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604B1 - 생활용품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생활용품 살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9604B1 KR100709604B1 KR1020060041357A KR20060041357A KR100709604B1 KR 100709604 B1 KR100709604 B1 KR 100709604B1 KR 1020060041357 A KR1020060041357 A KR 1020060041357A KR 20060041357 A KR20060041357 A KR 20060041357A KR 100709604 B1 KR100709604 B1 KR 1007096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p
- photocatalyst
- household goods
- sterilizing
- househ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일반 가정이나 숙박업소,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베개 또는 방석, 담요 등의 침구류는 물론, 칫솔이나 휴대폰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생활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광촉매램프나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살균처리 및 방향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용품에 서식하는 각종 병원성 세균과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등은 물론, 찌든 담배냄새, 곰팡이 냄새 등 각종 생활악취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비염 등의 질병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생활용품 살균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납홈과 광촉매램프, 자외선램프 및 타이머스위치가 구비된 살균기본체가 마련되고, 상기 수납홈에 살균하고자 하는 생활용품을 넣은 후 모드변환스위치를 조작하여 램프의 종류를 선택한 후 타이머스위치를 조작하여 살균시간을 설정하면, 광촉매램프와 자외선램프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점등되면서 생활용품이 살균처리되는 것은 물론, 별도로 마련되는 분사용기로부터 향 또는 항균물질이 분사되면서 생활용품이 방향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생활용품, 살균, 광촉매, 자외선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베개를 살균처리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핸드폰이나 칫솔 등을 살균처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를 소형으로 구성한 사시도,
도 6은 도 5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살균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살균기본체 16 : 수납홈
20 : 공간부 24 : 인쇄회로기판
26 : 작동스위치 28 : 광촉매램프
30 : 자외선램프 32 : 모드(Mode)변환스위치
34 : 타이머스위치 36 : 마이크로 컨트롤러
40 : 분사용기 42 : 분사노즐
44 : 스페이서(Spacer).
본 발명은 생활용품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이나 숙박업소,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베개 또는 방석, 담요 등의 침구류는 물론, 칫솔이나 휴대폰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생활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광촉매램프나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살균처리 및 방향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용품에 서식하는 각종 병원성 세균과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등은 물론, 찌든담배냄새, 곰팡이 냄새 등 각종 생활악취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비염 등의 질병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생활용품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숙박업소에서는 침구의 일종으로서 베개나 방석, 담요 등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와 같은 침구류는 내부에 솜이나 합성섬유로 된 쿠션부재로 채워지기 때문에 사용시 인체로부터 분비되는 땀 등의 수분이 내부로 배어들게 되는 것은 물론, 여름철과 같이 습기가 많은 계절에는 외부의 습기가 배어들고, 보관시 항상 침대에 깔려 있거나 장롱 등 별도로 마련되는 수납공간내에 보관되기 때문에 자주 세척하거나 건조시키지 않는 경우 각종 병원성 세균과 박테리아, 곰팡이는 물론, 진드기 등이 서식하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진드기의 경우 태양광을 이용하여 건조시키거나 충격을 가하더라도 쉽 게 제거되지 않으며, 각종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도 단순한 건조시에는 쿠션부재의 내부 깊숙히 들어가 제대로 살균되지 않음에 따라 침구류 등의 사용시 인체의 피부표면에 서식하면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거나 알러지성 비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반 가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칫솔이나 휴대폰 등 개인용 통신단말기의 경우 역시 수분과 땀 등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칫솔모나 휴대폰의 외표면에 각종 병원성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자외선조사방식에 의하여 침대의 매트리스, 이불, 담요 등에 서식하는 진드기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살균기 등이 많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생활용품 중 베개나 방석 또는 담요 등의 쿠션부재 내부 깊숙히 서식하는 집먼지 진드기 등은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단순히 살균하고자 하는 생활용품에 자외선만을 조사하는 경우 땀냄새나 곰팡이 냄새 또는 찌든 담배냄새 등의 생활악취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으며, 살균처리 후에도 쾌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 가정이나 숙박업소,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베개 또는 방석, 담요 등의 침구류는 물론, 칫솔이나 휴대폰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생활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광촉매램프나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살균처리 및 방향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용품에 서식하는 각종 병원성 세균과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등은 물 론, 찌든 담배냄새, 곰팡이냄새 등 각종 생활악취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비염 등의 질병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생활용품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베개나 방석 또는 담요, 칫솔이나 휴대폰 등의 생활용품을 넣을 수 있는 크기와 깊이를 갖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과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살균기본체와; 상기 살균기본체상의 공간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살균기본체의 앞부분 상부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쇄회로기판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ON" 또는 "OFF"시키는 작동스위치와; 상기 살균기본체 내부의 수납홈을 구성하는 내벽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자외선램프가 