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569B1 -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 - Google Patents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569B1
KR101433569B1 KR1020130037016A KR20130037016A KR101433569B1 KR 101433569 B1 KR101433569 B1 KR 101433569B1 KR 1020130037016 A KR1020130037016 A KR 1020130037016A KR 20130037016 A KR20130037016 A KR 20130037016A KR 101433569 B1 KR101433569 B1 KR 10143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heat insulating
piece
member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분
Original Assignee
양기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분 filed Critical 양기분
Priority to KR102013003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문 단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서, 현관문을 닫을 때, 서로 다른 2방향, 바람직하게는 3방향으로부터의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보유하면서도, 현관문을 닫았을 때 차폐용 탄성부재가 현관문의 내외측으로부터 완전히 은폐되어 있으므로 현관문의 미려한 외관을 훼손하지 않으므로, 단독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이나 공공건물, 또는 공장 사무실 등의 현관문으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INSULATION STRUCTURE FOR EXTERIOR DOOR AND EXTERIOR DOOR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과 문틀 사이의 이격부를 적어도 2방향, 바람직하게는 3방향에서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된 차폐용 탄성부재로 차단함으로써,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보유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은 건축물의 실내와 실외, 또는 주거 공간과 공동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평평한 가동부와 구조적 및 장식적 요소를 가지는 문틀로 구성되는 구조물을 일컬으며, 현관문을 통하여 거주공간에의 진입 및 진출이 이루어진다.
도 8은 종래의 전형적인 현관문(1′)의 사시도로서, 그 주요 구성은 상하 수평 및 수직 프레임(11′,12′)과 상기한 상하 수평 및 수직 프레임(11′,12′)의 중앙에 설치되며 강화 유리 또는 금속이나 목재로 된 중앙 차단 부재(13′)로 구성되는 가동부로서의 문짝(10′)과, 상기한 문짝(10′)과 이격 틈새(30′)를 두고서 상기한 문짝(10′)을 에워싸는 문설주(jamb)(21′) 및 상인방(header)(22′)으로 구성되는 문틀(20′)로 이루어진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한 문틀(20′)에는 문지방(threshold)(22′)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6′는 손잡이이다.
상기한 문짝(10′)의 상하 수평 프레임(11′)의 일측에는 상기한 문틀(20′)의 상인방(22′) 및 기초부(도면부호 미부여) 또는 문지방(미도시)에 힌지(14′,15′)에 의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한 힌지는(14′,15′)는 상기한 문틀(20′)의 일측 문설주(21′)와 그에 연하는 상기한 문짝(10′)의 수직 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한 문짝(10′)은 상기한 문틀(20′)로부터 적당한 이격 틈새(30′)를 두고 힌지 고정되며, 이에 의해 상기한 문짝(10′)은 상기한 문틀(20′)로부터 원활히 피벗 운동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현관문(1′)은 힌지(14′,15′)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피벗 운동에 의해 개폐되어야 하므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에 반드시 적당한 간격의 이격 틈새(30′)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이격 틈새(30′)의 존재로 인하여 하절기 및 동절기의 냉난방 단열과, 외부 소음의 유입이나 내부 대화의 외부로의 전달에 대한 차음 및, 방풍, 그리고 외부의 분진이나 빗물 등의 차폐에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격 틈새(30′)로 인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등록특허 제0841957호(2008.06.23. 등록)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짝(10′)의 상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11′,12′)의 외측에 모헤어(mohair)(17′)를 형성함으로써 단열성, 방풍성, 차폐성 및, 차음성을 부여하기 위한 현관문(1″)을 제안하고 있으나, 여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못되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모헤어(mohair)(17′)나 방풍 브러쉬 또는 방풍 패드의 존재는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함은 물론, 원활한 개폐에 장애를 초래하는 일이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더욱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방안으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324호(2011.08.25. 공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10′)과 문틀(20′) 사이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2줄의 평행한 도브테일(dovetail) 형태의 방풍부재 삽입홈부(31′)를 형성함과 아울러, 여기에 모헤어나 합성수지재 브러쉬 또는 고무 패드로 형성된 방풍부재(32′,33′)를 삽입한 형태의 방풍 현관문(1′″)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풍 현관문(1′″)은 방풍부재(32′,33′)가 문틀(20′)과 문짝(10′)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틈새(30′)를 메울 수 있도록 상기한 문틀(20′)과 문짝(10′)의 연장선상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문틀(20′) 쪽에 형성되는 방풍부재(32′,33′)는 문짝(10′)의 내외측 주연부를 커버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문짝(10′)의 개폐 시 문틀(20′) 쪽에 형성된 방풍부재(32′)가 문짝(10′) 쪽에 형성된 방풍부재(33′)와 상호 밀침 및 쓸림 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마찰에 의한 형태 변형과 소재의 열화(劣化)를 초래하기 쉽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반복적인 사용과 더불어 더욱 심각하게 되어 방풍 및 차음 차폐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문틀(20′) 쪽에 형성된 방풍부재(32′)가 현관문(1′″)의 내외측 주연부 상에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방풍부재(32′,33′)가 상기한 문틀(20′)과 문짝(10′)의 연장선상에 일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여전히 단열성, 방풍성, 차음성 및 차폐성에 있어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것은 못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이 극복된 현관문 단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망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보유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현관문을 닫았을 때 엘라스토머 차단 부재가 현관문의 내외측으로부터 은폐되어 미려한 외관을 훼손하지 않는 현관문 단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제반 목적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현관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단턱과 걸림턱이 형성된 내측 말단편을 가지는 내측 프레임 부재와, 연장 단부에 슬롯이 형성된 외향 연장편과 걸림턱이 형성된 외측 말단편을 가지는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 각각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며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가동편(可動片)과; 내측 프레임 부재 및, 단턱부가 형성된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문설주와; 상기한 각각의 슬롯에 삽지(揷止)되는 차폐용 탄성부재와; 상기한 가동편의 일측을 고정단으로서의 문설주에 대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hinge)로 구성되며: 상기한 가동편이 문설주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가동편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문설주의 단턱부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과 문설주에 장착된 각각의 단열부재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단열부재에 압착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측 말단편 에 내향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프레임 부재에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한 가동편이 문설주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슬롯의 양측에 립(lip)이 형성되고,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슬롯 내에 위치하는 몸체와 상기한 립에 삽지되는 네크와 중공부를 가지는 헤드로 구성되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가 복수의 격실이 형성된 본체 및 그에 결합된 상기한 내측 말단편을 가지며,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 및 내측 말단편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프레임 부재가 복수의 격실이 형성된 본체 및 그에 결합된 상기한 외측 말단편을 가지며,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 및 외측 말단편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고정 돌기 사이에 복수의 단열 부재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가동편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내측 말단편의 내향 연장편 사이에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한 끼움부에 내표면 부재가 삽지되고;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외측 말단편사이에 끼움부가 형성되어 외표면 부재가 삽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2본의 1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일엽 대상 단열 부재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협지부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고, 그에 따라 상호 대향하는 2본의 엽편 양측에 발포 단열 부재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측 말단편과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외측 말단편 사이에 중공형 단열 부재가 협지되고, 상기한 중공형 단열 부재는 중공부를 가지며 네 모서리에 고정용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상기한 오목홈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 각각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단열부재가 고정부에 의해 상기한 걸림턱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에 대한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프레임 부재가 복수의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문설주의 외측 프레임 부재가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 및 그에 결합된 장식부를 가지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고정 돌기 사이에 복수의 단열 부재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문설주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대상(帶狀) 중공형(中空形) 단열부재와 1엽(葉) 대상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는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일엽 대상 단열 부재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각각의 협지부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고, 상호 대향하는 엽편 양측에 발포 단열 부재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의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슬롯을 가지는 돌출부에 복수의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프레임 부재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한 돌출부의 복수의 고정편이 상기한 