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995Y1 -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 Google Patents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995Y1
KR200377995Y1 KR20-2004-0034730U KR20040034730U KR200377995Y1 KR 200377995 Y1 KR200377995 Y1 KR 200377995Y1 KR 20040034730 U KR20040034730 U KR 20040034730U KR 200377995 Y1 KR200377995 Y1 KR 200377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ed module
outdoor
fixing plate
display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to KR20-2004-0034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외 전광판의 경량화와,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출 및 상기 LED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우천에 대비한 완벽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옥외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LED를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등하고 외부면에 외부의 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코팅층을 LED 모듈에 형성한다. 고정판은 상기 LED 모듈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상기 LED 모듈과의 사이에 통풍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LED 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LED를 고정과 동시에 LED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알루미늄 히트싱크로 방출한다. 상기 LED 모듈 및 고정판을 수납하고 상기 LED 모듈의 후면이 통풍되도록 통풍구를 전광판 하우징에 형성한다. 따라서, 에폭시 또는 실리콘을 충전시키는 구조의 종래의 옥외 전광판보다 방수 및 무게의 경량화가 월등히 개선되고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출이 개선된 옥외 전광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Exterior electric sign board having function of waterproof and heat radiation}
본 고안은 옥외용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외 전광판의 경량화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고 한다)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출 및 상기 LED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우천에 대비한 완벽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매체를 사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문자 및 화상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옥외 전광판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옥외 전광판장치의 응용범위는 점차 확대되어 운동장의 대형 안내판, 도로의 교통정보 안내판, 옥외용 광고판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옥외 전광판장치를 구성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옥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을 보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옥외용 전광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옥외용 전광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종래의 전광판은 문자 및 화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LED(10), 상기 LED(10)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LED 고정기판(20), 상기 LED 고정기판(20)의 후면에 설치되어 LED(10)를 구동시키는 LED 구동회로(30), 상기 LED 고정기판(20)을 포함한 LED 구동회로(30)가 내부에 설치 고정되는 픽셀 하우징(50), 픽셀 하우징(50)을 전광판에 설치할 경우 외부로부터 상기 전광판으로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기 위한 고무 패킹(60), 전광판 하우징(70) 및 상기 픽셀 하우징이 체결수단을 통해 전광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전광판 패널(8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옥외 전광판은 단색을 구현하는 경우 LED(10)를 한 종류로 구성하고, 칼라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LED(10)를 두 종류 또는 완전 칼라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빨강(Red), 초록(Green) 및 파랑(Blue)의 LED(10)로 혼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각각의 LED(10)는 LED 구동회로(30)에 의해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의 온/오프(On/Off)를 통해 점멸된다.
한편, 전술한 종래 옥외 전광판은 LED(10)가 일정하게 배열된 LED 고정기판(20)의 후면에 LED 구동회로(30)가 설치된 상태로 픽셀 하우징(50)의 전면 내측에 설치되고, LED 고정기판(20)의 전면으로는 액상의 에폭시 또는 실리콘(90)이 충전되어 경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LED 고정기판(20)의 전면으로 충전된 에폭시 또는 실리콘은 건조를 통해 경화됨으로써 LED(10)와 LED 고정기판(20)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켜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옥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은 구조적으로 습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에폭시 또는 실리콘 처리를 하고, 외형의 픽셀 하우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광판의 무게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옥외 전광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전광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설치에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LED는 점등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되어 종래 기술에 따른 에폭시를 이용한 옥외 전광판은 LED에서 발생된 열이 에폭시의 낮은 열전도도로 인하여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LED 주변의 에폭시에 축적된다.
