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352Y1 -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 Google Patents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352Y1
KR200376352Y1 KR20-2004-0032846U KR20040032846U KR200376352Y1 KR 200376352 Y1 KR200376352 Y1 KR 200376352Y1 KR 20040032846 U KR20040032846 U KR 20040032846U KR 200376352 Y1 KR200376352 Y1 KR 200376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plug
socket
electrical connector
pi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업
황선춘
김효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20-2004-0032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352Y1/ko
Priority to CNB2005101254114A priority patent/CN100372191C/zh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탕의 온도 및 산소, 탄소, 용탕면 등을 측정하기 위해 용탕에 침지하여 사용하는 전기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컨넥터의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 외경을 Ø10.5 정도로 하면서 테두리의 두께를 1.7㎜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 외주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핀조립홈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어 이에 조립되는 핀의 돌출이 상하부 서로 상이한 형태로 삽입되도록 하고, 또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 단부와 아래쪽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와 더 아래쪽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를 0.3㎜ 이내로 유지해줌으로써, 용탕에 침지하여 사용할 때 컨넥터가 연소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한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AN ELECTRIC CONNECTOR FOR MEASUREMENT OF MOLTEN METAL}
본 고안은 용탕의 온도 및 산소 등을 측정하기 위해 용탕에 침지하여 사용하는 전기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상기 전기컨넥터의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 테두리의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 하고 선단부의 외주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핀조립홈에 조립되는 핀의 돌출높이를 서로 달리하여, 소켓의 내면에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때 무리가 없도록 한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철강을 생산하는 제강작업에 있어서는 용융금속의 온도 및 산소함유량 등을 측정할 필요가 있어, 이와 같은 측정에 이용되는 측정장치로써 전기컨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전기컨넥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中空) 상태인 제1통체(1)의 내면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차례로 지름이 작아지는 환상의 단부(3)를 3단 이상 형성하고, 이 각 단부의 주면에 각각 리드선(4)과 연결한 환상의 접촉자(5)를 교대로 절연관계에 있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통체 내면의 상단면 내에 삽입되어 하단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원통형 접촉자(6)를 고정한 소켓(7)과, 받침턱(8) 상에서 중공(中空) 상태인 제2통체(2)의 외주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차례로 지름이 작아지는 환상의 단부(3a)를 상기 제1통체(1)의 환상의 단부(3)의 수와 동일한 수만큼 삽입부(9)로 형성하여 상기 소켓의 내면에 삽입되는 플러그(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부(9)의 선단부 외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소켓(7)에 삽입될 때 소켓 내의 환상의 접촉자(5) 및 원통형 접촉자(6)와 접촉하는 핀(11)이 조립되는 핀조립홈(12b)(12a)이 세로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가 Ø9의 외경을 갖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면서 테두리의 두께는 1㎜ 정도로 얇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선단부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핀조립홈을 깊게 형성할 수 없어 이에 조립되는 핀의 돌출을 같게 할 수밖에 없게 되며, 이렇게 되면 소켓에 플러그의 삽입부를 삽입하여 장착할 때 소켓 내의 단부에 설치된 접촉자가 이 부위를 스치면서 통과하는 상기 핀에 의해 마모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고, 게다가 이 경우에 삽입부의 선단부 상단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굴곡되어 선단부의 핀조립홈에 삽입되는 핀이 파열되면서 아래쪽 단부의 핀조립홈에 삽입된 핀 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상기 플러그는 아래의 표 1에 따르면 지름이 서로 다른 삽입부의 선단부(5,6번 단부)와 아래쪽 단부(4번 단부) 사이의 단차(1㎜)와 아래쪽 단부(4번 단부)와 더 아래쪽 단부(3번 단부) 사이의 단차(1.5㎜)의 차이를 0.5㎜ 정도로 크게 유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정도의 각 단차 사이의 차이는 플러그가 소켓 내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다소 타이트하지 못하게 밀착되므로, 프로브가 용탕에 침지될 때 외부보호관의 연소에 의해 상기 컨넥터가 흔들릴 염려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플러그 삽입부의 각 단부의 외경과 외경차 및 단차는 선단부 단부를 5,6번으로 하되, 그 아래쪽의 단부는 4번,3번으로 되어 1번까지 이어져 서로 비교하고 있는 다음의 표 1의 통해 크기와 차이를 잘 알수 있게 된다.