오목부에 삽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문설주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장식부 사이의 힌지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보조 장식부를 결합할 수도 있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문설주의 반대쪽에 수직 중간 프레임과 수직 외측 프레임 및, 상하부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벽체로서의 고정편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이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와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되는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가 단턱과 걸림턱 및, 연장편이 형성된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가 단턱부와 걸림턱 및 연장편이 형성된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단열부재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상기한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한 가동편이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가동편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단턱부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과 수직 중간 프레임에 장착된 각각의 단열부재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단열부재에 압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걸림턱에 장착되는 단열부재가 고정부에 의해 상기한 걸림턱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에 대한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할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고정 돌기 사이에 단열부재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수직 중간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2엽 대상 단열 부재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와 양측의 협지부 및 상기한 대상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엽편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협지부가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고, 그에 따라 상호 대향하는 엽편의 단부가 상호 겹쳐지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 부재에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한 가동편이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내측 결합편이 계합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외측 결합편이 계합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결합편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연장편과 내측 결합편에 사이의 끼움부에 내표면 부재가 삽지되고,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연장편과 외측 결합편 사이의 끼움부에 외표면 부재가 삽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이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와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되는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가 단턱과 걸림턱이 형성되고 내향 연장편 및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내측 말단편과, 격실 및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가 연장 단부에 슬롯이 형성된 외향 연장편과 걸림턱을 가지는 외측 말단편과, 격실 및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 각각의 걸림턱 사이에는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되는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문설주의 외측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단턱부에 압착되고, 상기한 문설주와 수직 외측 프레임에 장착된 각각의 단열부재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단열부재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돌출부에 형성된 슬롯 내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말단편의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고정 돌기 사이와,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 의 고정 돌기 사이에 단열부재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수직 외측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걸림턱에 장착되는 단열부재가 고정부에 의해 상기한 걸림턱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며;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가 엽편의 단부가 상호 겹쳐지게 위치하도록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 사이에 중공형 단열 부재가 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내향 연장편 사이의 끼움부에 내표면 부재가 삽지되고,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외향 연장편 사이의 끼움부에 외표면 부재가 삽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문설주 상측에 상인방이 위치하며 상기한 상인방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부 내측 및 외측 결합편과 단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가 격실 및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며,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을 가지는 돌출부와, 단턱 및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가 외측에 장식부를 가지는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며, 단턱부와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걸림턱 사이에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을 가지는 단열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상인방의 돌출부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말단편의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말단편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상인방의 외측 프레임에 형성된 단턱부에 압착되며, 상기한 상인방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한 단열부재의 차폐용 탄성부재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단열부재의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한 단열부재를 압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상부 외측 결합편과 상부 내측 결합편 사이 및, 상부 외측 및 내측 결합편과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중공형 단열부재가 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상인방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2본의 1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일엽 대상 단열 부재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협지부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고, 그에 따라 상호 대향하는 2본의 엽편 양측에 발포 단열 부재가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문설주 하측에 문지방이 위치하며 상기한 문지방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가 복수의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며,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가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을 가지는 단열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문지방의 돌출부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말단편의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말단편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문지방의 외측 프레임의 전면부에 압착되며, 상기한 문지방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한 단열부재의 차폐용 탄성부재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단열부재의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한 단열부재를 압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문지방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1본의 2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가 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현관문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현관문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은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보유하면서도, 현관문을 닫았을 때 차폐용 탄성부재가 현관문의 내외측으로부터 완전히 은폐되어 있으므로 현관문의 미려한 외관을 훼손하지 않으므로, 단독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이나 공공건물, 또는 공장 사무실 등의 현관문으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절결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전형적인 현관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다른 현관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또 다른 현관문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을 외부로부터 바라본 정면도로서, 수직 프레임(11) 및 상부 수평 프레임(12)과 하부 수평 프레임(13), 그리고 외표면 부재(17)로 이루어지는 문짝으로서의 가동편(可動片)(10)과, 상인방(21) 및 좌우 양측에 입설(立設)되어 있는 문설주(22)와 문지방(23)으로 이루어지는 문틀(20)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수직 중간 프레임(31)과 수직 외측 프레임(32),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수평 프레임(33,34), 그리고 외표면 부재(35)로 이루어지는 벽체로서의 고정편(固定片)이 일측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그 설치 여부가 임의 선택적인 것임은 물론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4는 힌지이며,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어 및 잠금틀이 설치됨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로서, 도 1에서의 우측 문설주(22)와 가동편(10)의 우측 수직 프레임(11) 부분이 도시되어 있으며, 가동편(10)이 문설주(22)에 힌지(미도시)에 의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힌지 결합 상태의 도 2의 부분에 대한 요부 발췌 절결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는, 가동편(10) 및 문설주(22)와, 이들 사이의 이격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는 복수의 차폐용 탄성부재(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가동편(10)의 주요 구성은 단턱(152b)과 걸림턱(152c)이 형성된 내측 말단편(152)을 가지는 내측 프레임 부재(15)와, 연장 단부에 슬롯(162e)이 형성된 외향 연장편(162a)과 걸림턱(162c)이 형성된 외측 말단편(162)을 가지는 외측 프레임 부재(16)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152,162) 각각의 걸림턱(152c,162c) 사이에 장착되며 슬롯(41)이 형성된 판형 단열부재(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문설주(22)의 주요 구성은 내측 프레임 부재(24) 및, 단턱부(251c)가 형성된 외측 프레임 부재(25)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24,25)사이에 장착되며 슬롯(81)이 형성된 대상(帶狀) 중공형(中空形) 단열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한 각각의 슬롯(162e,41,81) 입구 양측에는 각각 립(lip) (162f,42,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각의 슬롯(162e,41,81) 내에는 각각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揷止)된다.
