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556Y1 - 분리형 소독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556Y1
KR200376556Y1 KR20-2004-0033089U KR20040033089U KR200376556Y1 KR 200376556 Y1 KR200376556 Y1 KR 200376556Y1 KR 20040033089 U KR20040033089 U KR 20040033089U KR 200376556 Y1 KR200376556 Y1 KR 200376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main body
floodlight
sterilizer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구
Original Assignee
미미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미라이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미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3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 및 합체 상태로 사용이 가능한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분리 및 합체가 가능하고, 분리된 일부를 외부 물체의 소독에 이용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물품 및 장소의 소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소독될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실(101)이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실(101) 내부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제1투광창(105)이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외부의 제1투광창(105)이 형성된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체(200)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투광창(105)에 근접되도록 분리체(200)에 장착되며 살균 기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제1자외선램프(203)와, 상기 분리체(200)에 구비되며 상기 제1자외선램프(20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분리형 소독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리형 소독기 {Divisible sterilizer}
본 고안은 분리 및 합체 상태로 사용이 가능한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작은 물품의 경우 일반적인 소독기와 동일하게 내부에 수납하여 소독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일부를 분리하면 수납이 불가능한 크기의 물품이나 건물, 차량 등의 소독에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폭넓은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분리형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 업소 등에서도 식기, 조리기구 등을 비롯한 각종 생활용품이나 업무용 집기 등을 살균하기 위한 소독기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소독기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겠으나, 통상 내부에 소독할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실이 구비되고, 이 수납실 내측에 살균 기능이 있는 램프,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어 수납실에 물품을 넣은 상태로 살균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소독기는 수납실 내에 수용이 가능한 크기의 물품만을 소독할 수 있어 그 사용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분리 및 합체가 가능하고, 분리된 일부를 외부 물체의 소독에 이용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물품 및 장소의 소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소독될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실(101)이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실(101) 내부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제1투광창(105)이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외부의 제1투광창(105)이 형성된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체(200)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투광창(105)에 근접되도록 분리체(200)에 장착되며 살균 기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제1자외선램프(203)와, 상기 분리체(200)에 구비되며 상기 제1자외선램프(20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분리형 소독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제1투광창(105)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108)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분리체(200)가 삽입되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투광창(105)이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판(107)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소독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흡기구(117) 및 배기구(119)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정화실(110)과,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흡기구(117)를 통해 흡입하여 배기구(119)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113)와,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내부에 부착되며 자외선을 촉매로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광촉매 정화재(123)와,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촉매 정화재(123) 측으로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사하는 제2자외선램프(121)와, 상기 송풍기(113) 및 제2자외선램프(1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소독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실(101)과 공기정화실(110) 사이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제2투광창(109)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외선램프(121)는 상기 제2투광창(109)을 통해 수납실(101)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리형 소독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소독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소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소독기는 박스형의 외형을 갖으며 전면부에 도어(103)가 장착된 본체(100) 및 이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손잡이(201)가 구비된 분리체(200)로 대략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도어(103)에 의해 개폐되는 그 내부 공간이 소독될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실(101)을 이루고, 그 상측 외부에 상기 분리체(20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02)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실(101)과 결합홈(102)의 사이에 외부로부터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제1투광창(105)이 형성된다. 이 제1투광창(105)의 양측에는 한 쌍의 개폐판(107)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폐판(107)은 각각 스프링(108)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투광창(105)을 막고, 상기 분리체(200)를 결합홈(102) 내측으로 삽입하면 분리체(200)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제1투광창(105)을 개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투광창(105)이 개폐판(107)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투광창(105)에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광판을 부설하여 수납실(101) 내부를 외기와 차단시키기되 빛은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체(200)는 손잡이(201)를 잡아 본체(100)로부터 분리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투광창(105)과 마주하는 그 저면에 제1자외선램프(203)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에 분리체(200)를 결합시켰을 때, 개방된 제1투광창(105)을 통해 상기 제1자외선램프(203)의 빛이 본체(100) 내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외선램프(203)는 살균 기능이 있는 빛을 방사하는 통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체(200)의 일측에는 상기 분리체(20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외선램프(20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된다. 이 제1전원공급수단은 플러그 및 케이블에 의해 외부의 콘센트에 접속되는 파워 서플라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체(200)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충전기를 통해 전기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체(200)에 내장된 축전지(205)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부호 207은 상기 축전지(205)로부터 제1자외선램프(203)로의 전원공급을 ON/OFF시키기 위한 스위치 버튼이다.
