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033Y1 - A noise suppresser - Google Patents

A noise suppres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033Y1
KR200376033Y1 KR20-2004-0032563U KR20040032563U KR200376033Y1 KR 200376033 Y1 KR200376033 Y1 KR 200376033Y1 KR 20040032563 U KR20040032563 U KR 20040032563U KR 200376033 Y1 KR200376033 Y1 KR 200376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plate
soundproof
noi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5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주)동성에스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에스엔피 filed Critical (주)동성에스엔피
Priority to KR20-2004-0032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0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033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음방지재에 관한 것으로서, 소음의 방지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음공이 함몰형성된 방음판과; 상기 방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을 차단하는 덮개판과; 상기 방음판의 방음공에 충전되며, 소음의 방지효과를 가지는 제2방음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ing material, which is made of a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and a soundproof plate in which at least one soundproof hole is formed recessed; A cov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proof plate to block the soundproof hole; It relates to a sound-proof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ound-proof material is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of the soundproof plate,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이에 따라, 층간 소음의 방지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되고 조립된 상태의 소음 방지재를 마련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본 소음 방지재는 폐기시 부가적인 오염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재활용도 가능하므로, 환경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품이며, 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noise between floors, and the construction is easy by providing a lightweight and assembled noise prevention material. In addition, since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can be recycled without additional pollution during disposal, it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that can prevent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can reduce costs.

Description

소음 방지재{A NOISE SUPPRESSER}Noise prevention material {A NOISE SUPPRESSER}

본 고안은 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하면서, 무게가 가볍고 시공이 간편함과 동시에, 폐기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noise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effectively sound the interlayer noise, to be light in weight and easy to construct, and to be made of a recyclable material without discharging harmful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at the time of disposal. It relates to a noise preventing material.

불과 20여 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의 주거형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보다는 단독주택이 주류를 이루었다.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한 주택에 많아야 2~3가구가 거주하였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이 심하지 아니하였고 이웃간에 서로 양해를 하면서 살았으나, 인구증가로 인한 공동주택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에 따른 개인생활의 질적 향상에 따라, 점차 쾌적한 주거환경 및 개인의 사생활 유지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Only 20 years ago, the single-family homes were the main form of housing in Korea. In the case of single-family homes, at most two or three households lived in one house, the noise was not severe and they lived with mutual understanding among neighbors. As quality improv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pleasant living environment and the maintenance of personal privacy.

이에 반해, 주택의 초고층화에 따른 철골조 투입, 슬래브 두께 감소 등과 같은 건축 구조의 변화에 따라 공동주택의 층간에 바닥 충격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바닥 충격음에 대한 거주자들의 불만이 증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서, 바닥 충격음이란 보행이나 물체 낙하 등 충격원에 의하여 바닥에서 발생한 소리가 바닥이나 기둥 등의 층간 고체 매질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건물들은 콘크리트 슬래브를 경계로 상하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측 바닥 면을 타격하여 발생되는 충격음은 바닥의 마감재층, 보일러 배관층, 기포 콘크리트층을 차례로 타고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충격음이 전달된다. 이러한 바닥 충격음은 보행이나 가벼운 물체 낙하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량 충격음과, 어린이가 뛰놀 때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되며, 바닥 충격음에 의해 하층에 거주하는 사람은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On the other hand, floor impact sounds are generated between floors of multi-family houses due to changes in the construction structure such as steel frame input and slab thickness reduction due to high-rise housing, and residents' dissatisfaction with such floor impact noise is increasing. . Here, the floor impact sound refers to the noise transmitted from the floor by the impact source, such as walking or falling objects, through the interlayer solid medium such as the floor or the pillar. In general, the buildings of apartments or apartment houses are composed of upper and lower floors, bounded by concrete slabs, and the impact sound generated by hitting the upper floor surface impacts the floor concrete slab through the finishing material layer of the floor, the boiler pipe layer, and the bubble concrete layer. Is passed. The floor impact sound is classified into a light impact sound generated by walking or a light object drop, and a heavy impact sound generated by a child running, etc., and a person living in the lower floor by the floor impact sound receives stress due to noise.

이러한 바닥충격음을 감소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은 소음을 내지 않는 것이 최우선이나 그것은 실생활에서 거의 불가능하며, 현재 주택의 건설시 소음 방지재 또는 차음재를 사용함으로써, 충격음이 콘크리트 슬래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바닥 충격음을 분산 및 흡수하여 층간 소음 전달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아파트와 주상복합빌딩에서 바닥충격음으로 인한 민원 소송 등 주민간 다툼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2004년 4월 23일부터 사업계획을 신청한 공동주택은 바닥충격음이 경량 충격음 최소 기준 58㏈을 만족하도록 규제하고 있고, 2005년 7월부터는 중량 충격음 최소 기준 50㏈을 충족하도록 규제할 예정이어서 소음 방지재의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The fundamental solution to reducing these floor shocks is to make no noise, but it is almost impossible in real life, and by using noise-proofing or sound-proofing materials in the construction of houses, the floor impact sound is transmitt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mpact sound to the concrete slab. It is distributed and absorbed to prevent noise transfer between layers.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quarrels between residents have frequently occurred in apartments and multi-purpose buildings, such as civil complaints caused by floor shocks. The minimum sound impact standard is 58㏈ and it is regulated to meet the minimum weight impact sound standard of 50㏈.

이러한 소음 방지재는 건설교통부의 인증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환경관련기준과 품질관련기준에 부합하여야 인증을 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standard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can be certified only if it meets the following environmental and quality standards.

환경관련기준으로는, 첫째, 제조과정에서 자원소비와 관련하여 제품 중 폐재 사용률은 40% 이상이어야 하며, 여기서 폐재 사용률이란 제품으로 사용되는 해당 원료 중 폐재 투입량의 무게백분율을 말한다. 둘째, 건축물의 운영과정에서 생분해될 우려가 있는 재료를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세째, 폐기시 유해성분 중, 카드뮴, 납, 구리, 비소, 수은, 6가 크롬, 시안, 유기인, 트리클로로에틸렌, 케트라클로로에틸렌은 각각 소정의 기준치 미만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즉, 폐재를 재활용하여 사용하되, 생분해되지 아니하고 폐기시 유독물질의 배출이 적은 친환경적인 소음 방지재를 생산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As an environmental standard, first, the use rate of waste materials in the product should be over 40% in relation to resource consump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where waste utilization rate refers to the weight percentage of waste input in the corresponding raw materials used as products. Second, materials that could be biodegrad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should not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the product. Third, cadmium, lead, copper, arsenic, mercury, hexavalent chromium, cyanide, organic phosphorus, Trichloroethylene and ketrachloroethylene should each be discharged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other words, the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is used, but it is regulated to produce eco-friendly noise prevention materials that are not biodegradable and have less emission of toxic substances at the time of disposal.

