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403Y1 - Monitor arm for unit chair - Google Patents

Monitor arm for unit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403Y1
KR200376403Y1 KR20-2004-0034313U KR20040034313U KR200376403Y1 KR 200376403 Y1 KR200376403 Y1 KR 200376403Y1 KR 20040034313 U KR20040034313 U KR 20040034313U KR 200376403 Y1 KR200376403 Y1 KR 200376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onitor
lower arm
outer e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3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백
Original Assignee
(주)한림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림덴텍 filed Critical (주)한림덴텍
Priority to KR20-2004-0034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4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4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둥 상에서 브라켓(18)을 개재하여 모니터(15)를 지지하는 유니트 체어의 밸런스 아암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기둥 상에 클램프(25)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아암(20); 상기 상부아암(20)의 외단에 수직축(33)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 너클(31)(32)을 구비하는 하부아암(30); 상기 하부아암(30) 상에 로드(41)와 연동하도록 장착되고, 하부아암(30)의 하강을 억제하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수단(40); 및 상기 하부아암(30)의 외단에 서포트(58)와 수직축(34)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18)을 점접촉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ance arm of a unit chair that supports the monitor 15 via a bracket 18 on a column. As a feature of the configuration, the upper arm 20 is rotatably installed via the clamp 25 on the pillar; A lower arm 30 rotatably mounted at an outer end of the upper arm 20 via a vertical shaft 33 and having knuckles 31 and 32 at both ends; Tension means (40) mounted on the lower arm (30) so as to interlock with the rod (41) and acting to suppress the lowering of the lower arm (30); And support means (50) mounted on an outer end of the lower arm (30) via a support (58) and a vertical shaft (34), and supporting the bracket (18) in point contact.

이에 따라, 진료시 모니터를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용이하며 그 자세로 정지하다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는 조절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easy to quickly move the monitor to a desired position during medical treatment, and the adjustment to stop at the posture an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is also easy.

Description

유니트 체어용 모니터 아암 {Monitor arm for unit chair}Monitor arm for unit chair

본 고안은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진료시 모니터를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용이하며 그 자세로 정지하다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는 조절도 용이한 유니트 체어용 모니터 아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unit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arm for easy adjustment, which is easy to move the monitor to a desired position at the time of medical treatment and stops in its posture and then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will be.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시트, 백레스트, 헤드레스트, 암레스트 등의 의자(10)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으로 브라켓테이블(12), 라이트, 타구대, 보조 테이블 등이 배치된다. 브라켓테이블(12)은 치료 도구인 핸드피스를 거치하는 외에 조작패널과 컨트롤러가 탑재되기도 한다. 이때 조작 상태의 확인을 위한 소형의 디스플레이는 브라켓테이블(12)과 함께 장착된다.In general, the dental unit chair has a bracket table 12, a light, a batting table, an auxiliary table, and the like around a chair 10 such as a seat, a backrest, a headrest, an armrest, and the like. The bracket table 12 may be equipped with an operation panel and a controller in addition to mounting the handpiece as a treatment tool. At this time, the small display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is mounted together with the bracket table (12).

그러나 카메라로 진료 영상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고급형 모델일수록 상대적으로 화면이 큰 모니터(15)가 필수적이며 이 경우 모니터(15)는 브라켓테이블(12)과 별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상측으로 별치된다. 환자에게 영상을 보여줄 필요가 있을 때 모니터(15)를 환자에 근접시키더라도 의사는 브라켓테이블(12)의 조작패널과 자체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선택, 조절할 수 있다.However, in the high-end model of acquiring and displaying a medical image by a camera, a monitor 15 having a relatively large screen is essential, and in this case, the monitor 15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so that the monitor 15 can be moved separately from the bracket table 12. When it is necessary to show an image to the patient, even if the monitor 15 is brought close to the patient, the doctor can select and adjust the image using the operation panel of the bracket table 12 and its own display.

