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93Y1 - 지적 경계점 표시구 - Google Patents

지적 경계점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93Y1
KR200376993Y1 KR20-2004-0035342U KR20040035342U KR200376993Y1 KR 200376993 Y1 KR200376993 Y1 KR 200376993Y1 KR 20040035342 U KR20040035342 U KR 20040035342U KR 200376993 Y1 KR200376993 Y1 KR 200376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point
point indicator
intellectual
indicat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태
Original Assignee
박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태 filed Critical 박상태
Priority to KR20-2004-0035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4Permanent marks; Boundary mar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적 경계점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토지에 타설이 용이하고, 단일품으로 구성되어 타설 및 보관 관리가 용이하며, 휴대가 간편한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길이방향으로 3개 이상의 격벽이 방사구조로 배치된 구조로서,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두부의 상면에는 경계점이 표시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적 경계점 표시구{Area Boundary Indicator}
본 고안은 지적 경계점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지에 타설이 용이하고, 단일품으로 구성되어 타설 및 보관 관리가 용이하며, 휴대하기에 간편한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통상 토지를 분할측량하거나 경계 복원측량 및 신규 등록측량 등의 지적측량을 할 경우에는 지면에 경계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구를 타설하여 식별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적 경계점 표시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지적 경계점 표시구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0130326호에 공지된 기술이다.
도 1에 보이듯이, 지적 경계점 표시구(1)는 환상으로 된 원판(2)의 상부 중앙에 요입부(3)를 형성하여 환상의 금속재 보호링(6)을 결합하고, 판상의 두부(5)가 형성된 꽂힘봉(4)의 하부에는 다단계로 요철부(8)를 형성하여 원판(2)과 결합함으로써, 지면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원판, 보호링 및 꽂힘봉으로 3피스(piece)로 구성된다. 따라서 토지에 경계점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3피스로 구성된 1세트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지니고 다녀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그 구성요소가 많음으로써, 구성요소의 보관 및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피스로 구성된 종래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꽂힘봉을 보호링에 삽입하고, 다시 꽂힘봉을 원판의 중앙에 삽입한 후에 지면에 꽂힘봉을 대고, 타삽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다수의 작업 공정을 거쳐야만 경계점 표시구를 타설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만큼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의 보호링과 꽂힘봉 및 원판이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개별적으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적경계점을 구성하고 있는 원판은 일반적인 비환경 플라스틱으로 자연 분해되는데, 약 100년 내지 50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 기간 동안 종래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환경오염원으로 존재하게 되어 토양을 심각히 오염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단일품으로 구성되어 제작,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지면에 타설함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며,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환경친화적인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길이방향으로 3개 이상의 격벽이 방사구조로 배치된 구조로서,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두부의 상면에는 경계점이 표시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격벽과 격벽의 안쪽에는 리브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재질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두부에는 외측면을 관통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두부의 외측면에는 고리가 형성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지적 경계점 표시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적 경계점 표시구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적 경계점 표시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는 단일품이며, 꽂힘대(110)와 두부(120)로 구분된다.
상기 꽂힘대(110)는 4개의 격벽(111)이 상호 직각으로 360ㅀ 방사형으로 배치된 구조 즉, 횡단면이 '+'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꽂힘대(110)의 하단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꽂힘대(110)의 상단에는 두부(120)가 형성된다. 두부(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서, 저면에는 꽂힘대(110)가 연장된다. 그리고 두부(120)의 상면에는 '+'의 형상의 경계점(123)이 음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직각으로 위치하는 4개의 격벽(111)들 사이의 수직공간(113)에는 리브(115)가 형성되어 꽂힘대(110)를 보강한다. 리브(115)는 직각 부채꼴의 형태로, 두 직각 변은 수직하게 위치하는 두 격벽(111)에 접하여 고정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리브(115) 4개가 1세트를 이루어, 동일 높이의 각 수직공간(113)에 형성된 형태로, 꽂힘봉(110)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지점에 리브(115)가 형성된다.
한편, 두부(120)에는 측면을 관통한 관통공(12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공(125)에는 끈이 관통해 엮임으로써,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를 휴대하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거나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지면에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를 위치한다. 이때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에서 원추형으로 형성된 하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의 두부(120)를 항타하여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를 지면에 타설한다.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를 설치함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부(120)를 항타하여 타설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소정의 깊이로 지면을 파고, 패인 지면에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를 항타하여 하단부가 지면에 박히도록 한다.
그리고 패인 지면에 흙을 매몰하고 다져, 꽂힘대(110)의 측면을 성토한다.
이와 같이 지면에 매설된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는 꽂힘대(110)에 형성된 리브(115)가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가 뽑힐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함으로써, 접지력을 향상시켜 쉽게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가 빠져 나오지 않게 하며, 또한 상호 수직하게 위치한 격벽(111)들은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가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하여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가 유동하는 것을 막는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는 두부(120)에 형성된 관통공(125)에 끈을 엮어 편리하게 휴대한다고 하였으나, 두부의 외측에 고리를 형성하여 끈으로 엮어 휴대하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는 꽂힘대(110)가 4개의 격벽(111)으로 상호 90ㅀ의 각도로 수직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의 격벽을 이용하여 120ㅀ로 배치하여 꽂힘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적 경계점 표시구(100)는 그 길이가 약 35cm이고, 직경은 약 4.5cm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타설된 후에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연 분해된다. 이와 같이 자연 분해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거의 영구적으로 위치한 경계점 표시구에 의한 토양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단일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작,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하며, 또한 타설 시에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의 꽂힘대는'+'의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사출 제작함에 있어서, 종래의 원기둥 꽂힘봉 보다 사출재료를 절감하여 단가를 낮춰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꽂힘대의 원료 물량은 작지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구조 및 리브를 형성하여 꽂힘대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지적 경계점 표시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0130326호에 공지된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적 경계점 표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적 경계점 표시구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적 경계점 표시구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적 경계점 표시구 110 : 꽂힘대
111 : 격벽 113 : 수직공간
115 : 리브 120 : 두부
123 : 경계점 125 : 관통공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3개 이상의 격벽이 방사구조로 배치된 구조로서,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두부의 상면에는 경계점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경계점 표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격벽의 안쪽에는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경계점 표시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 경계점 표시구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경계점 표시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에는 외측면을 관통한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경계점 표시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외측면에는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 경계점 표시구.
KR20-2004-0035342U 2004-12-13 2004-12-13 지적 경계점 표시구 KR200376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342U KR200376993Y1 (ko) 2004-12-13 2004-12-13 지적 경계점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342U KR200376993Y1 (ko) 2004-12-13 2004-12-13 지적 경계점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93Y1 true KR200376993Y1 (ko) 2005-03-14