내장되는 한편, 자외선램프를 감싸고 있는 유리표면에는 광촉매인 이산화티탄(TiO2)이 여러층으로 코팅된 광촉매램프와; 상기 광촉매램프의 설치위치 아랫쪽 또는 윗쪽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별도의 자외선램프와; 상기 살균기본체의 상부면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수납홈에 수용되는 생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광촉매램프와 자외선램프를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변환스위치와; 상기 살 균기본체의 상부면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작동스위치의 "ON"작동시 모드변환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결정되는 광촉매램프 또는 자외선램프의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서 타이머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광촉매램프와 자외선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광촉매램프와 자외선램프가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와; 상기 수납홈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기본체의 앞부분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정해진 시간마다 향 또는 항균물질이 분출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분사용기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용기의 분사구와 일치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수납홈의 내측으로는 분사용기로부터 분사되는 향 또는 항균물질이 수납홈 내부로 살포되도록 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기본체상의 수납홈의 바닥면에는 격자형상의 스페이서가 윗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기본체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별도의 건전지가 수납되되도록 하여 외부전원 대신에 건전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베개를 살균처리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또, 도 5는 핸드폰이나 칫솔 등을 살균처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를 소형으로 구성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살균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10)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베개나 방석, 담요 치솔, 휴대폰 등의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용품에 서식하는 각종 병원성 세균과 바이러스, 곰팡이는 물론, 진드기 등을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비염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생성을 크게 향상시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살균장치(10)를 구성하기 위하여 정해진 크기를 갖는 살균기본체(12)가 마련된다.
상기 살균기본체(12)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면의 아랫쪽으로는 베개나 방석 또는 담요, 칫솔이나 휴대폰 등의 생활용품(14)을 넣을 수 있는 크기와 깊이를 갖는 수납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살균기본체(12)의 앞부분 내부에는 수납홈(16)과 격벽(18)에 의하여 구획된 별도의 공간부(20)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20)내에는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에 수용되는 건전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4)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기본체(12)의 앞부분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2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는 외부전원 또는 건전지(22)로부터 인쇄회로기판(24)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ON" 또는 "OFF"시키는 작동스위치(26)가 설치된다.
또, 상기 살균기본체(12)상에 마련된 수납홈(16)의 내벽면상에는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내장되고, 상기 자외선램프를 감싸고 있는 유리표면에 광촉매인 이산화티탄(TiO2)이 여러층으로 코팅된 광촉매램프(28)가 설치되며, 상기 광촉매램프(28)는 인쇄회로기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광촉매램프(28)의 설치위치 아랫쪽 또는 윗쪽에 해당되는 수납홈(16)의 내벽면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별도의 자외선램프(30)가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기본체(12)의 공간부(20) 상부면에는 인쇄회로기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납홈(16)에 수용되는 생활용품(14)의 종류에 따라 광촉매램프(28)와 자외선램프(30)를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변환스위치(32)가 설치된다.
상기 살균기본체(12)의 공간부(20) 상부면에는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26)의 "ON"작동시 모드변환스위치(32)의 조작에 따라 정해지는 광촉매램프(28) 또는 자외선램프(30)의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스위치(34)가 설치된다.
또, 상기 인쇄회로기판(24)에는 타이머스위치(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에서 그 타이머스위치(34)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광촉매램프(28)와 자외선램프(30)가 점등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광촉매램프(28)와 자외선램프(30)가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36)가 설치되며, 상기 수납홈(16)의 상부 일측에는 수납홈(16)을 덮어주거나 열어주는 덮개(38)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기본체(12)의 앞부분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20)에는 정해진 시간마다 향 또는 항균물질이 분출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분사용기(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분사용기(40)의 분사구와 일치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수납홈(16)의 내측으로는 분사용기(40)로부터 분출된 향 또는 항균물질이 수납홈(16) 내부로 살포되도록 하기 위한 분사노즐(4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기본체(12)상의 수납홈(16)의 바닥면에는 생활용품(14)의 수용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격자형상의 스페이서(44)가 윗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기본체(12)의 공간부(20) 일측에는 별도의 건전지(22)가 수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외부전원 대신에 건전지(22)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부(20)의 아랫쪽 측면에는 건전지(22)를 수납하고 교체하기 위한 건전지케이스 커버(46)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베개나 방석 또는 담요, 칫솔이나 휴대폰 등의 생활용품(14)을 살균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살균기본체(12)의 상부면에 덮여진 덮개(38)를 윗쪽으로 들어올려 수납홈(16)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살균시키고자 하는 생활용품(14)을 수납홈(16)내에 넣고 덮개(38)를 닫아준다.
