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723Y1 - 체성분분석 결과지 - Google Patents

체성분분석 결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723Y1
KR200376723Y1 KR20-2004-0033167U KR20040033167U KR200376723Y1 KR 200376723 Y1 KR200376723 Y1 KR 200376723Y1 KR 20040033167 U KR20040033167 U KR 20040033167U KR 200376723 Y1 KR200376723 Y1 KR 200376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nalysis
body composition
standard
result
analysis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철
이라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to KR20-2004-0033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723Y1/ko
Priority to JP2005002769U priority patent/JP3112317U/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성분분석 결과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체성분분석 결과지는 체성분분석중 신체의 각 부위별 측정가능한 항목에 대해 인체의 모형에 대응하여 발달상태를 표시하되, 각 부위별로 결과값을 서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체성분분석 결과지는 인체의 부위별 측정 가능한 항목에대하여 인체모형에 대응하는 그래프로 도시 가능하므로 부위별 발달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성분분석 결과지{Result sheet for body compositional analysis}
본 고안은 체성분분석결과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자의 체성분분석 결과를 보다 알기 쉽게 표시하기 위한 체성분분석결과지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수분, 단백질, 뼈 및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합은 체중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개별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인체 성분 분석이라 한다. 최근 비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체지방량측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체지방측정기의 개발이 활성화되어 왔다. 체내지방량은 비만을 판단하는 주요지표로 성인병의 발생원인이며 미용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특히, 수분의 양은, 몸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면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근육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체내의 근육량은 개인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의학적 응용범위가 넓다. 특히, 암 환자나 투석기 환자와 같이 영양상태와 관련이 있는 환자는 그들 인체중의 근육의 양을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질병의 진행속도나 치료효과를 진단할 수 있으며 소아의 성장이나 발육상태 또는 노약자의 영양상태도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체성분의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인체의 가장 기초적인 검진으로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체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한 생체전기 임피던스방법을 이용한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는데 생체전기임피던스 방법은 인체내로 약한 교류전류를 보내어 인체의 전기저항 또는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과 함께 피측정자의 신장 및 체중을 측정하거나 입력시키며 피측정자의 연령, 성별을 키보드 입력을 통하여 입력시킨 후 이들 측정치와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체액의 양, 근육량 및 체지방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본 고안의 고안자는 이미 대한민국특허 제123,408호, 161,602호, 323,838호를 통해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및 왼다리 수분의 정량화와 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제지방의 체성분을 정량화하는 측정기술을 부위별 임피던스, 신장 및 체중의 함수로부터 개발하였다.
생체전기 임피던스 방법은 인체 내에서 전류가 수분을 통해 흐른다는 사실을 기본으로 한다. 문헌에 의하면 제지방은 약 73%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전기적으로 도체에 해당된다고 알려져 있다. 생체전기 임피던스방법은 전류가 통과하는 도체의 부피(V)는 단면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제지방량(Fat Free Mass)을 추출하고 있다.
종래의 체성분분석 결과지는 제 1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결과지의 좌측에 체성분분석(110), 골격근지방분석(120), 비만진단(130), 신체균형(140), 부종지수(150)를 포함하며, 우측에 영양평가(210), 체중관리(220), 비만진단(230), 신체균형(240), 신체강도(250), 건강진단(260), 및 체중조절(270)을 포함한다.
이러한, 체성분분석(110)은 세로축의 좌단에 세포내수분, 세포외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의 항목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로축의 상단에 측정치, 체수분, 근육량, 제지방량, 체중의 항목을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보면, 체성분분석(110) 항목의 하단에 골격근지방분석(120)은 세로축의 좌단에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의 항목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로축의 상단에 표준이하, 표준, 및 표준이상의 항목을 포함한다. 세로축의 좌단에 구분된 체중, 골격근육량, 체지방량, 각 항목에 대해 용이하게 표준범위에 속하는 지 혹은 표준이하인지 혹은 표준이상인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골격근지방분석(120) 항목의 하단에 비만진단(130)은 세로축의 좌단에 BMI(Body Mass Index), 체지방률(Percent Body Fat), 복부지방률(Waist-Hip Ratio)의 항목을 포함하고, 가로축의 상단에 표준이하, 표준, 및 표준이상의 항목을 포함한다. 좌측좌단에 구분된 BMI,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각 항목에 대해 용이하게 표준범위에 속하는지 혹은 표준이하인지 혹은 표준이상인지를 손쉽게 판단 할 수 있도록 한다.