여기서,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90)는 상기한 각각의 슬롯(162e,41,81) 내에 위치하는 몸체(91)와 상기한 각각의 립(162f,42,82)에 삽지되는 네크(92)와 중공부(94)를 가지는 헤드(93)로 구성되며,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한 중공부(94)의 존재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원활한 탄성 압착 내지 밀착력 발휘에 유리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가동편(10)이 힌지(미도시) 축을 중심으로 개방 상태(도 7a에 도시한 상태)에서 피벗 운동하여 문설주(22)에 대향하는 위치, 즉 닫힌 폐쇄 상태(도 7b에 도시한 상태)로 이동하면, 상기한 가동편(10)의 외향 연장편(162a)에 형성된 슬롯(162e)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기한 문설주(22)의 단턱부(251c)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10)과 문설주(22)에 각각 장착된 판형 단열부재(40) 및 대상 중공형 단열 부재(80)에 형성된 슬롯(41)(81)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90.90)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단열부재(40,80)에 압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문설주(22)의 외측 전면의 대상(帶狀)으로 된 1개소와, 가동편(10)과 문설주(22)의 대향면 상의 대상으로 된 2개소의 총 3개소가 차폐용 탄성부재(90)에 의해 차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은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나타내며, 가동편(10)을 닫았을 때 차폐용 탄성부재(90)가 현관문(1)의 외측으로부터 완전히 은폐되므로 외부로부터의 현관문(1)의 미려한 외관이 훼손되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구조에 더하여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프레임 부재(15)의 내측 말단편(152)에는 내향 연장편(152a)이 형성되고, 상기한 문설주(22)의 내측 프레임 부재(24)에는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된 슬롯(242a)이 형성된 돌출부(242)를 가지며, 상기한 가동편(10)이 문설주(22)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로 되면,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기한 내향 연장편(152a)에 압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문설주(22)의 외측 전면의 대상(帶狀)으로 된 1개소와, 가동편(10)과 문설주(22)의 대향면 상의 대상으로 된 2개소, 그리고 가동편(10)의 내측 배면의 대상으로 된 1개소의 총 4개소가 차폐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은 더욱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나타내며, 가동편(10)을 닫았을 때 차폐용 탄성부재(90)가 현관문(1)의 외측은 물론, 내측으로부터도 완전히 은폐되므로 내외부 어느 쪽에서도 현관문(1)은 미려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가동편(10)에 대하여 부연하면, 내측 프레임 부재(15)는 복수의 격실(151a)이 형성된 본체(151) 및 그에 결합된 내측 말단편(152)을 가지며,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15)의 본체(151) 및 내측 말단편(152)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 돌기(151b,152d)가 형성되고, 외측 프레임 부재(16)는 복수의 격실(161a)이 형성된 본체(161) 및 그에 결합된 외측 말단편(162)을 가지며,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16)의 본체(161) 및 외측 말단편(162)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 돌기(161b,162d)가 형성된다.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15,16)의 고정 돌기(151b,152d) 와 고정 돌기(161b,162d) 사이에는 복수의 단열 부재(50,60)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15,16)가 상호 결합되어 가동편(10)을 구성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15,16) 각각의 본체(151,161) 사이에 2본의 1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60,60)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일엽 대상 단열 부재(60)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61)와 양측의 협지부(62)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엽편(63)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협지부(62)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15,16)의 본체(151,161)에 형성된 고정 돌기(151b,161b) 사이에 삽지된다. 상호 대향하는 상기한 2본의 엽편(63,63) 양측에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발포 우레탄과 같은 발포 단열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프레임 부재(15)의 내측 말단편(152)과 상기한 가동편(10)의 외측 프레임 부재(16)의 외측 말단편(162) 사이에는 중공형 단열 부재(50)가 협지된다.
상기한 중공형 단열 부재(50)는 중앙에 중공부(51)를 가지며 네 모서리에는 고정용 오목홈(52)이 형성되어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152,162)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152d,162d)가 상기한 오목홈(52)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152,162)의 구조를 제외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15,16) 각각의 본체(151,161)의 형태나 구조, 그리고 단열부재(50,60)의 수효나 형태 등은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임의 선택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프레임 부재(15)의 본체(151)와 내측 말단편(152)의 내향 연장편(152a) 사이에는 끼움부(153)가 형성되며, 여기에는 가동편(10)의 내표면 부재(18)가 삽지되는 한편, 상기한 가동편(10)의 외측 프레임 부재(16)의 본체(161)와 외측 말단편(162) 사이에도 끼움부(163)가 형성되어 외표면 부재(17)가 삽지된다.
상기한 외표면 부재(17) 및 내표면 부재(18)는 평판형 목재 또는 도브테일형 맞춤각재 또는 투명, 반투명, 불투명 강화유리, 칩보드, 하드보드,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과 같은 세라믹 판재 또는 각재, 합성수지 보드, 철재 보드 또는 각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외표면 부재(17) 및 내표면 부재(18)의 치수나 형태 또는 두께 등은 임의 선택적이다.
