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744Y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744Y1
KR200376744Y1 KR20-2004-0033749U KR20040033749U KR200376744Y1 KR 200376744 Y1 KR200376744 Y1 KR 200376744Y1 KR 20040033749 U KR20040033749 U KR 20040033749U KR 200376744 Y1 KR200376744 Y1 KR 200376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ignal terminals
signal
connecto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상
Original Assignee
김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상 filed Critical 김근상
Priority to KR20-2004-0033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7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7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작은 크기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조시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하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제1전자기기에 착탈되는 삽입부와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포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신호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신호단자의 수 만큼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단자 사이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상기 신호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배선 및 상기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신호선과; 상기 회로기판 및 신호선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몰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고안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작은 크기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조시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하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휴대용 음향재생기, 휴대폰, 피디에이(PDA)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이어폰 또는 리모콘과 같은 악세서리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어폰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리모콘의 제어신호가 휴대용 기기들에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종 커넥터 조립체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 조립체가 최소한의 크기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은 종래의 커넥터의 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커넥터의 단면도 또는 어느 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10)는 대략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휴대폰의 측면에 구비된 접속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1)와 이어폰과 연결되는 연결부(12)가 형성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정면도 및 후면도에서 상기 삽입부(11) 및 연결부(12)를 보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의 신호단자(14)가 삽입되는데, 도면의 실시예에는 10극 단자가 표시된다.
또한, 양끝에는 록킹(locking) 핀(13)이 삽입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 측에 양측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는다. 상기 록킹 핀(13)은 휴대폰의 접속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1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의 연결부(12)측 내부는 다수의 홀이 구획되어 다수의 신호단자(14) 및 록킹 핀(13)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삽입부(11)측 내부는 하우징 내벽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신호단자(14)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넥터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 상기 다수의 신호단자(14) 간의 사이의 간격이 0.5mm 정도로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간의 단락없이 이어폰의 신호선과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열로 배열된 신호단자(14) 사이에 회로기판(15)을 삽입한 후, 상기 다수의 신호단자(14)와 회로기판(15)을 솔더링(16)하고, 상기 회로기판(15)과 이어폰의 신호선(18)을 솔더링(17)하는 방식으로 이어폰의 신호선(18)과 신호단자(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6에는 회로기판(15)의 일측면만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편도 마찬가지로 신호단자(14)와 솔더링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선(18)과 신호단자(14)의 연결을 견고히 하기 위해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회로기판(15) 주위를 몰딩(19)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재질의 합성수지로 상기 몰딩(19) 외부에 외피(2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 조립체는 이어폰(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과 휴대용 기기(휴대폰이 될 수 있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크기가 최소가 되어야 하고, 가능한 많은 수의 신호단자(14)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10극 단자처럼 다수의 신호단자(14)가 구비된 경우 각각의 신호단자(14)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 신호선(18)과의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단자(14)와 회로기판(15)을 솔더링(16)하여 연결하는 경우 각각의 신호단자(14)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는 일이 많고 이로 인한 불량률이 10~20%에 이르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솔더링(16)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은 크기의 커넥터 조립체 제조시 발생될 수 있는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 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제1전자기기에 착탈되는 삽입부와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포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신호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신호단자의 수 만큼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단자 사이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상기 신호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배선 및 상기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신호선과; 상기 회로기판 및 신호선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몰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단자의 연결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단자의 연결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접촉한 상태로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단자는 2열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는 상기 2열로 배열된 신호단자의 간격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제1전자기기에 착탈되는 삽입부와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포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벽에 2열로 배열되어 상기 삽입부측 단부와 연결부측 단부를 갖는 다수의 신호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2열로 배열된 신호단자 사이의 간격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신호단자 사이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신호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상기 신호단자와 상기 제2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회로기판 및 신호선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몰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보면, 커넥터(30)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30)는 휴대폰, 피디에이(PDA), 휴대용 음향재생기 등의 전자기기와 결합되는 삽입부(31)와, 리모컨 또는 리모컨을 포함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연결부(3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커넥터(30)는 제1전자기기와 결합되는 부분 및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부분을 갖는다.
상기 커넥터(30)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미관을 위해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오래 사용하여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30)의 내부는 다수의 홀이 구획되어 다수의 신호단자(34) 및 록킹 핀(33)이 삽입, 지지된다.
상기 록킹 핀(33)은 상기 커넥터(30)가 제1전자기기와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써, 그 형상이나 위치 또는 록킹 핀(33)의 유무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신호단자(34)는 이어폰 및/또는 리모컨의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전자기기로 부터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이어폰 및/또는 리모컨을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단자(34)는 10극으로 구성되고, 2열로 배열된다. 다만, 상기 신호단자(34)의 수나 배열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커넥터(30)는 2열로 배열된 신호단자(34)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되고, 하우징 내벽과 접촉되어 있거나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다.
도 5와 비교해보면, 종래의 커넥터(10)는 신호단자(14)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반해 도 11에 도시된 커넥터(30)는 신호단자(34)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종래의 커넥터(10)는 2열로 배열된 신호단자(14) 사이에 회로기판(15)을 삽입 후 솔더링(16)하는 방식으로 커넥터(10)와 제2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였으나, 본 고안의 커넥터(30)는 신호단자(34) 사이에 회로기판(35)를 강제 끼움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종래의 솔더링(16)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강제 끼움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솔더링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하고 작업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여기서, 강제 끼움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신호단자(34) 사이의 간격은 대략 1.4mm 정도로 형성하고 상기 회로기판(35)의 두께는 1.45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35)을 신호단자(34) 사이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연결하고 상기 회로기판(35)과 신호선(38)을 솔더링(38)을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회로기판(35)은 상기 신호단자(34)간의 간격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데, 회로기판(35)에는 상기 신호단자(34)의 수에 해당하는 배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신호단자(34)에 강제 끼움 되는 부분은 상기 신호단자(34)와 동일한 간격의 배선이 형성되고 신호선(38)과 솔더링(37)되는 부분은 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선된다.
따라서, 회로기판(35)을 이용하면 신호선(38)과 신호단자(34)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특히 회로기판(35)을 신호단자(34) 사이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키면 신호단자(34)와 회로기판(3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신호선(38)과 회로기판(35)이 솔더링(37)되어 연결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선(38)과 신호단자(34)의 연결을 견고히 하기 위해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회로기판(35) 주위를 몰딩(39)한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재질의 합성수지로 상기 몰딩(39) 외부에 외피(40)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커넥터 조립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회로기판(35)과 신호단자(34)를 강제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회로기판과 신호단자의 연결을 위한 솔더링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와 회로기판의 연결을 단순화함으로써 커넥터 조립체 제조시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커넥터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커넥터의 단면도 또는 어느 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종래의 커넥터와 회로기판을 연결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7과 도 8은 종래의 커넥터에서 몰딩 및 외피를 형성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서 커넥터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서 커넥터의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서 커넥터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서 커넥터와 회로기판을 연결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과 도 14는 본 고안에서 커넥터에서 몰딩 및 외피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Claims (6)