플러그의 부위 5, 6번 4번 3번 2번 1번
선단부 외경 9 11 14 17 20
외경차 2 3 3 3
각 단부 사이의 단차 1 1.5 1.5 1.5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전기컨넥터의 플러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컨넥터의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 외경을 Ø10.5 정도로 하면서 테두리의 두께를 1.7㎜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 외주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핀조립홈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어 이에 조립되는 핀의 돌출이 환상접속자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도록 한 전기컨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 단부와 아래쪽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와 더 아래쪽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를 0.3㎜ 이내로 유지해줌으로써, 용탕에 침지하여 사용할 때 컨넥터가 연소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한 전기컨넥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공(中空)의 내면에 서로 지름이 다른 환상의 단부를 3단 이상 형성하고, 내면 상단부에 원통형 접촉자를 고정한 소켓과, 서로 지름이 다른 환상의 단부가 소켓의 단부수만큼 받침턱 중심에서 삽입부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의 내면에 삽입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 용탕측정용 전기컨넥터에 있어서, 중공(中空) 상태인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 테두리 두께를 1.7∼1.8㎜ 범위 내로 하고, 상기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제1 핀조립홈의 깊이를 선단부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된 제2 핀조립홈의 깊이보다 깊게 하여, 각각의 상기 핀조립홈에 삽입되는 핀의 돌출높이를 서로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와 아래쪽 단부 사이의 단차와 아래쪽 단부와 이보다 더 아래쪽 단부 사이의 단차의 차이를 0.25∼0.3㎜의 범위 내로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컨넥터의 플러그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컨넥터의 플러그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소켓(7)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플러그(10)는 하부에 상기 소켓의 하단부와 밀착되는 원형의 받침턱(8)을 형성하고 있으면서, 이 받침턱의 중심에 상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환상의 단부(3a)가 차례로 이어져 형성되는 중공(中空)의 삽입부(9)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 외경은 Ø10.5의 범위 내로 하되 바람직하게는 Ø10.5로 이루어지게 하고, 이에 따라 선단부의 테두리 두께는 1.7㎜로 하되 바람직하게는 1.75㎜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때 플러그 삽입부의 각 단부의 외경과 외경차 및 단차는 종래와 같이 선단부 단부를 5,6번으로 하되, 그 아래쪽의 단부는 4번,3번으로 되어 1번까지 이어져 서로 비교하고 있는 다음의 표 2의 통해 종래보다는 크게 구성한다.
플러그의 부위 5, 6번 4번 3번 2번 1번
선단부 외경 10.5 13 16 19 22
외경차 2.5 3 3 3
각 단부 사이의 단차 1.25 1.5 1.5 1.5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부(9)의 선단부 소정부위 외주면 상부에는 상단부에서 아래로 길게 일정길이만큼 이어지는 제1 핀조립홈(12a)이 깊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 외주면의 제1 핀조립홈(12a) 반대편의 외주면 하부에는 하단부에서 위로 길게 일정길이만큼 이어지는 제2 핀조립홈(12b)이 상단부의 절개부(13)와 이어지면서 상기 제1 핀조립홈보다는 얕게, 즉 상기 제1 핀조립홈이 제2 핀조립홈보다는 0.2㎜ 정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 테두리의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1 핀조립홈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할 수 있으므로, 선단부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이어지면서 굴곡되어 상기 제1 핀조립홈에 삽입되는 핀이 상기 홈 내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제2 핀조립홈에 삽입되는 핀과 돌출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핀조립홈과 제2 핀조립홈에 삽입되는 핀의 돌출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특히 제1 핀조립홈에 조립된 핀에 의해 소켓 내로 플러그의 삽입부의 삽입하여 플러그를 장착할 때, 상기 제1 핀조립홈에 조립된 핀이 소켓 내 단부에 장착된 접촉자를 스치면서 삽입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단부 사이의 단차의 크기는 상기한 표 2에 의하면,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5,6번 단부)와 아래쪽 단부(4번 단부) 사이의 단차는 1.25㎜이고, 아래쪽 단부(4번 단부)와 더 아래쪽 단부(3번 단부) 사이의 단차는 1.5㎜이므로, 이 단차 사이의 차이는 0.25㎜가 되고 바람직한 범위로는 0.25∼0.3㎜가 되어, 이 범위 내로 상기 단차와 단차 사이의 차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범위 내로 상기 단차와 단차 사이의 차이를 유지하게 되면, 소켓과 이에 삽입되는 플러그 사이의 접촉된 힘의 분배가 비슷해지면 타이트하게 상기 플러그가 소켓 내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므로, 프로브를 용탕에 침지할 때 외부보호관의 연소에 의해 컨넥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는 소켓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플러그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소켓 내 환상의 접촉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의 삽입부 선단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러그의 삽입부 상부의 단차와 단차 사이의 차이가 적절하게 유지됨으로써 용탕을 측정할 때 컨넥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용탕의 온도 및 산소의 안정적인 측정에 의한 정확한 측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컨넥터의 플러그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컨넥터의 플러그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 전기컨넥터의 절개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제1통체, 2...제2통체,
3,3a...단부, 4...리드선,
5...환상의 접촉자, 6...원통형 접촉자,
7...소켓, 8...받침턱,
9...삽입부, 10...플러그,
11...핀, 12a...제1 핀조립홈,
12b...제2 핀조립홈, 13...절개부.