도면 중 가동편(10)에 있어서의 미설명 부호 151c는 돌출편으로서 내측 말단편(152)의 내향 연장편(152a)을 지지하는 구성이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 선택적이다.
한편, 판형 단열부재(40)는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152,162) 각각의 걸림턱(152c,162c)에 대하여 고정부(44)에 의해 장착되며, 양측에 립(42)이 형성되어 있는 슬롯(41)과 그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4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152,162) 쪽을 향하여 복수의 지지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문틀(20)의 양측에 입설되는 문설주(22)에 대하여 부연하면, 문설주(22)의 내측 프레임 부재(24)는 복수의 격실(241a)과 복수의 고정 돌기(241b)를 가지는 본체(241)로 형성되고, 상기한 문설주(22)의 외측 프레임 부재(25)는 격실(251a)과 복수의 고정 돌기(251b)를 가지는 본체(251) 및 그에 일체로 결합된 장식부(251d)를 가지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의 고정 돌기(241b,251b) 사이에 복수의 단열 부재(60,80)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가 상호 결합되어 문설주(22)를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택적으로, 상기한 문설주(22)의 내측 프레임 부재(24)에 슬롯(242a)을 가지는 돌출부(242)가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슬롯(242a)에는 차폐형 탄성부재(90)이 삽지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돌출부(242a)가 분리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한 돌출부(242a)에 복수의 고정편(242c)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한 문설주(22)의 내측 프레임 부재(24)에는 오목부(241c)가 형성되어, 상기한 돌출부(242)의 복수의 고정편(242c)이 상기한 오목부(241c) 내에 삽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문설주(22)의 외측 프레임 부재(25)의 본체(251)와 장식부(251d) 사이의 힌지(미도시) 장착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보조 장식부(252)를 결합하고 있지만, 이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의 선택적이다.
상기한 문설주(22)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 각각의 본체 (241,251) 사이에는 대상(帶狀) 중공형(中空形) 단열부재(80)와 1엽(葉) 대상 단열부재(60)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80)에는 양측에 립(82)이 형성된 슬롯(81)과 그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85)와 양측의 협지부(84)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엽편(86)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일엽 대상 단열 부재(60)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상기한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80)와 일엽 대상 단열 부재(60)의 엽편(86,63)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양측 영역 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발포 단열재(미도시)가 삽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80)와 일엽 대상 단열 부재(60)의 각각의 협지부(84,62)는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의 각각의 본체(241,251)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241b,251b)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3은 도 1의 II-II선 단면도로서, 도 1에서의 고정편(30)을 이루는 수직 중간 프레임(31)과 문짝으로서의 가동편(10)의 개방단을 구성하는 좌측의 수직 프레임(11)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가동편(10)의 개방 시에는 도 3의 도면상에서 좌측(구체적으로는 외측)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나, 도시된 예는 가동편(1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는, 가동편(10) 및 수직 중간 프레임(31)과, 이들 사이의 이격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는 복수의 차폐용 탄성부재(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가동편(10)의 주요 구성은 전술한 도 2의 구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술한 문설주(22)의 반대쪽에 수직 중간 프레임(31)과 수직 외측 프레임(32) 및, 상하부 수평 프레임(33,34)으로 구성되는 벽체로서의 고정편(3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편(30)의 존재는 임의 선택적이며,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구조의 양측 문설주(2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직 중간 프레임(31)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예에 대하여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개략적인 구성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와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되는 슬롯(41)이 형성된 판형 단열부재(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37)는 단턱(371c)과 걸림턱(371d), 그리고 연장편(371e)이 형성된 격실(371a)과 복수의 고정 돌기(371b)를 가지는 본체(371)로 형성되며,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38)는 단턱부(381c)와 걸림턱(381d) 및 연장편(381e)이 형성된 격실(381a)과 복수의 고정 돌기(381b)를 가지는 본체(381)로 형성되고, 상기한 판형 단열부재(40)는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 각각의 상기한 걸림턱(371d,381d)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한 가동편(10)이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한 가동편(10)의 외향 연장편(162a)에 형성된 슬롯(162e)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외측 프레임 부재(38)에 형성된 단턱부(381c)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10)과 수직 중간 프레임(31)에 장착된 각각의 판형 단열부재(40,40)에 형성된 슬롯(41,41)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90,90)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판형 단열부재(40,40)에 압착된다.
따라서 중간 수직 프레임(31)의 외측 전면의 대상(帶狀)으로 된 1개소와, 가동편(10)과 중간 수직 프레임(31)의 대향면 상의 대상으로 된 2개소의 총 3개소가 차폐용 탄성부재(90)에 의해 차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은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나타내며, 가동편(10)을 닫았을 때 차폐용 탄성부재(90)가 현관문(1)의 외측으로부터 완전히 은폐되므로 외부로부터의 현관문(1)의 미려한 외관이 훼손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택적으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내측 프레임 부재(37)에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된 슬롯(372a)이 형성된 돌출부(372)를 가지며, 상기한 가동편(10)이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프레임 부재(15)의 내향 연장편(152a)에 압착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외측 전면의 대상(帶狀)으로 된 1개소와, 가동편(10)과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대향면 상의 대상으로 된 2개소, 그리고 가동편(10)의 내측 배면의 대상으로 된 1개소의 총 4개소가 차폐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은 더욱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나타내며, 가동편(10)을 닫았을 때 차폐용 탄성부재(90)가 현관문(1)의 외측은 물론, 내측으로부터도 완전히 은폐되므로 내외부 어느 쪽에서도 현관문(1)은 미려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판형 단열부재(40)는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 사이의 걸림턱(371d,381d)에 고정부(44)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한 슬롯(41)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43)가 형성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에 대한 복수의 지지부(45)가 형성되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도 2에서 가동편(10)의 장착되는 판형 단열부재(40)에 대한 것과 모두 동일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의 고정 돌기(371b,381b)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70)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가 상호 결합되어 수직 중간 프레임(31)을 구성하며, 상기한 2엽 대상 단열 부재(70)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71)와 양측의 협지부(72) 및 상기한 대상부(71)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엽편(73)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협지부(72)가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 각각의 본체(371,381)에 형성된 고정 돌기(371b,381b) 사이에 삽지되고, 그에 따라 상호 대향하는 엽편(73)의 단부가 상호 겹쳐지게 위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시된 상기한 2엽 대상 단열부재(70)가 반드시 체결되어야 할 하등의 이유는 없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수효의 다른 단열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내측 프레임 부재(37)의 일측에 복수의 고정 돌기(373a)를 가지는 내측 결합편(373)이 계합편(373b)에 의해 결합되고, 또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외측 프레임 부재(38)의 일측에 복수의 고정 돌기(383a)를 가지는 외측 결합편(383)이 계합편(383b)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결합편(373,383)에 형성된 고정 돌기(373a,383a)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70)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2엽 대상 단열부재(70) 대신에 다른 형태 및 수효의 다른 단열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내측 프레임 부재(37)의 연장편(371e)과 내측 결합편(373)에 사이에는 끼움부(374)가 형성되며, 상기한 끼움부(37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내표면 부재(36)가 삽지되고,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31)의 외측 프레임 부재(381)의 연장편(381e)과 외측 결합편(383)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부(38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외표면 부재(35)가 삽지된다.