도 3은 주변온도 변화에 따른 LED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a)는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른 LED의 전류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른 LED의 광도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LED는 20㎃∼30㎃의 전류가 공급되어야 정상적인 밝기를 유지한다. 그러나, 주변온도가 50℃ 이상 상승하는 경우 열에 의한 LED 열화가 발생하여 20㎃ 이하로 전류가 감소되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 온도가 증가할 수록 LED를 통과하는 전류가 감소하여 LED로부터 주사되는 빛의 세기 또한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에폭시에 축적된 열은 LED의 열화현상을 가속화시켜서 LED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리콘의 밀착성이 떨어지므로 실리콘과 LED 사이의 틈새로 인한 습기의 침투가 발생하여 LED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옥외 전광판은 픽셀 하우징에 에폭시를 충전하여 고가의 에폭시 가격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이 용이하지 못하고, 에폭시의 경화에 따른 제조시간 증가로 생산효율의 향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폭시에 의하여 LED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장난 LED만을 교환하여 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LED 픽셀 전체를 폐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러한 문제는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까지 폐기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LED 픽셀을 전광판의 하우징에 설치할 때 상기 LED 픽셀과 전광판 하우징의 사이에 고무 패킹을 설치하여 LED 픽셀의 후면으로 습기의 유입을 차단 시킬 수 있도록 하지만 고무 패킹은 사용이 일정시간 경과하면 유해 환경 및 LED의 점등에 따른 열의 영향으로 고무 패킹의 열화가 발생하여 완전한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습기의 유입으로 인한 LED의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수 및 무게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출과 LED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외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으로서, 다수의 LED를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등하고 외부면에 외부의 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코팅층을 형성한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LED 모듈과의 사이에 통풍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LED 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LED를 고정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설치되어 햇빛으로 인한 상기 LED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는 차광판; 및 상기 LED 모듈, 고정판 및 차광판을 수납하고 상기 LED 모듈의 후면이 통풍 가능하도록 통풍구를 형성한 전광판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다수의 LED와 대응하여 상기 LED가 관통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상기 LED의 외주연과 밀착하여 상기 LED를 고정하며 상기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상기 전광판의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 및 차광판은 주변 환경과 조화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로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판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 및 차광판은 플라스틱 성형재료 또는 금속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풍구는 상기 LED 모듈의 교체시 상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LED 모듈을 삽입하여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옥외 전광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옥외 전광판은 다수의 LED(110)가 일정한 배열로 배치되는 LED 고정기판(120)과, LED(11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LED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LED 모듈(100)과, LED(110)가 유동없이 일정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판(210)과, LED 모듈(100) 및 고정판(210)을 수용하는 전광판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LED 모듈(100)은 다수의 LED(110)와 LED 고정기판(120)으로 구성되고, 전광판 하우징(400)의 전면에 가로 및 세로의 일정한 배열로 다수 설치된다. LED 모듈(100)의 설치 개수는 전광판 하우징(400)의 크기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수의 LED(110)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전광판의 전면으로 빛을 출력한다.
LED 고정기판(120)은 기판 상에 다수의 LED(110)가 일정한 배열로 설치되어 지지한다.
LED 제어부(130)는 LED 고정기판(120)에 설치된 LED(110)가 점멸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LED 제어부(130)는 LED 고정기판(120)에 일체로 설치하거나 LED 고정기판(120)과 분리하여 전광판 하우징(40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LED 고정기판(120)과 LED 제어부(130)가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 LED 고정기판(120)의 타측면에 LED 제어부(130)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LED 제어부(130)와 LED 고정기판(120)을 분리하는 경우 LED 고정기판(120)의 타측면에 접속용 제 1 커넥터(112a)를 설치하고, LED 제어부(130)에 제 1 커넥터(112a)와 연결하기 위한 제 2 커넥터(112b)를 설치하여 제 1 및 제 2 커넥터(112a, 112b)를 소정의 케이블(114)로 연결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옥외 전광판은 LED(110)와, LED(110)가 고정된 LED 고정기판(120)과, LED(110)를 제어하는 LED 제어부(130)가 습기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구조를 포함한다. 즉 LED(110)와, LED 고정기판(120)과, LED 제어부(130) 사이의 습기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LED(110), LED 고정기판(120) 및 LED 제어부(130)의 전후에 노출된 면을 열 가소성 폴리머를 이용하여 코팅 처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광판을 습기로부터 보호하고 전광판의 무게를 가볍게 제조하기 위해 LED(110), LED 고정기판(120) 및 LED 제어부(130)의 전후 노출면에 코팅 처리하는 기술은 먼저, 고체 상태의 특수코팅 재료로써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를 가열로에서 열 분해하여 진공 중에 기체 상태로 증발시켜 변화시킨다. 즉, 고체 상태의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는 가열로에서 열 분해되어 진공 중에 기체 상태로 변화하여 증발된다. {Vaporization(150℃) →Pyrolysis(680℃)}
한편,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를 가열로에서 열 분해하여 진공 중에 기체 상태로 증발시킨 후에는 LED(110), LED 고정기판(120) 및 LED 제어부(130)의 전후 노출면에 기체 상태로 증발된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를 증착 시킨다. 이때, 기체 상태로 증발된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를 노출면에 증착시키는 과정은 진공하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면 LED(110), LED 고정기판(120) 및 LED 제어부(130)의 노출면에 기체 상태의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를 증착시킨 후에는 온도를 내려 픽셀 노출면에 증착된 기체 상태의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를 고화시켜 픽셀 노출면이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에 의해 코팅되도록 한다.{Deposit(25℃ ∼ -70℃)}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코팅 과정에서 기화과정(Vaporization)의 코팅물질인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는 다이머(Dimer) 분자 형태이고, 열분해 하는 과정(Pyrolysis(680℃)}에서는 모노머(Monomer) 형태로 변화하며, 고화과정(Deposit)에서는 폴리머(Polymer) 형태로 변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습 코팅 과정을 정리하면 고체 상태의 열 가소성 폴리머(Polymer)를 가열로를 통해 열 분해하여 진공 중에 기체 상태의 모노머(Monomer) 형태로 변화시키는 과정, 모노머(Monomer) 형태의 기체를 진공상태에서 LED(110), LED 고정기판(120) 및 LED 제어부(130)의 노출면에 증착시키는 과정 및 픽셀의 노출면에 증착된 모노머(Monomer) 형태의 기체를 고화시켜 코팅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팅 과정을 통해 코팅층의 두께는 투입되는 코팅제의 양에 비례하므로 코팅층의 두께 조절도 가능하다.