품질관련기준으로는, 사용단계에서 소음과 관련하여 제품의 단위면적당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에 대해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손실계수는 어떤 계(System)에 1주기 동안 저장할 수 있는 최대 변형 에너지에 대하여 동일한 주기 동안 소실되는 에너지의 비로서 정의한다. 품질관련기준에 의하면, 동탄성계수는 단위면적당 10 내지 30(MN/㎥), 손실계수는 0.1 내지 0.4를 만족하여야 한다. 또한, 제품의 흡수량, 가열 후 치수변화, 단위면적당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값 변화에 대한 각각 기준은, 흡수량 4g/100㎠ 이하, 가열후 치수변화는 5%이내, 단위면적당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의 값의 변화는 20% 이내이어야 한다. In the quality-related standard, the criteria are set for the dynamic modulus and loss factor per unit area of the product in relation to the noise in the use stage. Here, the loss factor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energy lost during the same period to the maximum strain energy that can be stored for one period in a system. According to the quality-related standards, the dynamic modulus should satisfy 10 to 30 (MN / m 3) per unit area and the loss coefficient to 0.1 to 0.4. In addition, the criteria for absorption of product, dimensional change after heating, dynamic elasticity coefficient and loss coefficient value change per unit area are 4g / 100㎠ or less, and dimensional change after heating is within 5%, and dynamic elasticity coefficient and loss per unit area. Changes in the value of the modulus shall be within 20%.

한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주택의 온돌 구조를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초 슬라브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 단독으로 또는 모래, 스티로폴 입자 등을 혼합하여 차음단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난방용 온수관을 배열한 다음, 모래와 시멘트로 조성된 몰탈마감층을 타설한 것이 가장 일반적인 온돌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온돌 구조는, 차음단열층에 쓰인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바닥충격음에 대한 차음 및 단열 성능이 크게 떨어지고, 시공후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look at some of the ondol structure of a house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as follows. The most common ondol structure is to form a sound insulation layer by mixing lightweight foam concrete alone or by mixing sand and styropol particles on a foundation slab, arranging a heating hot water pipe thereon, and then placing a mortar finishing layer composed of sand and cement. to be. However, such an ondol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ound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light-impact foamed concrete used for the sound insulation layer is greatly reduced, and cracks occur during the concrete curing process after construction.

다른 온돌 구조로는, 기초 슬라브 위에 스티로폼과 자갈쇄석층으로 된 차음단열층, 난방용 온수관 및 몰탈마감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구성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온돌 구조의 경우, 차음단열층의 두께를 변화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바닥충격음에 대한 성능면에서 충분치 않으며, 스티로폼에 수직으로 구멍을 만들고 이곳에 몰탈 기둥을 설치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도 차음 성능이 떨어져 대부분의 건설업체에서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Another ondol structure includes a case in which a sound insulation layer made of styrofoam and a gravel crushed layer, a heating hot water pipe for heating, and a mortar finishing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on a foundation slab. In the case of the ondol structure,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sound insulation layer is changed, it is not sufficient in terms of the performance against the floor impact sound, and although the hole is vertically formed in the styrofoam and mortar pillars are installed there, the sound insulation is also poor in most constructions. The company is avoiding its use.

이에 최근에는 기초 슬라브 위에 고무시트나 고무파쇄물을 설치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차음단열층을 형성하는 온돌 구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온돌구조는, 차음 성능면에서 크게 만족스럽지 못할 뿐 아니라, 고무시트를 일일이 조립하거나 테이핑하는 작업이 추가되고, 타설시 경량기포콘크리트가 고무시트 밑으로 흘러 들어가는 등 시공상 어려움이 있다.Recently, an ondol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rubber sheet or a rubber crushed material is installed on a foundation slab and a lightweight foam concrete is poured to form a sound insulation layer. However, such an ondol structure is not only very satisfactory in terms of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but also has a construction difficulty such as adding a work of assembling or taping the rubber sheet one by one, and pouring lightweight foam concrete under the rubber sheet during pouring.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중량충격음에 대한 대책으로 건축물 바닥의 강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으나, 콘크리트 슬라브를 두껍게 하는 것은 건축물의 자중이 증가하므로 건축물 고층화에 따른 경량화에 역행하는 것으로 현실적이지 못하고, 작은 보로서 슬라브를 지지하는 것도 어렵다.In addition to these methods, there is a method to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building floor as a countermeasure against heavy impact sound, but thickening the concrete slab increases the self-weight of the building, so it is not realistic to reduce the weight due to the high-rise of the building, and supports the slab as a small beam. It is also difficult to do.

이에 따라, 슬라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 사이에 설치되어 건물완성후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하면서, 내열성이 좋아 경량콘크리크의 타설시 크랙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방지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무게가 가볍고 시공이 간편하며, 건설교통부의 규정에 부합하도록 폐기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소음 방지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oise preventing material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slab and lightweight foam concrete to effectively sound insulation between floo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uilding, and to prevent cracks and dripping during the casting of lightweight concret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oise prevention material that is light in weight, easy to install, and can be made of recyclable materials without discharging harmful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when disposing in accordance with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하면서, 내열성이 좋아 경량콘크리크의 타설시 크랙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방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ise prevention material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noise between layers and prevent cracking and dropping when pouring lightweight concrete while effectively sounding interlayer nois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게가 가볍고 시공이 간편함과 동시에, 폐기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소음 방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ise prevention material that is light in weight and easy to construct, and at the same time can be made of recyclable materials without discharging harmful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at the time of disposa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음의 방지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음공이 함몰형성된 방음판과; 상기 방음판의 방음공에 충전되며, 소음의 방지효과를 가지는 제2방음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and a soundproof plate in which at least one soundproof hole is formed recessed;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of the soundproof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여기서, 상기 방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을 차단하는 덮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방음판과 동일한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proof plate to block the soundproof hole, and the cover plate may be made of the same first soundproof material as the soundproof plate.