도 4는 도 1의 III-III선 단면도로서, 도 1에서의 고정편(30)을 이루는 수직 외측 프레임(32)과 그에 항시 고정되어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좌측의 문설주(22)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는, 문설주(22) 및 수직 외측 프레임(32)과, 이들 사이의 이격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는 복수의 차폐용 탄성부재(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문설주(22)의 주요 구성은 전술한 도 2에서의 문설주(22)의 구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시된 예에서의 수직 외측 프레임(32)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와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되는 슬롯(41)이 형성된 단열부재(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37)는 단턱(375b)과 걸림턱(375c)이 형성되고 내향 연장편(375a) 및 복수의 고정 돌기(375d)를 가지는 내측 말단편(375)과, 복수의 격실(371a) 및 복수의 고정 돌기(371b)를 가지는 본체(371)로 구성되고,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38)는 연장 단부에 립(385f)을 가지는 슬롯(385e)이 형성된 외향 연장편(385a)과 걸림턱(385c)을 가지는 외측 말단편(385)과, 복수의 격실(381a) 및 복수의 고정 돌기(381b)를 가지는 본체(381)로 구성된다.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375,385) 각각의 걸림턱(375c,385c) 사이에는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되는 슬롯(41)이 형성된 전술한 바와 같은 판형 단열부재(40)가 장착된다.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38)의 외향 연장편(385a)에 형성된 슬롯(385e)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90)가 문설주(22)의 외측 프레임 부재(25)에 형성된 단턱부(251c)에 압착되고, 상기한 문설주(22)와 수직 외측 프레임(32)에 장착된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80)와 판형 단열부재(40)에 형성된 슬롯(81,41)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90,90)가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단열부재(40,80)에 압착된다.
따라서 문설주(22)의 외측 전면의 대상(帶狀)으로 된 1개소와, 수직 외측 프레임(32)과 문설주(22)의 대향면 상의 대상으로 된 2개소의 총 3개소가 차폐용 탄성부재(90)에 의해 차단되며, 차폐용 탄성부재(90)가 현관문(1)의 외측으로부터 완전히 은폐된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구조에 더하여 상기한 문설주(22)의 내측 프레임 부재(24)의 돌출부(242)에 형성된 슬롯(242a) 내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7)의 내측 말단편(375)의 내향 연장편(375a)에 압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문설주(22)의 외측 전면의 대상(帶狀)으로 된 1개소와, 수직 외측 프레임(32)과 문설주(22)의 대향면 상의 대상으로 된 2개소, 그리고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내측 배면의 대상으로 된 1개소의 총 4개소가 차폐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은 더욱 우수한 단열성, 방풍성, 결로 방지성, 차음성 및, 차폐성을 나타내며, 외측은 물론, 내측으로부터도 완전히 은폐되므로 내외부 어느 쪽에서도 미려한 외관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의 고정 돌기(371b,381b) 사이와,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375,385)의 고정 돌기(375d,385d) 사이에 각각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70)과 중공형 단열부재(50)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가 상호 결합되어 수직 외측 프레임(32)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의 걸림턱(375c,385c)에 장착되는 판형 단열부재(40)의 구성 및 장착 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37,38)의 본체(371,381)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70)가 엽편(73)의 단부가 상호 겹쳐지게 위치하도록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375,385)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중공형 단열 부재(50)가 협지되어 있으나, 그 형태 및 구조 등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임의 선택적이다.
한편,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내측 프레임 부재(37)의 본체(371)와 내향 연장편(375a)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부(374)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내표면 부재(36)가 삽지되고,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32)의 외측 프레임 부재(38)의 본체(381)와 외향 연장편(385a)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부(384)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외표면 부재(35)가 삽지된다.
이어서, 도 5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로서, 도 1에서의 상인방(21)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상인방(21)은 양측에 입설되는 문설주(22)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한 상인방(21)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와 상부 내측 및 외측 결합편(27,26)과,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 사이에 장착되는 판형 단열부재(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24)는 격실(241a) 및 복수의 고정 돌기(241b)를 가짐과 아울러,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되는 립(241g)이 형성된 슬롯(241h)을 가지는 돌출부(241f)와, 단턱(241d) 및 걸림턱(241e)이 형성된 본체(241)로 구성되고,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25)는 외측에 장식부(251d)를 가지는 격실(251a)과 복수의 고정 돌기(251b)를 가지며, 단턱부(251c)와 걸림턱(251e)이 형성된 본체(251)로 구성된다.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의 걸림턱(241e,251e) 사이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 및 장착 구조를 가지는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된 슬롯(41)을 가지는 판형 단열부재(4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편(미도시로서 도 1의 도면부호 10 참조)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한 상인방(21)의 돌출부(241f)에 형성된 슬롯(241h)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말단편(152)의 내향 연장편(152a)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10)의 외측 말단편(162)의 외향 연장편(162a)에 형성된 슬롯(162e)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90)는 상기한 상인방(21)의 외측 프레임(25)에 형성된 단턱부(251c)에 압착되며, 상기한 상인방(21)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의 걸림턱(241e,251e)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한 판형 단열부재(40)의 차폐용 탄성부재(90)와,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152,162)의 걸림턱(152c,162c) 사이에 장착되는 판형 단열부재(40)의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한 판형 단열부재(40)를 압착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상인방(21)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 각각의 본체(241,251) 사이에는 2본의 1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60)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그 엽편(63) 양측 영역에는 발포 단열부재(미도시)가 삽지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상부 외측 결합편(26)과 상부 내측 결합편(27) 사이 및, 상부 외측 및 내측 결합편(26,27)과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 사이에 중공형 단열부재(50,55)가 협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상부 외측 결합편(26)은 외측판(261)과 연장판(262), 그리고 내측판(263)을 가지며, 상기한 연장판(262)의 하부에는 체결홈(262a)이 형성되고, 상기한 내측판(263)에는 복수의 고정돌기(263a)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한 상부 내측 결합편(27)은 내측판(271)과 연장판(272), 그리고 수직판(273)을 가지며, 상기한 연장판(272)의 하부에는 걸림턱(272a)이 형성되고, 상기한 수직판(273)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273a)가 형성된다.