이와 같이 별치되는 모니터(15)는 진료중 의사의 위치에 맞추어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용이해야 하고 의사와 환자 간에 눈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양자간의 이동에 불편이 초래되지 않아야 한다.This separate monitor 15 should be easy to move quickly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doctor during the treatment and should not cause inconvenience in the movement between the two even when the eye level between the doctor and the patient.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는 것으로서, 진료시 모니터를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용이하며 그 자세로 정지하다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는 조절도 용이한 유니트 체어의 모니터 아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nitor arm of a unit chair that is easy to move the monitor to a desired position at the time of medical examination, and to be easily adjusted to stop at the posture an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The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기둥 상에서 브라켓을 개재하여 모니터를 지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둥 상에 클램프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아암; 상기 상부아암의 외단에 수직축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 너클을 구비하는 하부아암; 상기 하부아암 상에 로드와 연동하도록 장착되고, 하부아암의 하강을 억제하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수단; 및 상기 하부아암의 외단에 서포트와 수직축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을 점접촉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chanism for supporting a monitor via a bracket on a pillar, comprising: an upper arm rotatably installed on the pillar through a clamp; A lower arm rotatably mounted at an outer end of the upper arm via a vertical axis and having knuckles at both ends; Tension means mounted on the lower arm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rod, the tensioning means acting to suppress a lowering of the lower arm; And support means mounted on an outer end of the lower arm via a support and a vertical axis, and supporting the bracket in a point contact state.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부아암은 힌지축을 이용하여 로드와 평행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나선 결합되어 텐션수단을 구속/해제하는 노브를 구비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arm i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rod by using a hinge axis, and is provided with a knob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to restrain / release the tension means.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텐션수단은 하부아암에 부착되는 안내판과, 안내판 상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록과, 블록의 내단과 로드의 내단을 연결하는 선재와, 블록의 외단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과, 외단측 힌지축에 맞물려 결합되면서 인장스프링의 외단에 연결되는 조절볼트를 구비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means includes a guide plate attached to the lower arm, a block mounted on the guide plate in a linear motion, a wire rod connecting the inner end of the block and the inner end of the rod, and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block. It is provided with a tension spring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end side hinge shaft is coupled to the control bolt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tension spring.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서포트와 결합되는 반대측의 외단이 구형으로 형성되는 연결축과, 부싱을 개재하여 연결축의 외단을 수용하는 홀더와, 홀더를 브라켓에 밀착 고정하는 누름판을 구비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ans includes a connecting shaft having an outer end of the opposite side coupled to the support in a spherical shape, a holder accommodating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via a bushing, and a pressing plate for tightly fixing the holder to the bracket. Equipped.

이때, 상기 지지수단은 수직축에 대한 서포트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니트 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아암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nito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본 고안은 기둥 상에서 브라켓(18)을 개재하여 모니터(15)를 지지하는 기구에 관련된다. 기둥은 브라켓테이블(12)과 라이트를 지지하는 메인포스트를 활용한다. 이하 본 고안의 설명에서 '내단'이란 기둥(메인포스트)을 향하는 위치를 의미이고 '외단'이란 반대로 기둥에서 멀어지는 위치를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monitor 15 via a bracket 18 on a column. The pillar utilizes the bracket table 12 and the main post supporting the light.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ner' means a position facing the pillar (main post), and 'outer' means a position away from the pillar.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기둥 상에 상부아암(20)이 클램프(25)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아암(20)은 벤딩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므로 고강도 금속재를 사용하여 사각 통형으로 형성한다. 상부아암(20)의 내단에 고정되는 수직축(22)을 이용하여 클램프(25)에 삽착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rm 20 i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clamp 25 on the pillar. Since the upper arm 20 has a large bending moment, the upper arm 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using a high-strength metal material. The clamp 25 is inserted into the clamp 25 using the vertical shaft 22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upper arm 20.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양단에 너클(31)(32)을 구비하는 하부아암(30)이 상기 상부아암(20)의 외단에 수직축(33)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부아암(30)과 너클(31)(32)은 힌지축(37)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내단의 너클(31)은 수직축(33)과 일체로 형성하고, 부싱을 개재하여 상부아암(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arm 30 having knuckles 31 and 32 at both ends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end of the upper arm 20 via a vertical axis 33. The lower arm 30 and the knuckles 31 and 32 are rotatably connected via the hinge shaft 37. The knuckle 31 at the inner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vertical shaft 33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upper arm 20 via the bushing.

