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371Y1 - 골프 퍼팅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371Y1
KR200377371Y1 KR20-2004-0035758U KR20040035758U KR200377371Y1 KR 200377371 Y1 KR200377371 Y1 KR 200377371Y1 KR 20040035758 U KR20040035758 U KR 20040035758U KR 200377371 Y1 KR200377371 Y1 KR 200377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utter
setting
putting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운
Original Assignee
한석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운 filed Critical 한석운
Priority to KR20-2004-0035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3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 속도와 범위로 순차 반복 점멸하는 발광소자와 일정 간격으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구비되고 퍼터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퍼터안내공간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단시간내에 편리하게 정확한 퍼팅을 위한 리듬감과 템포 및 올바른 퍼터의 스윙 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의 퍼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호 대향하는 각 측면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한쌍의 본체와; 마이컴과 센서와 스피커 및 일렬로 연설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가 내설되고, 상면에 전원스위치와 설정버튼 및 발광표시창이 구비되며, 통음공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본체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상면부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내입 설치되는 설정/표시모듈과; 저부에 양측이 개구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장공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각 본체의 일측 저면과 교차되게 부착되는 한쌍의 간격조절판과; 상기 각 간격조절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각 결합홈에 양측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공을 관통하는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각 간격조절판과 고정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골프 퍼팅연습기 {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
본 고안은 골프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 속도와 범위로 순차 반복 점멸하는 발광소자와 일정 간격으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구비되고 퍼터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퍼터안내공간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단시간내에 편리하게 정확한 퍼팅을 위한 리듬감과 템포 및 올바른 퍼터의 스윙 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의 퍼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여가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골프인구가 크게 증가되면서 골프가 대중스포츠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골프 연습장비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골프에서 퍼팅은 그린 위에 올려진 골프공을 퍼터로 쳐서 홀컵 안에 밀어 넣도록 하는 스트로크로, 이러한 퍼팅을 하기 위해서는 그린의 경사도, 잔디의 결 등을 세밀히 관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홀컵까지 퍼팅라인을 마음속으로 그리고, 이 퍼팅라인으로 골프공을 보낼 수 있도록 퍼터 헤드의 페이스(face)와 퍼팅라인을 직각으로 유지시키면서 타격의 세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스트로크를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퍼팅은 올바른 자세와 정확한 스윙의 변위, 속도 등을 바탕으로 한 리듬감과 템포 즉, 퍼팅감각이 유지되어야 필드에서 완벽하게 구사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훈련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인조 잔디나 카펫을 이용한 퍼팅매트와 같은 여러 종류의 골프 퍼팅연습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퍼팅연습기는 퍼터에 의해 스트로크 된 골프공이 일정 거리를 가는 정도의 퍼터의 스윙변위와 속도를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오로지 반복된 연습에 따른 시행착오와 사용자의 감각에 의해 그와 같은 스윙변위와 속도를 익혀야 하므로 완벽한 퍼팅감을 단시간 내에 익히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퍼팅의 기본은 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직선으로 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종래의 퍼팅연습기에는 퍼터 헤드의 페이스가 퍼팅라인과 직각을 이루면서 스윙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해주는 기능이 구비되지 못하여 잔디 위에 직선을 긋거나 혹은 다른 클럽을 바닥에 놓은 후 이를 따라 그 상부에서 퍼터 헤드를 직각으로 빈스윙하는 일직선 운동의 연습을 하지만 불편할 뿐 아니라 정확성도 떨어져 자칫 잘못된 퍼터의 스윙 자세를 습득하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퍼터에 의해 스트로크 된 골프공이 일정 거리를 가는 정도의 퍼터의 스윙변위와 속도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능과, 퍼터 헤드의 페이스가 퍼팅라인과 직각을 이루면서 스윙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해주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단시간내에 완벽한 퍼팅을 위한 리듬감 템포 및 올바른 퍼터의 스윙 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퍼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 퍼팅연습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설정/표시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지지판 설치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간격조절판과 지지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설정/표시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는,
상호 대향하는 각 측면(10a)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한쌍의 본체(10)와; 마이컴(21)과 센서(22)와 스피커(23) 및 일렬로 연설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24)가 내설되고, 상면에 전원스위치(25)와 설정버튼(26) 및 발광표시창(27)이 구비되며, 통음공(28)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본체(10)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상면부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내입 설치되는 설정/표시모듈(20)과; 저부에 양측이 개구된 결합홈(3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장공의 간격조절공(32)이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각 본체(10)의 일측 저면과 교차되게 부착되는 한쌍의 간격조절판(30)과; 상기 각 간격조절판(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각 결합홈(31)에 양측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공(32)을 관통하는 고정나사(41)에 의해 상기 각 간격조절판(30)과 고정되는 지지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버튼(26)은 적어도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설정버튼(26a)과,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설정버튼(26b)과, 퍼터(50)를 이용한 퍼팅과 아이언과 드라이버를 이용한 스윙모드를 전환 설정하는 모드설정버튼(26c)과,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스피커(23)와 상기 발광소자(24)가 반복하여 작동케 하도록 하는 자동설정버튼(26d) 및 상기 스피커(23)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음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버튼(26e)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본체(10)는 상호 대향하는 각 측면(10a)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퍼팅 연습을 할 때 상기 각 측면(10a)이 그 사이 공간부에서 시계추 운동을 하게 되는 퍼터(50) 헤드(50a)의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본체(10)의 상호 대향하는 각 측면(10a)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사용되는 퍼터(50) 헤드(50a)의 토우(toe)에서 힐(heel)까지의 길이보다 조금 더 길도록 조절되어진다.