상기 방음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에 충전된 제2방음재료의 쏠림을 방지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막은, 부직포, OPP테입, 각종 필름, 종이, 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film coupled between the sound insulation plate and the cover plate to prevent the second soundproof material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the blocking film, at least one of a nonwoven fabric, OPP tape, various films, paper, cloth It is preferable to form one.

상기 제1방음재료는, EVA, EPS, PETG, PE, PSP, PP, 고무판,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of EVA, EPS, PETG, PE, PSP, PP, rubber plate, urethane.

상기 제2방음재료는, 모래, 흙, 황토, 질석, PP 입자, EPS 입자, 옥가루, 돌가루, 폐타이어, 톱밥, 코르크 중 적어도 하나를 분쇄한 것일 수 있다. The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may be pulverized at least one of sand, soil, loess, vermiculite, PP particles, EPS particles, jade powder, stone powder, waste tires, sawdust, cork.

상기 방음판은, 그 두께가 12 내지 30mm이고, 상기 덮개판은, 그 두께가 6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aid sound insulation board is 12-30 mm, and the said cover board is 6-20 mm in thickness.

상기 방음공은 상기 방음판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원통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다. The sound insulation hole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or may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thereof.

상기 방음공은 상기 방음판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일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질 수 있다. The sound insulation hole is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and the width thereof may be narrowed toward one side.

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의 방지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음공이 함몰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음판과; 상기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방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을 차단하는 덮개판과; 상기 방음판의 방음공에 충전되며, 소음의 방지효과를 가지는 제2방음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at least one soundproof plat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soundproof hole; A cover plate made of the first soundproof material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proof plate to block the soundproof hole;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noise preven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of the soundproof plate, and comprising a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 noise preventing effect.

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소음의 방지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음공이 함몰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음판과; 상기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방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을 차단하는 덮개판과; 상기 방음판의 방음공에 충전되며, 소음의 방지효과를 가지는 제2방음재료와; 상기 방음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에 충전된 제2방음재료의 쏠림을 방지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is,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oundproof plate is made of a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the at least one soundproof hole is formed recessed; A cover plate made of the first soundproof material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proof plate to block the soundproof hole; A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of the soundproofing plate and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noise preven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ing film coupled between the soundproof plate and the cover plate to prevent the second soundproof material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목적은, 소음의 방지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는 판상의 상부 및 하부방음판과; 상기 상부방음판과 하부방음판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음공이 관통형성된 중간방음판과; 상기 방음공에 충전되며, 소음의 방지효과를 가지는 제2방음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soundproof plate of the plate made of a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 noise preventing effect; An intermediate soundproof plat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oundproof plate and the lower soundproof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soundproof hole formed therethrough; It can also be achieved by the sound-proof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comprising a second sound-proof material having a noise preventing effect.

여기서, 상기 제1방음재료는, EVA, EPS, PETG, PE, PSP, PP, 고무판,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 중, EPS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of EVA, EPS, PETG, PE, PSP, PP, rubber plate, urethane, and preferably, EPS.

상기 제2방음재료는 모래, 흙, 황토, 질석, PP 입자, EPS 입자, 옥가루, 돌가루, 폐타이어, 톱밥, 코르크 중 적어도 하나를 분쇄한 것일 수 있으며, 이 중 상기 제2방음재료는 모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may be crushed at least one of sand, soil, loess, vermiculite, PP particles, EPS particles, jade powder, stone powder, waste tires, sawdust, cork, among which the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is sand Is preferably.

상기 제2방음재료는 상기 방음공에 일정 비율이상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상기 상부 및 하부방음판은, 그 두께가 8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soundproofing plates have a thickness of 8 to 15 mm.

상기 중간방음판은, 그 두께가 8 내지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intermediate sound insulation board is 8-12 mm in thickness.

상기 방음공은 상기 중간방음판을 관통하는 원통상과 다각통상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방음공은 상기 중간방음판을 관통하며 일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undproof hole may be on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polygonal cylindrical shape penetrating the middle soundproof plate, and the soundproof hole penetrates the middle soundproof plate and preferably becomes narrower toward one sid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음방지재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ise sup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ise suppression material of FIG.

본 소음 방지재(1)는, 다수의 방음공(15)을 갖는 방음판(10)과, 방음판(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20)과, 방음판(10)과 덮개판(20) 사이에 배치되어 방음공(15)을 차단하는 차단막(30)을 포함한다. 방음판(10)과 덮개판(20)은 소음을 방지하는 방음 및 흡음 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형성되며, 방음판(10)의 방음공(15)에는 제1방음재료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나 방음 및 흡음효과를 갖는 제2방음재료(40)가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방음판(10)은 14 내지 30mm의 두께로 형성되고, 덮개판(20)은 6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방음판(10)은 16 내지 27mm의 두께로, 덮개판(20)은 8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된다. The noise preventing material 1 includes a soundproof plate 10 having a plurality of soundproof holes 15, a cover plate 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proof plate 10, a soundproof plate 10 and a cover plate 20. It is disposed between the blocking film 30 to block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The soundproof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are formed of a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soundproofing and sound absorption effects to prevent noise, and the soundproofing hole 15 of the soundproofing plate 10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However, the second sound insulating material 40 having sound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effects is filled. Here, the soundproof plate 1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4 to 30mm, the cover plate 2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6 to 20mm, preferably the soundproof plate 10 to a thickness of 16 to 27mm, the cover plate 20 ) Is formed to a thickness of 8 to 15 mm.

한편, 방음판(10)과 덮개판(20)의 제작에 사용되는 제1방음재료는, EVA, EPS, PETG, PE, PSP, PP, 고무판, 우레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는 1986년 한화석유화학이 국내 최초로 자체 기술로 개발한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수지로서, 투명성, 유연성, 저온 취성 등이 우수하여 신발용 소재, 농업용 필름, 압출 코팅 등의 원료 수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성이 우수하여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대체 소재로도 주목받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ound insulation material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10 and the cover plate 20 includes EVA, EPS, PETG, PE, PSP, PP, rubber plate, urethane and the like. Here, EVA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a copolymer resin of ethylene and vinyl acetate developed by Hanwha Chemica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1986, and has excellent transparency, flexibility, low temperature brittleness, etc. It is used as a raw material resin such as extrusion coating, an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substitute material for polyvinyl chloride (PVC) due to its excellent ductility.