Family

ID=4367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342U KR200376993Y1 (ko) 2004-12-13 2004-12-13 지적 경계점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96B1 (ko) 2017-04-10 2018-08-08 한국국토정보공사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적경계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96B1 (ko) 2017-04-10 2018-08-08 한국국토정보공사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적경계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7376A1 (en) Post sleeve assembly
US7984541B1 (en) Anchor bolt supporting template for a concrete mold and mold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nchor bolts with a mold
KR200376993Y1 (ko) 지적 경계점 표시구
CA3027232C (en) Collar and anchor kits
KR100619585B1 (ko) 경계용 표주(標柱)
US6893598B1 (en) Finishing guide for concrete piers
US11434655B2 (en) Headstone marker foundation support with removable insert
CN101576446B (zh) 深埋岩石应力解除无损取样法
KR101071187B1 (ko) 조경수 보호판
KR200319096Y1 (ko)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KR100555149B1 (ko) 케이블 매설물 표지주
KR200376991Y1 (ko) 대형 지적 경계점 표시구
KR200375724Y1 (ko) 환경친화적인 지적 경계점 표시구
JP2013127166A (ja) 弾性柱状体の設置構造
CN212801495U (zh) 板房用扩散式固定桩
CN205451683U (zh) 一种新型组装式电缆警示牌防盗基础
KR200359967Y1 (ko) 케이블 매설물 표지주
CN216973385U (zh) 光伏微型灌注桩的桩孔保护装置
JP6938827B1 (ja) プランタ
KR200373469Y1 (ko) 토지경계 말뚝
KR200295975Y1 (ko) 조경용 브라켓을 이용한 옹벽축조구조
JPS6038776Y2 (ja) 擁壁、トンネル等に用いるマツト状排水材の取付具
JP2004101329A (ja) 標示杭
CN206693247U (zh) 光伏支架桩基孔洞保护装置
KR20060008080A (ko) 유공관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