상기 마이컴(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22)와, 상기 스피커(23)와, 상기 발광소자(24)와, 상기 전원스위치(25) 및 상기 설정버튼(26)과 연결되어 상기 설정버튼(26)에 의해 설정된 설정 조건과 상기 센서(22)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읽어들여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상기 스피커(23)와 상기 발광소자(24)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센서(22)는 골프 클럽과 같은 금속성의 물체 접근시 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로서 상기 일렬로 연설된 다수개의 발광소자(24)들의 중간지점과 수직을 이루는 위치상에 상기 발광소자(24)들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전원스위치(25)를 온(on)하고 상기 설정버튼(26)을 조작하여 설정 조건을 입력한 상태에서 퍼터(50)의 헤드(50a)를 상기 센서(22) 부근 즉, 상기 일렬로 연설된 다수개의 발광소자(24)들의 중간부의 연장선상에 위치시켰을 때,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마이컴(21)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스피커(23)로부터의 신호음을 듣고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에 따라 퍼터(50)의 스윙 연습을 시작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컴(21)이 상기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스피커(23)와 상기 발광소자(24)에 출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즉, 상기 센서(22)가 감지한 감지신호가 상기 스피커(23)와 상기 발광소자(24)를 작동시키는 출발신호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피커(23)는 상기 마이컴(21)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일정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어도 상기 센서(22)의 퍼터(50) 근접감지시와 상기 일렬로 연설된 발광소자(24)중 설정 범위에 따른 좌우 최종단부의 발광소자(24) 점등시에 신호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청각을 이용하여서도 퍼터(50) 스윙의 속도와 시간을 설정 조건에 맞출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특히, 상기 발광소자(24)의 연설된 거리는 본체(10)의 길이에 의한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으므로 아이언이나 드라이버를 이용한 스윙 연습시에는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상태를 시각을 이용하여 파악함에 의해 스윙의 크기 및 속도를 익히기는 어렵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23)가 아이언 또는 드라이버의 백스윙(back swing) 및 팔로우스윙(follow swing)시 각각의 최종 정지상태에 위치하게 되는 시점에 신호음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언이나 드라이버를 이용한 스윙의 크기 및 속도를 익히는데도 도움이 되도록 한다.
상기 발광소자(24)는 상기 마이컴(21)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그에 대응하는 속도와 범위로 연속하여 순차 점멸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그 점멸 속도와 점멸 거리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시각으로 인식하여 그와 대응되도록 퍼터(50)의 스윙연습을 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발광소자(24)는 다수개가 일렬로 연설되어 그 중앙의 발광소자(24)에서부터 연설된 좌우측의 발광소자(24)로 설정된 속도로 설정된 거리까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반복되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발광소자(24)는 낮은 소비전력, 빠른 반응시간, 반영구적 수명 등의 장점을 갖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버튼(26)은 적어도 속도설정버튼(26a)과, 거리설정버튼(26b)과, 모드설정버튼(26c)과 자동설정버튼(26d) 및 음량조절버튼(26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속도설정버튼(26a) 및 상기 거리설정버튼(26b)은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 속도와 좌우 점멸거리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설정버튼(26c)은 퍼터(50)를 이용한 스윙 연습, 즉 퍼팅 연습모드와, 아이언이나 드라이버를 이용한 스윙 연습모드를 전환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아이언이나 드라이버를 이용한 스윙 연습모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발광소자(24)는 모두 점등되거나 또는 모두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23)로부터 발생되는 일정 간격의 신호음에 의존하여 연습을 행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동설정버튼(26d)은 상기 센서(22)의 최초 감지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상기 스피커(23)와 상기 발광소자(24)가 일정 간격으로 신호음 발생 및 점멸되는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데 사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연습중 일일이 상기 센서(22)에 퍼터(50)의 헤드(50a)를 근접시킴이 없이 계속하여 반복 연습을 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음량조절버튼(26e)은 상기 스피커(23)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음의 크기를 조절토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제품 제작시 일정 크기의 음량만이 발생되도록 음량을 고정시킨 경우에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발광표시창(27)은 상기 발광소자(2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되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상기 발광소자(24)의 내설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설정/표시모듈(20)의 상면부에 구비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음공(28)은 상기 내설된 스피커(23)와 대응되는 상기 설정/표시모듈(2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23)로부터 발생된 신호음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정/표시모듈(20)은 상기 본체(10)와 연속된 일형상을 이루면서 그 상면부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중간부에 내입 설치되어져 사용자가 상기 설정/표시모듈(20)을 용이하게 조작 및 관찰 가능토록 한다.