  1. 제1전자기기에 착탈되는 삽입부와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포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신호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신호단자의 수 만큼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단자 사이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상기 신호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배선 및 상기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신호선과;
    상기 회로기판 및 신호선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몰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자의 연결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자의 연결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접촉한 상태로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자는 2열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는 상기 2열로 배열된 신호단자의 간격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1전자기기에 착탈되는 삽입부와 제2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포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벽에 2열로 배열되어 상기 삽입부측 단부와 연결부측 단부를 갖는 다수의 신호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2열로 배열된 신호단자 사이의 간격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신호단자 사이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신호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상기 신호단자와 상기 제2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과;
    상기 회로기판 및 신호선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몰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2004-0033749U 2004-11-29 2004-11-29 커넥터 조립체 KR200376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49U KR200376744Y1 (ko) 2004-11-29 2004-11-29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49U KR200376744Y1 (ko) 2004-11-29 2004-11-29 커넥터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794A Division KR20060015001A (ko) 2004-08-13 2004-08-13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744Y1 true KR200376744Y1 (ko) 2005-03-10

Family

ID=4367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749U KR200376744Y1 (ko) 2004-11-29 2004-11-29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7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726B2 (en) Waterproof audio jac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849145B2 (ja) ソケットとヘッダの嵌合状態を保持する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292368B1 (ko) 다극 커넥터
US751725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60134059A1 (en) Connector socket
US10333257B2 (en) Sign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terminal and ground piece together to form a grounding element
US20130189880A1 (en) Electric connector with multi-transmission interfaces
US748499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3777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112099B2 (en) Audio jack connector
WO2013100524A1 (en) Four-pole plug for connection to pcb
KR200376744Y1 (ko) 커넥터 조립체
KR100662253B1 (ko)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76745Y1 (ko)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체
KR20060015001A (ko)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3737A (ko) 멀티 폴 플러그 및 잭 커넥터
US6558205B1 (en) Modular jack
JP2006147372A (ja) コネクタ
KR101553576B1 (ko) 커넥터형 이어폰 컨트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5283Y1 (ko) 플러그 커넥터
KR200430784Y1 (ko) 보드 대 보드 커넥터
KR101292689B1 (ko) 통합 인터페이스용 커넥터
KR200348640Y1 (ko) 이어폰 잭용 단자
KR200394725Y1 (ko) 거치대용 입출력플러그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실장 구조
KR200276126Y1 (ko) 이어폰 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