상기한 복수의 고정 돌기(263a,273a)가 전술한 바와 같은 중공형 단열부재((50)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오목홈(52)에 위치함으로써 상기한 중공형 단열부재(50)는 상기한 상부 외측 및 내측 결합편(26,27) 사이에 수납 고정되며, 상기한 체결홈(262a) 및 단턱(272a)에 각각 맞물리는 체결편(53)과 단턱(54)을 가지는 다른 중공형 단열부재(55)는 상기한 상부 외측 결합편(26)의 연장판(262)과 상부 내측 결합편(27)의 연장판(272)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한 중공형 단열부재(50,55)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임의 선택적이다.
도 6은 도 1의 V-V선 단면도로서, 도 1의 V-V선 단면도로서, 도 1에서의 문지방(23)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문지방(23)은 양측에 입설되는 문설주(22)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한 문지방(21)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 사이에 장착되는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24)는 복수의 격실(241a) 및 복수의 고정 돌기(241b)를 가짐과 아울러,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되는 립(241g)이 형성된 슬롯(241h)을 가지는 돌출부(241f)를 가지는 본체(241)로 구성되고,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25)는 격실(251a)과 복수의 고정 돌기(251b)를 가지는 본체(251)로 구성된다.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의 복수의 고정 돌기(241b,251b) 사이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 및 장착 구조를 가지는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삽지된 슬롯(41)을 가지는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8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편(미도시로서 도 1의 도면부호 10 참조)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한 문지방(23)의 돌출부(241f)에 형성된 슬롯(241h)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말단편(152)의 내향 연장편(152a)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10)의 외측 말단편(162)의 외향 연장편(162a)에 형성된 슬롯(162e)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90)는 상기한 문지방(23)의 외측 프레임(25)의 전면벽(도면부호 미부여)에 압착되며, 상기한 문지방(23)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의 고정 돌기(241b,251b)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한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80)의 차폐용 탄성부재(90)와, 상기한 가동편(10)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152,162)의 걸림턱(152c,162c) 사이에 장착되는 판형 단열부재(40)의 차폐용 탄성부재(90)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한 판형 단열부재(40,80)를 압착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문지방(23)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24,25) 각각의 본체(241,251) 사이에는 1본의 2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70)가 협지되며, 그 엽편(73)은 상기한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80)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양한 단열부재(40,50,55,60,70,80)는 건축용 창호재로서 널리 사용되는 알루미늄의 가장 큰 단점인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과 결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창호 단열재로서, 고강도 폴리우레탄 제품이 주로 사용되며, 알루미늄 창호와 커튼 월의 구조적 성능을 만족하면서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특정하게는 미국 아존사(社) 제(製)의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차폐용 탄성 부재(90)로서는 가황 고무와 같은 탄성 고무 재질을 가지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의 TPE(Thermoplastic Elastomer)가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건축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TPO: Thermoplastic Olefins)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단순 블렌드 타입 TPO(s-TPO), 인플랜트화 타입(i-TPO) 및, 동적 가황 타입(TPV: Thermoplastic Vulcanization)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하드 세그먼트에 폴리프로필렌(PP)또는 폴리에틸렌(PE)가 사용되고 소프트 세그먼트에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메틸렌 결합체(EPDM) 또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이 적용된 것들로서 이들은 모두 공지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10: 문짝(가동편: 可動片)
11: 수직 프레임 12: 상부 수평 프레임
13: 하부 수평 프레임 14: 힌지(hinge)
15: 내측 프레임 부재
151: 본체
151a: 격실 151b: 고정 돌기
151c: 돌출편
152: 내측 말단편
152a: 내향 연장편 152b: 단턱
152c: 걸림턱 152d: 고정 돌기
153: 끼움부
16: 외측 프레임 부재
161: 본체
161a: 격실 161b: 고정 돌기
162: 외측 말단편
162a: 외향 연장편
162c: 걸림턱 162d: 고정 돌기
162e: 슬롯(slot) 162f: 립(lip)
163: 끼움부
17: 외표면 부재 18: 내표면 부재
20: 문틀
21: 상인방(上引枋: header) 22: 문설주(門楔柱: jamb)
23: 문지방(門地枋: threshold)
24: 내측 프레임 부재
241: 본체
241a: 격실 241b: 고정 돌기
241c: 오목부 241d: 단턱
241e: 걸림턱 241f: 돌출부
241g: 립 241h: 슬롯
242: 돌출부
242a: 슬롯 242b: 립
242c: 고정편(固定片)
25: 외측 프레임 부재
251: 본체
251a: 격실 251b: 고정 돌기
251c: 단턱부 251d: 장식부
251e: 걸림턱
26: 상부 외측 결합편
261: 외측판 262: 연장판
262a: 체결홈 263: 내측판
263a: 고정 돌기
27: 상부 내측 결합편
271: 내측판 272: 연장판
272a: 걸림턱 273: 수직판
273a: 고정 돌기
30: 벽체(고정편: 固定片)
31: 수직 중간 프레임 32: 수직 외측 프레임
33: 상부 수평 프레임 34: 하부 수평 프레임
35: 외표면 부재 36: 내표면 부재
37: 내측 프레임 부재
371: 본체
371a: 격실 371b: 고정 돌기
371c: 단턱 371d: 걸림턱
371e: 연장편
372: 돌출부
372a: 슬롯 372b: 립
373: 결합편
373a: 고정 돌기 373b: 계합편(繼合片)
374: 끼움부
375: 내측 말단편
375a: 내향 연장편 375b: 단턱
375c: 걸림턱 375d: 고정 돌기
38: 외측 프레임 부재
381: 본체
381a: 격실 381b: 고정 돌기
381c: 단턱부 381d: 걸림턱
373: 결합편
383a: 고정 돌기 383b: 계합편
384: 끼움부
385: 외측 말단편
385a: 외향 연장편
385c: 걸림턱 385d: 고정 돌기
385e: 슬롯(slot) 385f: 립(lip)
40: (판형) 단열부재
41: 슬롯 42: 립
43: 돌기 44: 고정부
45: 지지부
50,55: (중공형) 단열부재
51: 중공부(中空部) 52: 오목홈
53: 체결편 54: 단턱
60: (1엽 대상(帶狀)) 단열부재
61: 대상부(帶狀部) 62: 협지부(挾止部)
63: 엽편(葉片)
70: (2엽 대상) 단열부재
71: 대상부(帶狀部) 72: 협지부(挾止部)
73: 엽편(葉片)
80: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
81: 슬롯 82: 립
83: 중공부 84: 협지부
85: 돌기 86: 엽편
90: 차폐용 탄성부재
91: 몸체 92: 네크
93: 헤드 94: 중공부

Claims (37)

  1. 단턱과 걸림턱이 형성된 내측 말단편을 가지는 내측 프레임 부재와, 연장 단부에 슬롯이 형성된 외향 연장편과 걸림턱이 형성된 외측 말단편을 가지는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 각각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며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가동편(可動片)과;
    내측 프레임 부재 및, 단턱부가 형성된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문설주와;
    상기한 각각의 슬롯에 삽지(揷止)되는 차폐용 탄성부재와;
    상기한 가동편의 일측을 고정단으로서의 문설주에 대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hinge)로 구성되며:
