 자동문용 방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36U KR200461769Y1 (ko) 2009-09-29 2009-09-29 자동문용 방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389U KR20110003389U (ko) 2011-04-06
KR200461769Y1 true KR200461769Y1 (ko) 2012-08-06

Family

ID=4420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736U KR200461769Y1 (ko) 2009-09-29 2009-09-29 자동문용 방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640B1 (ko) 2013-12-30 2014-06-17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열차단 보강 자동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101Y1 (ko) 2000-08-30 2001-02-15 김도원 유리 도어의 측면 밀폐 구조
KR200378150Y1 (ko) 2004-12-06 2005-03-11 오수현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101Y1 (ko) 2000-08-30 2001-02-15 김도원 유리 도어의 측면 밀폐 구조
KR200378150Y1 (ko) 2004-12-06 2005-03-11 오수현 출입문용 방음ㆍ방풍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640B1 (ko) 2013-12-30 2014-06-17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열차단 보강 자동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389U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443B1 (ko) 단열 자동문
KR200461769Y1 (ko) 자동문용 방풍장치
KR20150139351A (ko) 단열개선형 자동출입문
KR101433569B1 (ko)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
KR101265279B1 (ko) 창호용 틈새 차단구
KR101112684B1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KR101671929B1 (ko) 문틀의 측벽용 모헤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20050026464A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20150020656A (ko) 도어용 프레임 결합장치
KR101616317B1 (ko)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KR200344967Y1 (ko) 강화유리도어용 방풍패드
KR20110064527A (ko) 듀얼밸류 단열 복합 문테 없는 창호 프레임 구조
ATE480677T1 (de) Wärmedämmelement für die laibung von gebäudeöffnungen
KR200351867Y1 (ko) 강화도어용 방풍소음차단패드
CN112377070B (zh) 智能化建筑隔音窗户
JP2005194836A (ja) バリヤフリー住宅用扉
KR102469112B1 (ko) 능동형 클러치를 통해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 환기장치
CN219492167U (zh) 一种纱窗
CN212773995U (zh) 一种方便安装与清洗的推拉窗
KR20160012688A (ko)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KR20030097569A (ko) 도어자동개폐장치
KR20170119244A (ko) 틈새 밀봉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미닫이 창호
KR20230121287A (ko) 닫힘 시간 설정이 가능한 창문 개폐 장치
KR20190000526U (ko) 방풍재
KR102121309B1 (ko) 방풍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