상기 간격조절판(30)은 상기 한쌍의 본체(10)의 대향하는 각 측면(10a)간의 거리를 사용자의 퍼터(50)의 헤드(50a)의 토우에서 힐까지의 길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를 상기 지지판(4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간격조절판(3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 간격조절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판(3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저면과 교차되게 부착되며, 상기 간격조절판(30)이 상기 간격조절공(32)을 관통하는 고정나사(41)에 의해 상기 지지판(40)에 고정되고, 상기 각 간격조절판(30)은 그 각 저면에 형성된 양측이 개구된 상기 결합홈(31)에 상기 간격조절판(30)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지지판(40)의 양측이 각각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본체(10)를 좌우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나사(41)를 조금 풀어 상기 본체(10)를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고정나사(41)를 죄어주면 된다. 따라서 상기 각 본체(10)의 좌우 이동 가능거리는 상기 간격조절공(32)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골프 퍼팅연습기를 야외 필드의 그린상이나 실내의 인조잔디와 같은 매트면 위에 놓아두고 상기 설정버튼(26)을 사용하여 상기 스피커(23)의 신호음 발생 간격과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 거리 및 속도를 일정 값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 상기 한쌍의 본체(10) 사이부의 상기 센서(22)가 설치된 중간 위치에 골프공을 놓아둔 상태에서 퍼터(50)의 헤드(50a)를 상기 센서(22)에 접근시킴에 의해 상기 스피커(23)와 상기 발광소자(24)를 설정된 간격 범위와 속도에 따라 작동시킨 후 상기 스피커(23)로부터의 신호음과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 거리 및 속도에 따라 골프공에 대해 퍼팅 스트로크를 실시하여 골프공이 이동한 거리를 파악한다.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설정 조건에 따른 사용자 자신의 퍼터(50)를 사용할 때의 퍼팅시 골프공의 직선 이동거리를 파악하며, 이와 같은 파악이 이루진 후에는 필드의 그린상에 나가거나 인조잔디를 구비함이 없이 또한 골프공의 구비 없이도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퍼팅연습기의 사용 상태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50)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만을 가지고서 골프공이 그린상을 일정 거리를 진행토록 하는 퍼터(50)의 스윙 범위와 속도, 즉 퍼팅의 리듬감과 템포를 반복적으로 훈련하여 손쉽게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퍼팅의 기본은 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직선으로 보내는 일직선 스트로크라고 할 수 있는 바, 상기 한쌍의 본체(10)의 대향하는 각 측면(10a)간 거리를 사용자가 연습에 사용코자 하는 퍼터(50)의 헤드(50a)의 토우에서 힐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더 여유를 둔 거리로 조정한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퍼터(50) 헤드(50a)의 페이스(face)면이 상기 각 본체(10)의 측면(10a)과 수직한 상태를 벗어나지 않도록 눈으로 쉽게 파악하면서 연습을 행할 수 있는 한편, 퍼팅시 퍼터(50) 헤드(50a)가 퍼팅라인과 평행하게 운동되지 않고 흔들리게 될 경우에는 상기 각 본체(10)의 상호 대향하는 어느 일측면(10a)에 퍼터(50)의 헤드(50a)가 부딪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올바른 퍼팅 자세를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드설정버튼(26c)의 조작 및 상기 스피커(23)에 의한 신호음에 의해 아이언 또는 드라이버를 이용한 스윙의 크기 및 속도도 익힐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된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 속도와 범위로 순차 반복 점멸하는 발광소자와 일정 간격으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구비되고 퍼터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퍼터안내공간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단시간내에 편리하게 정확한 퍼팅을 위한 정확한 퍼팅을 위한 리듬감과 템포 및 올바른 퍼터의 스윙 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의 퍼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퍼팅 연습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아이언이나 드라이버를 사용한 스윙감각도 익힐 수 있도록 한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설정/표시모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지지판 설치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간격조절판과 지지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연습기의 설정/표시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퍼팅연습기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0a. 측벽
20. 설정/표시모듈 21. 마이컴
22. 센서 23. 스피커
24. 발광소자 25. 전원스위치
26. 설정버튼 26a. 속도설정버튼
26b. 거리설정버튼 26c. 모드설정버튼
26d. 자동설정버튼 26e. 음량조절버튼
27. 발광표시창 28. 통음공
30. 간격조절판 31. 결합홈
32. 간격조절공
40. 지지판 41. 고정나사
50. 퍼터 50a. 헤드

Claims (2)