    상기한 가동편이 문설주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가동편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문설주의 단턱부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과 문설주에 장착된 각각의 단열부재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단열부재에 압착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측 말단편에 내향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프레임 부재에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한 가동편이 문설주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롯의 양측에 립(lip)이 형성되고,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슬롯 내에 위치하는 몸체와 상기한 립에 삽지되는 네크와 중공부를 가지는 헤드로 구성되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형성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가 복수의 격실이 형성된 본체 및 그에 결합된 상기한 내측 말단편을 가지며,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 및 내측 말단편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프레임 부재가 복수의 격실이 형성된 본체 및 그에 결합된 상기한 외측 말단편을 가지며,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 및 외측 말단편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고정 돌기 사이에 복수의 단열 부재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가동편을 구성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내측 말단편의 내향 연장편 사이에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한 끼움부에 내표면 부재가 삽지되고;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외측 말단편사이에 끼움부가 형성되어 외표면 부재가 삽지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2본의 1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일엽 대상 단열 부재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협지부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고, 그에 따라 상호 대향하는 2본의 엽편 양측에 발포 단열 부재가 위치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측 말단편과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외측 말단편 사이에 중공형 단열 부재가 협지되고, 상기한 중공형 단열 부재는 중공부를 가지며 네 모서리에 고정용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상기한 오목홈에 끼워지는 현관문 단열 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 각각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단열부재가 고정부에 의해 상기한 걸림턱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에 대한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프레임 부재가 복수의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문설주의 외측 프레임 부재가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 및 그에 결합된 장식부를 가지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고정 돌기 사이에 복수의 단열 부재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문설주를 구성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대상(帶狀) 중공형(中空形) 단열부재와 1엽(葉) 대상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대상 중공형 단열부재는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일엽 대상 단열 부재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각각의 협지부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고, 상호 대향하는 엽편 양측에 발포 단열 부재가 위치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의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롯을 가지는 돌출부에 복수의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프레임 부재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한 돌출부의 복수의 고정편이 상기한 오목부에 삽지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설주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장식부 사이의 힌지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보조 장식부가 결합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설주의 반대쪽에 수직 중간 프레임과 수직 외측 프레임 및, 상하부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벽체로서의 고정편이 설치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이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와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되는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가 단턱과 걸림턱 및, 연장편이 형성된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가 단턱부와 걸림턱 및 연장편이 형성된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단열부재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상기한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한 가동편이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가동편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단턱부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과 수직 중간 프레임에 장착된 각각의 단열부재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단열부재에 압착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걸림턱에 장착되는 단열부재가 고정부에 의해 상기한 걸림턱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에 대한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고정 돌기 사이에 단열부재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수직 중간 프레임을 구성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2엽 대상 단열 부재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와 양측의 협지부 및 상기한 대상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엽편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협지부가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고, 그에 따라 상호 대향하는 엽편의 단부가 상호 겹쳐지게 위치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 부재에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한 가동편이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내측 결합편이 계합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외측 결합편이 계합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결합편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연장편과 내측 결합편에 사이의 끼움부에 내표면 부재가 삽지되고, 상기한 수직 중간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연장편과 외측 결합편 사이의 끼움부에 외표면 부재가 삽지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이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와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되는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가 단턱과 걸림턱이 형성되고 내향 연장편 및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내측 말단편과, 격실 및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가 연장 단부에 슬롯이 형성된 외향 연장편과 걸림턱을 가지는 외측 말단편과, 격실 및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 각각의 걸림턱 사이에는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되는 슬롯이 형성된 단열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문설주의 외측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단턱부에 압착되고, 상기한 문설주와 수직 외측 프레임에 장착된 각각의 단열부재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각각의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측 단열부재에 압착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설주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돌출부에 형성된 슬롯 내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말단편의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고정 돌기 사이와,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 의 고정 돌기 사이에 단열부재가 협지(挾止)됨으로써,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수직 외측 프레임을 구성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걸림턱에 장착되는 단열부재가 고정부에 의해 상기한 걸림턱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며;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 사이에 2본의 2엽 대상 단열부재가 엽편의 단부가 상호 겹쳐지게 위치하도록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말단편 사이에 중공형 단열 부재가 협지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내향 연장편 사이의 끼움부에 내표면 부재가 삽지되고, 상기한 수직 외측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와 외향 연장편 사이의 끼움부에 외표면 부재가 삽지되는 현관문 단열 구조.