EPS는 일반적으로 스티로폼 또는 스티로폴이라는 상표명으로 널리 알려진 발포폴리스티렌으로서, 소음 방지재(1)의 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발포폴리스티렌은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탄이나 부탄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뒤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제품으로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이다. 스티로폼은 발포제를 함유하고 있는 스티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 종류에 따라 직경 0.2mm~0.3mm 의 조그만 비이드(Bead)나 길이 약 2.5mm, 직경 약 0.6mm 인 원주형 펠레트(pellets) 상태로서 공급된다. 이러한 발포폴리스티렌은 오존층 파괴의 원인이 되는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지구의 온난화, 온실효과,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가스 방출을 줄여주며, 땅에 묻어도 메탄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지하수를 오염시키지 않고, 불에 태워도 물과 이산화탄소만 배출하기 때문에 유해 가스를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EPS is a polystyrene foam, generally known under the trade names Styrofoam or Styropol, and is most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the noise suppression material (1). Foamed polystyrene is a foamed product in which hydrocarbon gas, such as pentane or butane, is injected into a polystyrene resin and then inflated with steam, and 98% of the volume is air and the remaining 2% is a resin. Styrofoam is a styrene polymer or copolymer containing a blowing agent and is supplied in the form of small beads having a diameter of 0.2 mm to 0.3 mm or cylindrical pellets having a length of about 2.5 mm and a diameter of about 0.6 mm depending on the type. do. These foamed polystyrenes do not use freon gas, which causes ozone depletion, reduce global warming, greenhouse effect, and gas emissions that cause acid rain, and do not contaminate groundwater because methane is not generated when buried in the ground. Even if burned, it only emits water and carbon dioxide, so it does not generate harmful gases.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는 상품 진열장, 실내 투명벽 등에 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폼 재료로서, 지금까지는 주로 PS, PP, PVC, PU 등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PS 및 PVC 등이 환경 호르몬 문제로 규제를 받음에 따라, 폴리머 내에 환경호르몬 유사 물질이 없으며 제조 공정이 위험하지 않고 소각에도 문제가 없는 폴리에스터가 각광을 받고 있다.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TG) is a plastic foam material mainly used for merchandise showcases and indoor transparent walls. Until now, PS, PP, PVC, and PU have been used a lot, but PS and PVC are regulated due to environmental hormone issues. Accordingly, polyesters, which are free of environmental hormone-like substances in the polymer, are not dangerou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have no problem of incineration, have been spotlighted.

PE(polyethylene)는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과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두 가지 타입이 있으며, 두 가지 모두 필름이나 병의 제작에 주로 사용된다. HDPE가 좀더 견고하며, 폴리에틸렌은 냉동식품과 사용하기에 적당하다.There are two types of polyethylene (PE),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both of which are mai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films and bottles. HDPE is more robust, and polyethylene is suitable for use with frozen foods.

PSP(Polystyrene Paper)는 코팅원단, 인쇄라미원단, 보드용 원단, 건축자재용 원단, 산업포장재용 원단, 칼라 원단, 트레이용 원단 등 다방면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수지로서, 건축자재용 원단으로서 주로 문양거푸집이나 단열재의 제작에 주로 사용된다. PSP (Polystyrene Paper) is a plastic resin tha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oating fabric, printing lamination fabric, board fabric, fabric for construction materials, fabric for industrial packaging, color fabric, and tray fabric. It is mainly used for the manufacture of insulation materials.

PP(polypropylene)는 프라스틱 수지 중 가장 쓰임이 많으며, 압출, 블로우성형, 사출성형, 압축성향, 진공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섬유, 필름 또는 다양한 색상이나 투명한 폼으로 만들 수 있으며, 주로 용도는 포장지와 같은 필름 형태로 사용되었다. PP는 PE보다는 유연해지는 온도가 높으며, 대부분의 플라스틱 박스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다. PP (polypropylene) is most used among plastic resins and can be extruded, blow molded, injection molded, compressed, and vacuum molded. In addition, it can be made of fibers, films or various colors or transparent foam, mainly used in the form of a film such as wrapping paper. PP is more flexible than PE, and most plastic boxes are made of polypropylene.

이러한 각종 재료는 모두 방음판(10)과 덮개판(20)의 제작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에서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스티로폼이 건축자재로서 단열, 가공, 난연성, 내수, 방음면에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먼저, 스티로폼은 열전도율이 아주 낮아 외부 또는 내부의 열을 차단하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방한 방온이 우수하다. 그리고 칼, 톱, 전열선 등으로 원하는 대로 자를 수 있고 접착제 또는 못으로 부착 및 고정하기 쉬워 시공 및 가공성이 매우 좋다. 또한, 불에 잘 타지 않아 화재의 염려를 덜 수 있으며, 독립밀폐기포로 형성되어 습기의 통과는 물론 장기간 물 속에 넣어도 흡수량이 극히 적다. 마지막으로 외부로부터 소음을 차단하고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므로, 가정집 벽은 물론 공장, 사무실, 음악감상실 등의 벽과 천정에 많이 사용된다. All these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soundproof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of which is most preferably made of styrofoam. This is because Styrofoa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insulation, processing, flame retardancy, water resistance, and sound insulation as building materials. First, since styrofoam has a very low thermal conductivity, the effect of blocking external or internal heat is great, so it is excellent in cold weather. And it can be cut as desired with knife, saw, heating wire, etc., and it is easy to attach and fix with adhesive or nail. In addition, it does not burn well and can reduce the risk of fire. Since it is formed as an independent airtight bubble, the amount of absorption is extremely low even if it is put in water for a long time as well as the passage of moisture. Finally, since it blocks noise from the outside and absorbs the noise inside, it is used for walls and ceilings of homes, factories, offices, and listening rooms.

특히, 본 실시예에 사용한 스트로폼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트로폼의 밀도는 15kg/m³이상이고, 열전도율은 0.043 W/mk 이하이거나 0.037 kcal/mh℃ 이하이고, 굽힘강도 15 N/cm²이상이거나 1.5 kg/cm²이상이다. 압축강도는 5 N/cm²이상이거나, 0.5 kg/cm²이상이고, 흡수량은 1.5 g/100cm²이하이며, 연소시 3초 이내에 불꽃이 꺼져서 찌꺼기가 없고 연소한계 초과선을 초과하여 연소하지 않아야 한다. In particula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trofoam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First, the density of the straw is more than 15kg / m³,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ess than 0.043 W / mk or less than 0.037 kcal / mh ℃, the bending strength is more than 15 N / cm² or more than 1.5 kg / cm². Compressive strength is not less than 5 N / cm² or more than 0.5 kg / cm², absorption is less than 1.5 g / 100cm², and the flame should be extinguished within 3 seconds during combustion, so that there is no dregs and no burning above the limit of combustion.