이 상태에서 작동스위치(26)를 "ON"상태로 위치시키고, 모드변환스위치(32)를 조작하여 살균시키고자 하는 생활용품(14)의 종류에 따라 광촉매램프(28)와 자외선램프(30) 중 어느 하나를 점등시킬 것인지 아니면 광촉매램프(28)와 자외선램프(30) 모두를 동시에 점등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타이머스위치(34)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선택된 광촉매램프(28) 또는 자외선램프(30)의 점등시간을 설정하면, 광촉매램프(28) 또는 자외선 램프(30)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광촉매램프(28)와 자외선램프(30)가 동시에 점등되면서 수납홈(16)내에 수용된 생활용품(14)에 대한 살균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광촉매램프(28)가 점등되는 경우에는 그 내부의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자외선램프를 감싸고 있는 유리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TiO2)에 흡수되면서 전자(e-)와 정공(h+)이 발생되고, 상기 전자와 정공이 대기중의 산소(O2)와 물(H2O)과 반응하여 (O2 - )와 (·OH) 2종의 활성산소가 생성되며, 상기 2종의 활성산소가 유기물질을 분해함에 따라 병원성 세균이나 박테리아, 곰팡이 등이 제거되는 것은 물론,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닌, 메틸메르캅탄, 아세트알데 히드 성분으로부터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나 찌든 담배냄새, 곰팡이냄새 등 각종 생활악취 또한 효율적으로 제거되며, 새집증후군의 주요 원인이 되는 접착제 성분인 포름알데히드 등 난분해성 유해물질도 함께 제거되는 것이다.
또, 상기 광촉매램프(28)의 윗쪽 또는 아랫쪽에 별도로 설치된 자외선램프(30)가 점등되는 경우에 그 자외선램프(3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침구류를 구성하는 쿠션부재 깊숙히 서식하는 집먼지 진드기 또한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생활용품(14)중 베개, 방석, 담요 등의 침구류를 살균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램프(28)와 자외선램프(30)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생활용품(14)중 칫솔이나 휴대폰 등을 살균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램프(28)나 자외선램프(30)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광촉매램프(28)와 자외선램프(30)를 이용한 생활용품(14)의 살균과정에서 상기 살균기본체(12)상의 공간부(20) 내부에 설치된 분사용기(40)가 작동되면, 분사용기(40)로부터 분출된 향 또는 항균물질은 수납홈(16)과 공간부(20)를 구획하는 격벽(18)상에 설치된 분사노즐(42)을 통하여 수납홈(16)내부로 분사됨에 따라 생활용품(14)이 방향(芳香) 또는 항균(抗菌)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생활용품 살균장치(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기본적이지만 외부전원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건전지(22)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어 휴대용으로도 편리하게 사 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베개나 방석 또는 담요 등의 침구류는 물론, 칫솔이나 휴대폰 등 각종 생활용품을 살균기 본체상에 마련된 수납홈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하고, 타이머스위치를 조작하여 시간을 설정하면, 광촉매램프와 자외선램프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점등됨과 동시에 광촉매램프의 표면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되면서 생활용품에서 서식하는 각종 병원균이나 박텔아 또는 곰팡이 등이 살균 및 제거되고,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작용에 의하여 생활용품에 서식하는 진드기 등이 제거되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알러지성 비염 등의 질환이 예방된다.
또, 살균과 동시에 생활용품에 향 또는 항균물질이 분사될 수 있음에 따라 위생적이면서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베개나 방석 또는 담요, 칫솔이나 휴대폰 등의 생활용품을 넣을 수 있는 크기와 깊이를 갖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과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살균기본체와;상기 살균기본체상의 공간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상기 살균기본체의 앞부분 상부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쇄회로기판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ON" 또는 "OFF"시키는 작동스위치와;상기 살균기본체 내부의 수납홈을 구성하는 내벽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자외선램프가 내장되는 한편, 자외선램프를 감싸고 있는 유리표면에는 광촉매인 이산화티탄(TiO2)이 여러층으로 코팅된 광촉매램프와;상기 광촉매램프의 설치위치 아랫쪽 또는 윗쪽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별도의 자외선램프와;상기 살균기본체의 상부면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수납홈에 수용되는 생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광촉매램프와 자외선램프를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변환스위치와;상기 살균기본체의 상부면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 어 작동스위치의 "ON"작동시 모드변환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결정되는 광촉매램프 또는 자외선램프의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스위치와;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서 타이머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광촉매램프와 자외선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광촉매램프와 자외선램프가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상기 수납홈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용품 살균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살균기본체의 앞부분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정해진 시간마다 향 또는 항균물질이 분출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분사용기가 설치되고;상기 분사용기의 분사구와 일치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수납공간 