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설주 상측에 상인방이 위치하며 상기한 상인방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부 내측 및 외측 결합편과 단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가 격실 및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며,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을 가지는 돌출부와, 단턱 및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가 외측에 장식부를 가지는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며, 단턱부와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걸림턱 사이에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을 가지는 단열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상인방의 돌출부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말단편의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말단편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상인방의 외측 프레임에 형성된 단턱부에 압착되며, 상기한 상인방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한 단열부재의 차폐용 탄성부재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단열부재의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한 단열부재를 압착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 외측 결합편과 상부 내측 결합편 사이 및, 상부 외측 및 내측 결합편과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중공형 단열부재가 협지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인방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2본의 1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가 상호 대향하여 협지되며, 상기한 일엽 대상 단열 부재는 평활면을 가지는 대상부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협지부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고, 그에 따라 상호 대향하는 2본의 엽편 양측에 발포 단열 부재가 위치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3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설주 하측에 문지방이 위치하며 상기한 문지방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내측 프레임 부재가 복수의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며,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외측 프레임 부재가 격실과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가지는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차폐용 탄성부재가 삽지된 슬롯을 가지는 단열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한 가동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한 문지방의 돌출부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말단편의 내향 연장편에 압착되고, 상기한 가동편의 외측 말단편의 외향 연장편에 형성된 슬롯에 삽지된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기한 문지방의 외측 프레임의 전면부에 압착되며, 상기한 문지방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한 단열부재의 차폐용 탄성부재와, 상기한 가동편의 내측 및 외측 말단편의 걸림턱 사이에 장착되는 단열부재의 차폐용 탄성부재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한 단열부재를 압착하는 현관문 단열 구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열부재가 상기한 슬롯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와 양측의 협지부 및 일측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는 엽편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각각의 협지부가 상기한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고정 돌기 사이에 삽지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지방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본체 사이에 1본의 2엽(葉) 대상(帶狀) 단열부재가 협지되어 있는 현관문 단열 구조.
  3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를 가지는 현관문.
  34. 제15항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를 가지는 현관문.
  35. 제22항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를 가지는 현관문.
  36. 제27항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를 가지는 현관문.
  37. 제31항에 따른 현관문 단열 구조를 가지는 현관문.
KR1020130037016A 2013-04-04 2013-04-04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 KR10143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16A KR101433569B1 (ko) 2013-04-04 2013-04-04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16A KR101433569B1 (ko) 2013-04-04 2013-04-04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569B1 true KR101433569B1 (ko) 2014-08-26

Family

ID=5175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16A KR101433569B1 (ko) 2013-04-04 2013-04-04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5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89B1 (ko) 2015-05-04 2015-10-19 (주)일진게이트 단열 현관문
KR102035936B1 (ko) 2018-07-09 2019-10-23 윤영석 개선된 단열 및 방풍 구조를 갖는 현관문
KR102064613B1 (ko) * 2018-09-18 2020-02-11 노선호 단열 방풍 현관문
KR102535898B1 (ko) 2022-07-26 2023-05-26 민주홍 단열 도어 어셈블리
KR20240053517A (ko) 2022-10-17 2024-04-24 민주홍 단열 도어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181A (ja) 2001-02-26 2002-09-06 Toko Shutter Kk サッシの気密材
JP2004036381A (ja) 2002-06-28 2004-02-05 Solarlux Aluminium Systeme Gmbh ドア又は窓の障子装置
KR20100004664A (ko) * 2008-07-04 2010-01-13 김향순 건축물 외벽용 창호장치
KR20100081841A (ko) * 2009-01-07 2010-07-1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시스템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181A (ja) 2001-02-26 2002-09-06 Toko Shutter Kk サッシの気密材
JP2004036381A (ja) 2002-06-28 2004-02-05 Solarlux Aluminium Systeme Gmbh ドア又は窓の障子装置
KR20100004664A (ko) * 2008-07-04 2010-01-13 김향순 건축물 외벽용 창호장치
KR20100081841A (ko) * 2009-01-07 2010-07-1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시스템 창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89B1 (ko) 2015-05-04 2015-10-19 (주)일진게이트 단열 현관문
KR102035936B1 (ko) 2018-07-09 2019-10-23 윤영석 개선된 단열 및 방풍 구조를 갖는 현관문
KR102064613B1 (ko) * 2018-09-18 2020-02-11 노선호 단열 방풍 현관문
KR102535898B1 (ko) 2022-07-26 2023-05-26 민주홍 단열 도어 어셈블리
KR20240014996A (ko) 2022-07-26 2024-02-02 민주홍 단열 도어 어셈블리
KR20240014997A (ko) 2022-07-26 2024-02-02 민주홍 단열 도어 어셈블리
KR20240053517A (ko) 2022-10-17 2024-04-24 민주홍 단열 도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569B1 (ko) 현관문 단열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현관문
AU2011362732B2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KR200436903Y1 (ko) 옆 바깥열기형 여닫이 창호
KR101528662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556989B1 (ko) 단열 현관문
CA2816346C (en) Window mull system
KR20180096855A (ko)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KR20140036441A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20170073972A (ko)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짝 및 이 창짝이 구비된 창호
KR10152015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20150069678A (ko) 조립식 레일을 구비한 창틀프레임
KR101649923B1 (ko) 단열 및 기밀성능과 배수성능이 우수한 2중 수밀구조 창호
KR101422813B1 (ko)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단열 도어장치
KR101465221B1 (ko)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단열 도어장치
CN109415924B (zh) 左右推拉窗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GB2514213A (en) Seal element, assembly, and method
KR101499623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JPS6226542Y2 (ko)
KR100914725B1 (ko) 좌우 개폐 가능한 미닫이 문짝
KR101903795B1 (ko) 슬림형 창짝을 갖는 창호
KR200467423Y1 (ko) 창문 밀폐구조
KR20170081394A (ko) 기밀성능 향상 구조가 적용된 슬라이딩 창호
AU2019101471A4 (en) Shutter and Profile for a Frame of a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