한편, 방음판(10)과 덮개판(20)은 상술한 제1방음재료 중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고, 각각 상이한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공 후, 외부 압력이나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소음 방지재(1)의 변형이 발생할 경우, 방음판(10)과 덮개판(20)을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가 유사하며, 그래야만 방음판(10)과 덮개판(20)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재료로 방음판(10)과 덮개판(20)을 제작할 경우에는 수축율이 다르기 때문에 방음판(10)과 덮개판(20)이 상호 분리될 가능성이 크다. Meanwhile, the sound insulation board 10 and the cover plate 20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aterial among the above-mentioned first sound insulation materials, or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respectively, bu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ame material. This is similar to the extent that deformation occurs when the soundproof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when deformation of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1 occurs due to a change in external pressure or temperature after construction. This is because the soundproof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However, when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e shrinkage rate is different, so that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are likely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방음판(10)에 형성된 다수의 방음공(15)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음공(15)은 방음판(10)의 사출 발포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방음판(10)은 판상으로 제작한 다음 열봉으로 방음판(10)을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열봉을 이용하여 방음공(15)을 형성할 경우, 방음공(15) 영역이 열에 의해 압축이 되므로 강도가 보강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상호 이웃하는 방음공(15)이 동일한 열과 행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웃하는 열의 방음공(15)과는 상호 어긋나게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any sound insulation holes 15 formed in the sound insulation board 10 are formed in cylindrical form, and are arrange | positio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to FIG.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time of injection foam molding of the soundproof plate 10, and the soundproof plate 10 may be formed by pressing a soundproof plate 10 with a hot rod. At this time, when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is formed by using a hot rod,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region is compressed by heat,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strength is reinforced. 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ound insulation holes 15 adjacent to each other are formed to be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nd row, but the sound insulation holes 15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sound insulation holes 15 in the neighboring columns. .

이러한 방음판(10)의 방음공(15)에는, 방음판(10)과 덮개판(20)을 형성하는 제1방음재료와는 상이한 제2방음재료(40)가 채워진다. 제2방음재료(40)로는, 모래, 흙, 황토, 질석, PP 입자, EPS 입자, 옥가루, 돌가루, 폐타이어, 톱밥, 코르크 등이 사용되며, 각 재료는 고운 입자 상태로 분쇄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황토나 옥가루 등은 몸에 좋은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혈액순환 등에 영향을 미쳐 건강에 도움을 주게 되며, 최근에 일고 있는 웰빙 트랜드에 맞는 재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제2방음재료(40) 중 하나만 선택되어 방음공(15)에 채워질 수도 있고, 각 제2방음재료(40) 중 2가지 이상이 선택되어 혼합된 다음 방음공(15)에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각 제2방음재료(40)는 방음공(15)을 완전히 채우도록 충전될 수도 있고, 소정의 여유공간을 두고 반쯤 충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방음재료(40)는 각 재료 사이의 틈새에 의해 형성되는 소음을 흡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 is filled with a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40 different from the first sound insulation material forming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As the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40, sand, soil, loess, vermiculite, PP particles, EPS particles, jade powder, stone powder, waste tire, sawdust, cork, etc. are used, and each material is pulverized into fine particles. . Here, the ocher, jade powder, etc. emits far infrared rays that are good for the body, thereby affecting the blood circulation and the like, and contributing to the health, and can be said to be materials suitable for the well-being trends that are occurring recently. Only one of each of the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s 40 may be selected to be filled in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or two or more of each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40 may be selected and mixed and then filled in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 In addition, each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40 may be filled to completely fill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or may be half filled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The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40 absorbs the noise formed by the gap between the materials.

한편,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방음공(15)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3의 제2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방음공(15)은 격자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4의 제3실시예에서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방음공(15)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렇게 상부의 폭이 넓을 경우 제2방음재료(40)를 방음공(15)에 채우는 작업이 원활해진다. 한편, 도 4에서는 원통상의 방음공(15)을 비스듬히 형성하였으나, 제2실시예와 같이 사각통상으로 방음공(15)을 형성한 다음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방음공(15)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although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3,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grid pattern is formed.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e third embodiment of FIG. 4,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is formed in a funnel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operation of filling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with the soundproof material 40 is smooth. Meanwhile, in FIG. 4, the cylindrical soundproof hole 15 is formed at an angle, but the soundproof hole 15 may be formed so a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bottom after forming the soundproof hole 15 in a square shap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course.

이러한 방음공(15)이 형성된 방음판(10)의 상부에는 차단막(30)이 결합되며, 차단막(30)은 방음공(15)내에 수용된 제2방음재료가 소음 방지재(1)의 운송 중 방음판(10)과 덮개판(2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여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차단막(30)은 부직포, OPP테입, 각종 필름, 종이, 천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단막(30)의 수용을 위해, 방음판(10)에 그 연부의 소정 폭을 제외한 영역을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시켜 수용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barrier layer 3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10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holes 15 are formed, and the barrier layer 30 is a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1. It is to prevent to move to the gap between the 10 and the cover plate 20. The barrier layer 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nonwoven fabric, OPP tape, various films, paper, and cloth. In order to accommodate the barrier layer 30, the soundproof plate 10 is plated with an area except for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edge thereof. 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by recessing from the predetermined depth.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방음판(10)을 하나의 부재로 형성하였으나, 후술할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 is formed of one member, as shown in FIGS. 5 to 7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manufactured by separating into two parts.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재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과,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의 방음공(135)을 갖는 중간방음판(130)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과 중간방음판(130)은,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방음재료로 형성되며, 중간방음판(130)의 방음공(135)에는 상술한 제2방음재료(140)가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은 6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중간방음판(130)은 6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은 8 내지 15mm의 두께로, 중간방음판(130)은 8 내지 12mm의 두께로 형성된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ise sup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sup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panels 110 and 120, and an intermediate sound insulation board 130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plates 110 and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sound insulation holes 135. .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boards 110 and 120 and the middle sound insulation board 130 are formed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material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hole 135 of the middle sound insulation board 130 is described above. The soundproof material 140 is filled. Here,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boards 110 and 120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6 to 20mm, the middle sound insulation board 13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6 to 15mm, 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panels 110 and 120 are 8 to 15mm thick. The middle sound insulation board 13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8 to 12mm.