Claims (2)

  1. 중공(中空)의 내면에 서로 지름이 다른 환상의 단부를 3단 이상 형성하고, 내면 상단부에 원통형 접촉자를 고정한 소켓과, 서로 지름이 다른 환상의 단부가 소켓의 단부수만큼 받침턱 중심에서 삽입부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의 내면에 삽입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 용탕측정용 전기컨넥터에 있어서,
    중공(中空) 상태인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 테두리 두께를 1.7∼1.8㎜ 범위 내로 하고, 상기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제1 핀조립홈의 깊이를 선단부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된 제2 핀조립홈의 깊이보다 깊게 하여, 각각의 상기 핀조립홈에 삽입되는 핀의 돌출높이를 서로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삽입부의 선단부와 아래쪽 단부 사이의 단차와 아래쪽 단부와 이보다 더 아래쪽 단부 사이의 단차의 차이를 0.25∼0.3㎜의 범위 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KR20-2004-0032846U 2004-11-19 2004-11-19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KR200376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46U KR200376352Y1 (ko) 2004-11-19 2004-11-19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CNB2005101254114A CN100372191C (zh) 2004-11-19 2005-11-14 用于测量熔融金属的电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46U KR200376352Y1 (ko) 2004-11-19 2004-11-19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352Y1 true KR200376352Y1 (ko) 2005-03-11

Family

ID=3677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846U KR200376352Y1 (ko) 2004-11-19 2004-11-19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76352Y1 (ko)
CN (1) CN10037219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999B1 (ko) * 2010-09-29 2012-12-13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듀얼 샘플러 복합 프로브
CN112615222A (zh) * 2019-09-18 2021-04-06 映兴电子股份有限公司 同轴环阶式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8942B1 (en) * 2000-01-12 2005-02-01 Molex Incorporated Connectors having supportive barrier components
JP3564557B2 (ja) * 2001-11-15 2004-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嵌合検出端子付き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2191C (zh) 2008-02-27
CN1783594A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711B1 (en) Printed board connector having contacts with bent terminal portions extending into an under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JP4424519B2 (ja)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H04223071A (ja) 多ピン電気コネクタ
US20150038002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MXPA05011347A (es) Procedimiento de montaje de un conector electrico sobre un cable coaxial y conector electrico.
TWI762548B (zh) 電氣接觸件以及電氣零件用插座
CN1172360A (zh) 接头插座件
EP0084318B1 (en) Press fit pin
JP7212115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5846100A (en) Socket for connection of an electrical unit with a connector
US20120244749A1 (en) Rf receptacle connector having central conductor firmly retained with insulative housing
JP4723308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376352Y1 (ko) 용탕 측정용 전기컨넥터
JP2009151939A (ja) 端子圧入構造および電気コネクタ
US6299489B1 (en) Sleeve terminal
JP4944011B2 (ja) 高速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部品
US747310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939133B2 (ja) コネクタ
CN101156281A (zh) 具有保持肋的连接器
JP2005222821A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10129319A (ja) ジャック構造
KR200376351Y1 (ko) 용탕측정용 전기컨넥터의 소켓
TWI260107B (en) High speed receptacle connector part
JP5219793B2 (ja) 電気コネクタの導通検査方法
JP2010153291A (ja) 端子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