상기 본체(100)의 수납실(101) 하측 및 측방에는 공기정화실(110)이 형성되고, 이 공기정화실(110)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흡기구(117) 및 배기구(119)가 본체(100)의 저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흡기구(117) 측에는 상기 흡기구(117)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119)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113) 및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115)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내부에는 자외선을 촉매로 활성화되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광촉매 정화재(123)가 동판에 피복된 상태로 부착되고, 광촉매 작용을 위한 자외선을 방사하는 제2자외선램프(121)가 상기 광촉매 정화재(123)를 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광촉매 정화재(123)의 예로는 이산화티타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내부에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하는 다공성 세라믹(125)이 부설된다.
상기 본체(100)의 수납실(101)과 공기정화실(110)의 사이에는 제2투광창(109)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외선램프(121)는 이 제2투광창(109) 하측에 설치되어 제2투광창(109)을 통해 수납실(101) 내측으로도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투광창(109)에도 광투과성 재질의 투광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113) 및 제2자외선램프(1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공급수단이 본체(10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본체(100)에 내장되며 일측은 케이블 및 플러그에 의해 외부의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각 구동부에 연결되는 파워 서플라이(131)와, 이 파워 서플라이(131)에 연결되어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패널(13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리체(200)에 구비된 축전지(205)는 별도의 케이블 및 플러그에 의해 전원 콘센트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본체(100)와 분리체(200)의 접촉면에 상기 파워 서플라이(131)와 축전지(205)에 각각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대응 설치하여 본체(100)에 분리체(200)를 결합시키면 상기 파워 서플라이(131)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축전지(205)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전원공급수단이 제1전원공급수단과 별도로 본체(100)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전원공급수단과 제2전원공급수단이 일체의 것으로 구성되어 본체(100) 또는 분리체(200)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리형 소독기는 상기 본체(100)에 분리체(200)를 결합하여 일반적인 소독기와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분리체(200)를 분리하여 외부의 커다란 물체의 소독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부가적으로 공기 청정기의 기능도 하게 된다. 즉, 본체(100)와 분리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수납실(101)에 소독하고자 하는 물품을 넣고 상기 스위치버튼(207) 또는 상기 콘트롤패널(133)을 조작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제1자외선램프(203) 또는 제2자외선램프(121)가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납실(101)에 수용된 물품을 소독할 수 있고, 상기 송풍기(113)에 전원이 공급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정화실(110) 내부로 유입되어 광촉매 정화재(123) 및 다공성 세라믹(125)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해 및 제거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어 설치 장소의 공기가 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체(20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소독하고자 하는 곳을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제1자외선램프(203)를 작동시키면, 예를 들어 침대 등과 같은 큰 물품이나 자동차나 건물의 실내 벽면 등 다양한 부분의 소독이 가능한 휴대형 소독기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에 제2자외선램프(121)가 설치되어 분리체(200)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수납실(101) 내의 물체를 소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제1자외선램프(203)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리체에 자외선램프를 설치하고 이 자외선램프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에 수용 가능한 작은 물품을 소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분리체를 분리하여 크기와 장소에 구애됨 없이 다양한 물품과 장소를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소독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소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소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수납실
105 : 제1투광창 107 : 개폐판
109 : 제2투광창 110 : 공기정화실
113 : 송풍기 115 : 필터
117 : 흡기구 119 : 배기구
121 : 제2자외선램프 123 : 광촉매 탈취재
131 : 파워 서플라이 133 : 콘트롤패널
200 : 분리체 201 : 손잡이
203 : 제1자외선램프 205 : 축전지

Claims (4)

  1. 내부에 소독될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실(101)이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실(101) 내부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제1투광창(105)이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외부의 제1투광창(105)이 형성된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체(200)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투광창(105)에 근접되도록 분리체(200)에 장착되며 살균 기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제1자외선램프(203)와, 상기 분리체(200)에 구비되며 상기 제1자외선램프(20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분리형 소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제1투광창(105)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108)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분리체(200)가 삽입되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투광창(105)이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판(107)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소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흡기구(117) 및 배기구(119)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정화실(110)과,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흡기구(117)를 통해 흡입하여 배기구(119)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113)와,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내부에 부착되며 자외선을 촉매로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광촉매 정화재(123)와, 상기 공기정화실(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촉매 정화재(123) 측으로 광촉매 반응을 위한 자외선을 방사하는 제2자외선램프(121)와, 상기 송풍기(113) 및 제2자외선램프(1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소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101)과 공기정화실(110) 사이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제2투광창(109)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외선램프(121)는 상기 제2투광창(109)을 통해 수납실(101)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리형 소독기.