비만진단(130) 항목의 하단에 신체균형(140)은 세로축의 좌단에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항목을 포함하며, 가로축의 상단에 표준이하, 표준, 및 표준이상의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신체균형(140)은 부위별 근육량을 보여준다. 각 부위별 두개의 가로 막대 그래프로 표현되는데 비연속막대(상)와 연속막대(하)로 구분하여 보여준다. 비연속막대는 피검자의 근육량의 절대값을 나타내며 단위는 킬로그램이다. 즉, 도 1에서 오른팔의 근육량은 비연속막대를 보면, 1.44 킬로그램이 됨을 알 수 있다. 이 비연속막대의 길이를 결정하게 되는 기준선인 가로축의 표준의 100%선은 피검자의 신장에 대한 이상체중에서의 이상적인 근육량으로 피검자의 체중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연속막대는 피검자의 체중에서 가져야 하는 이상적인 근육량에 비해 피검자의 근육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여주는 것으로 단위는 %이다, 연속막대의 길이를 결정하게 되는 기준선인 100%선은 피검자의 체중에서 가져야 하는 이상적인 근육량과 피검자의 근육량이 같을 때이다. 즉, 도 1에서 오른팔의 근육량은 연속막대를 보면, 피검자의 체중에서 가져야할 이상적인 근육량을 100%로 볼 때 그에 미치지 못하는 87%임을 알 수 있다. 즉, 이처럼 근육량의 절대값과 함께 피검자의 체중을 고려한 이상적인 근육량을 백분율로 함께 표시해 줌으로써 과체중이나 비만의 경우 이상체중에 비해 체중이 증가된 경우, 비연속막대의 길이가 길게 나와 근육량의 상태가 100%선에 가깝게 표시되어 실제 피검자의 체중에 비해 양호하지 못한 체성분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피검자의 근육량의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근육량보다 체지방으로 인해 체중이 증가한 경우 연속막대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피검자의 근육량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진단이 가능하다. 정리해 보면, 체중에 비해 근육량이 정상인 경우는 비연속막대와 연속막대의 길이가 비슷하고, 체중에 비해 근육량이 많지 않은 경우는 연속막대의 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적게 나가는 체중임에도 불구하고 근육량이 적당한 경우는 연속막대의 길이가 비연속막대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따라서, 각 부위별 근육량의 절대값과 피검자의 체중에서의 이상적인 근육량에 비해 현재의 근육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함께 표시하므로 보다 정확한 체성분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신체균형(140) 항목의 우측에 부종지수(150)는 세포외수분이 세포내수분에 비하여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부종지수(150)는 ECW/TBW와 ECF/TBF의 두 가지 항목으로 보여준다. 여기서 ECW(extracellular water)와 TBW(total body water)는 세포외수분량과 신체의 총수분량이며, ECF(extracellular fluid)와 TBF(total body fluid)는 수분외에 각종 유기질, 무기질을 포함한 세포외액량과 신체의 총액량이다.
그 외에도 연구항목, 신체균형 등을 결과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결과지우측에 체중조절(270) 항목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의 표시방법으로는 피검자의 적정체중을 제시하는 적정체중, 현재의 체중과 비교하여 체중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체중조절란에 필요한 감량을 제시한다. 감량방법으로는 지방조절과 근육조절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신체발달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조절량을 킬로그램단위로 표시하거나 신체발달을 포인트로 표시한다. 또한, 도 1의 결과지는 측정 일자에 따른 체성분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체성분변화를 표시하였다.
