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459Y1 -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459Y1
KR200376459Y1 KR20-2004-0034768U KR20040034768U KR200376459Y1 KR 200376459 Y1 KR200376459 Y1 KR 200376459Y1 KR 20040034768 U KR20040034768 U KR 20040034768U KR 200376459 Y1 KR200376459 Y1 KR 200376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spring
housing
current
fus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두영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4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Landscapes

  • F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내에 사용 되는 연결구조를 스프링 연결 구조로 변경 적용함으로써, 수입으로 인한 수급의 어려움과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는 어려움을 해소하면서도 동등 이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는 RMU(Ring Main Unit)에 부착되며 내부에 퓨즈 링크를 넣어서 사용하며 상기 퓨즈링크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전류 인입부와 상기 퓨즈링크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전류 인출부를 구비한 퓨즈 하우징과, 상기 퓨즈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링크와 일체로 상기 퓨즈 하우징에 밀어 넣어 사용하는 퓨즈 캡을 구비한 퓨즈 하우징내의 퓨즈링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류 인출부는: 상기 퓨즈 링크와 상기 전류 인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스프링 형상의 환형으로 구성된 스프링 멀티 콘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 멀티 콘넥터를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내경 안쪽에 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SPRING TYPE FUSELINK CONNECTOR STRUCTRE}
본 고안은 RMU(Ring Main Unit)에서 수용가 선로사고 차단을 위하여 사용되는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퓨즈 하우징내에 사용 되는 연결구조를 스프링 연결 구조로 변경 적용한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MU는 배전계통의 전력을 다른 선로로 분기하거나 수용가로 공급해주는 기기이다. 이때, 수용가 공급 구간에서 사고 발생시 RMU기기 및 전단부의 기기들이 사고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전압 퓨즈링크(Fuse link)를 사용한다.
상기 퓨즈 링크의 설치 시 RMU내의 도체와 연결해야 한다. 이때 연결구조는 퓨즈(Fuse)의 한쪽 면 만을 취급하면서도 퓨즈의 착탈이 편리한 구조이면서 사용부하 전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적당한 밀착 강도를 가지며 수용가의 단락 사고에도 파손되지 않고 견디어야 하는 기능이 요구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퓨즈 하우징의 조립 외형도로서, 도 1a는 조립 전 구성품이고, 도 1b는 조립 후 단면도이다.
종래의 퓨즈 하우징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MU에 부착되며 내부에 퓨즈 링크(Fuse Link)(20)를 넣어서 사용하는 퓨즈 하우징(Fuse Housing)(30)과, 상기 퓨즈 하우징(30)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링크(20)와 일체로 상기 퓨즈 하우징(30)에 밀어 넣어 사용하는 퓨즈 캡(Fuse Cap)(1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퓨즈 하우징(30)에는 전류 인입부(Front Conductor)(32)와 전류 인출부(Rear Conductor)(3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류 인입부(32)는 상기 퓨즈링크(20)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도체로서 전류를 인입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 인출부(34)는 상기 류즈링크(2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도체로서 전류를 인출한다. 상기 퓨즈 하우징(30)의 재료는 에폭시(Epoxy)로 인입과 인출되는 도체를 포함하여 몰딩된다.
상기 퓨즈링크(30)와 상기 전류 인출부(34) 사이에는 멀티 콘넥터(Multi Connector)(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멀티콘넥터(36)는 전류의 안정적 흐름과 퓨즈의 설치시 원활한 동작이 요구되는 장치이다.
상기 퓨즈 링크(20)는 선로 사고 차단 장치이다.
종래의 퓨즈 링크(20)의 연결구조는 상기 퓨즈 링크(20)를 끼우는 부위에 얇은 판재를 프래스로 부분적 돌출시켜서 원형을 유지시킨 형태의 멀티콘넥터(Multi Connector)(36)가 사용되었다. 이는 주요 전기 기기들의 가동 전극부나 전선 접속부의 연결 구성품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퓨즈 링크(20)가 RMU에 장착되는 부위의 구성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퓨즈 링크(20)의 외곽을 감싸주는 상기 퓨즈 하우징(30)과, 상기 퓨즈 링크(20)에 전달되는 전류를 통전하는 전류 인입부(32) 및 전류 인출부(34)가 있으며, 또한 퓨즈와 이들 도체들간을 연결하는 멀티 콘넥터(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퓨즈 링크(10)의 전면부를 상기 휴즈캡(10)에 볼트 2개로 고정하고 손잡이(10a)를 잡고 퓨즈와 일체로 퓨즈 끝단이 상기 퓨즈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는 박판 형상의 멀티 콘넥터(36)에 연결되도록 완전 밀착시킨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 인출부(34)의 구성도로서, 도 3a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선의 단면도이다.