또,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아암(30)의 하강을 억제하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수단(40)이 상기 하부아암(30) 상에 로드(41)와 연동하도록 장착된다. 로드(41)는 너클(31)(32)에 힌지축(38)을 개재하여 장착되며, 하부아암(30)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연동한다. 내단의 너클(31)은 상부아암(20)에 의해 상하운동이 구속되는 반면 외단의 너클(32)은 하부아암(30)과 로드(41)에 의해 상하운동 가능하다. 텐션수단(40)은 외단의 너클(32)의 하강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며, 상세한 구성과 작동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nsion means 40 that acts to suppress the lowering of the lower arm 30 is mounted to interlock with the rod 41 on the lower arm 30. The rod 41 is mounted to the knuckles 31 and 32 via the hinge shaft 38 and keeps in parallel with the lower arm 30. The inner knuckle 31 is vertically constrained by the upper arm 20 while the outer knuckle 32 is vertically movable by the lower arm 30 and the rod 41. Tension means 40 act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suppressing the fall of the knuckle 32 of the outer end, and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fer to Figures 3 and 4 to be described later.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18)을 점접촉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50)이 상기 하부아암(30)의 외단에 서포트(58)를 개재하여 장착된다. 브라켓(18)은 모니터(15)와 직접 접촉하며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조립치수에 따라 다른 것으로 교체됨을 고려한다. 서포트(58)와 브라켓(18)이 접점촉 상태로 결합되면 모니터(15)의 상하좌우 수평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다. 지지수단(50)의 상세한 구성과 작동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ans 50 for supporting the bracket 18 in the point contact state is mounted via the support 58 at the outer end of the lower arm 30. It is contemplated that the bracket 18 is a part directl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monitor 15 and replaced with another according to the assembly dimension. When the support 58 and the bracket 18 are coupled to the contact point stat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nitor 15 are possibl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upport means 50 refer to FIGS. 3 and 4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아암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에서 요부를 드러내어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monito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본 고안의 텐션수단(40)은 안내판(42), 블록(45), 선재(43), 인장스프링(46), 조절볼트(48)로 이루어진다. 안내판(42)은 하부아암(30) 상에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부착된다. 육면체 형태의 블록(45)은 선재(43)와 인장스프링(46)을 개재하여 안내판(42) 상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선재(43)는 블록(45)의 내단과 로드(41)의 내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체인 또는 와이어처럼 유연한 형태를 사용하고 롤러(44)를 개재하여 로드(41)의 내단에 연결한다. 인장스프링(46)은 블록(45)의 외단에 연결되고 블록(45)과 함께 안내판(42) 상에 위치한다. 조절볼트(48)는 외단측 힌지축(37)에 나선으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인장스프링(46)의 외단에 너트(47)를 개재하여 연결된다.The tension means 4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guide plate 42, a block 45, a wire rod 43, a tension spring 46, and an adjusting bolt 48. The guide plate 42 is attached to the lower arm 30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horizontally. The hexahedral block 45 is mounted on the guide plate 42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through the wire 43 and the tension spring 46. The wire 43 connects the inner end of the block 45 to the inner end of the rod 41 and uses a flexible form such as a chain or a wire, and connects the inner end of the rod 41 via a roller 44. The tension spring 46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block 45 and is located on the guide plate 42 together with the block 45. The adjusting bolt 48 is coupled to the outer end side hinge shaft 37 in a spiral manner and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tension spring 46 via a nut 47.