또한, 도 1의 체성분분석 결과지의 우측에는, 영양평가(210), 체중관리(220), 비만진단(230), 신체균형(240), 신체강도(250), 건강진단(260)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양평가(210)에는 단백질, 지방질, 무기질량을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하고 정상은 양호, 비정상은 부족 혹은 과다로 다시 구분한다. 상기와 같이 구분한 후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중관리(220)에는 체중, 근육량, 체지방에 대한 것을 앞서와 마찬가지로 표준이나 양호인 정상과 부족이나 과다한 비정상의 3 단계로 구분하여 마찬가지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만진단(230)에는 BMI량, 체지방률, WHR을 정상을 표준으로 표기하고 비정상인 경우를 별도로 표시하고 비정상인 경우를 다시 부족 혹은 과다로 구분하고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균형(240)과 신체강도(250) 및 건강진단(260) 또한 결과지에 포함되며 신체균형(240)은 다시 상체균형, 하체균형, 상하균형으로 구분하고 각 균형에 대해 균형, 심한불균형, 약한 불균형으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또한 신체강도(250)에서는 상체강도, 하체강도, 근육강도로 구분하고 각각의 강도를 표준, 발달, 허약으로 구분한 다음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진단(260)항목에는 체수분량, 부종수치, 생활습관을 나타내고 각각에 대해 정상, 비정상의 단계별로 구분하고 ∨표기하여 수진자로 하여금 자기의 체성분분석결과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체성분 분석의 결과에서 신체균형을 알려주는 근육량은 이상적인 근육량에 비해 현재의 근육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막대 그래프와 수치로만 알 수 있었으며, 이때 각 몸의 부분별로 표시하므로 한눈에 자신의 몸의 각 부분에 대한 근육량을 살펴볼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체성분 분석 결과를 좀 더 피검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이상적인 근육량에 비해 현재의 근육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인체의 모형에 각 신체 부분별로 도시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분석결과지는 피검자의 신체말단에 접촉하는 전류 전극과 전압 전극, 전류인가 회로와 전압 측정 회로로 구성된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연산 및 제어 기능을 행하는 중앙제어부(22)가 포함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측정기를 이용하여 체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체성분분석 결과지에 있어서, 체성분분석중 신체의 각 부위별 측정가능한 항목에 대해 인체의 모형에 대응하여 발달상태를 표시하되, 각 부위별로 결과값을 서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각 부위별 결과값을 서로 직선 연결하여 사각형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각형은 각 부위별 발달상태에 따라 사각형의 각 변의 길이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각 부위별 결과값을 서로 곡선 연결하여 등고선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달상태는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체성분분석결과지는 피검자의 신체말단에 접촉하는 전류 전극과 전압 전극, 전류인가 회로와 전압 측정 회로로 구성된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연산 및 제어 기능을 행하는 중앙제어부(22)가 포함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측정기를 이용하여 체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체성분분석 결과지에 있어서, 체성분분석중 신체의 각 부위별 측정가능한 항목에 대해 인체의 모형에 대응하여 발달상태를 표시하되, 각 부위별로 결과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결과값을 레벨에 따라 색상별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결과값을 막대형태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달상태는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분석결과지는 임피던스 방법을 이용하여 부위별로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부위별 임피던스 체지방분석장치에 대한 개략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임피던스의 측정은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손과 발에 접촉하는 전극(31~38)과 전류인가회로와 전압인가 회로로 구성되는 임피던스측정회로(19), 신체의 측정대상부위를 선택하는 전자스위치(18), 피검자의 성별 연령 및 신체 계측데이타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통한 입력부(12), 측정상태 및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39),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측정부(16), 앰프(23), A/D변환기(21)와 연산 및 제어 기능을 행하는 중앙제어부(22)로 구성된다. 생체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피검자는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전에 성별, 연령, 신장 등과 같은 피검자의 정보를 입력한다. 신장과 같이 계측이 가능한 정보는 초음파 신장계 혹은 변위측정계와 같은 별도의 측정도구로 자동 입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성별, 연령과 같은 개인 정보는 피검자의 건강이력이 입력된 개인카드(미도시)의 데이타를 체성분 분석기에서 읽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측정자는 양손으로 손잡이에 구성된 왼손전극(32, 33)과 오른손전극(31, 34)을 잡고 바닥에 구성된 우측발전극(35, 36)과 좌측발전극(37, 38)에 위에 올라서면 발전극 하부에 하중센서(미도시)가 있어 피측정자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임피던스측정을 위해 알고 있는 크기의 전류를 흘려주고 원하는 부위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옴의 법칙에 의하여 임피던스를 구하여 체성분을 분석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결과지는 임피던스 측정측기를 이용한 생체분석에 한정하고 있지만,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의 구성요소를 모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구체예로서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지만 별도의 스위치장치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체성분분석이 완료되면 출력부(11)는 체성분분석 결과지를 출력하게 되는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분석 결과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과지에 체성분분석(110), 골격근지방(120), 비만진단(130), 신체균형(140), 부종지수(150), 인체모형그래프(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체모형그래프(16)는 신체균형(14)의 각 부위(오늘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별 근육량을 데이터로 하여 도시한다.