이러한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과 중간방음판(130)의 제작에 사용되는 제1방음재료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EVA, EPS, PETG, PE, PSP, PP, 고무판, 우레탄 등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과 중간방음판(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 후 변형에 대비하여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used in the fabric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oundproofing plates 110 and 120 and the intermediate soundproofing plate 130 may be made of EVA, EPS, PETG, PE, PSP, PP, rubber sheet, urethane, etc.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mong them,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styrofoam.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panels 110 and 120 and the middle sound insulation board 130 may use the same material in preparation for deformation after construction.

한편, 제1 내지 제3실시예와는 달리, 제4실시예에서는 중간방음판(130)에 다수의 방음공(135)이 중간방음판(1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방음공(13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음공(135)의 형상이나 배치는 제2 및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the fourth embodiment, a plurality of sound insulation holes 135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sound insulation plate 130 to penetrate the intermediate sound insulation plate 130, and the sound insulation holes 135 are As shown in Fig. 5, the cylinders are formed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Like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soundproof hole 135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as shown in FIG. 6, and as shown in FIG. It may be formed in a narrowing funnel shape.

이러한 중간방음판(130)의 방음공(135)에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래, 흙, 황토, 질석, PP 입자, EPS 입자, 옥가루, 돌가루, 폐타이어, 톱밥, 코르크 등을 분쇄한 제2방음재료(140)가 충전된다. In the sound insulation hole 135 of the intermediate sound insulation board 130, sand, soil, loess, vermiculite, PP particles, EPS particles, jade powder, stone powder, waste tire, sawdust, cork, and the like,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second soundproof material 140, which is crushed, is filled.

이러한 구성에 의한 소음 방지재(1)를 제작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noise preventing material (1) by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소음 방지재(1)가 방음판(10), 덮개판(20), 차단막(30)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방음재료로 방음판(10)과 덮개판(20)을 제작한 다음, 방음판(10)에 열봉으로 방음공(15)을 형성한다. 그리고, 방음판(10)의 방음공(15)에 제2방음재료(40)를 충전한다. 그런 다음, 방음판(10)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테이핑하여 차단막(30)을 결합시키고, 그 위에 다시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테이핑하여 덮개판(20)을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방음판(10)과 덮개판(20)을 가압하여 균열이 발생하도록 한다. First, when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1 is made of a soundproof plate 10, a cover plate 20, a blocking film 30, the soundproof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is made of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and then the soundproof plate ( The soundproof hole 15 is formed with a heat rod in 10). The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40 is filled in the sound insulation hole 15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10. Then, by applying or taping the adhesive on the top of the sound insulation panel 10 to bond the barrier film 30, the adhesive is applied or taped on it again to bond the cover plate 20. Finally, by using a press to press the soundproof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to cause cracks.

한편, 소음 방지재가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과 중간방음판(130)로 이루어진 경우, 하부방음판(120)의 상부에 중간방음판(130)을 안착시키고, 테이핑이나 본딩을 통해 하부방음판(120)과 중간방음판(130)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중간방음판(130)의 방음공(135)에 제2방음재료(140)를 충전하고, 중간방음판(130)의 상부에 상부방음판(110)을 덮고 테이핑이나 본딩작업하여 상부방음판(110)과 중간방음판(130)을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프레스기로 상부방음판(110)측과 하부방음판(120)측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과 중간방음판(130)의 합포 성능이 개선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soundproof plates 110 and 120 and the middle soundproof plate 130, the middle soundproof plate 13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oundproof plate 120, and the lower soundproof plate 120 and the taping or bonding The middle sound insulation board 130 is combined. The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140 is filled in the sound insulation hole 135 of the middle sound insulation panel 130, and the upper sound insulation plate 110 is covered by taping or bonding the upper sound insulation plate 1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sound insulation panel 130. ) And the middle sound insulation board 130 is combined. Finally, by pressing the upper soundproof plate 110 and the lower soundproof plate 12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with a press, the performance of the upper and lower soundproof panels 110 and 120 and the middle soundproof panel 130 may be improved.

이렇게 완성된 본 소음 방지재(1)에 대한 품질 시험결과를 건설교통부의 품질관련기준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시험에서는 제2방음재료(40,140)로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아래 표는 시편A는 방음공(15,135)에 모래를 반만 충전시킨 상태, 시편B는 모래를 완전 충전시킨 상태에서의 시험결과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교통부의 품질관련기준에 의하면, 동탄성계수는 단위면적당 10 내지 30(MN/㎥), 손실계수는 0.1 내지 0.4를 만족하여야 하며, 가열전후 단위면적당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값 변화는 20% 이내여야 한다. 아래의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소음 방지재(1)는 시편A의 경우에는 동탄성계수가 가열전 12.9이고, 가열후에는 14.8이므로 동탄성계수의 변화율은 115%이다. 따라서 동탄성계수의 변화가 20%이내이므로 규격을 만족한다. 그리고, 시편B의 경우에는 가열전 동탄성계수가 13.2이며, 시험기준인 10보다 크고 30보다 작을 뿐만 아니라, 가열후 동탄성계수가 14.4로서 가열전의 109%이므로 변화율이 20%를 초과하지 아니한다. 또한, 손실계수는 가열전후에 0.16에서 0.13으로 변화하였으므로, 변화율이 20%를 초과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시편A 및 시편B의 경우에는 건설교통부의 품질관련기준을 만족하고 있다.Comparing the quality test results of this completed noise prevention material (1) with the quality-related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s follows. In this test, sand was used as the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40,140). The table below shows the test results of the specimen A filled with half the sand in the soundproof holes (15,135) and the specimen B filled with the sand. In general, according to the quality-related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dynamic modulus should satisfy 10 to 30 (MN / ㎥) per unit area, the loss coefficient should be 0.1 to 0.4, and the change of dynamic elastic modulus and loss coefficient per unit area before and after heating It should be within 20%.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below, in the case of specimen A,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was 115% since the elastic modulus was 12.9 before heating and 14.8 after heating. Therefore, the change in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is within 20%, so the specification is satisfied. In the case of specimen B, the coefficient of dynamic elasticity before heating is 13.2, which is greater than 10 and less than 30, and the coefficient of change does not exceed 20% because the coefficient of elasticity of elasticity after heating is 14.4, 109% before heating. In addition, since the loss coefficient changed from 0.16 to 0.13 before and after heating, the rate of change does not exceed 20%. Therefore, in case of specimen A and specimen B, it satisfies the quality-related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시험항목 Test Items 시험기준 Test standard 시험결과Test result 시편A(스티로폼+모래 반충전)Specimen A (Styrofoam + sand half-filled) 시편B(스티로폼+모래 완전충전)Specimen B (Styrofoam + sand fully charged) 동탄성계수(MN/㎥)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MN / ㎥) 가열전Before heating 40이하40 or less 12.912.9 13.213.2 가열후After heating 가열전의 120%이내Within 120% before heating 14.8(115%)14.8 (115%) 14.4(109%)14.4 (109%) 손실계수Loss factor 가열전Before heating 0.1 ~ 0.30.1 to 0.3 0.250.25 0.160.16 가열후After heating 0.1 ~ 0.30.1 to 0.3 0.200.20 0.13(81%)0.13 (81%)