상기 전류 인출부(3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콘넥터(36)를 내경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3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콘넥터(36)의 구성도로서, 도 4a는 정면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고,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4d는 도 4c에 도시된 C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멀티 콘넥터(3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판 형상으로 구성이 되며, 필요한 절곡부 마디만큼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퓨즈 하우징내의 퓨즈링크 연결구조는 가공 및 부품 치수 유지가 어려워 국내에서는 생산이 되지 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가격이 고가이고 부품 수급이 원활치 않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퓨즈 하우징내에 사용 되는 연결구조를 스프링 연결 구조로 변경 적용함으로써, 수입으로 인한 수급의 어려움과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는 어려움을 해소하면서도 동등 이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는
RMU(Ring Main Unit)에 부착되며 내부에 퓨즈 링크를 넣어서 사용하며 상기 퓨즈링크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전류 인입부와 상기 퓨즈링크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전류 인출부를 구비한 퓨즈 하우징과, 상기 퓨즈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링크와 일체로 상기 퓨즈 하우징에 밀어 넣어 사용하는 퓨즈 캡을 구비한 퓨즈 하우징내의 퓨즈링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류 인출부는:
상기 퓨즈 링크와 상기 전류 인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스프링 형상의 환형으로 구성된 스프링 멀티 콘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 멀티 콘넥터를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내경 안쪽에 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를 나타낸 퓨즈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류 인출부(134)의 구성도로서,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D-D'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 멀티 콘텍터(136)의 구성도로서, 도 7a는 정면도이고, 도 7b는 측면도이고, 도 7c는 도 7b에 도시된 E-E'선의 단면도이고, 도 7d는 도 7c에 도시된 F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MU(Ring Main Unit)에 부착되며 내부에 퓨즈 링크(도 1a의 도면부호 20 참조)를 넣어서 사용하며 상기 퓨즈 링크(20)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전류 인입부(132)와 상기 퓨즈 링크(2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전류 인출부(134)를 구비한 퓨즈 하우징(130)과,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과 같이 상기 퓨즈 하우징(130)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링크(20)와 일체로 상기 퓨즈 하우징(130)에 밀어 넣어 사용하는 퓨즈 캡(도 1의 도면부호 10 참조)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 인출부(134)는 상기 퓨즈 링크(20)와 상기 전류 인출부(134) 사이에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스프링 형상의 환형으로 구성된 스프링 멀티 콘넥터(136)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멀티 콘넥터(136)를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내경 안쪽에 삽입홈(134a)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는 기존의 퓨즈링크 연결구조(도 2 참조)에서 박판 멀티 콘넥터(36)를 스프링 멀티 콘넥터(136)로 변경하고 상기 전류 인출부(134)에 상기 스프링 멀티 콘넥터(136)를 끼워서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134a)을 내경 안쪽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 형상의 스프링 멀티 콘넥터(13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단을 반대쪽 끝단의 내경에 삽입 가능한 치수로 외경을 제작하여 서로 끼우게 되면 빠지지 않도록 회전(예를 들어, 3피치 정도)하면서 끼워서 환형을 유지 시키고 상기 퓨즈 하우징(130)내의 상기 전류 인출부(134)의 내경에 형성된 삽입홈(134a)에 고정시킨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에 의하면, 퓨즈 하우징내에 사용 되는 연결구조를 스프링 연결 구조로 변경 적용함으로써, 수입으로 인한 수급의 어려움과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는 어려움을 해소하면서도 동등 이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품의 수입으로 인한 적시의 수급 문제, 고가의 부품 구입 단가를 개선하면서도 접촉부의 통전 단면적을 증대하여 제품의 많은 전류 통전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퓨즈 하우징의 조립 외형도로서,
도 1a는 조립 전 구성품이고,
도 1b는 조립 후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퓨즈하우징의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 인출부(34)의 구성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콘넥터(36)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를 나타낸 퓨즈 하우징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류 인출부(134)의 구성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 멀티 콘텍터(136)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퓨즈 하우징(Fuse Housing) 132 : 전류 인입부
134 : 전류 인출부 136 : 스프링 멀티 콘넥터