이러한, 체성분분석(110)은 세로축의 좌단에 세포내수분(ICW), 세포외수분(ECW), 단백질(Protein), 무기질(Mineral), 체지방(Body Fat Mass) 의 항목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로축의 상단에 측정치(Values), 체수분(Tatal Body Water), 근육량(Soft Lean Mass), 제지방량(Fat Free Mass), 체중(Weight)의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골격근지방(120)은 세로축의 좌단에 체중(Weight), 골격근량(SMM), 체지방량(Body Fat Mass)의 항목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로축의 상단에 표준이하(Under), 표준(Normal), 및 표준이상(Over)의 항목을 포함한다. 세로축의 좌단에 구분된 체중, 골격근육량, 체지방량, 각 항목에 대해 용이하게 표준범위에 속하는 지 혹은 표준이하인지 혹은 표준이상인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만진단(130)은 세로축의 좌단에 BMI(Body Mass Index), 체지방률(Percent Body Fat :PBF), 복부지방률(Waist-Hip Ratio : WHR)의 항목을 포함하고, 가로축의 상단에 표준이하, 표준, 및 표준이상의 항목을 포함한다. 좌측좌단에 구분된 BMI,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각 항목에 대해 용이하게 표준범위에 속하는지 혹은 표준이하인지 혹은 표준이상인지를 손쉽게 판단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부종지수(150)는 세포외수분이 세포내수분에 비하여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에 나타나는 부종에 대한 수치를 알려준다. 부종지수(150)는 ECW/TBW와 ECF/TBF의 두 가지 항목으로 보여준다.
그다음으로 인체모형그래프(160)를 도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신체균형(140)은 세로축의 좌단에 오른팔(Right Arm), 왼팔(Left Arm), 몸통(Trunk), 오른다리(Right Leg), 왼다리(Left Leg)항목을 포함하며, 가로축의 상단에 표준이하(Under), 표준(Normal), 및 표준이상(Over)의 항목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신체균형(140)은 부위별 근육량을 보여준다. 각 부위별 두개의 가로 막대 그래프로 표현되는데 비연속막대(141)와 연속막대(142)로 구분하여 보여준다. 비연속막대(141)는 피검자의 근육량의 절대값을 나타내며 단위는 킬로그램이며, 상단에 표준체중에 따른 근육량에 비율을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으로 하여 %로 보여준다. 즉, 도 4에서 오른팔의 근육량은 비연속막대(141)를 보면, 2.19 킬로그램이며, 그때의 표준체중에 대한 근육량의 비율은 140에 약간 못 미치는 값임을 알 수 있다. 이 비연속막대(141)의 길이를 결정하게 되는 기준선인 가로축의 표준의 100%선은 피검자의 신장에 대한 표준체중에서의 이상적인 근육량으로 피검자의 체중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연속막대(142)는 피검자의 체중에서 가져야 하는 이상적인 근육량에 비해 피검자의 근육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여주는 것으로 단위는 %이다, 연속막대(142)의 길이를 결정하게 되는 기준선인 100%선은 피검자의 체중에서 가져야 하는 이상적인 근육량과 피검자의 근육량이 같을 때이다. 즉, 도 4에서 오른팔의 근육량은 연속막대(142)를 보면, 피검자의 체중에서 가져야할 이상적인 근육량을 100%로 볼 때 이를 능가하는 103.7%임을 알 수 있다. 즉, 피검자는 현재의 몸무게에서 가져야할 이상적인 근육량에 비해 현재의 근육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므로 피검자는 오른팔에 많은 근육량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왼팔의 근육량은 절대치가 2.06킬로그램이며, 이때의 피검자의 체중에서 가져야할 이상적인 근육량을 100%로 볼 때 그에 미치지 못하는 97.7%임을 알 수 있다. 