한편, 본 소음 방지재(1)를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 슬라브 위에 조립된 소음 방지재(1)를 깔고, 이웃하는 소음 방지재(1)의 사이는 테이핑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차단한다. 그런 다음,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그 위에 난방용 온수관을 배열하고, 모래와 시멘트로 조성된 몰탈마감층을 타설한다. On the other hand, look a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noise preventing material (1) as follows. First,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1 assembled on the foundation slab is laid, and the neighboring noise prevention material 1 is interrupted | blocked by taping or an adhesive agent. Then, light weight foam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a heating hot water pipe is arranged thereon, and a mortar finishing layer composed of sand and cement is poured.

이와 같이, 본 소음 방지재(1)는, 스티로폼을 비롯한 다양한 제1방음재료와, 모래를 포함하는 제2방음재료를 사용하고, 제작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프레스기로 소음 방지재(1)를 가압하여 방음판(10)과 덮개판(20), 상부 및 하부방음판(110,120)과 중간방음판(130)의 조직에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균열에 소음이 흡수되어 층간 소음의 방지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폐타이어나 고무패널을 사용하던 것보다 경량화되고, 조립된 상태의 소음 방지재(1)를 사용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다. 그리고 시공시 각 소음 방지재(1) 사이를 접착이나 테이핑 작업함으로써, 경량기포콘크리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this noise prevention material 1 uses various 1st sound insulation materials, such as styrofoam, and the 2nd sound insulation material containing sand, and presses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1 with a press at the last stage of a manufacturing process. By the cracks generated in the structure of the soundproof plate 10 and the cover plate 20, the upper and lower soundproof panels 110, 120 and the middle soundproof panel 130, the noise is absorbed in the cracks can doubl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terlayer noise. . In addition, it is lighter than conventional waste tires or rubber panels, and the construction is easy by using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1) in the assembled state. In addition, by adhering or taping between the noise preventing materials 1 during constructio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한편, 제1방음재료인 스티로폼의 경우, 폐기시 땅에 묻어도 메탄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지하수를 오염시키지 않고, 불에 태워도 물과 이산화탄소만 배출하기 때문에 유해 가스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방음재료(40,140)인 모래, 흙, 황토, 질석, PP 입자, EPS 입자, 숯, 옥가루, 돌가루, 폐타이어, 톱밥, 코르크는 재활용품을 사용할 수도 있고, 폐기시 제1방음재료와 분리하여 다시 재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소음 방지재(1)는 폐기시 부가적인 오염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재활용도 가능하므로, 환경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품이며,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고 폐기시 재료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tyrofoam, which is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does not generate methane gas even when it is buried in the ground, and does not pollute the groundwater. Sand, soil, loess, vermiculite, PP particles, EPS particles, charcoal, jade powder, stone powder, waste tires, sawdust, and cork may be recycled materials. It can be separated and recycled again. Therefore, this noise prevention material (1)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that can prevent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because it can be recycled without additional pollution during disposal, it is possible to use the recycled material and to recycle the material again when discarded In this regard, the cost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should be taken as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s described below and equivalent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층간 소음의 방지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되고 조립된 상태의 소음 방지재를 사용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본 소음 방지재는 폐기시 부가적인 오염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재활용도 가능하므로, 환경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품이며, 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noise between the layers, and the construction is easy by using a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lightweight and assembled state. In addition, since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can be recycled without additional pollution during disposal, it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that can prevent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can reduce cost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재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ise preventing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소음 방지재의 결합단면도,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ise prevention member of Figure 1 combined;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재의 분해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ise preventing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재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ise preven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재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ise preventing materi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재의 분해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ise preventing materi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재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ise preven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소음 방지재 10 : 방음판   1: Noise prevention material 10: Sound insulation board

15 : 방음공 20 : 덮개판  15: soundproofing hole 20: cover plate

30 : 차단막 40 : 제2방음재료  30: blocking film 40: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110 : 하부방음판 120 : 상부방음판 110: lower soundproof plate 120: upper soundproof plate

130 : 중간방음판 135 : 방음공 130: sound insulation plate 135: sound insulation

140 : 제2방음재료140: second soundproof material

Claims (19)