내측으로는 분사용기로부터 분사되는 향 또는 항균물질이 수납공간 내부로 살포되도록 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용품 상균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살균기본체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별도의 건전지가 수납되도록 마련되어 외부전원 대신에 건전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용품 살균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살균기본체상의 수납공간의 바닥면에는 격자형상의 스페이서가 윗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용품 살균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1357A KR100709604B1 (ko) | 2006-05-09 | 2006-05-09 | 생활용품 살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1357A KR100709604B1 (ko) | 2006-05-09 | 2006-05-09 | 생활용품 살균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9604B1 true KR100709604B1 (ko) | 2007-04-20 |
Family
ID=3818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1357A KR100709604B1 (ko) | 2006-05-09 | 2006-05-09 | 생활용품 살균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960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0064B1 (ko) | 2010-12-15 | 2012-07-31 | 이향제 | 이동통신 단말기용 살균 케이스 |
KR20210028951A (ko) * | 2019-09-05 | 2021-03-15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촉매를 이용한 진동 혀 클리너 |
KR20210102786A (ko) * | 2020-02-12 | 2021-08-20 |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 생활소품용 살균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0795U (ko) * | 1998-06-16 | 2000-01-15 | 김규태 | 칼,도마 자외선 살균소독 건조기 |
KR200220690Y1 (ko) | 2000-10-26 | 2001-04-16 | 안귀인 | 칼,도마 살균건조기 |
US6797127B1 (en) | 1999-07-19 | 2004-09-28 |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And Eco-Logy Corporation |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oxygen-containing gas |
KR20050006715A (ko) * | 2003-07-10 | 2005-01-17 | 김병훈 | 도마 살균장치 |
KR200376556Y1 (ko) | 2004-11-23 | 2005-03-11 | 미미라이팅주식회사 | 분리형 소독기 |
-
2006
- 2006-05-09 KR KR1020060041357A patent/KR1007096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0795U (ko) * | 1998-06-16 | 2000-01-15 | 김규태 | 칼,도마 자외선 살균소독 건조기 |
US6797127B1 (en) | 1999-07-19 | 2004-09-28 |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And Eco-Logy Corporation |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oxygen-containing gas |
KR200220690Y1 (ko) | 2000-10-26 | 2001-04-16 | 안귀인 | 칼,도마 살균건조기 |
KR20050006715A (ko) * | 2003-07-10 | 2005-01-17 | 김병훈 | 도마 살균장치 |
KR200376556Y1 (ko) | 2004-11-23 | 2005-03-11 | 미미라이팅주식회사 | 분리형 소독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0064B1 (ko) | 2010-12-15 | 2012-07-31 | 이향제 | 이동통신 단말기용 살균 케이스 |
KR20210028951A (ko) * | 2019-09-05 | 2021-03-15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촉매를 이용한 진동 혀 클리너 |
KR102307000B1 (ko) | 2019-09-05 | 2021-09-29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촉매를 이용한 진동 혀 클리너 |
KR20210102786A (ko) * | 2020-02-12 | 2021-08-20 |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 생활소품용 살균기 |
KR102418222B1 (ko) * | 2020-02-12 | 2022-07-08 | 홍세일 | 생활소품용 살균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9604B1 (ko) | 생활용품 살균장치 | |
JP7139110B2 (ja) | 除菌装置の蓋 | |
JP2001314250A (ja) | オゾン脱臭装置付き下駄箱 | |
JP2014028143A (ja) | 装置に収容された枕やその他の物を消毒する装置 | |
KR101432071B1 (ko) | 항균에어를 이용한 클린 살균기 | |
KR200423534Y1 (ko) | 휴대용 휴대폰의 훈향 소독기 | |
KR200315254Y1 (ko) |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칫솔 살균기 | |
KR200296964Y1 (ko) | 신발소독건조기. | |
JPH10276960A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20160002642U (ko) | 살균기 수저통 | |
KR200399403Y1 (ko) |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 수저통 | |
KR100979491B1 (ko) | 가정용 자외선 살균 장치 | |
KR101038201B1 (ko) | 침구류 살균 장치 및 침구류의 살균이 가능한 가구 | |
KR200310513Y1 (ko) | 살균 및 향기분사 가능한 가구 | |
JP2004242970A (ja) | 歯ブラシ除菌装置 | |
KR200183685Y1 (ko) | 침구 및 의류 살균장치 | |
KR100583764B1 (ko) | 수저케이스 형상의 이동식 살균 건조기 | |
CN213157988U (zh) | 多功能牙刷消毒器 | |
KR20170071734A (ko) | 빌트인 타입으로 원적외선 방사구조를 갖는 물품보관체 | |
KR20060006632A (ko) | 살균, 탈취, 방향 기능을 구비한 속옷 수납장 | |
US20070140895A1 (en) |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 |
KR200371657Y1 (ko) | UV/TiO2 광촉매를 이용한 항균·탈취 신발장 | |
KR200383345Y1 (ko) |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수저통 | |
KR102525976B1 (ko) | 살균 기능을 갖는 옷걸이봉 | |
JP3091374U (ja) | 除菌ロッカ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