즉, 피검자는 왼팔에 비해 오른팔의 근육이 더 발달되어 있음을 수치와 막대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몸통과 오른다리 및 왼다리의 경우 각 절대치가 킬로그램으로 비연속막대로 보여지며, 각각에 대해 이상적인 근육량의 비율이 100%에 미치지 못한다. 즉, 순서대로 84.7%, 85.9%, 85.6%이므로 이상적인 근육량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인체의 모형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이는 도 3의 인체모형그래프(160)를 통해 도시되며,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인체모형그래프(1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보면, 인체모형그래프(160)는 신체균형(140)에서 보여주는 부위별 이상적인 근육략에 비해 현재의 근육량이 차지하는 비율(연속막대 : 142)을 사람의 인체에 대응시켜 도시한다. 즉, 오른팔과 왼팔, 오른다리와 왼다리에 기준수치인 100을 기준으로 하고 20단위, 10단위씩 각각 표시한다. 여기서 각 신체의 발달상태에 따라 표준이하영역(U), 표준영역(N), 및 표준이상영역(O)으로 나뉜다. 오른팔과 오른다리의 100을 기준으로 그려지는 선인 표준비율라인(A)를 포함하는 영역이 표준영역(N : Normal)이다. 이는 도면에 비교적 굵은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 표준영역(N)의 안쪽으로 표준이하 영역(U : Under)은 비교적 가는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그 표준영역(N)의 바깥쪽으로 표준이상 영역(O : Over)은 다수의 오각형으로 채워져 있다. 표준비율라인(A)을 따라 오른팔 왼팔 오른다리 왼다리의 비율이 100으로 정상이라면 표준비율라인(A)을 그리게 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어느 한쪽으로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모형이 생성되어 표준비율라인(A)이 틀어지게 된다.
도 5b는 도 5a에서 설명한 인체모형그래프(16)를 도 4의 신체균형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보여준다.
도 5b를 보면, 피검자의 현재 근육량을 두개의 사다리꼴 사각형으로 보여진다. 도시된 51번의 사각형은 피검자의 체중에서의 이상적인 근육량을 기준값 100으로 하여 피검자의 체중에서의 이상적인 근육량에 비해 현재의 근육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각 부분마다 표시한 것이다. 즉, 도 4의 연속막대를 참고하여 보면, 오른팔은 103. 8%이므로, 표준비율라인(A)를 조금지난 점과 연결되며, 외팔은 97.7%이므로 표준비율라인(A)의 약간안쪽에 점과 연결된다. 그리고, 오른다리는 85.9%이며 왼다리는 85.6%이므로 표준비율라인(A)의 안쪽에 각각의 비율에 점과 연결되어 위로 넓어지는 사다리꼴 사각형(51)이 생성된다. 따라서, 오른 팔과 왼팔은 표준영역(N)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정상의 근육비율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이때 오른팔이 왼팔에 비해 근육의 비율이 좀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오른다리와 왼다리는 표준이하영역(U)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근육비율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된 52번의 사각형은 표준체중에 대한 근육량의 비율을 각 부분마다 도시한 것이다. 즉, 도 4의 비연속막대를 참고하면, 오른팔은 표준이상으로 140%에 가까운 비율이므로 표준이상영역(U)의 점과 연결된다. 그리고 왼팔은 표준(N)으로 120%에 가까운 비율이므로 표준영역(N)의 점과 연결된다. 그리고, 오른다리와 왼다리는 각각 100%에 약간 못미치는 비율을 가지므로 표준영역(N)의 점과 연결된다.