소음의 방지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음공이 함몰형성된 방음판과; A sound insulation plate made of a first sound insulation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and having at least one sound insulation hole recessed; 상기 방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을 차단하는 덮개판과;A cov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proof plate to block the soundproof hole; 상기 방음판의 방음공에 충전되며, 소음의 방지효과를 가지는 제2방음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Noise-proof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ound-proof material is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of the soundproof plate,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음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에 충전된 제2방음재료의 쏠림을 방지하며, 부직포, OPP테입, 각종 필름, 종이, 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It is coupled between the soundproof plate and the cover plate to prevent the second soundproof material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and further comprises a barrier film formed of at least one of a nonwoven fabric, OPP tape, various films, paper, cloth Anti-nois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방음재료는, EVA, EPS, PETG, PE, PSP, PP, 고무판,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is at least one of EVA, EPS, PETG, PE, PSP, PP, rubber plate, urethan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방음재료는, E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first sound insulation material is EP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ise prevent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방음재료는, 모래, 흙, 황토, 질석, PP 입자, EPS 입자, 옥가루, 돌가루, 폐타이어, 톱밥, 코르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is a noise preventi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crushe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nd, soil, loess, vermiculite, PP particles, EPS particles, jade powder, stone powder, waste tires, sawdust, cork .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2방음재료는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econd sound insulating material is a noise preven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sa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음판은, 그 두께가 16 내지 30mm이며, 상기 덮개판은, 그 두께가 8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aid sound insulation board is 16-30 mm in thickness, and the said cover plate is 8-15 mm in thickness,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음공은 상기 방음판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원통상, 다각통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ound insulatio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t least one shap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ylindrical, polygonal cylindrical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oundproof plat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방음공은 상기 방음판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일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ound insulation hole is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toward one side. 소음의 방지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제작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음공이 함몰형성된 방음판과; A sound insulation plate made of a first sound insulation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and having at least one sound insulation hole recessed; 상기 방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을 차단하는 덮개판과; A cov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proof plate to block the soundproof hole; 상기 방음판의 방음공에 충전되며, 소음의 방지효과를 가지는 제2방음재료와;A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of the soundproofing plate and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상기 방음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공에 충전된 제2방음재료의 쏠림을 방지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And a blocking film coupled between the sound insulation plate and the cover plate to prevent the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from filling the sound insulation hole.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차단막은 부직포, OPP테입, 각종 필름, 종이, 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barrier layer is a noise preventi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t least one of a nonwoven fabric, OPP tape, various films, paper, cloth.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방음재료는, EVA, EPS, PETG, PE, PSP, PP, 고무판,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is at least one of EVA, EPS, PETG, PE, PSP, PP, rubber plate, urethane.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2방음재료는, 모래, 흙, 황토, 질석, PP 입자, EPS 입자, 옥가루, 돌가루, 폐타이어, 톱밥, 코르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noise, characterized in that crushe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nd, soil, loess, vermiculite, PP particles, EPS particles, jade powder, stone powder, waste tires, sawdust, cork ashes. 소음의 방지효과를 갖는 제1방음재료로 제작된 상부 및 하부방음판과;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ng plates made of a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상기 상부방음판과 하부방음판 사이에 배치되며,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음공이 형성된 중간방음판과; An intermediate soundproof plat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oundproof plate and the lower soundproof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soundproof hole penetrating the plate surface; 상기 중간방음판의 방음공에 충전되며, 소음의 방지효과를 가지는 제2방음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soundproof hole of the intermediate soundproof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oundproofing material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방음재료는, EVA, EPS, PETG, PE, PSP, PP, 고무판,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first soundproofing material is at least one of EVA, EPS, PETG, PE, PSP, PP, rubber plate, urethane.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2방음재료는, 모래, 흙, 황토, 질석, PP 입자, EPS 입자, 옥가루, 돌가루, 폐타이어, 톱밥, 코르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econd sound insulation material, noise, characterized in that crushe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nd, soil, loess, vermiculite, PP particles, EPS particles, jade powder, stone powder, waste tires, sawdust, cork ashes.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상부 및 하부방음판은, 그 두께가 6 내지 20mm이고, 상기 중간방음판은, 그 두께가 6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upper and lower sound insulation boards have a thickness of 6 to 20 mm, and the middle sound insulation board has a thickness of 6 to 15 mm.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방음공은 상기 방음판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원통상, 다각통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ound insulatio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t least one shap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ylindrical, polygonal cylindrical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oundproof plate. 제 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방음공은 상기 중간방음판을 관통하며 일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재. The sound insulation hole penetrates through the middle sound insulation plate, and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toward one side.
KR20-2004-0032563U 2004-11-17 2004-11-17 A noise suppresser KR2003760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563U KR200376033Y1 (en) 2004-11-17 2004-11-17 A noise suppres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563U KR200376033Y1 (en) 2004-11-17 2004-11-17 A noise suppress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297A Division KR100700640B1 (en) 2004-11-17 2004-11-17 A noise suppres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033Y1 true KR200376033Y1 (en) 2005-03-10

Family

ID=4367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563U KR200376033Y1 (en) 2004-11-17 2004-11-17 A noise suppres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033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084B1 (en) 2005-12-21 2007-07-03 박의신 Insulation, soundproof and quake proof self leveling mortar
KR20160059506A (en) 2014-11-18 2016-05-27 주용산업주식회사 Sound proof plate for a noise absorbing
KR20240020085A (en) 2022-08-05 2024-02-14 주식회사 다인텍 Modular sound insulation board and its installation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084B1 (en) 2005-12-21 2007-07-03 박의신 Insulation, soundproof and quake proof self leveling mortar
KR20160059506A (en) 2014-11-18 2016-05-27 주용산업주식회사 Sound proof plate for a noise absorbing
KR20240020085A (en) 2022-08-05 2024-02-14 주식회사 다인텍 Modular sound insulation board and its install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336B1 (en) Inter floor for noise interception pvc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07360B1 (en) A noise suppress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82999Y1 (en) A noise suppresser
US20070209867A1 (en) Soundproof panel for impact sound insulation
JP2000314191A (en) Improved building material using plastics material, improved building structural portion produced by using th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399170Y1 (en) A noise supresser
KR100860061B1 (en) A noise supresser
KR100446002B1 (en) Composite foamed material for soundproofing of building
KR100665085B1 (en) Complex Soundproof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76033Y1 (en) A noise suppresser
KR100700640B1 (en) A noise suppresser
JP4906318B2 (en) Low frequency sound absorber made of closed cell glass foam
KR20060054997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noise suppresser
KR20060127511A (en) A floo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process for impact-noise reduction
KR101626470B1 (en) Non-foam type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and flo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0806728B1 (en) Insulation materials for reducing a noise and a impact sound
KR20190127492A (en) Panel for Construc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25544B1 (en) Flame Retardant Ceramic Panel
KR20160104581A (en) Insulation Material for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51855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onstructional Materials Effecting Both Adiabatic and Impact Sound Insulation Through Floor in Apartment Houses
KR200359989Y1 (en) Epitaxy structure of Noise between floor Prevention material
KR200401924Y1 (en) Sound-proof floor reduc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100706630B1 (en)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KR102177760B1 (en) Sectional sound insulation panel using compressed cork
KR100523348B1 (en) The insulation and vibration-absorption material made of polystyrene foam chip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