고정판(210)은 LED 고정기판(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LED(110)를 고정하고 LED 고정기판(120)의 전면이 통풍 가능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고정판(210)과 LED 고정기판(120)은 체결수단(300)을 통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함으로써 통풍을 위한 공간(A)을 형성하고 LED(110) 및 LED 고정기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통풍 공간(A)을 통해 외부로 통풍되도록 하여 LED(110) 및 LED 고정기판(120)을 냉각시킨다.
또한, 고정판(210)은 LED(110)와 대응하여 LED(110)가 관통되는 삽입공(200)이 천공되고, 삽입공(200)은 관통하는 LED(110)의 외주연과 밀착하여 LED(110)를 고정하며 LED(1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전광판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삽입공(200)을 관통하는 LED(110)로부터 점등에 따라 발생된 열은 고정판(210)에서 흡수하여 전광판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고정판(210)은 LED(1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구리, 알루미늄과 구리의 합금 등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전도성과 경량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이 적합하다.
또한, 고정판(210)은 외부면을 주변 환경과 조화 가능하도록 일정한 컬러로 착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설치장소의 색상과 조화할 수 있는 컬러를 고정판(210)에 부가하여 전광판의 디자인 개선을 개선하고 전광판의 주변 환경과 조화될 수 있도록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판(210)에 색상을 부가하기 위하여 이미 공지된 전기도금법으로 고정판(210)에 컬러를 부가하였다.
또한, 고정판(210)을 플라스틱 재질로 하는 경우 에나멜을 이용한 착색을 통해 고정판(210)에 색상을 부가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210)의 전면에는 햇빛으로 인한 LED(110)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차광판(22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광판(220)은 LED(110)의 점등에 따라 고정판(210)으로부터 전도된 열을 흡수하여 전광판의 외부로 방출하도록 방열부재로 구성되며, 주변 환경과 조화 가능하도록 일정한 컬러로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열부재는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구리, 알루미늄과 구리의 합금 등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전도성과 경량성을 고려한 알루미늄이다.
다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광판 하우징(400)은 체결수단(310)을 통해 전광판 패널(410)에 LED 고정기판(120)을 고정하고, LED 고정기판(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전광판 패널(4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LED 고정기판(120)을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때 형성된 공간(B)으로 통풍되도록 한다.
전광판 패널(410)에는 고정된 LED 고정기판(120)과 대응하여 통풍구(411)를 형성한다.