Claims (1)

  1. RMU(Ring Main Unit)에 부착되며 내부에 퓨즈 링크를 넣어서 사용하며 상기 퓨즈링크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전류 인입부와 상기 퓨즈링크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전류 인출부를 구비한 퓨즈 하우징과, 상기 퓨즈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링크와 일체로 상기 퓨즈 하우징에 밀어 넣어 사용하는 퓨즈 캡을 구비한 퓨즈 하우징내의 퓨즈링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류 인출부는:
    상기 퓨즈 링크와 상기 전류 인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스프링 형상의 환형으로 구성된 스프링 멀티 콘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 멀티 콘넥터를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내경 안쪽에 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
KR20-2004-0034768U 2004-12-07 2004-12-07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 KR200376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68U KR200376459Y1 (ko) 2004-12-07 2004-12-07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68U KR200376459Y1 (ko) 2004-12-07 2004-12-07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459Y1 true KR200376459Y1 (ko) 2005-03-11

Family

ID=4367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768U KR200376459Y1 (ko) 2004-12-07 2004-12-07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4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838A (ko) * 2010-12-16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파워퓨즈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고압가스부하개폐기
KR20160110729A (ko) * 2015-03-11 201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 가스부하개폐기용 퓨즈의 길이 연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838A (ko) * 2010-12-16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파워퓨즈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고압가스부하개폐기
KR101702586B1 (ko) 2010-12-16 2017-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파워퓨즈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고압가스부하개폐기
KR20160110729A (ko) * 2015-03-11 201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 가스부하개폐기용 퓨즈의 길이 연장장치
KR101672629B1 (ko) 2015-03-11 2016-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 가스부하개폐기용 퓨즈의 길이 연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5239A1 (en) Battery connection device
US9484682B2 (en) USB socket
CA2396075A1 (en) Battery fuse bus bar assembly
CN109546064A (zh) 蓄电装置
KR200376459Y1 (ko) 퓨즈 하우징내의 스프링 형상 퓨즈링크 연결구조
US20120184119A1 (en) Assembly receptacle capable of separating
KR200444180Y1 (ko) 전기 플러그
KR20140118640A (ko) 차단기가 일체로 결합된 콘센트
KR100799890B1 (ko) 직류기기의 전원플러그 착탈장치
KR20200039969A (ko) 전선 퓨즈
JP3058433U (ja) 差し込みプラグ装置
CN218677891U (zh) 电源插座
CN217061944U (zh) 一种拔插式底座及微型断路器模组
CN214672434U (zh) 一种塑壳断路器
CN202040160U (zh) 一种夹子和安装了所述夹子的台灯或台灯式取暖器
CN109659737B (zh) 一种电阻可拆卸式防火花电连接件
JP2005135615A (ja) プラグ
JP3067506U (ja) 多受口ソケット構造
CN102412329A (zh) 太阳能电池接线盒
CN202332903U (zh) 太阳能电池接线盒
CN207705138U (zh) 一种用于传输线的保护装置
KR920004508Y1 (ko) 전기 접속구
CN102544807B (zh) 电连接器
KR200453572Y1 (ko) 플러그형 직류전원장치
US20140011073A1 (en) Hand tool batt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