  1. 상호 대향하는 각 측면(10a)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한쌍의 본체(10)와; 마이컴(21)과 센서(22)와 스피커(23) 및 일렬로 연설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24)가 내설되고, 상면에 전원스위치(25)와 설정버튼(26) 및 발광표시창(27)이 구비되며, 통음공(28)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본체(10)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상면부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내입 설치되는 설정/표시모듈(20)과; 저부에 양측이 개구된 결합홈(3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장공의 간격조절공(32)이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각 본체의 일측 저면과 교차되게 부착되는 한쌍의 간격조절판(30)과; 상기 각 간격조절판(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각 결합홈(31)에 양측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공(32)을 관통하는 고정나사(41)에 의해 상기 각 간격조절판(30)과 고정되는 지지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연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버튼(26)은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설정버튼(26a)과, 상기 발광소자(24)의 점멸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설정버튼(26b)과, 퍼터를 이용한 퍼팅과 아이언과 드라이버를 이용한 스윙모드를 전환 설정하는 모드설정버튼(26c)과,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스피커(23)와 상기 발광소자(24)가 반복하여 작동케 하도록 하는 자동설정버튼(26d) 및 상기 스피커(23)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음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버튼(26e)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연습기.
KR20-2004-0035758U 2004-12-16 2004-12-16 골프 퍼팅연습기 KR200377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58U KR200377371Y1 (ko) 2004-12-16 2004-12-16 골프 퍼팅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58U KR200377371Y1 (ko) 2004-12-16 2004-12-16 골프 퍼팅연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57A Division KR20050043870A (ko) 2005-04-20 2005-04-20 골프 퍼팅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371Y1 true KR200377371Y1 (ko) 2005-03-14

Family

ID=4367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758U KR200377371Y1 (ko) 2004-12-16 2004-12-16 골프 퍼팅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3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48A (ko) * 2014-07-10 2016-01-20 (주)제이엔케이 이동식 부탄연소기
WO2022086224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씨지에스티앤에프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WO2024086242A1 (en) * 2022-10-18 2024-04-25 Open Launch Llc Golf ball trajectory moni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48A (ko) * 2014-07-10 2016-01-20 (주)제이엔케이 이동식 부탄연소기
KR101627753B1 (ko) * 2014-07-10 2016-06-07 캠프랑 주식회사 이동식 부탄연소기
WO2022086224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씨지에스티앤에프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KR20220053292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씨지에스티앤에프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KR102430587B1 (ko) * 2020-10-22 2022-08-08 주식회사 씨지에스티앤에프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WO2024086242A1 (en) * 2022-10-18 2024-04-25 Open Launch Llc Golf ball trajectory moni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316B2 (en) Putting/chipping trainer
KR100694855B1 (ko) 실내 퍼팅 연습기
US8790190B2 (en) Golf training aid
KR20150139181A (ko) 타격 훈련을 위한 점등식 타격점이 형성된 샌드백 커버 매트
KR200377371Y1 (ko) 골프 퍼팅연습기
KR20050043870A (ko) 골프 퍼팅연습기
US9067116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JP2007152057A (ja) 打撃系練習機
KR200366323Y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WO1991011227A1 (en) Golf club swing practice device
KR101957474B1 (ko) 골프 퍼터
KR100483036B1 (ko) 골프 연습 장치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KR20010105459A (ko) 권투연습용 타격장치
KR20110018686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0398717Y1 (ko) 전자감응식 퍼팅연습기
KR20100038860A (ko) 퍼팅 연습장치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200340423Y1 (ko) 퍼팅 연습장치
KR101851461B1 (ko) 타격지점 및 타격시점을 지시하는 레이저 스윙장치.
KR101513484B1 (ko) 퍼팅 스윙 연습장치
WO2014022865A1 (en) Putting/chipping trainer
KR200222235Y1 (ko)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KR102259688B1 (ko) 스윙 연습 기기
KR200227507Y1 (ko) 굴곡조절이 가능한 퍼팅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