통풍구(411)는 LED 고정기판(120)의 후면에서 발생되는 열 즉 B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과 LED(110) 및 LED 고정기판(120)의 전면에서 발생된 열 즉 A 공간에서 발생된 열이 통풍되도록 하여 열 방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LED 고정기판(120)과 LED 제어부(130)가 분리된 경우 배선(114)이 통풍구(411)를 배선(114)이 통과하는 경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풍구(411)는 LED(110)의 단락에 따른 교체 작업시 전광판 패널(410)의 전면에 설치된 LED 고정기판(120)은 작업자가 전광판 패널의 후면에서 체결수단(310)을 해체하여 LED 고정기판(100)을 전광판 패널(410)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된 LED 고정기판(120)을 통풍구(411)를 통해 회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전광판의 전면에서 분리된 LED 고정기판(120)을 교체할 필요가 개선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옥외 전광판은 에폭시 또는 실리콘을 충전시키는 구조의 옥외 전광판보다 방수 및 무게의 경량화가 월등히 개선된 옥외 전광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출과 LED의 유지보수가 개선된 옥외 전광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장난 LED만을 교환하는 수리가 가능하여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재사용에 따른 환경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옥외용 전광판은 고장난 LED 모듈을 교체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광판 패널 후면의 나사를 풀은 후, 고장난 LED 모듈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옥외용 전광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옥외용 전광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주변온도 변화에 따른 LED의 전류 및 광도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옥외 전광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옥외 전광판에 차광부재가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LED 110 : LED 고정기판
112a, 112b : 커넥터 120 : LED 제어부
200 : 삽입공 210 : 고정판
220 : 차광판 300, 310 : 체결수단
400 : 전광판 하우징 410 : 전광판 패널
411 : 통풍구

Claims (6)

  1.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으로서,
    다수의 LED를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등하고 외부면에 외부의 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코팅층을 형성한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LED 모듈과의 사이에 통풍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LED 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LED를 고정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설치되어 햇빛으로 인한 상기 다수의 LED 광도 저하를 방지하는 차광판; 및
    상기 LED 모듈, 고정판 및 차광판을 수납하고 상기 LED 모듈의 후면이 통풍 가능하도록 통풍구를 형성한 전광판 하우징을 포함하는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다수의 LED와 대응하여 상기 LED가 관통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상기 LED의 외주연과 밀착하여 상기 LED를 고정하며 상기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상기 전광판의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및 차광판은 주변 환경과 조화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로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및 차광판은 플라스틱 성형재료 또는 금속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는 상기 LED 모듈의 교체시 상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LED 모듈을 삽입하여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KR20-2004-0034730U 2004-12-07 2004-12-07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KR200377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30U KR200377995Y1 (ko) 2004-12-07 2004-12-07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30U KR200377995Y1 (ko) 2004-12-07 2004-12-07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277A Division KR100637725B1 (ko) 2004-12-07 2004-12-07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995Y1 true KR200377995Y1 (ko) 2005-03-11

Family

ID=4367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730U KR200377995Y1 (ko) 2004-12-07 2004-12-07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9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111B1 (ko) 2008-01-08 2008-04-29 (주)대성광고기획 방수기능이 가능한 난반사 광고판
KR100929884B1 (ko) 2008-09-26 2009-12-04 (주)아이티엔시스템 옥외설치블럭용 엘이디디스플레이어
KR102335413B1 (ko) 2021-05-12 2021-12-06 (주)원테크놀로지 내부 부식 및 화재 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광판
KR20230078425A (ko) 2021-11-26 2023-06-02 장현실 방수형 전광판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111B1 (ko) 2008-01-08 2008-04-29 (주)대성광고기획 방수기능이 가능한 난반사 광고판
KR100929884B1 (ko) 2008-09-26 2009-12-04 (주)아이티엔시스템 옥외설치블럭용 엘이디디스플레이어
KR102335413B1 (ko) 2021-05-12 2021-12-06 (주)원테크놀로지 내부 부식 및 화재 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광판
KR20230078425A (ko) 2021-11-26 2023-06-02 장현실 방수형 전광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1680B2 (en) LED lighting fixture
EP3179468B1 (en) Encapsulation of light-emitting elements on a display module
CN103280164B (zh) Led显示屏模组以及led显示屏
US7284881B2 (en) LED fixing device of a pixe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37725B1 (ko)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JP2003303504A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器具
KR20080057564A (ko) 칩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실외용 전광판
KR200377995Y1 (ko) 방수 및 열 방출 기능을 갖는 옥외 전광판
CN102368367A (zh) Led屏显示单元和led显示屏
KR101879137B1 (ko) 엘이디 램프를 보호한 터널등
KR101031563B1 (ko) 내부 순환 공랭식 엘이디 투광기 바 및 엘이디 모듈
JP2012256677A (ja) 発光装置
KR200422332Y1 (ko) 방수 및 방열을 위한 엘이디 사인모듈
KR101074016B1 (ko) Led 조명장치
CN214917818U (zh) 一种适配于蘑菇头lens的UV固化装置
KR100550080B1 (ko) 방열층을 구비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led 고정부재
KR102463496B1 (ko) 방수 성능이 향상된 led 조명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1947B1 (ko) 바형 투광등
KR101606599B1 (ko) 엘이디 모듈
KR101358873B1 (ko) 유체를 이용한 방열·방수·방습구조를 갖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1122532B1 (ko) 선형 발광유닛
KR200333634Y1 (ko) 방열층을 구비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led 고정부재
CN215982146U (zh) 一种观众灯
CN213426663U (zh) 一种新型led灯线路板反射塑胶外壳
CN214405983U (zh) 投影标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