KR20-2004-0033089U 2004-11-23 2004-11-23 분리형 소독기 KR200376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089U KR200376556Y1 (ko) 2004-11-23 2004-11-23 분리형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089U KR200376556Y1 (ko) 2004-11-23 2004-11-23 분리형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556Y1 true KR200376556Y1 (ko) 2005-03-11

Family

ID=4367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089U KR200376556Y1 (ko) 2004-11-23 2004-11-23 분리형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55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04B1 (ko) 2006-05-09 2007-04-20 오화영 생활용품 살균장치
KR100858747B1 (ko) 2007-03-30 2008-09-17 (주)광전엔지니어링 항균 탈취용 소독장치
KR200447932Y1 (ko) * 2009-07-22 2010-03-03 주식회사 크린포스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살균소독기
KR101653590B1 (ko) * 2015-11-27 2016-09-30 강은지 텀블러 살균장치
KR101940092B1 (ko) * 2018-03-22 2019-01-18 신준호 휴대용 생리컵 살균기
KR101978807B1 (ko) * 2017-11-29 2019-05-15 옥진우 착용 및 휴대물품 살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04B1 (ko) 2006-05-09 2007-04-20 오화영 생활용품 살균장치
KR100858747B1 (ko) 2007-03-30 2008-09-17 (주)광전엔지니어링 항균 탈취용 소독장치
KR200447932Y1 (ko) * 2009-07-22 2010-03-03 주식회사 크린포스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살균소독기
KR101653590B1 (ko) * 2015-11-27 2016-09-30 강은지 텀블러 살균장치
KR101978807B1 (ko) * 2017-11-29 2019-05-15 옥진우 착용 및 휴대물품 살균장치
KR101940092B1 (ko) * 2018-03-22 2019-01-18 신준호 휴대용 생리컵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599B1 (ko) 하이브리드 광반도체 살균 촉매 램프 및 이를 이용한 광촉매 정화 장치
KR10220408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JP3146752U (ja) 知能浄化ゴミ箱
KR100899785B1 (ko) 살균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KR20110002508A (ko) 잔류 오존제거가 용이한 순환식 플라즈마 멸균기
KR200376556Y1 (ko) 분리형 소독기
CN213911479U (zh) 消毒灯及吸油烟机
KR101083478B1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538036B1 (ko) 살균 및 소독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트렁크용 수납함 어셈블리
US20210393845A1 (en) Photo-electronic air disinfector
JP3104086U (ja) 光電子殺菌機能付き掃除機
KR100658798B1 (ko) 필터카트리지 및 이 카트리지가 장착된 공기정화장치
KR101803228B1 (ko) 반사갓을 이용한 다용도 광촉매 정화장치
JP3231686U (ja) 除菌装置
CN211475561U (zh) 一种折叠式杀菌除臭照明灯具
KR20080073472A (ko) 천정 매입형 공기 살균 정화기
CN209137453U (zh) 一种便携式臭氧灭菌器
KR20080050174A (ko) 공기청정 기능이 있는 자외선 살균기
KR20050023884A (ko) 공기 정화 유니트
KR20220129303A (ko) 광촉매 다운라이트 장치
KR200368417Y1 (ko) 주방용 다용도 살균기
CN209751732U (zh) 一种便携式杀菌净化盒
KR200362238Y1 (ko) 살균 탈취 쓰레기통
KR200315743Y1 (ko) 공기청정기를 갖는 조명기구
KR200428872Y1 (ko) 오존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실내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