이에 따라, 모니터(15)를 눌러서 내리면 하부아암(30)에서 외단의 너클(32)이 하강하면서 선재(43)가 연결된 힌지축(38)과 조절볼트(48)가 장착된 힌지축(37)의 거리가 늘어나므로 인장스프링(46)의 인장력이 증가한다. 모니터(15)를 누름 상태를 해제하는 순간 인장스프링(46)의 인장력에 의해 다시 초기 위치로 상승한다. 인장스프링(46)의 초기 인장력을 조절하려면 너클(31)의 내단측에서 조절볼트(48)의 머리를 공구로 회전시킨다. 조절볼트(48)의 회전으로 너트(47)가 너클(31) 측으로 당겨지면 인장스프링(46)이 늘어나 인장력이 증가된다.Accordingly, when the monitor 15 is pushed down, the hinge shaft 38 to which the wire rod 43 is connected and the hinge shaft 37 to which the adjustment bolt 48 is mounted while the knuckle 32 of the outer end descends from the lower arm 30 are mounted. The tension force of the tension spring 46 is increased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distance. As soon as the monitor 15 is released, the tension is increased by the tension spring 46 to the initial position. To adjust the initial tension of the tension spring 46, the head of the adjustment bolt 48 at the inner end side of the knuckle 31 is rotated with a tool. When the nut 47 is pulled toward the knuckle 31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bolt 48, the tension spring 46 is extended to increase the tensile force.

이때, 본 고안의 하부아암(30)은 외면에 나선 결합되어 텐션수단(40)을 구속/해제하는 노브(35)를 구비한다. 노브(35)는 하부아암(30)에 맞물려 나선운동하면서 텐션수단(40)의 블록(45)을 가압한다. 블록(45)이 가압되어 이동이 구속되면 하부아암(30)과 로드(41)에 의한 링크 기능은 정지된다. 즉, 모니터(15)를 일정 위치로 내리고 노브(35)를 조이면 그 상태로 정지된다. 다시 노브(35)를 풀면 블록(45)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15)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At this time, the lower arm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knob 35 that is spir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to restrain / release the tension means (40). The knob 35 presses the block 45 of the tension means 40 while helically engaging the lower arm 30. When the block 45 is pressed and the movement is restrained, the link function by the lower arm 30 and the rod 41 is stopped. That is, when the monitor 15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knob 35 is tightened, the state is stopped. When the knob 35 is released again, the restraint of the block 45 is released, so that the monitor 15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지지수단(5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55), 홀더(51)(52), 누름판(54)을 구비한다. 연결축(55)은 서포트(58)와 결합되는 측에 나선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의 외단에서 구형으로 형성된다. 홀더(51)(52)는 일면에 플랜지를 지닌 원통형태로서 부싱(53)을 개재하여 연결축(55)의 외단을 수용한다. 부싱(53)은 통상적인 동합금보다 아세탈과 같은 내마모성, 내열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누름판(54)은 홀더(51)(52)를 브라켓(18)에 밀착 고정하며, 볼트 체결로 조립할 때 와셔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한다.As shown in FIG. 2, the supporting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shaft 55, holders 51 and 52, and a pressing plate 54. The connecting shaft 55 is formed with a spiral on the side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58, and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t the outer end of the opposite side. The holders 51 and 52 are cylindrical with flanges on one surface and accommodate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55 via the bushing 53. The bushing 53 preferably uses a wear resistant and heat resistant resin such as acetal rather than a conventional copper alloy. The pressing plate 54 tightly fixes the holders 51 and 52 to the bracket 18, and also serves as a washer when assembling by bolting.