이렇게 인체모형그래프(160)를 이용하여 근육량을 두개의 사다리꼴 사각형(51, 52)으로 도시가능하며, 오른팔의 근육량의 비율이 왼팔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으며, 오른다리와 왼다리의 비율은 비슷하므로 두 다리는 비교적 균형있게 발달된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분석 결과지는 전술한 항목을 포함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항목을 추가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즉, 체성분 분석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하는 추가적인 데이터와 임피던스량, 혈압 및 부종지수의 변형인 부분별 부종지수 등이 포함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항목 중 체성분분석과 골격근지방분석, 및 비만진단은 정상범위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부위별 근육량에 대한 인체모형그래프의 예로 하였으나, 부위별 체지방량, 수분분포, 임피던스 등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부위별로 결과값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사각형으로 표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는 각 부위별 결과값을 곡선으로 연결하여 등고선형태로도 표현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체모형 그래프상의 각 부위별 결과값을 연결하지 않고, 인체의 모형에 해당하는 부위별 결과값을 레벨에 따라 색상별로 도시하거나 막대형태로 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체모형그래프상에 부위별로 발달상태를 포함하는 결과값을 표시하는 어떠한 형태의 표시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체성분분석 결과지는 인체의 부위별 측정 가능한 항목에대하여 인체모형에 대응하는 그래프로 도시 가능하므로 부위별 발달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분석 결과지,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체지방 분석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분석결과지,
도 4는 도 3의 체성분분석 결과 중 신체균형 항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체성분분석 결과 중 인체모형그래프 항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체성분분석 120 : 골격근지방분석
130 : 비만진단 140 : 신체균형
150 : 부종지수 160 : 인체모형그래프

Claims (9)

  1. 피검자의 신체말단에 접촉하는 전류 전극과 전압 전극, 전류인가 회로와 전압 측정 회로로 구성된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연산 및 제어 기능을 행하는 중앙제어부(22)가 포함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측정기를 이용하여 체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체성분분석 결과지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분석중 신체의 각 부위별 측정가능한 항목에 대해 인체의 모형에 대응하여 발달상태를 표시하되, 각 부위별로 결과값을 서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위별 결과값을 서로 직선 연결하여 사각형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분석결과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은 각 부위별 발달상태에 따라 사각형의 각 변의 길이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위별 결과값을 서로 곡선 연결하여 등고선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분석결과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상태는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6. 피검자의 신체말단에 접촉하는 전류 전극과 전압 전극, 전류인가 회로와 전압 측정 회로로 구성된 임피던스 측정회로(19), 연산 및 제어 기능을 행하는 중앙제어부(22)가 포함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측정기를 이용하여 체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체성분분석 결과지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분석중 신체의 각 부위별 측정가능한 항목에 대해 인체의 모형에 대응하여 발달상태를 표시하되, 각 부위별로 결과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값을 레벨에 따라 색상별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값을 막대형태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상태는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분석결과지.
KR20-2004-0033167U 2004-11-23 2004-11-23 체성분분석 결과지 KR200376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67U KR200376723Y1 (ko) 2004-11-23 2004-11-23 체성분분석 결과지
JP2005002769U JP3112317U (ja) 2004-11-23 2005-04-28 体成分分析結果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67U KR200376723Y1 (ko) 2004-11-23 2004-11-23 체성분분석 결과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723Y1 true KR200376723Y1 (ko) 2005-03-08

Family

ID=4327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167U KR200376723Y1 (ko) 2004-11-23 2004-11-23 체성분분석 결과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12317U (ko)
KR (1) KR2003767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423A (ko) * 2014-05-07 2015-11-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체형 발달 판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0223B2 (ja) * 2007-06-06 2013-04-24 株式会社タニタ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低栄養測定システム、低栄養測定方法
JP5159326B2 (ja) * 2008-01-10 2013-03-06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423A (ko) * 2014-05-07 2015-11-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체형 발달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602694B1 (ko) 2014-05-07 2016-03-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체형 발달 판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2317U (ja)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602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인체 성분분석 및 그 분석방법
KR101052679B1 (ko) 환자의 수화 및/또는 영양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6400983B1 (en) Apparatus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using novel hand electrodes and method thereof
JPH0951885A (ja) 部分インピーダンス及び複数の周波数インピーダンスを使用する身体インピーダンスデータの獲得の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
KR100427625B1 (ko)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KR100909400B1 (ko)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WO2001015600A1 (en) Health condition judging/displaying device
JP3120546U (ja) 体成分分析結果シート
EP2016896A1 (en) A muscular volume balance evaluation apparatus, a muscular volume balance valuation
WO20050511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egmental body fat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U760012B2 (en) Health care administration device
JP3112317U (ja) 体成分分析結果紙
JP2008284354A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の測定装置
KR100685317B1 (ko) 고객맞춤형 체성분분석장치 및 그 방법
Jaffrin et al.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in limbs and trunk using a eight contact electrodes impedancemeter
KR200362781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JP3112717U (ja) 体成分分析結果シート
KR200362782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KR100316473B1 (ko) 자세균형 측정기능을 갖는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KR200370502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KR101865814B1 (ko)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0386931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KR200362780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KR200388380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KR100437488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