이에 따라, 내부홀더(51), 부싱(53), 연결축(55), 외부홀더(52), 누름판(54)을 차례로 브라켓(18)에 적층하고 볼트로 결합한 다음 연결축(55)의 나선을 서포트(58)에 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사용중에 모니터(15)의 크기가 변경된 때에는 상기한 역순으로 지지수단(50)을 해체하고 브라켓(18)을 교체한다.Accordingly, the inner holder 51, the bushing 53, the connecting shaft 55, the outer holder 52, and the pressing plate 54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racket 18, joined by bolts, and then the spiral of the connecting shaft 55. Is assembled to the support 58 to complete the assembly. When the size of the monitor 15 is changed during use, the support means 50 are disassembled and the bracket 18 is replaced in the reverse order.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결합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지지수단(50)은 수직축(34)에 대한 서포트(58)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3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스토퍼(36)는 외주면에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한 절개홈(34a)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요홈(34b)을 지닌다. 서포트(58)의 구멍에 수직축(34)을 삽착한 다음 측면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요홈(34b)에 맞물리게 하면 수직축(34)이 고정된다. 이어서 너클(32)의 내면과 수직축(34)의 절개홈(36a)에 스토퍼(36)가 걸치도록 하고 너클(32)에 볼트로 체결한다. 모니터(15)를 돌리면 스토퍼(36)가 절개홈(36a) 상을 이동하므로 모니터(15)의 회전 각도가 설정된 범위로 제한되어 모니터(15)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36 to limi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58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34. The stopper 36 has an incision groove 34a cut in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ecess 34b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The vertical shaft 34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support 58, and then the bolt is fastened from the side to engage the groove 34b so that the vertical shaft 34 is fixed. Subsequently, the stopper 36 is hu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knuckle 32 and the cutting groove 36a of the vertical shaft 34, and is fastened to the knuckle 32 with a bolt. When the monitor 15 is rotated, the stopper 36 moves on the cutout 36a,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monitor 15 is limited to a set range, thereby preventing the collision of the monitor 15.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진료시 모니터를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용이하며 그 자세로 정지하다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는 조절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quickly move the monitor to a desired position at the time of treatment, and the adjustment to stop at the posture an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is also eas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니트 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아암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nitor arm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아암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monito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평면에서 요부를 드러내어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in the plane of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결합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5: 모니터 18: 브라켓15: Monitor 18: Bracket

20: 상부아암 30: 하부아암20: upper arm 30: lower arm

31, 32: 너클 33, 34: 수직축31, 32: knuckle 33, 34: vertical axis

35: 노브 36: 스토퍼35: knob 36: stopper

40: 텐션수단 41: 로드40: tension means 41: rod

42: 안내판 45: 블록42: information board 45: block

46: 스프링 48: 조절볼트46: spring 48: adjustment bolt

50: 지지수단 51, 52: 홀더50: support means 51, 52: holder

53: 부싱 54: 누름판53: bushing 54: pressing plate

55: 연결축55: connecting shaft

Claims (5)

기둥 상에서 브라켓(18)을 개재하여 모니터(15)를 지지하는 기구에 있어서:In a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monitor 15 via a bracket 18 on a column: 상기 기둥 상에 클램프(25)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아암(20);An upper arm 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pillar via a clamp 25; 상기 상부아암(20)의 외단에 수직축(33)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 너클(31)(32)을 구비하는 하부아암(30);A lower arm 30 rotatably mounted at an outer end of the upper arm 20 via a vertical shaft 33 and having knuckles 31 and 32 at both ends; 상기 하부아암(30) 상에 로드(41)와 연동하도록 장착되고, 하부아암(30)의 하강을 억제하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수단(40); 및Tension means (40) mounted on the lower arm (30) so as to interlock with the rod (41) and acting to suppress the lowering of the lower arm (30); And 상기 하부아암(30)의 외단에 서포트(58)와 수직축(34)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18)을 점접촉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의 모니터 아암.A support means (50) mounted on an outer end of the lower arm (30) via a support (58) and a vertical shaft (34), and supporting the bracket (18) in point contact state; Monitor arm of the unit cha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아암(30)은 힌지축(37)(38)을 이용하여 로드(41)와 평행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나선 결합되어 텐션수단(40)을 구속/해제하는 노브(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의 모니터 아암.The lower arm 30 is coupled to the rod 41 using hinge shafts 37 and 38 in parallel and spiral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provided with a knob 35 for restraining / releasing the tension means 40. Monitor arm of the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텐션수단(40)은 하부아암(30)에 부착되는 안내판(42)과, 안내판(42) 상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록(45)과, 블록(45)의 내단과 로드(41)의 내단을 연결하는 선재(43)와, 블록(45)의 외단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46)과, 외단측 힌지축(37)에 맞물려 결합되면서 인장스프링(46)의 외단에 연결되는 조절볼트(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의 모니터 아암.The tension means 40 includes a guide plate 42 attached to the lower arm 30, a block 45 mounted linearly on the guide plate 42, an inner end of the block 45, and a rod 41. Wire rod 43 for connecting the inner end of the connection, the tension spring 46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block 45, the control bolt is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tension spring 46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outer hinge side shaft 37 A monitor arm of a unit chai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48.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수단(50)은 서포트(58)와 결합되는 반대측의 외단이 구형으로 형성되는 연결축(55)과, 부싱(53)을 개재하여 연결축(55)의 외단을 수용하는 홀더(51)(52)와, 홀더(51)(52)를 브라켓(18)에 밀착 고정하는 누름판(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의 모니터 아암.The support means 50 is a holder 51 for accommodating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55 via the connecting shaft 55 and the bushing 53, the outer end of the opposite side coupled to the support 58 is spherical. And a pressing plate 54 for tightly fixing the holders 51 and 52 to the brackets 18, wherein the monitor arm of the unit chair is provid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지지수단(50)은 수직축(34)에 대한 서포트(58)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3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의 모니터 아암.The support arm (50) further comprises a stopper (36) for limi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upport (58)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34).
KR20-2004-0034313U 2004-12-03 2004-12-03 Monitor arm for unit chair KR2003764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313U KR200376403Y1 (en) 2004-12-03 2004-12-03 Monitor arm for unit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313U KR200376403Y1 (en) 2004-12-03 2004-12-03 Monitor arm for unit chai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805A Division KR100499087B1 (en) 2004-12-03 2004-12-03 Monitor arm for unit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403Y1 true KR200376403Y1 (en) 2005-03-11

Family

ID=4367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313U KR200376403Y1 (en) 2004-12-03 2004-12-03 Monitor arm for unit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40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976B1 (en) * 2012-01-02 2014-04-07 주식회사 덴티스 Dental light supporting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976B1 (en) * 2012-01-02 2014-04-07 주식회사 덴티스 Dental light support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2448B2 (en) Display monitor stand
EP195918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4690362A (en) Adjustable stand for a visual display unit
JP2505458B2 (en) Height-adjustable swivel chair with gas pressure spring
US7694919B2 (en) Stand for display device
JP6023183B2 (en) Display device and support device for other objects
JP6231619B2 (en) Bifocal display arran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7669812B2 (en) Stand for display device
AU6133794A (en) Movable supporting arm
GB2471370A (en) A vertically adjustable monitor arm
KR200376403Y1 (en) Monitor arm for unit chair
KR100499087B1 (en) Monitor arm for unit chair
JP3673429B2 (en) Tilt steering device with memory mechanism
JP2005173587A (en) Adjustable musical instrument stand
JP4489210B2 (en) Display support device
JPH04218468A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JP2005342056A (en) Ultrasonic diagnosing apparatus
JP2005211961A (en) Work holding device
CN104309499B (en) A kind of vehicle seat recliner mechanism and seat
KR200376402Y1 (en) Balance arm for unit chair
KR100499086B1 (en) Balance arm for unit chair
JPH063881A (en) Image forming device
KR200364211Y1 (en) hinge unit of display equipment
JP2001055151A (en) Tilt steering device with memory mechanism
JPH11285990A (en) Auxiliary roller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